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5581Y1 - Beverage Capsule Receptor - Google Patents
Beverage Capsule Recep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55581Y1 KR200455581Y1 KR2020110002468U KR20110002468U KR200455581Y1 KR 200455581 Y1 KR200455581 Y1 KR 200455581Y1 KR 2020110002468 U KR2020110002468 U KR 2020110002468U KR 20110002468 U KR20110002468 U KR 20110002468U KR 200455581 Y1 KR200455581 Y1 KR 20045558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psule
- beverage
- main housing
- coffee
- contain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7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3353 coffee beverage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2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22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14 espress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373 ind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57—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 A47J31/0668—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cartridg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7—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with ingredient-containing cartridges; Cartridge-perforat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커피 캡슐을 수용하여 음료 메이커인 커피 메이커에 밀어 넣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커피 음료를 만들 수 있는 음료캡슐 수용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음료캡슐 수용체는 커피 캡슐을 수용하며, 사용자가 음료캡슐 수용체를 커피 메이커의 투입구에 밀어 넣는 동작만으로 간단하게 커피 메이커의 물 분사구와 수밀 유지 가능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음료캡슐 수용체는 사용자가 음료를 제조한 이후에 음료 캡슐(예: 커피 캡슐)을 별다른 노력없이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도록 수용체 내에 홀더부의 구성요소를 구비하여 커피 캡슐을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점에 특징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capsule container that can make a coffee beverage by a simple operation of receiving a coffee capsule and pushing it into a coffee maker, which is a beverage maker. The beverage capsul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mmodates the coffee capsule, and the user can simply keep the water jet port of the coffee maker and watertightly by simply pushing the beverage capsule container into the inlet of the coffee maker. In particular, the beverage capsul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omponent of the holder part in the container so that the user can easily detach the beverage capsule (for example, coffee capsule) after making a beverage without any effort, and easily separate the coffee capsule. There is a feature in that it can be made.
Description
본 고안은 커피 캡슐을 수용하여 음료 메이커인 커피 메이커에 밀어 넣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커피 음료를 만들 수 있는 음료캡슐 수용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음료캡슐 수용체는 커피 캡슐을 수용하며, 사용자가 음료캡슐 수용체를 커피 메이커의 투입구에 밀어 넣는 동작만으로 간단하게 커피 메이커의 물 분사구와 수밀 유지 가능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capsule container that can make a coffee beverage by a simple operation of receiving a coffee capsule and pushing it into a coffee maker, which is a beverage maker. The beverage capsul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mmodates the coffee capsule, and the user can simply keep the water jet port of the coffee maker and watertightly by simply pushing the beverage capsule container into the inlet of the coffee maker.
특히, 본 고안에 따른 음료캡슐 수용체는 사용자가 음료를 제조한 이후에 음료 캡슐(예: 커피 캡슐)을 별다른 노력없이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도록 수용체 내에 홀더부의 구성요소를 구비하여 커피 캡슐을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점에 특징이 있다.In particular, the beverage capsul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omponent of the holder part in the container so that the user can easily detach the beverage capsule (for example, coffee capsule) after making a beverage without any effort, and easily separate the coffee capsule. There is a feature in that it can be made.
결국, 본 고안은 음료 메이커인 커피 메이커 등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음료 캡슐을 수용하고 탈거를 보조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조작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음료캡슐 수용체의 구조에 관한 기술이다.
After all,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for use in a coffee maker, such as a beverage maker is a technology related to the structure of the beverage capsule container that can provide a user convenience by accommodating beverage capsules and assisting removal.
최근 들어 에스프레소 커피 메이커가 급속도로 보급되고 있다. 현재 유행하고 있는 캡슐 타입의 커피 메이커를 살펴보면, 파우더(예; 커피 분말)가 담겨 밀봉된 캡슐에 뜨거운 물을 분사한 후 그 우려낸 음료를 하단에서 모아서 받아내는 구조이다. 이러한 음료 메이커의 분사부에서는 캡슐에 담긴 커피 파우더로부터 커피를 효율적으로 우려내기 위해 고온고압의 물을 분사한다.In recent years, espresso coffee makers are rapidly spreading. If you look at the capsule-type coffee maker that is currently in vogue, it is a structure that sprays hot water on a sealed capsule containing powder (for example, coffee powder), and collects the concerned drink from the bottom. In the spraying unit of such a beverage maker,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water is sprayed to efficiently brew coffee from the coffee powder contained in the capsule.
일반적으로 커피 메이커는 커피와 물을 적당히 믹싱하여 일정 농도의 음용커피를 제조하게 된다. 금속 또는 종이 필터에 원하는 양의 커피 분말을 커피용기로부터 떠내어 수동으로 부가한 후, 고온의 물을 분사하여 만드는 음용커피의 제조형태를 보면, 고온의 물에 커피 분말이 녹으면서 입자가 큰 것은 필터에 의해 걸러지고 입자가 미세하게 녹은 커피가 필터를 통해 하방으로 낙하되어 아래에 배치된 컵에 커피가 적재되는 구조를 갖는다.Generally, coffee makers mix coffee and water appropriately to prepare drinking coffee of a certain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drinking coffee made by removing the coffee powder of a desired amount from the coffee container and manually adding it to the metal or paper filter, and then spraying the hot water, The coffee filtered by the filter and the finely melted coffee falls down through the filter, and the coffee is loaded into the cup disposed below.
