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54940Y1 - 농작업용 차량의 엔진 마운팅 구조 - Google Patents

농작업용 차량의 엔진 마운팅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4940Y1
KR200454940Y1 KR2020100002144U KR20100002144U KR200454940Y1 KR 200454940 Y1 KR200454940 Y1 KR 200454940Y1 KR 2020100002144 U KR2020100002144 U KR 2020100002144U KR 20100002144 U KR20100002144 U KR 20100002144U KR 200454940 Y1 KR200454940 Y1 KR 2004549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mounting bracket
mission
vehicle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21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민우
Original Assignee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021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9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9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94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프레임 내에 엔진 및 밋션이 탑재되는 농작업용 차량의 엔진마운팅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전방에 엔진이 결합되고, 전방과 후방이 각각 제1댐퍼부와 제2댐퍼부를 이용해 차프레임 측과 방진이 가능한 상태로 고정되는 베이스 마운팅 브라켓; 상기 엔진의 전방 하단과 결합되는 동시에 차 프레임 측과는 제3댐퍼부를 이용해 회동 및 방진이 가능한 상태로 축 결합되는 엔진전방 마운팅브라켓; 상기 베이스 마운팅브라켓 상에 밋션을 결합시키기 위한 밋션전방 마운팅브라켓; 및 상기 밋션의 후방 상단과 힌지결합부를 이용해 결합되고, 힌지결합부의 반대측이 차 프레임의 수직방향 프레임 상에 제4댐퍼부를 이용해 전후방향의 진동을 감쇠하도록 설치되는 밋션후방 마운팅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엔진의 상, 하 진동은 물론 엔진축을 중심으로 발생하는 회전방향의 진동을 저감시켜, 운전자의 승차감이 편안하게 개선되는 효과가 있고, 엔진과 밋션을 강체인 마운팅 브라켓으로 상호 연결시켜 고정함으로써, 동력전달의 정확성을 높이는 것과 함께 동력손실을 최소화하는 저진동 엔진 마운팅구조를 제공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농작업용 차량의 엔진 마운팅 구조{ENGINE MOUNT STRUCTURE OF VEHICLE}
본 고안은 농작업용 차량의 엔진 마운팅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의 상, 하 진동은 물론 엔진축을 중심으로 발생하는 회전방향의 진동을 저감할 수 있도록 된 농작업용 차량의 엔진 마운팅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운전 중에 엔진의 피스톤과 커넥팅로드의 상하운동에 의한 중심위치의 주기적 변화, 실린더 축방향으로 생기는 왕복운동의 관성력, 커넥팅로드가 크랭크축의 좌우로 흔들리는 것에 의한 관성력 등의 이유에 의해 항상 진동이 발생된다.
그런데, 엔진은 섀시프레임 또는 보디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이들을 매개로 엔진의 진동과 소음이 실내로 전달되어 승차감을 떨어뜨리고 차내 정숙성 또한 저하시키게 된다.
따라서, 엔진을 장착할 때는 반드시 엔진과 엔진장착부의 사이에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방진구조를 적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농작업용 차량의 엔진 마운팅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프론트 사이드멤버(20)에 "ㄷ"자형 단면(평단면)을 가진 섀시브라켓(30')이 장착되고, 이 섀시브라켓(30')에 원통형 부시(40')가 장착되되, 이 부시(40')를 둘러싼 엔진브라켓(41')이 엔진(10)에 고정됨으로써 엔진(10)이 장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부시(40')에는 고무가 내장되어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을 관통하는 부시파이프(31)와 볼트(32)에 의해 섀시브라켓(30')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섀시브라켓(30')은 프론트 사이드멤버(20)에 연결되는 휠하우징패널 및 휀더에이프런 인너패널에 용접되고, 측면에 보강판(33)이 구비되며, 서포트(34)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필요한 장착 강성을 확보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장착된 엔진(10)의 진동 및 충격은 상기 부시(40')내 고무의 압축, 인장, 비틀림 등의 작용에 의해 흡수됨으로써 차 실내로의 전달량이 감소되며, 아울러 소음의 절연작용도 이루어진다.
