[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55755Y1 - 석션기능을 갖춘 칫솔 - Google Patents

석션기능을 갖춘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5755Y1
KR200455755Y1 KR2020090002789U KR20090002789U KR200455755Y1 KR 200455755 Y1 KR200455755 Y1 KR 200455755Y1 KR 2020090002789 U KR2020090002789 U KR 2020090002789U KR 20090002789 U KR20090002789 U KR 20090002789U KR 200455755 Y1 KR200455755 Y1 KR 2004557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toothbrush
brushing
present
di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27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9218U (ko
Inventor
오상환
Original Assignee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200900027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755Y1/ko
Publication of KR201000092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2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7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755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6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connected to supply pipe or to other external supply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석션기능을 갖춘 칫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과의 환경이 아닌 곳에서 누워있는 환자에게 양치를 시행하는 경우, 환자의 입안에 생기는 치약 거품 및 타액을 간편하게 제거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석션이 가능하도록 고안된 칫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말단부에 하나의 석션홀을 갖는 칫솔본체, 양치시 발생하는 오물을 상기 석션홀을 통해 흡입하여 저장하는 석션통, 및 상기 석션통에 연결된 진공펌프로 구성되는데, 상기 칫솔본체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 내부에 형성된 석션관, 및 상기 말단부에서 5 내지 20 ㎜ 떨어진 위치에 이를 닦기 위한 다수의 칫솔모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칫솔은 양치시 발생하는 오물이 포함된 치약 거품 및 타액을 양치하는 동안 손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석션이 가능하도록 고안되었으며, 특히 칫솔본체의 말단부에 위치한 석션홀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칫솔모를 위치시킴으로서 어금니 안쪽의 구석 부분까지 석션이 가능하여 환자에게 최적의 치아위생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칫솔, 석션, 진공펌프, suction pump