이러한 방식에서는 커피 용기가 일단 개봉되면 커피 고유의 향을 오래도록 보존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어왔다.In this way, there is a problem that once the coffee container is opened, it is difficult to preserve the inherent aroma of coffee for a long time.
그에 따라,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커피 향을 오랫동안 보존하며 사용의 편리함도 도모할 수 있도록 금속 또는 종이 필터 대신 커피를 전용으로 담아 밀봉하는 형태의 일회용 커피 캡슐을 커피 메이커에 장착하여 이 커피 캡슐에 들어있는 커피 파우더로부터 커피를 우려내는 방식이 제안되었다.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o preserve the aroma of coffee for a long time, and to facilitate the use, the coffee maker is equipped with a disposable coffee capsule in the form of a sealed container containing coffee instead of a metal or paper filter. A method of brewing coffee from coffee powders has been proposed.
그러나 이 경우에는 커피 캡슐에 커피 분말을 밀봉된 상태로 보존할 수 있기 때문에 커피 고유의 향에 대한 보존성은 유지될 수 있지만, 커피 캡슐을 수용한 리셉터클을 커피 메이커에 장착하는 구조가 조악하여 리셉터클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제기된다. 즉, 사용자는 커피 메이커의 분사구 인접부위에 리셉터클을 끼운 후 돌려 고정하는 방법을 채택하는데, 이렇게 사용자가 리셉터클을 수작업으로 돌려 분사부에 고정시키는 반복 동작으로 인해 리셉터클과 커피 메이커의 분사부가 고정된 상태에서도 수밀 유지가 제대로 되지 않아 리셉터클로서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된다.In this case, however, the coffee powder can be stored in a sealed state, so that the inherent aroma of the coffee can be maintained. However, the structure of mounting the receptacle containing the coffee capsule to the coffee maker is coarse, so that The problem of inferior durability is raised. That is, the user adopts a method of inserting the receptacle in the vicinity of the injection port of the coffee maker and then rotating the receptacle.This is because the user repeatedly rotates the receptacle by hand to fix the injection part. Even though the watertightness is not maintained properly, it does not function as a receptacle.
또한 기존의 리셉터클은 고온고압의 물이 분사되는 커피 메이커에서 사용을 마친 후, 리셉터클에 수용된 커피 캡슐을 이탈시키기가 용이하지 않는 치명적인 단점도 있다. 커피 캡슐은 일반적으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기에 고온고압의 물이 인가되면 합성수지가 팽창되어 리셉터클에 밀착되기 때문이다. 커피 제조를 마친 이후에는 커피 캡슐과 리셉터클이 모두 뜨거워진 상태이므로 사용자가 캡슐을 이탈하기가 매우 곤란하였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receptacle has a fatal disadvantage that it is not easy to remove the coffee capsule contained in the receptacle after use in a coffee maker is spraying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water. Coffee capsules are generally made of a synthetic resin because when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water is applied, the synthetic resin expands and adheres to the receptacle. After the coffee is finished, it is very difficult for the user to leave the capsule because both the coffee capsule and the receptacle is hot.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가의 대형 커피 메이커에 캡슐을 상시 다량 내장한 후, 필요에 따라 커피 음료를 만들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는 보통 사업장에서 고가의 대형 커피 메이커를 제공하는 경우로서 일반 소비자가 사용하기에는 너무 고가라는 단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large amount of capsules are always built in an expensive large coffee maker, and then a coffee beverage is made as needed. In such a case, a business usually provides an expensive large coffee maker and is not suitable for use by ordinary consumers. It is too expensive.