한편, 농작업용 차량이 고급화될수록 소비자들은 실내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소음에 대단히 민감하게 반응하게 되므로 승차감과 실내정숙성은 더욱 큰 상품성 재고의 요인이 되며, 따라서 상기 종래의 구조보다 더욱 진동과 소음 저감성능이 우수한 엔진 마운팅 구조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상기 부시(40')는 내장된 고무의 탄성에 의해 진동 및 소음을 흡수하고 있는바, 그 재질 및 구조상 더 이상의 성능향상은 기대하기 어렵고, 이 원통형 부시(40')를 적용할 때 사용하는 상기 "ㄷ"자형 섀시브라켓(30')을 장착하는데는 부시 파이프(31)나 보강판(33)과 같은 별도의 부재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엔진의 진동이 차체로 전달되는 경로의 시작부분, 즉 엔진진동 입력부의 강성은 진동의 전달 정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 상기 섀시브라켓(30')은 내부가 비어 있는 관형의 부품인 프론트 사이드멤버(20)의 상판에만 단순 장착되어 있음으로써 엔진진동 입력부의 강성이 취약하여 진동 및 소음의 절연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엔진의 상, 하 진동은 물론 엔진축을 중심으로 발생하는 회전방향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것과 엔진과 밋션을 강체인 마운팅 브라켓으로 상호 연결시켜 고정함으로써, 동력전달의 정확성을 높이는 것과 동력손실을 최소화하는 농작업용 차량의 엔진 마운팅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차프레임 내에 엔진 및 밋션이 탑재되는 농작업용 차량의 엔진마운팅구조에 있어서, 전방에 엔진이 결합되고, 전방과 후방이 각각 제1댐퍼부와 제2댐퍼부를 이용해 차프레임 측과 방진이 가능한 상태로 고정되는 베이스 마운팅 브라켓; 상기 엔진의 전방 하단과 결합되는 동시에 차 프레임 측과는 제3댐퍼부를 이용해 회동 및 방진이 가능한 상태로 축 결합되는 엔진전방 마운팅브라켓; 상기 베이스 마운팅브라켓 상에 밋션을 결합시키기 위한 밋션전방 마운팅브라켓; 및 상기 밋션의 후방 상단과 힌지결합부를 이용해 결합되고, 힌지결합부의 반대측이 차 프레임의 수직방향 프레임 상에 제4댐퍼부를 이용해 전후방향의 진동을 감쇠하도록 설치되는 밋션후방 마운팅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용 차량의 엔진마운팅구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마운팅브라켓은 중공부를 사이에 두고 양 갈래로 나누어진 바닥지지부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바닥지지부의 일측에는 상부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측면지지부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바닥지지부의 양 갈래 끝단에 제1댐퍼부가 차 프레임 측과 회동 및 방진 가능한 상태로 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댐퍼부는 베이스 마운팅브라켓의 바닥지지부 양 갈래 끝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제1축관과, 상기 제1축관 내에 삽입되는 제1탄성부재와, 상기 제1탄성부재의 중심을 관통시켜 양단이 차 프레임 측과 힌지 결합되는 제1축결합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댐퍼부는 베이스 마운팅브라켓과 차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제2탄성부재와, 상기 베이스 마운팅브라켓, 제2탄성부재, 차 프레임을 수직방향으로 동시에 축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하는 제2축결합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엔진전방 마운팅브라켓은 제3댐퍼부를 형성하는 반대측에 엔진과 결합되기 위한 엔진결합측벽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댐퍼부는 엔진결합측벽에 일체로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제3축관과, 상기 제3축관 내에 삽입되는 제3탄성부재와, 상기 제3탄성부재의 중심을 관통시켜 양단이 차 프레임 측과 힌지 결합되도록 하는 제3축결합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밋션전방 마운팅 브라켓은 베이스 마운팅브라켓 상에 결합되는 제1지지면과, 상기 제1지지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밋션의 전방을 결합하도록 된 제2지지면과, 상기 제2지지면의 일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밋션의 측방을 결합하도록 된 제3지지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4댐퍼부는 밋션후방 마운팅브라켓과 차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제4탄성부재와, 상기 밋션후방 마운팅브라켓, 제4탄성부재, 차 프레임을 수평방향으로 동시에 축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하는 제4축결합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은 엔진 및 밋션을 차 프레임에 직접 조립하지 않고, 댐퍼부를 갖는 다수의 마운팅 브라켓을 이용해 최소의 결합지점으로 마운팅함으로써, 엔진의 상, 하 진동은 물론 엔진축을 중심으로 발생하는 회전방향의 진동을 저감시켜, 운전자의 승차감이 편안하게 개선되는 효과가 있고, 엔진과 밋션을 강체인 마운팅 브라켓으로 상호 연결시켜 고정함으로써, 동력전달의 정확성을 높이는 것과 함께 동력손실을 최소화하는 저진동 엔진 마운팅구조를 제공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도 2는 종래 농작업용 차량의 엔진 마운팅구조를 도시한 요부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농작업용 차량의 엔진 마운팅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마운팅 브라켓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1, 제3댐퍼부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제2, 제4댐퍼부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농작업용 차량의 엔진 마운팅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대략 사각 틀 형태를 갖추고 있는 차프레임(110) 내에 엔진(120) 및 밋션(130)이 탑재된다.