Description

석션기능을 갖춘 칫솔 {A toothbrush with suction pump}
본 고안은 석션기능을 갖춘 칫솔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치과의 환경이 아닌 곳에서 누워있는 환자에게 양치를 시행하는 경우, 환자의 입안에 생기는 치약 거품 및 타액을 간편하게 제거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석션이 가능하도록 고안된 칫솔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구강관리와 치료의 사각지대인 장애인, 노인 등 소외계층에 대해 맞춤형 구강보건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문구강보건사업이 시행됨에 따라 구강질환의 예방 및 치료는 물론 삶의 질 개선에 기여하고 있다. 보건당국의 발표에 따르면, 사회복지시설 내 생활자 대부분이 스스로 구강위생을 유지할 수 없는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및 노인들로 구강질환이 심각한 수준이며, 구강보건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은 크게 개선되고 있는 반면, 소외계층의 구강보건 현실은 갈수록 악화돼 대다수의 사회복지시설 생활자들이 치주질환으로 고통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인들의 경우 치아관리에 재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세균감염에 쉽게 노출되고 장애인의 경우 90%이상이 잇몸질환을 앓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구강관리는 전문가의 도움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에, 최근 실시된 노인장기요양보호법에 따라 치과위생사는 방문구강보건사업을 시작하였다. 이 때 치과위생사의 업무는 거동불편불능 노인에게 치과질환관리, 구강건강생활실천, 상담 및 교육, 지역사회와 연계 해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누워있는 환자 및 노인에게 양치질을 해주는 것은 구강질환의 예방 및 구강건강증진의 목적이 있는데, 치과의 환경이 아닌 곳에서 누워있는 환자의 양치질을 해주는 경우, 환자의 입안에 생기는 치약 거품 및 타액을 제거하는 것이 쉽지 않다.
이와 같은 이유로 본 고안자들은, 한정된 인원이 효율적으로 양치과정을 이행하고 환자에게 최적의 환경을 제공함으로서 노인 및 장애인들의 구강관리의 개선을 위하여 하기 위해 석션이 가능한 칫솔을 개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노인 및 장애인들의 건강한 구강관리를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서 누워있는 상태에서 손쉽게 양치질이 가능하도록 고안된 석션기능을 갖춘 칫솔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고안은 말단부에 하나의 석션홀(13)을 갖는 칫솔본체(10); 양치시 발생하는 오물을 상기 석션홀(13)을 통해 흡입하여 저장하는 석션통(20); 및 상기 석션통(20)에 연결된 진공펌프(3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기능을 갖춘 칫솔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사용된 용어 “석션”은 대상물(예컨대, 구강내 오물 및 치약 거품)을 빨아들이는 것으로, 일반적인 ‘흡입’과 같은 용어로 사용되는데, 용어 ‘석션홀’은 대상물에 직접 접하여 빨아들이는 곳을 의미하고 ‘석션통’은 흡입된 대상물을 수집한 후 제거가 용이하도록 마련된 수용 공간을 의미한다.
본 고안의 칫솔본체(10)는, 말단부에 형성된 하나의 석션홀(13); 상기 말단부의 반대편에 형성된 손잡이(11); 상기 말단부에서 5 내지 20 mm 떨어진 위치에 이를 닦기 위한 다수의 칫솔모(12); 및 상기 석션홀(13)과 연통되어 칫솔본체(10) 내부에 형성된 석션관(14)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동이 불편한 노인환자나 중증장애인의 양치질에 있어서, 환자 자신이 아닌 타인이 양치질을 수행하는 경우 주로 그 수행자의 시각에 의존하게 되므로, 칫솔모가 기존의 칫솔과 같이 칫솔본체의 끝부분에 위치하게 되면 칫솔모에 의해 구강내 시야확보에 어렵게 되어 양치질하면서 구강내의 오물을 완전히 제거하는데 어려움이 있게 된다. 특히 노인과 중증장애인의 경우 평소 위아래 어금니 사이에 음식물이 남아있는 경우가 많으며, 연령에 따른 노화와 질병에 의해 치아소실이 많이 일어나는데 치열 중 치아가 소실된 곳은 칫솔모가 다른 치아에 걸려 방해가 될 수 있으므로 입안 구석구석 석션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게 된다.
또한 노인과 중증장애인의 경우, 잇몸상태가 일반인에 비해 나쁜 경우가 많으므로 물리적인 칫솔질 보다는 부드러운 양치질과 함께 석션을 통하여 잔류 음식물 및 타액을 제거하는 방법이 구강관리에 더 효과적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칫솔은, 칫솔모를 칫솔본체 말단부로부터 일정 거리가 떨어진 곳에 위치시켜 양치시 발생하는 치약 거품 및 오물을 석션을 통해 손쉽게 제거함으로써 노인 및 환자의 구강관리에 있어 뛰어난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여기서, 칫솔모 보다 더 튀어나온 말단부(석션홀)는 칫솔모의 길이가 보통 10 ㎜ 내외로 가정할 때 5-20 ㎜인 경우가 입안의 어금니 안쪽, 소실된 치아 부분 등 좁은 공간에 삽입하기 적당하며, 너무 길게 되면 칫솔질이 어렵게 되므로 10 ㎜ 내외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상기 손잡이(11)는, 상기 진공펌프(30)의 온/오프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15)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치질의 수행자가 환자의 상태를 돌보면서 칫솔을 사용하려면 한 손만으로도 양치질과 함께 칫솔을 조작해야 하는데, 이 때 칫솔을 조작하는 손의 엄지손가락만으로 진공펌프(30)의 온/오프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작함으로서 사용상 편의성을 부여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상기 칫솔본체(10)와 석션통(30)은 오물흡입관(22)으로 연결되고, 상기 오물흡입관(22)은 석션통(20)에 구비된 니플(21)에 대하여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석션통(20)과 진공펌프(30)는 하나의 케이싱 (40)내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르면, 노인 및 장애인들의 건강한 구강관리를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서 누워있는 상태에서 손쉽게 양치질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양치 기능과 양치질할 때 발생되는 치약 거품 등과 같은 오물에 대한 석션 기능을 하나의 칫솔로 가능하게 하되, 치아와 잇몸에 직접 접촉하여 석션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오물의 배출이 확실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석션관이 일직선으로 관통 형성되고, 석션관의 일단에 석션홀이 마련되어 진공펌프에 의한 흡입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고안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고안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석션기능을 갖춘 칫솔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 석션을 위한 소형진공펌프(30)는 전기를 이용하고 취급이 용이하도록 소형으로 콤팩트하게 설계함으로써 전원이 공급된 장소에서의 자유로운 이동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예컨대, 가정, 복지센터, 병원 등에 설치될 수도 있으나 가능하면 가정용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말단부에 하나의 석션홀(13)을 갖는 칫솔본체(10); 양치시 발생하는 오물을 상기 석션홀(13)을 통해 흡입하여 저장하는 석션통(20); 및 상기 석션통(20)에 연결된 진공펌프(30)로 구성되는데, 상기 칫솔본체(10)는 손잡이(11); 상기 손잡이(11) 내부에 형성된 석션관(14); 및 상기 말단부에서 5-20 ㎜ 떨어진 위치에 이를 닦기 위한 다수의 칫솔모(1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칫솔본체(10)와 석션통(30)은 오물흡입관(22)으로 연결되고, 상기 오물흡입관(22)은 석션통(20)에 구비된 니플(21)에 대하여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석션통(20)과 진공펌프(30)는 하나의 케이싱 (40)내에 장착될 수 있다.
석션통(20)은 양치시 발생하는 흡입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발생된 치약 거품 등과 같은 오물은 석션홀(13)을 통해 흡입되어 손잡이(11) 내부의 석션관(14)을 통해 도 1에 도시된 케이싱(40)내의 석션통(20)으로 강제 흡입되어진다. 강제 흡입에 의해 구강내 오물이 외부로 배출됨으로서 항상 청결한 구강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흡입된 이물질의 주기적인 배출 사용이 가능한 구조를 가짐과 동시에 케이싱(40)에 대하여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누워있는 환자의 이를 닦아주기 위해 양치질을 하는 수행자가 양치질과 함께 석션의 온/오프를 한손으로 동시에 조절할 수 있도록 손잡이(11)에 전원스위치(15)를 구비한다. 이렇게 전원스위치(15)를 구성하게 되면, 충분히 거품을 일어날 수 있도록 양치질을 한 후 필요한 때에 전원을 인가시켜 석션을 수행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사용상 편의를 위해 석션통(20)과 진공펌프(30)는 하나의 케이싱(40) 내에 장착될 수 있는데, 가능한 소형으로 제작되며 칫솔본체(10)에 연결된 오물흡 입관(22)은 석션통(20)에 구비된 니플(21)에 대하여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칫솔모(12)가 칫솔본체(10)의 말단부에서 10 ㎜ 내외로 떨어져 위치함으로서 말단부의 석션홀(13)을 이용하여 입안 구석을 손쉽게 석션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고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칫솔은 양치시 발생하는 오물이 포함된 치약 거품 및 타액을 양치하는 동안 손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석션이 가능하도록 고안되었으며, 특히 칫솔본체의 말단부에 위치한 석션홀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칫솔모를 위치시킴으로서 어금니 안쪽의 구석 부분까지 석션이 가능하여 환자에게 최적의 치아위생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치과위생사를 포함한 방문구강보건사업 종사자들이 효율적으로 누워있는 환자의 양치를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석션기능을 갖춘 칫솔의 구조를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Claims (5)