상기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기 위하여 커피 파우더가 담긴 캡슐을 수용한 후 음료 메이커인 커피 메이커의 투입구 밀어 넣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커피 캡슐과 분사부 간의 수밀성을 달성하여 커피 음료를 양호하게 생성하도록 함과 동시에, 특히 음료 제조에 사용된 음료캡슐을 간편하게 이탈시킬 수 있도록 해주는 음료캡슐 수용체의 구현이 요구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all the above problems, by accommodating the capsule containing the coffee powder and then simply pushing the inlet of the beverage maker coffee maker to achieve a watertightness between the coffee capsule and the injection unit to produce a good coffee drink, In particular, there is a need for the implementation of a beverage capsule receptor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beverage capsule used in the beverage production.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커피 파우더가 담긴 음료캡슐을 수용한 후 음료 메이커의 투입구로 밀어 넣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수밀성을 보장하여 커피 음료를 양호하게 생성할 수 있는 음료캡슐 수용체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sure a watertightness with a simple operation of receiving a beverage capsule containing coffee powder and then pushing it into the inlet of a beverage maker to produce a good coffee beverage. To provide a beverage capsule receptor.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음료 제조에 사용된 음료 캡슐을 간편하게 이탈시킬 수 있는 음료캡슐 수용체를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everage capsule receptor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beverage capsule used in the beverage produc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음료 메이커에 사용하기 위한 캡슐을 수용하고 음료 제조 후에는 캡슐을 용이하게 탈거하기 위한 음료캡슐 수용체로서, 캡슐(C)이 안착되는 수용부(21)가 형성되고, 수용부(21)로부터 하방으로 관통하는 토출공(20a)이 형성되어 캡슐(C)을 통해 걸러진 음료를 하방으로 토출시키는 메인하우징(20); 수용부(21)에 대응하도록 홀딩공(31a)이 구비된 라운드부(31)가 형성되고, 홀딩공(31a)에 캡슐(C)이 끼워질 때 캡슐(C)의 상부 테두리가 라운드부(31)에 걸쳐진 상태로 메인하우징(20)의 상부로부터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메인하우징(20)으로부터 이격될 때 라운드부(31)가 캡슐(C)의 상부를 홀딩함으로써 메인하우징(20)으로부터 캡슐(C)이 이탈되도록 보조하는 홀더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beverage capsule container for accommodating a capsule for use in a beverage maker and easy to remove the capsule after production of the beverage, the
본 고안에 따른 음료캡슐 수용체에서, 홀더부(30)와 메인하우징(20)이 서로 이동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홀더부(30)는, 라운드부(31)로부터 연장되는 일측에 형성된 몸체부(32)와, 몸체부(32)의 양단부에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그립부(33)와, 메인하우징(2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그립부(33)의 내측벽에 돌출 형성된 클램퍼(33a)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메인하우징(20)은, 그립부(33)에 대응하도록 하우징 측벽에 형성된 절개홈(24)과, 클램퍼(33a)와 대응하는 위치에 클램퍼(33a)가 끼워진 상태에서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상하 장방으로 절개홈(24) 측벽에 형성된 통공(24a)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the beverage capsul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고안에 따른 음료캡슐 수용체에서 수용부(21)의 내주벽에는 수용부(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돌출리브(21b)가 형성되어 캡슐(C)과 수용부(21)의 내주벽이 일정거리 이격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캡슐(C)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메인하우징(30)에 장착되어 캡슐(C)의 하면을 천공하는 천공 플레이트(10)를 더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e beverage capsul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protruding
본 고안에 따른 음료캡슐 수용체에서, 메인하우징(20)은 음료 메이커에 대해 고정될 수 있도록 메인하우징(20)의 전단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고정돌기(22)와 상방으로 돌출된 가이드(2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홀더부(30)의 몸체부(32) 하방으로는 가이드봉(34)이 복수 개 돌출 형성되며, 가이드봉(34)에 대응하는 위치의 메인하우징(20)에는 가이드봉(34)을 수용하여 맞물리는 가이드결합부(25)가 돌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beverage capsul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음료캡슐 수용체에서, 홀더부(30)와 메인하우징(20)의 사이에 수용부(21)를 따라 배치된 탄성체로 이루어진 오링(O-RING);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n the beverage capsul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ring made of an elastic body disposed along the
본 고안에 따른 음료캡슐 수용체는,Beverage capsule recep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첫째, 커피 파우더가 담긴 캡슐을 수용한 후 음료 메이커의 투입구에 밀어 넣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커피 음료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First, the coffee beverage can be produced by a simple operation of accommodating the capsule containing the coffee powder and then pushing it into the inlet of the beverage maker.
둘째, 사용된 음료 캡슐을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조작의 편의성을 제공한다는 유용한 장점이 있다.Second, there is a useful advantage that provides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that can easily separate the used beverage capsule.
셋째, 기존의 리셉터클과 같이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커피 메이커의 물 분사부와 리셉터클이 수밀유지되도록 돌려 끼우는 동작이 필요치 않아 사용자의 바람직하지 않는 기구 사용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커피 메이커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Third, like a conventional receptacle, the user does not need to manually insert the water jetting portion and the receptacle to be watertightly maintained, so that the durability of the coffee maker, which may arise from undesired use of the apparatus, can be prevented. .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음료캡슐 수용체를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음료캡슐 수용체를 다른 방향에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음료캡슐 수용체를 아래쪽에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음료캡슐 수용체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음료캡슐 수용체를 다른 방향에서 나타낸 도면.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verage capsule recep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beverage capsule recep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another direction.