이때, 상기 엔진(120) 및 밋션(130)은 차 프레임(110)에 직접 결합되지 않고 다수의 마운팅 브라켓의 조합으로 연결시켜 거치되도록 하고 있다.
이때, 다수의 마운팅 브라켓은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베이스 마운팅브라켓(210), 엔진전방 마운팅브라켓(240), 밋션전방 마운팅브라켓(260), 밋션후방 마운팅브라켓(270)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마운팅 브라켓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1, 제3댐퍼부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제2, 제4댐퍼부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상기 베이스 마운팅브라켓(210)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베이스 마운팅브라켓(210)은 전방에 엔진(120)이 결합되고, 전방과 후방이 각각 차프레임(110) 측과 방진이 가능한 상태로 고정된다.
이와 같은 베이스 마운팅브라켓(210)은 중공부(212)를 사이에 두고 양 갈래로 나누어진 바닥지지부(211)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바닥지지부(211)의 일측에는 상부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측면지지부(213)를 형성하고 있다.
이때, 상기 바닥지지부(211)의 양 갈래 끝단은 제1댐퍼부(220)가 차 프레임(110) 측과 회동 및 방진 가능한 상태로 축 결합되고 있다.
상기 제1댐퍼부(220)는 바닥지지부(211)의 양 갈래 끝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제1축관(225)과, 상기 제1축관(225) 내에 삽입되는 제1탄성부재(223)와, 상기 제1탄성부재(223)의 중심을 관통시켜 양단이 차 프레임(110) 측과 힌지 결합되는 제1축결합부재(221)로 구성되고 있다.
이때, 상기 제1댐펌부(220)는 제1축결합부재(221)를 중심으로 하는 회동이 가능하고, 엔진(120) 및 밋션(130)의 수직방향의 하중 및 충격을 제1탄성부재(223)를 통해 감쇠시키는 것은 물론 좌우측방향으로의 충격을 동시에 감쇠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1댐퍼부(220)는 엔진(120)의 횡방향으로 최소 2개 이상이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측면지지부(213)가 형성된 바닥지지부(211)의 일측에는 제2댐퍼부(230)가 차 프레임(110) 측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수직방향의 하중 및 충격이 감쇠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제2댐퍼부(230)는 베이스 마운팅브라켓(210)과 차 프레임(110) 사이에 설치되는 제2탄성부재(233)와, 상기 베이스 마운팅브라켓(210), 제2탄성부재(233), 차 프레임(110)을 수직방향으로 동시에 축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하는 제2축결합부재(231)로 구성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제2댐퍼부(230)는 엔진(120)의 횡방향으로 최소 2개 이상이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상기 엔진전방 마운팅브라켓(240)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엔진전방 마운팅브라켓(240)은 엔진(120)의 전방 하단과 결합되는 동시에 차 프레임(110) 측과는 제3댐퍼부(250)를 이용해 회동 및 방진이 가능한 상태로 축 결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엔진전방 마운팅브라켓(240)은 제3댐퍼부(250)를 형성하는 반대측에 엔진(120)과 결합되기 위한 엔진결합측벽(241)을 형성하고 있다.