  1. 일단에는 석션홀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오물흡입관이 연결되도록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일직선으로 관통 형성되는 석션관과, 상기 일단의 측면에는 상기 석션관과 직각방향으로 상기 석션관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칫솔모를 구비하는 칫솔본체;
    양치시 발생하는 오물을 상기 석션홀을 통해 흡입하여 저장하도록 상기 오물흡입관에 연결되는 석션통; 및
    상기 석션통에 연결되어 상기 오물을 흡입할 수 있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진공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기능을 갖춘 칫솔.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본체에는 상기 진공펌프의 온/오프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기능을 갖춘 칫솔.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흡입관은 석션통에 구비된 니플에 대하여 착탈가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기능을 갖춘 칫솔.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석션통과 진공펌프는 하나의 케이싱 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션기능을 갖춘 칫솔.
KR2020090002789U 2009-03-11 2009-03-11 석션기능을 갖춘 칫솔 Expired - Lifetime KR2004557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789U KR200455755Y1 (ko) 2009-03-11 2009-03-11 석션기능을 갖춘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789U KR200455755Y1 (ko) 2009-03-11 2009-03-11 석션기능을 갖춘 칫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218U KR20100009218U (ko) 2010-09-24
KR200455755Y1 true KR200455755Y1 (ko) 2011-10-11