3 is a view showing the beverage capsule recep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bottom.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verage capsule recep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e beverage capsule recep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another direc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음료캡슐 수용체를 여러 방향에서 도시한 결합사시도이고, [도 4]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음료캡슐 수용체를 여러 방향에서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1 to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verage capsule recep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several directions, Figure 4 and Figure 5 is a beverage capsule recep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several directions Separate perspective view.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음료캡슐 수용체는 파우더가 담긴 캡슐에 물을 분사하여 걸러진 음료를 생성하는 음료 메이커(미도시)에 캡슐을 수용한 채로 음료 메이커에 출입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음료캡슐 수용체(1)에 관한 것이다. As shown in Fig. 1 to Fig. 5, the beverage capsule recep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everage maker while receiving the capsule in a beverage maker (not shown) to produce a filtered beverage by spraying water on the capsule containing the powder It relates to a beverage capsule receptor (1) that is fitted to fit in and out.
본 고안에 따른 음료캡슐 수용체의 구성을 살펴보면 메인하우징(20)과 홀더부(30)로 이루어져 있으며, 추가로 천공플레이트(10)를 구비한다. 먼저, 천공 플레이트(10)는 캡슐(C)의 하면에 밀착되게 위치하여 음료를 제조할 때 캡슐(C)의 하면을 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메인하우징(20)은 천공 플레이트(10)와 캡슐(C)이 순차적으로 안착되는 수용부(21)가 형성되고, 수용부(21)로부터 하방으로 관통하는 토출공(20a)이 형성되어 캡슐(C)을 통해 걸러진 음료를 하방으로 토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beverage capsul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the
또한, 홀더부(30)는 수용부(21)에 대응하여 홀딩공(31a)이 구비된 라운드부(31)가 형성되고 홀딩공(31a)에 캡슐(C)이 끼워져 캡슐(C)의 상부 테두리가 라운드부(31) 걸쳐진 상태로 메인하우징(20)의 상부로부터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메인하우징(20)으로부터 캡슐(C)을 분리하는 경우 캡슐(C)의 상부를 홀딩하여 메인하우징(20)으로부터 캡슐(C)을 이탈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홀더부(30)가 본 고안의 핵심 구성에 해당한다.In addition, the
본 고안의 음료캡슐 수용체(1)가 사용되는 음료 메이커는 별달리 제한하지 않는다. 다만 설명의 편이를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는 커피 메이커와 커피 캡슐로 가정하여 설명을 진행한다.The beverage maker in which the
커피 메이커는 외부로부터 고온의 물을 공급받아 커피 메이커에 수밀 유지 가능하게 끼워진 음료캡슐 수용체(1)에 고온 고압의 상태로 분사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수용체(1)에 담긴 커피 캡슐(C)의 내부에는 고온 고압의 물이 채워지고, 커피 캡슐(C) 내부의 커피 파우더로부터 걸러진 커피 음료가 음료캡슐 수용체(1)의 하방으로 낙하되어 음료캡슐 수용체(1)의 하부에 배치된 용기(미도시)에 담기게 된다. (커피 메이커의 분사부로부터 분사되는 고온 고압의 물이 커피 캡슐의 상부를 뚫고 주입되는 구체적인 과정은 본 고안의 요지와는 별다른 관련이 없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coffee maker receives hot water from the outside and sprays the
음료캡슐 수용체(1)는 바람직하게 커피 메이커의 측부에 형성된 투입구(미도시)로 사용자가 밀어넣는다. 투입구 내에서는 음료캡슐 수용체(1)는 커피 메이커의 내부로 슬라이드 되어 일정 거리 이동하면 커피 메이커의 분사부에 대응하는 위치로 정렬된다.The
커피 메이커의 내부에서 일정거리 이동된 음료캡슐 수용체는 커피 메이커의 기설정된 자동 조작으로 상방 또는 하방을 향해 일정거리 움직여 커피 메이커의 분사부와 수밀 유지 가능하게 밀착된다. 예를 들어, 커피 메이커의 투입구 근방에 레버가 마련되어 있어, 사용자가 레버를 위 아래로 조작하면 그에 따라 커피 메이커 내부에서 음료캡슐 수용체(1)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일정거리 이동하여 커피 메이커의 분사부와 밀착되는 것이다.The beverage capsule container, which is moved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inside of the coffee maker, moves in a predetermined distance upward or downward by a predetermined automatic operation of the coffee maker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praying part of the coffee maker so that the watertightness can be maintained. For example, the lever is provided near the inlet of the coffee maker, and when the user operates the lever up and down, the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음료캡슐 수용체(1)가 커피 메이커의 분사부와 밀착되면, 커피 메이커의 분사부로부터 고온 고압의 물이 분사되기 위한 준비과정이 종료된다. 이어서, 커피 메이커의 분사부로부터 물이 분사되어 음료캡슐 수용체(1)에 담겨있는 커피 캡슐(C)의 내부로 뜨거운 물이 주입된다.When the
커피 캡슐(C)로 주입된 물은 캡슐(C)에 담겨 있던 커피 파우더와 적절히 섞이게 된다.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커피가 뽑아진 이후, 커피 음료가 음료캡슐 수용체(1)의 하방으로 토출된다. 커피 캡슐(C)로부터 커피 음료가 토출되는 과정은 천공 플레이트(10)와 함께 후술한다.The water injected into the coffee capsule (C) is properly mixed with the coffee powder contained in the capsule (C). After the coffee is extracted after a certain time has elapsed, the coffee beverage is discharged below the
천공 플레이트(10)는 상방으로 일정한 천공침(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으며, 음료캡슐 수용체(1)와 커피 메이커의 분사부가 밀착되는 과정에서 천공침은 커피 캡슐(C)의 하면을 천공하게 된다. 커피 캡슐(C)의 천공된 부분으로 커피 음료가 토출되게 되며, 커피 음료는 천공 플레이트(10)에 형성된 토출공(미도시)를 경유하고 다시 메인하우징(20)에 형성된 토출공(20a)을 경유하여 음료캡슐 수용체(1)의 하방으로 낙하하게 된다.