이때, 엔진결합측벽(241)과 엔진(120) 사이는 다수의 볼트부재를 이용해 조립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3댐퍼부(250)는 엔진결합측벽(241)에 일체로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제3축관(255)과, 상기 제3축관(255) 내에 삽입되는 제3탄성부재(253)와, 상기 제3탄성부재(253)의 중심을 관통시켜 양단이 차 프레임(110) 측과 힌지 결합되도록 하는 제3축결합부재(251)로 구성되고 있다.
이때, 상기 제3댐퍼부(250)는 제3축결합부재(251)를 중심으로 하는 회동이 가능하고, 엔진(120) 및 밋션(130)의 수직방향의 하중 및 충격을 제3탄성부재(253)를 통해 감쇠시키는 것은 물론 좌우측방향으로의 충격을 동시에 감쇠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3댐퍼부(250)는 엔진(120)의 횡방향으로 최소 2개 이상이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상기 밋션전방 마운팅브라켓(260)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밋션전방 마운팅브라켓(260)은 밋션(130)을 베이스 마운팅브라켓(210) 상에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밋션전방 마운팅브라켓(260)은 베이스 마운팅브라켓(210) 상에 결합되는 제1지지면(261)과, 상기 제1지지면(261)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밋션(130)의 전방을 결합하도록 된 제2지지면(263)과, 상기 제2지지면(263)의 일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밋션(130)의 측방을 결합하도록 된 제3지지면(265)으로 구성되고 있다.
이때, 상기 밋션전방 마운팅브라켓(260)은 볼트부재를 이용해 밋션(130) 및 베이스 마운팅브라켓(210) 측과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상기 밋션후방 마운팅브라켓(27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밋션후방 마운팅브라켓(270)은 밋션(130)의 후방 상단과 힌지결합부(271)를 이용해 결합되고, 힌지결합부(271)의 반대측이 차 프레임(110)의 수직방향 프레임 상에 제4댐퍼부(280)를 이용해 전후방향의 진동을 감쇠하도록 설치되고 있다.
상기 제4댐퍼부(280)는 밋션후방 마운팅브라켓(270)과 차 프레임(110) 사이에 설치되는 제4탄성부재(283)와, 상기 밋션후방 마운팅브라켓(270), 제4탄성부재(283), 차 프레임(110)을 수평방향으로 동시에 축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하는 제4축결합부재(281)로 구성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제4댐퍼부(280)는 엔진(120)의 횡방향으로 최소 2개 이상이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은 엔진 및 밋션을 차 프레임에 직접 조립하지 않고, 댐퍼부를 갖는 다수의 마운팅 브라켓을 이용해 최소의 결합지점으로 마운팅함으로써, 엔진의 상, 하 진동은 물론 엔진축을 중심으로 발생하는 회전방향의 진동을 저감시켜, 운전자의 승차감이 편안하게 개선되는 효과가 있고, 엔진과 밋션을 강체인 마운팅 브라켓으로 상호 연결시켜 고정함으로써, 동력전달의 정확성을 높이는 것과 함께 동력손실을 최소화하는 저진동 엔진 마운팅구조를 제공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110: 차프레임 120: 엔진
130: 밋션 210: 베이스 마운팅브라켓
211: 바닥지지부 212: 중공부
213: 측면지지부 220: 제1댐퍼부
221: 제1축결합부재 223: 제1탄성부재
225: 제1축관 230: 제2댐퍼부
231: 제2축결합부 233: 제2탄성부재
240: 엔진전방 마운팅브라켓 241: 엔진결합측벽
250: 제3댐퍼부 251: 제3축결합부재
253: 제3탄성부재 255: 제3축관
260: 밋션전방 마운팅브라켓 261: 제1지지면
263: 제2지지면 265: 제3지지면
270: 미션후방 마운팅브라켓 271: 힌지결합부
280: 제4댐퍼부 281: 제4축결합부재
283: 제4탄성부재

Claims (9)

  1. 차프레임(110) 내에 엔진(120) 및 밋션(130)이 탑재되는 농작업용 차량의 엔진마운팅구조에 있어서,
    전방에 엔진(120)이 결합되고, 전방과 후방이 각각 제1댐퍼부(220)와 제2댐퍼부(230)를 이용해 차프레임(110) 측과 방진이 가능한 상태로 고정되는 베이스 마운팅브라켓(210);
    상기 엔진(120)의 전방 하단과 결합되는 동시에 차 프레임(110) 측과는 제3댐퍼부(250)를 이용해 회동 및 방진이 가능한 상태로 축 결합되는 엔진전방 마운팅브라켓(240);
