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54866Y1 - 도어 핸들 - Google Patents

도어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4866Y1
KR200454866Y1 KR2020100010244U KR20100010244U KR200454866Y1 KR 200454866 Y1 KR200454866 Y1 KR 200454866Y1 KR 2020100010244 U KR2020100010244 U KR 2020100010244U KR 20100010244 U KR20100010244 U KR 20100010244U KR 200454866 Y1 KR200454866 Y1 KR 2004548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door
main body
door handle
hin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02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숙
Original Assignee
권오숙
국림알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숙, 국림알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권오숙
Priority to KR20201000102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8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8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866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00Handles completely let into the surface of the wing
    • E05B5/003Pop-out handles, e.g. sliding outwardly before rot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3/0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 E05B13/1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formed by a lock arranged in the handle

Landscapes

  • Patch Board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 핸들에 관한 것으로서, 전면의 테두리부(11)로부터 깊이를 갖고 개방된 수용부(12)의 내측으로부터 잠금걸이부(13)와 힌지결합부(14)가 일체로 형성되고, 수용부(12) 내에 레버(20)의 후면을 받치는 받침돌부(15)가 돌출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힌지결합부(14)로부터 일측이 힌지핀(h)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면에 키뭉치(21)가 매입되고, 후면에 작동축(22)이 돌출 형성된 레버(20)와, 상기 힌지결합부(14)의 후면에 힌지나사축(S)으로써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레버(20)의 작동축 회동에 의해 도어 틀로부터 도어를 잠그는 잠금쇠(30)로 이루어진 도어 핸들(100)에 있어서,
상기 받침돌부(15)의 일측에는 자석(16)이 설치되며, 상기 레버(20)의 후면에는 상기 자석(16)에 부착되어 레버(20)를 자력으로 밀착시키기 위한 철편(23)이 상호 대응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본체의 수용부로부터 마련된 자석에 레버가 닫히는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여 기존의 토션스프링 및 푸시버튼의 조립에 관계된 제품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레버를 열고 닫는 동작시 발생하는 격한 소음을 최소한 줄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전반, 분전반, 제어반, 전화단자함, 휴즈박스, 계량기박스 등등에 효과적으로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도어 핸들{Door handle}
본 고안은 도어 핸들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배전반, 분전반, 소화전 등의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 핸들을 개선하여 종래에 비해 적은 부품 수로 간단한 조립으로 생산성을 높이고, 작동중에 발생하는 격한 소음을 최소한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 분전반, 제어반, 전화단자함, 휴즈박스, 계량기박스 등은 전면이 개구된 함체와, 상기 함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도어에는 이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 핸들이 전방에 설치되어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사용된다.