The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메인하우징(20)에는 천공 플레이트(10)가 고정되고 그 위에 캡슐(C)이 안착되는 수용부(21)가 형성되고, 수용부(21)로부터 하방으로 관통하는 토출공(20a)이 형성되어 있다. 음료 제조시에 캡슐(C)을 통해 걸러진 음료가 하방으로 토출된다.
1 to 5, the
[도 4]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료캡슐 수용체(1)의 홀더부(30)에는 수용부(21)에 대응하여 홀딩공(31a)이 구비된 라운드부(31)가 형성된다. 사용자가 캡슐(C)을 음료캡슐 수용체(1)로 투입하면 캡슐(C)은 홀더부(30)에 형성된 홀딩공(31a)에 끼워져서 메인하우징(20)으로 수용된다. 캡슐(C)의 상부 테두리는 홀더부(30)의 라운드부(31)에 걸쳐진 상태로 유지되며, 그 상태로 메인하우징(20)의 상부로부터 결합된다. 이때, 사용자가 메인하우징(20)으로부터 캡슐(C)을 이탈시키려는 경우에는 손으로 캡슐(C)의 상부를 집어들거나 바람직하게는 홀더부(30)를 들어올리면 된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본 고안은 메인하우징(20)에 홀더부(30)를 결합시켜 음료캡슐 수용체(1)를 구성한 것에 핵심적인 특징이 있다. 이를 통해, 커피 제조를 마친 이후에 사용자가 커피캡슐(C)을 만질 필요 없이 홀더부(30)를 조작함으로써 커피 캡슐(C)을 메인하우징(20)으로부터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되었다. 홀더부(30)를 조작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a key feature in configuring the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메인하우징(20)을 커피 메이커에 끼워 넣은 상태에서, 메인하우징(20)이 커피 메이커에 대해 강하게 고정되도록 메인하우징(20)의 전단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고정돌기(22)와 상방으로 돌출된 가이드(23)가 형성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inserts the
이때, 고정돌기(22)는 음료캡슐 수용체(1)가 커피 메이커의 투입구를 통해 슬라이드 되어 끼워진 상태에서 커피 메이커의 분사부로부터 고온 고압의 물이 분사되는 경우 음료캡슐 수용체(1)가 흔들리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fixing
가이드(23)는 음료캡슐 수용체(1)가 커피 메이커의 투입구를 통해 슬라이드 되는 방향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커피 메이커의 분사부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슬라이드 된 후에는 고정돌기(22)와 연동하여 커피 메이커의 분사부로부터 고온 고압의 물이 분사되는 경우 음료캡슐 수용체(1)가 흔들리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e
[도 2]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하우징(20)의 수용부(21) 외주면에는 수용부(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이격리브(21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이격리브(21a)는 수용부(21)와 메인하우징(20)을 잇는 브릿지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and FIG. 3,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spaced
커피 메이커의 분사부로부터 장시간 반복적으로 고온 고압의 물이 분사되는 경우 커피 캡슐(C)을 수용한 수용부(21)에도 열이 전도되어 음료캡슐 수용체(1) 전체로 열이 전도될 수 있다. 브릿지 형태로 된 이격리브(21a)를 구비함에 따라 수용부(21)로부터 메인하우징(20)의 몸체로 전도되는 열을 일정부분 차단하여 음료캡슐 수용체(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When water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is repeatedly injected from the spraying part of the coffee maker, heat may be conducted to the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부(21)의 내주벽에는 수용부(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돌출리브(21b)가 일정하게 형성되어 캡슐(C)을 사용한 후에도 수용부(21)에 삽입된 캡슐(C)과 수용부(21)의 내주벽이 여전히 일정거리 이격 배치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4, a plurality of protruding
커피 메이커의 분사부로부터 장시간 반복적으로 고온 고압의 물이 분사되는 경우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커피 캡슐(C)은 보통 일정부분 팽창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수용부(21)로부터 사용된 커피 캡슐(C)을 분리시키는 경우 수용부(21)의 내벽에 밀착되어 그 분리가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When water of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is repeatedly injected from the spraying part of the coffee maker, the coffee capsule (C) made of a synthetic resin is usually expanded to a certain degree. In this case, the coffee capsule (C) used from the receiving part (21) is expanded. When the separa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receiving
이처럼 수용부(21)의 내주벽에 돌출리브(21b)를 형성함에 따라 일정부분 외향하여 팽창된 커피 캡슐(C)을 간편하게 메인하우징(20)의 수용부(21)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As the
[도 4]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하우징(20)에 대해 홀더부(30)를 끼움 결합시킬 수 있도록 홀더부(30)에는 라운드부(31)로부터 연장되는 일측에 몸체부(32)가 형성되고, 이 몸체부(32)의 양단부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그립부(33)가 형성되며, 이 그립부(33)의 내측벽에는 메인하우징(2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램퍼(33a)가 돌출 형성된다.4 and 5, the body portion on one side extending from the