Family

ID=49294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2789U Expired - Lifetime KR200455755Y1 (ko) 2009-03-11 2009-03-11 석션기능을 갖춘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575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8594B1 (ko) * 2011-01-31 2013-03-28 박혜진 석션 기능을 갖는 칫솔
KR200473889Y1 (ko) * 2014-05-15 2014-08-14 윤창호 석션기능을 가지는 칫솔
CN104665243B (zh) * 2015-02-11 2017-07-14 林刚 医用口腔护理装置
CN106723912A (zh) * 2017-01-04 2017-05-31 青岛市第三人民医院 一种口腔护理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8338Y1 (ko) * 2003-10-10 2004-04-28 성신공업 주식회사 애완동물용 전동칫솔
JP2006102426A (ja) 2004-10-05 2006-04-20 Inoue Kenkyusho:Kk 口腔洗浄ブラシ
JP2006174857A (ja) 2004-12-20 2006-07-06 Lion Corp 歯ブラ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8338Y1 (ko) * 2003-10-10 2004-04-28 성신공업 주식회사 애완동물용 전동칫솔
JP2006102426A (ja) 2004-10-05 2006-04-20 Inoue Kenkyusho:Kk 口腔洗浄ブラシ
JP2006174857A (ja) 2004-12-20 2006-07-06 Lion Corp 歯ブラ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218U (ko) 2010-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36195B2 (en) Hands free oral hygiene system
US4538631A (en) Oral hygiene instrument
US8668397B2 (en) Portable toothbrush for delivering and removing fluid
US10478273B2 (en) Dental device for automatically cleaning a person's oral cavity
JP3871666B2 (ja) 歯科用器具及び歯科用器具の製造方法
US20090226241A1 (en) Ultrasonic Toothbrush With Irrigation and Vacuum
EP0958787B1 (en) Tongue cleaning device
JP2015513355A (ja) 制御された吸引と洗浄機能を備えた電動歯ブラシ
KR200455755Y1 (ko) 석션기능을 갖춘 칫솔
CN210056309U (zh) 咬合式牙刷头及电动牙刷
JP2004135935A (ja) 口腔洗浄用ブラシ
US9681932B2 (en) Intraoral biofilm control apparatus
CN104824966A (zh) 一种多功能口腔护理工具的反冲板
CN104783487A (zh) 一种用于口腔卫生监测的牙刷装置
CN106236304B (zh) 滚轮竖刷型压力传感式电动牙刷
KR20150057082A (ko) 구강형 전동칫솔
Sumi et al. Developing an instrument to support oral care in the elderly
CN113116577B (zh) 一种可替换模块化清洁和治疗平台
CN204599722U (zh) 一种用于口腔卫生监测的牙刷装置
KR200480400Y1 (ko) 치간칫솔이 구비된 양치 카운트 칫솔
KR200398526Y1 (ko) 스케일러가 부설된 치간칫솔
CN212118332U (zh) 老年人医用牙刷
CN221963794U (zh) 一种牙齿清洗设备的固定装置
CN216754688U (zh) 一种电动牙刷
US20240090656A1 (en) Toothbrush with syringe technology system for fluid dispensing and s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90311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1022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72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UN2301 Change of applicant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UN23011R01D

Patent event date: 20110826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92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1092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6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9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