종래의 도어 핸들(100)은 본체(10)와, 레버(20)와, 잠금쇠(30)와, 푸시버튼(40)로 크게 나뉘어져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내부에 전방으로 개구되는 수용부(12)가 형성되며 전면 둘레부에는 외향 돌출되는 테두리부(11)가 마련되어 이 테두리부(11)가 도어의 전방으로 전면이 돌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레버(20)는 본체(10)의 개구된 전면으로부터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회동되는 레버의 힌지핀(h)상에는 토션스프링(TS)이 설치되어 탄력을 부여하는 구조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레버(20)에는 열쇠를 이용하여 도어의 개방을 방지할 수 있는 키뭉치가 적용 설치되어 본체 내측에 마련되는 록킹편에 걸어 도어를 잠금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레버(20)의 후단측에 형성되는 작동축은 상기 잠금쇠(30)를 관통하고, 본체의 후면으로부터 마련되는 나사고정축을 중심으로 상기 잠금쇠가 직각으로 회동되어 도어 틀에 마련되는 걸이공 또는 걸림구로부터 상기 잠금쇠를 걸어 도어를 잠금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푸시버튼(40)은 레버(20)가 설치되는 본체(10)의 개구된 수용부(12)의 전면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푸시버튼이 회동되는 힌지핀(h)상에는 상기 레버의 설치구조와 같이 토션스프링(TS)이 설치되어 본체(10)로부터 회동되도록 탄력을 부여할 수 있게 설치되며, 상기 레버(20)의 하단부측을 걸어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도어 핸들은 자물쇠가 해제된 상태에서 푸시 버튼을 누르게 되면, 푸시버튼에 의해 지지되었던 레버가 푸시버튼과 이격되면서 일측이 전방으로 튕겨져 돌출된다.
이러한 작용에 있어서, 도어를 통한 상기 레버의 돌출동작시 함체 내부를 통해 울리는 소음은 격하게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레버의 돌출은, 그 배면에 연결 설치된 잠금쇠를 회동시켜 함체의 전면으로부터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어 주고, 다시 잠금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돌출된 레버를 초기와 같은 상태로 본체측으로 눌러 주면, 푸시버튼에 걸려짐과 동시에 상기 잠금쇠는 반대로 동작되어 함체에 도어를 닫은 상태로 유지시켜 줄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도어가 닫힘 상태로 작용하는 레버와 푸시 버튼과의 결착음이 발생하기 때문에 도어를 열고 닫는 이전에 불필요한 소음이 전달되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 종래의 도어 핸들을 이루는 본체는 통상적으로 합성수지 계열로 사출성형되거나 혹은 금속재로 다이캐스팅 성형된 하나의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고, 여기에 레버와 푸시버튼은 본체의 측면으로부터 힌지축이 관통되도록 함과 동시에 탄력을 부여할 수 있는 토션스프링을 본체의 개구된 내측을 통해 관통 조립함으로써, 좁은 공간을 통한 토션스프링의 조립시간이 상당히 오래 걸리는 조립의 불량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는 제품생산성도 떨어지는 요인이 되며, 제품군을 이루는 구성요소가 간단한 조립으로 제작되지 못하는 이유에서 제품의 코스트가 비교적 높게 책정되고, 기타 유지보수에 있어서도, 도어 핸들을 전반적으로 교체하여야 하는 폐단이 있었다.
또한, 상기 도어 핸들에 적용된 토션스프링은 습기에 취약하여 녹이 발생하기 때문에 레버가 완전히 열리지 않는 오동작이 발생하기 때문에 오랫동안 도어 핸들을 통해 레버 및 푸시버튼을 누르는 반복작용이 매끄럽지 못하여 도어의 개폐에 불편을 겪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전반, 분전반, 소화전 등의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 핸들을 개선하여 종래에 비해 적은 부품 수로 작동은 정확히 이루어지는 반면, 간단한 조립으로 생산성을 높이고, 작동중에 발생하는 격한 소음을 최소한 줄일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전면의 테두리부로부터 깊이를 갖고 개방된 수용부의 내측으로부터 잠금걸이부와 힌지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수용부 내에 레버의 후면을 받치는 받침돌부가 돌출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힌지결합부로부터 일측이 힌지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면에 키뭉치가 매입되고, 후면에 작동축이 돌출 형성된 레버와, 상기 힌지결합부의 후면에 힌지나사축으로써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레버의 작동축 회동에 의해 도어 틀로부터 도어를 잠그는 잠금쇠로 이루어진 도어 핸들에 있어서,
상기 받침돌부의 일측에는 자석이 설치되며, 상기 레버의 후면에는 상기 자석에 부착되어 레버를 자력으로 밀착시키기 위한 철편이 상호 대응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고안에 따른 도어 핸들은, 본체의 수용부로부터 마련된 자석에 레버가 닫히는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여 기존의 토션스프링 및 푸시버튼의 조립에 관계된 제품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레버를 열고 닫는 동작시 발생하는 격한 소음을 최소한 줄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전반, 분전반, 제어반, 전화단자함, 휴즈박스, 계량기박스 등등에 효과적으로 적용가능하다.