한편, 메인하우징(20)에는 그립부(33)에 대응하는 위치에 절개홈(24)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홀더부(30)를 메인하우징(20)에 조립하였을 때 그립부(33)가 절개홈(24)에 정합되어 들어간다. 절개홈(24)의 측벽에는 통공(24a)이 상하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홀더부(30)를 메인하우징(20)에 조립하였을 때 클램퍼(33a)가 통공(24a)에 끼워진다. 통공(24a)이 상하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있기에 클램퍼(33a)는 통공(24a) 안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홀더부(30)는 메인하우징(20)으로부터 상하로 약간씩 이동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메인하우징(20)으로부터 홀더부(30)가 위쪽으로 이동하는 경우 홀더부(30)의 홀딩공(31a)에 안착된 커피 캡슐(C)도 홀더부(30)와 일체로 메인하우징(20)의 수용부(2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그 결과로 메인하우징(20)으로부터 커피 캡슐(C)은 이탈된다. When the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커피를 제조하면, 커피 캡슐(C)의 하면에 천공을 내기 위하여 천공 플레이트(10)가 커피 캡슐(C)의 바닥면에 꽂혀있다. 커피 제조를 위하여 고온의 물을 상부로부터 일정 시간동안 가압 주입하였기에, 커피 캡슐(C)의 하방 외주면은 천공 플레이트(10)와 수용부(21)에 밀착되어 사실상 떼어내기 어려운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커피 캡슐(C)을 직접 잡아당길 필요없이, 그립부(33)를 잡고 홀더부(30)를 위쪽으로 약간 들어올리는 조작만으로 커피 캡슐(C)을 메인하우징(20)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when the user prepares coffee, the
한편, 그립부(33)의 외측벽 테두리부(33b)는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가 그립부(33)를 조작할 때 사용자의 손가락이 그립부(33)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On the other hand, the outer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더부(30)의 라운드부(31) 상면 테두리부(31b)는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음료캡슐 수용체(1)가 커피 메이커의 분사부와 밀착되는 경우 라운드부(31)의 상면 테두리부(31b)가 상방으로 돌출됨으로써 효율적으로 수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 4, the
[도 2], [도 3],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더부(30)의 몸체부(32) 하방으로는 가이드봉(34)이 복수 개 돌출 형성된다. 이들 가이드봉(34)에 대응하는 위치의 메인하우징(20)에는 가이드봉(34)을 수용하여 맞물리는 가이드결합부(25)가 복수 개 돌출 형성된다.As shown in FIG. 2, FIG. 3, and FIG. 5, a plurality of
홀더부(30)의 그립부(33)가 메인하우징(20)의 절개홈(24)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경우에 이와 연동하여 홀더부(30)의 가이드봉(34)과 메인하우징(20)의 가이드결합부(25)가 연동하여 슬라이딩 이동한다.When the
홀더부(30)의 가이드봉(34)과 메인하우징(20)의 가이드결합부(25)가 슬라이드 동작으로 이동하는 경우, 특히 가이드봉(34)과 가이드결합부(25)가 일체로 결합됨에 따라 음료캡슐 수용체(1)가 커피 메이커의 투입구 내부로 슬라이드 되는 동작에서 홀더부(30)가 메인하우징(20)과 보다 견고하게 흔들림 없이 고정될 수 있게 된다.When the
한편, 도면에 나타나 있지는 않으나, 홀더부(30)와 메인하우징(20)의 사이에 수용부(21)를 따라 탄성체(예: 고무, 우레탄)로 이루어진 오링(O-RING)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 오링을 삽입함으로써 음료캡슐 수용체(1)를 커피 메이커에 넣어서 고정시킬 때 밀착성을 확실히 보장할 수 있고, 홀더부(30)를 조작하여 음료 캡슐(C)을 탈거할 때 좀더 부드러운 조작이 가능해진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it is preferable to arrange an O-ring made of an elastic body (eg, rubber or urethane) along the receiving
1 : 본 고안에 따른 음료캡슐 수용체
10 : 천공 플레이트 20 : 메인하우징
20a : 토출공 21 : 수용부
21a : 이격리브 21b : 돌출리브
22 : 고정돌기 23 : 가이드
24 : 절개홈 24a : 통공
25 : 가이드결합부 26 : 마감부
30 : 홀더부 31 : 라운드부
31a : 홀딩공 31b : 테두리부
32 : 몸체부 33 : 그립부
33a : 클램퍼 33b : 테두리부
34 : 가이드봉 C : 캡슐1: beverage capsule recep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perforated plate 20: main housing
20a: discharge hole 21: receiving portion
21a:
22: fixing protrusion 23: guide
24:
25: guide coupling portion 26: the finishing portion
30: holder portion 31: round portion
31a: holding
32: body 33: grip
33a:
34: guide rod C: capsule
Claims (7)
내측에 상기 캡슐(C)이 안착되는 수용부(21)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21)로부터 하방으로 관통하는 토출공(20a)이 형성되어 상기 캡슐(C)을 통해 걸러진 음료를 하방으로 토출시키는 메인하우징(20);
상기 수용부(21)에 대응하도록 홀딩공(31a)이 구비된 라운드부(31)가 형성되고, 상기 홀딩공(31a)에 상기 캡슐(C)이 끼워질 때 상기 캡슐(C)의 상부 테두리가 상기 라운드부(31)에 걸쳐진 상태로 상기 메인하우징(20)의 상부로부터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메인하우징(20)으로부터 이격될 때 상기 라운드부(31)가 상기 캡슐(C)의 상부를 홀딩함으로써 상기 메인하우징(20)으로부터 상기 캡슐(C)이 이탈되도록 보조하는 홀더부(3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홀더부(30)와 상기 메인하우징(20)이 서로 이동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홀더부(30)는, 상기 라운드부(31)로부터 연장되는 일측에 형성된 몸체부(32)와, 상기 몸체부(32)의 양단부에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그립부(33)와, 상기 메인하우징(2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그립부(33)의 내측벽에 형성된 클램퍼(33a)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메인하우징(20)은, 상기 그립부(33)에 대응하도록 하우징 측벽에 형성된 절개홈(24)과, 상기 클램퍼(33a)와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클램퍼(33a)가 끼워진 상태에서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상하 장방으로 상기 절개홈(24) 측벽에 형성된 통공(24a)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음료캡슐 수용체.As a beverage capsule receptor for accommodating capsules for use in beverage makers and for easy removal of the capsules after beverage preparation,