    상기 베이스 마운팅브라켓(210) 상에 밋션(130)을 결합시키기 위한 밋션전방 마운팅브라켓(260); 및
    상기 밋션(130)의 후방 상단과 힌지결합부(271)를 이용해 결합되고, 힌지결합부(271)의 반대측이 차 프레임(110)의 수직방향 프레임 상에 제4댐퍼부(280)를 이용해 전후방향의 진동을 감쇠하도록 설치되는 밋션후방 마운팅브라켓(27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용 차량의 엔진마운팅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마운팅브라켓(210)은 중공부(212)를 사이에 두고 양 갈래로 나누어진 바닥지지부(211)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바닥지지부(211)의 일측에는 상부 수직방향으로 절곡된 측면지지부(213)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용 차량의 엔진마운팅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지지부(211)의 양 갈래 끝단에 제1댐퍼부(220)가 차 프레임(110) 측과 회동 및 방진 가능한 상태로 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용 차량의 엔진마운팅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댐퍼부(220)는 베이스 마운팅브라켓(210)의 바닥지지부(211) 양 갈래 끝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제1축관(225)과, 상기 제1축관(225) 내에 삽입되는 제1탄성부재(223)와, 상기 제1탄성부재(223)의 중심을 관통시켜 양단이 차 프레임(110) 측과 힌지 결합되는 제1축결합부재(22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용 차량의 엔진마운팅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댐퍼부(230)는 베이스 마운팅브라켓(210)과 차 프레임(110) 사이에 설치되는 제2탄성부재(233)와, 상기 베이스 마운팅브라켓(210), 제2탄성부재(233), 차 프레임(110)을 수직방향으로 동시에 축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하는 제2축결합부재(23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용 차량의 엔진마운팅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전방 마운팅브라켓(240)은 제3댐퍼부(250)를 형성하는 반대측에 엔진(120)과 결합되기 위한 엔진결합측벽(241)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용 차량의 엔진마운팅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댐퍼부(250)는 엔진결합측벽(241)에 일체로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제3축관(255)과, 상기 제3축관(255) 내에 삽입되는 제3탄성부재(253)와, 상기 제3탄성부재(253)의 중심을 관통시켜 양단이 차 프레임(110) 측과 힌지 결합되도록 하는 제3축결합부재(25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용 차량의 엔진마운팅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밋션전방 마운팅브라켓(260)은 베이스 마운팅브라켓(210) 상에 결합되는 제1지지면(261)과, 상기 제1지지면(261)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밋션(130)의 전방을 결합하도록 된 제2지지면(263)과, 상기 제2지지면(263)의 일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밋션(130)의 측방을 결합하도록 된 제3지지면(265)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용 차량의 엔진마운팅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댐퍼부(280)는 밋션후방 마운팅브라켓(270)과 차 프레임(110) 사이에 설치되는 제4탄성부재(283)와, 상기 밋션후방 마운팅브라켓(270), 제4탄성부재(283), 차 프레임(110)을 수평방향으로 동시에 축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하는 제4축결합부재(28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용 차량의 엔진마운팅구조.