도 1은 종래 도어 핸들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도어 핸들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인 도어 핸들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핸들의 닫힘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핸들의 개방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핸들의 후면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전면의 테두리부(11)로부터 깊이를 갖고 개방된 수용부(12)의 내측으로부터 잠금걸이부(13)와 힌지결합부(14)가 일체로 형성되고, 수용부(12) 내에 레버(20)의 후면을 받치는 받침돌부(15)가 돌출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힌지결합부(14)로부터 일측이 힌지핀(h)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면에 키뭉치(21)가 매입되고, 후면에 작동축(22)이 돌출 형성된 레버(20)와, 상기 힌지결합부(14)의 후면에 힌지나사축(S)으로써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레버(20)의 작동축 회동에 의해 도어 틀로부터 도어를 잠그는 잠금쇠(30)로 이루어진 도어 핸들(100)에 있어서,
상기 받침돌부(15)의 일측에는 자석(16)이 설치되며, 상기 레버(20)의 후면에는 상기 자석(16)에 부착되어 레버(20)를 자력으로 밀착시키기 위한 철편(23)이 상호 대응되게 설치되어 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받침돌부(15)의 단부에는 연질의 고무, 스폰지와 같이 밀착소음을 줄이기 위한 시트지(17)가 부착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트지(17)는 양면에 접착제가 도포처리된 접착테이프를 이용하여 부착하거나 혹은 접착제로서 직접 부착하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도어 핸들(100)을 구성하는 본체(10)의 수용부(12)는 하부에 레버(20)의 하단부가 안내되어 테두리부(11)의 전면과 동일선상을 이루는 깊이의 단턱부(12a)가 형성되어 레버를 지지하도록 한다.
참고로 상기 잠금쇠(30)는 첨부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두개의 힌지 나사축에 걸려 지지되는 반원형의 제1안착공(31)과 제1안착공으로부터 레버의 경사진 작동축 단부가 위치할 수 있는 호형의 제2안착공(32)이 형성된 구조로서, 잠금쇠(30)의 회동에 따라 작동축(22)의 단부는 제2안착공(32)에서 교호로 위치되며, 잠금쇠의 회동상태를 90도 각도록 유지시킬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도어 핸들의 사용상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어에 조립되는 도어 핸들(100)의 본체(10)측 힌지결합부(13)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레버(20)는 통상적으로 키뭉치(21)를 통해 열쇠로 레버를 본체측 수용부(12)에 마련된 잠금걸이부(14)로부터 해제시키거나, 혹은 잠금걸이부로부터 이미 해제된 상태에서 레버(20)를 첨부된 도 5에서 같이 레버의 하단부를 상향시켜 개방하도록 한다.
상기 레버(20)의 회동은 힌지결합부(13)측 힌지핀(h)을 축으로 회동됨과 동시에 수용부(12)의 내측에 위치한 자석(16)으로부터 레버(20)의 후면측에 마련된 철(23)편이 이격되는 상태로 회동시켜 주면, 상기 레버(20)의 후면측에 일체로 마련된 작동축(22)을 기준으로 본체(10)의 후부에 힌지나사축(S)에 의해 설치된 잠금쇠(30)는 90도 회전하여 도어를 도어 틀로부터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레버(20)가 회동되어 들어올려 진 상태에서 상기 잠금쇠(30)는 도 6에서와 같이 작동축(22)의 길이방향에 잠금쇠(30)의 제2안착공(32)이 걸려 지지되는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도어를 다시 닫는 상태, 즉 레버(20)가 본체(10)의 수용부(12)를 향해 레버(20)의 전면이 본체(10)측 테두리부(11)와 동일선상이 되는 상태로 동작시키면, 잠금쇠(30)는 다시 역으로 90도 회전되어 도어 틀에 잠기는 상태가 되고, 상기 본체측의 자석(16)과 레버(20)측의 철편(23)이 부착되어 레버를 본체 전면에 동일 선상이 되도록 일치시켜 준다.
상기 레버(20)가 닫히는 상태에서 본체(10)의 수용부(12)에 마련된 받침돌부(15)는 레버(20)의 후면을 받쳐주며, 받침돌부(15)의 단부에 부착된 시트지(17)로 하여금 쿠션감을 제공하여 격한 소음 없이 부드럽게 레버(20)를 본체(10)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레버를 개방하고 닫는 동작은 단순히 자석으로부터 철편을 붙이고 이격시키는 정도만으로도 잠금쇠의 동작이 원활하게 작용함으로써, 도어의 개폐에 따른 조작시 쉽고, 기존과 같이 토션스프링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서, 고장이 발생하지 않는 이점이 있으며, 레버가 본체로부터 자력으로 밀착되어있는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흔들림 또한 발생하지 않으므로 소음발생이 없다.
본 고안에 따른 레버는 종래기술과 달리 별도의 토션스프링 및 토션스프링과 관련된 푸시 버튼의 설치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조립이 간단한 이점이 있고, 부품을 절감하는 이점도 있다.
상기 레버(20)가 본체(10)로부터 해제된 상태에서 본체의 전면측 수용부(12)로부터 단지 자석(16)에 의한 자력으로 탈,부착되는 정도로서 레버(20)를 본체(10) 전면에 수용하도록 함과 동시에 간단히 레버의 하단부를 전방으로 들어올려 회동시키는 동작만으로도 도어를 개방할 수 있기 때문에 토션스프링의 탄력이 저하되는 기존의 도어 핸들 보다 수명이 길고 유지보수도 간단하다.
본 고안에 따른 도어 핸들(100)의 전용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배전반, 분전반, 제어반, 전화단자함, 휴즈박스, 계량기박스 등등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므로 기존 스플링 타입의 레버 개폐방식에 비해 소음이 적고 구성요소의 간결함으로 조립에 따른 제품 생산성이 높은 이점도 제공된다.
10: 본체 12: 수용부
15: 받침돌부 16: 자석
17: 시트지 20: 레버
22: 작동축 23: 철편
30: 잠금쇠 100: 도어 핸들