An accommodating part 21 in which the capsule C is seated is formed inside, and a discharge hole 20a penetrating downwardly from the accommodating part 21 is formed to filter the beverage filtered through the capsule C downward. A main housing 20 for discharging;
A round part 31 having a holding hole 31 a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receiving part 21, and the upper edge of the capsule C when the capsule C is fitted into the holding hole 31 a. Is movably coupled from the top of the main housing 20 in a state spanning the round part 31, and the round part 31 is an upper part of the capsule C when spaced apart from the main housing 20. A holder part 30 which assists the capsule C from the main housing 20 to be separated by holding the cap;
It is configured to include,
In order to fit the holder portion 30 and the main housing 20 to be movable to each other,
The holder part 30 includes a body part 32 formed at one side extending from the round part 31, a grip part 33 extending downwardly at both ends of the body part 32, and the main housing.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lamper (33a)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grip portion 33 to be movably coupled to 20,
The main housing 20 may move upward and downward in a state in which the cutting groove 24 formed in the side wall of the housing so as to correspond to the grip part 33 and the clamper 33a is fit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lamper 33a. Beverage capsule container comprising a through hole (24a) formed in the side wall of the incision groove 24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수용부(21)의 내주벽에는 수용부(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돌출리브(21b)가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21)에 삽입된 상기 캡슐(C)과 상기 수용부(21)의 내주벽이 일정거리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캡슐 수용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protruding ribs 21b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wall of the accommodating part 2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ccommodating part 21 to insert the capsule C into the accommodating part 21 and the accommodating part 21. Beverage capsul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circumferential wall of the predetermined distance spaced apart.
상기 캡슐(C)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메인하우징(30)에 장착되어 상기 캡슐(C)의 하면을 천공하는 천공 플레이트(1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음료캡슐 수용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A perforated plate (10) mounted to the main housing (30)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apsule (C) to drill the bottom surface of the capsule (C);
Beverage capsule receptor further comprises a.
상기 홀더부(30)와 상기 메인하우징(20)의 사이에 상기 수용부(21)를 따라 배치된 탄성체로 이루어진 오링(O-RING);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음료캡슐 수용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Beverage capsule container further comprises; O-ring made of an elastic body disposed along the receiving portion 21 between the holder portion 30 and the main housing 20.
상기 메인하우징(20)은 상기 음료 메이커에 대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하우징(20)의 전단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고정돌기(22)와 상방으로 돌출된 가이드(2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캡슐 수용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main housing 2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end of the main housing 20, the fixing projection 22 protrudes forward and the guide 23 protrudes upward so that the main housing 20 can be fixed to the beverage maker. Beverage capsule receptor.