KR2020100002144U 2010-03-03 2010-03-03 농작업용 차량의 엔진 마운팅 구조 KR2004549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144U KR200454940Y1 (ko) 2010-03-03 2010-03-03 농작업용 차량의 엔진 마운팅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144U KR200454940Y1 (ko) 2010-03-03 2010-03-03 농작업용 차량의 엔진 마운팅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4940Y1 true KR200454940Y1 (ko) 2011-08-04

Family

ID=49299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2144U KR200454940Y1 (ko) 2010-03-03 2010-03-03 농작업용 차량의 엔진 마운팅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94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34473A (zh) * 2018-11-30 2019-02-15 开封金诺车业有限公司 用于电动汽车的大功率增程直驱系统
RU2797522C1 (ru) * 2023-01-18 2023-06-06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АКЦИОНЕРНАЯ КОМПАНИЯ "ТУЛАМАШЗАВОД" (АО "АК "Туламашзавод") Рама дизель-генераторной установки, комплект опорных и противорезонансных виброизоляторов для рамы дизель-генераторной установки, дизель-генераторная установка в раме и моноблочная дизель-генераторная установка в раме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6123A (ja) 1999-03-15 2000-09-26 Mitsubishi Motors Corp ミッションマウント装置
KR20010028182A (ko) * 1999-09-18 2001-04-06 정주호 엔진 마운트 강성 보강구조
US6390223B1 (en) 2000-01-14 2002-05-21 Daimlerchrysler Corporation Engine/transmission combination mounting system
JP2004098800A (ja) 2002-09-06 2004-04-02 Honda Motor Co Ltd 車両のトランスミッションマウント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6123A (ja) 1999-03-15 2000-09-26 Mitsubishi Motors Corp ミッションマウント装置
KR20010028182A (ko) * 1999-09-18 2001-04-06 정주호 엔진 마운트 강성 보강구조
US6390223B1 (en) 2000-01-14 2002-05-21 Daimlerchrysler Corporation Engine/transmission combination mounting system
JP2004098800A (ja) 2002-09-06 2004-04-02 Honda Motor Co Ltd 車両のトランスミッションマウント構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34473A (zh) * 2018-11-30 2019-02-15 开封金诺车业有限公司 用于电动汽车的大功率增程直驱系统
CN109334473B (zh) * 2018-11-30 2023-09-08 李忠才 用于电动汽车的大功率增程直驱系统
RU2797522C1 (ru) * 2023-01-18 2023-06-06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АКЦИОНЕРНАЯ КОМПАНИЯ "ТУЛАМАШЗАВОД" (АО "АК "Туламашзавод") Рама дизель-генераторной установки, комплект опорных и противорезонансных виброизоляторов для рамы дизель-генераторной установки, дизель-генераторная установка в раме и моноблочная дизель-генераторная установка в рам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01385B2 (ja) エンジンマウント構造
US9889889B2 (en) Structure for reinforcing shock absorber housing
KR100489101B1 (ko) 차량의 변속기 마운트장치
KR20000060931A (ko) 자동차의 파워 플랜트 마운트
JP5760991B2 (ja) モータユニット支持構造
RU2577814C1 (ru) Стержень стабилизатора
KR101479594B1 (ko) 현가장치의 인슐레이터
KR100489110B1 (ko)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구조
US20140097590A1 (en) Reinforcement of shock absorber mount
KR200454940Y1 (ko) 농작업용 차량의 엔진 마운팅 구조
JP5455553B2 (ja) エンジン支持装置
KR20120020753A (ko) 차량용 롤로드
KR101610081B1 (ko) 자동차의 트랜스밋션 마운팅 구조
JP5149824B2 (ja) マス部材の取付構造
KR100802773B1 (ko) 차량의 엔진 마운팅 장치
KR100836925B1 (ko) 차량용 엔진 마운트 유닛
KR102647327B1 (ko) 서스펜션 방식의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캐빈 작업차
KR100501436B1 (ko) 엔진 마운팅을 위한 인슐레이터
KR100805473B1 (ko) 엔진 진동 흡수 구조
KR100559897B1 (ko) 차량용 롤로드
KR101304882B1 (ko)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부 입력점 강성 보강 장치
KR20020048489A (ko) 차량의 바디 마운트 구조
KR101338457B1 (ko) 차량용 엔진 마운트 보강유닛
KR20050041025A (ko) 차량용 서브프레임의 마운트장치
KR20110053565A (ko) 하이드로 서브프레임 부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00303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72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72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1072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3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805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