상기 홀더부(30)의 몸체부(32) 하방으로는 가이드봉(34)이 복수 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봉(34)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메인하우징(20)에는 상기 가이드봉(34)을 수용하여 맞물리는 가이드결합부(25)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캡슐 수용체.The method of claim 6,
A plurality of guide rods 34 protrude downward from the body portion 32 of the holder portion 30, and the guide rods 34 are formed in the main housing 20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guide rods 34. Drink capsul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engaging portion 25 is formed to protrude.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2468U KR200455581Y1 (en) | 2011-03-24 | 2011-03-24 | Beverage Capsule Receptor |
CN201280025154.5A CN103547196A (en) | 2011-03-24 | 2012-02-17 | Insert module for a beverage capsule |
PCT/KR2012/001231 WO2012128477A2 (en) | 2011-03-24 | 2012-02-17 | Insert module for a beverage capsu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2468U KR200455581Y1 (en) | 2011-03-24 | 2011-03-24 | Beverage Capsule Recept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55581Y1 true KR200455581Y1 (en) | 2011-09-15 |
Family
ID=45089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10002468U Expired - Fee Related KR200455581Y1 (en) | 2011-03-24 | 2011-03-24 | Beverage Capsule Receptor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200455581Y1 (en) |
CN (1) | CN103547196A (en) |
WO (1) | WO2012128477A2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815789B (en) * | 2014-03-11 | 2016-08-03 | 宁波凯波集团有限公司 | Capsule beverage brewing apparatus |
FR3078531B1 (en) | 2018-03-05 | 2021-05-21 | Kuantom | APPARATUS FOR MAKING A BEVERAGE |
FR3078532B1 (en) * | 2018-03-05 | 2020-03-06 | Kuantom | APPARATUS FOR MAKING A BEVERAG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10048242A1 (en) * | 2008-02-05 | 2011-03-03 | Luigi Lavazza S.P.A. | Granular infusion cartridge loading and ejecting device and related beverage dispensing machine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202004021229U1 (en) * | 2004-11-19 | 2007-03-29 | Tchibo Gmbh | Coffee machine for brewing coffee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preparing different pressures for compressed water |
DE602007004187D1 (en) * | 2007-03-06 | 2010-02-25 | Nestec Sa | Device for producing a liquid food from a capsule |
PT2071986E (en) * | 2007-12-18 | 2012-04-13 | Nestec Sa | System for preparing a beverage from ingredients supported by an encoded insert |
CN201481108U (en) * | 2009-05-11 | 2010-05-26 | 杜伟 | Coffee capsule brewing device capable of replacing coffee capsule fixer |
CN201727359U (en) * | 2010-05-07 | 2011-02-02 | 漳州灿坤实业有限公司 | Extraction mechanism of coffee capsule |
KR200450676Y1 (en) * | 2010-06-22 | 2010-10-21 | 컨벡스코리아(주) | Receptacles for Coffee Capsules |
-
2011
- 2011-03-24 KR KR2020110002468U patent/KR200455581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
- 2012-02-17 WO PCT/KR2012/001231 patent/WO2012128477A2/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2-02-17 CN CN201280025154.5A patent/CN103547196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10048242A1 (en) * | 2008-02-05 | 2011-03-03 | Luigi Lavazza S.P.A. | Granular infusion cartridge loading and ejecting device and related beverage dispensing machin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2128477A3 (en) | 2012-11-15 |
CN103547196A (en) | 2014-01-29 |
WO2012128477A2 (en) | 2012-09-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864684B2 (en) | Single-serve refill pod | |
JP5043113B2 (en) | Capsules for leaching beverages | |
AU2010261809B2 (en) | Opening means for a capsule-based beverage preparation device | |
RU2428914C2 (en) | Pouring head for machine for making drinks with disposable capsules and machine comprising such pouring head | |
US8522669B1 (en) | Single cup pod holder | |
KR200450676Y1 (en) | Receptacles for Coffee Capsules | |
US20150056331A1 (en) | Brewing Cartridge | |
US20020078831A1 (en) | Cartridge and method for making fluid comestibles | |
KR101572956B1 (en) | Beverage maker for all cartridge | |
EA031158B1 (en) | Capsule, method and device for brewing a beverage | |
KR102259986B1 (en) | Capsule holder and apparatus of extracting beverage from capsule | |
CN105848535B (en) | Beverage machine | |
KR20150004390A (en) | A capsule holder for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 |
KR200455581Y1 (en) | Beverage Capsule Receptor | |
KR20240136953A (en) | beverage maker | |
EP3282902B1 (en) | Method for puncturing a beverage capsule prior to its insertion into a brewing machine | |
KR101448275B1 (en) | Beverage maker equipped with separator cartridge | |
CN110023208B (en) | Charging barrel | |
CN210330317U (en) | Brewing device and beverage machine | |
KR20170000350U (en) | Coffee Dripper with a Filter | |
KR101581930B1 (en) | Universal beverage maker | |
JP6726689B2 (en) | Beverage production system using capsules | |
KR20150106321A (en) | Beverage maker for extracting cartridges | |
JP5799428B2 (en) | Beverage extractor | |
CN210330319U (en) | Brewing device and beverage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10324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301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24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10607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1080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1090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10906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8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1608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