Claims (2)

  1. 전면의 테두리부(11)로부터 깊이를 갖고 개방된 수용부(12)의 내측으로부터 잠금걸이부(13)와 힌지결합부(14)가 일체로 형성되고, 수용부(12) 내에 레버(20)의 후면을 받치는 받침돌부(15)가 돌출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힌지결합부(14)로부터 일측이 힌지핀(h)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면에 키뭉치(21)가 매입되고, 후면에 작동축(22)이 돌출 형성된 레버(20)와, 상기 힌지결합부(14)의 후면에 힌지나사축(S)으로써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레버(20)의 작동축 회동에 의해 도어 틀로부터 도어를 잠그는 잠금쇠(30)로 이루어진 도어 핸들(100)에 있어서,
    상기 받침돌부(15)의 일측에는 자석(16)이 설치되며, 상기 레버(20)의 후면에는 상기 자석(16)에 부착되어 레버(20)를 자력으로 밀착시키기 위한 철편(23)이 상호 대응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
  2. 삭제
KR2020100010244U 2010-10-05 2010-10-05 도어 핸들 Expired - Fee Related KR2004548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244U KR200454866Y1 (ko) 2010-10-05 2010-10-05 도어 핸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244U KR200454866Y1 (ko) 2010-10-05 2010-10-05 도어 핸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4866Y1 true KR200454866Y1 (ko) 2011-08-02

Family

ID=49299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0244U Expired - Fee Related KR200454866Y1 (ko) 2010-10-05 2010-10-05 도어 핸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86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5196A (ko) * 2015-04-24 2018-01-15 사우스코 인코포레이티드 표시기를 갖는 래치 및 래치 시스템
JP2018150733A (ja) * 2017-03-14 2018-09-27 日東工業株式会社 クランプ式鎖錠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7697A (ja) * 2000-01-26 2001-08-03 Takigen Mfg Co Ltd ハンドル装置
EP2202371A1 (en) * 2008-12-23 2010-06-30 GSG INTERNATIONAL S.p.A. A sliding door or window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7697A (ja) * 2000-01-26 2001-08-03 Takigen Mfg Co Ltd ハンドル装置
EP2202371A1 (en) * 2008-12-23 2010-06-30 GSG INTERNATIONAL S.p.A. A sliding door or window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5196A (ko) * 2015-04-24 2018-01-15 사우스코 인코포레이티드 표시기를 갖는 래치 및 래치 시스템
KR102469235B1 (ko) * 2015-04-24 2022-11-18 사우스코 인코포레이티드 표시기를 갖는 래치 및 래치 시스템
JP2018150733A (ja) * 2017-03-14 2018-09-27 日東工業株式会社 クランプ式鎖錠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96967B2 (en) Washer/dryer comprising a lock
WO2016157720A1 (ja) 洗濯機
WO2007011774A3 (en) Interchangeable face plate
US6359778B1 (en) Removable-type hard disk drive bi-directional ingress and egress structure
KR101490160B1 (ko) 자동 닫힘 도어힌지
KR200454866Y1 (ko) 도어 핸들
US7159909B1 (en) Cabinet enclosure handle
JP2003220253A (ja) 遊技機のガラス扉における支持機構
KR200453909Y1 (ko) 분,배전반 도어핸들
KR200451923Y1 (ko) 도어 스토퍼
EP1588002A1 (en) A lock assembly
JP4205619B2 (ja) 扉の取付構造
KR20110119465A (ko) 가구용 경첩
KR101199062B1 (ko) 차량용 커버링 쉘프 결합구조
US3041098A (en) Latch assembly for surface-mounted doors
KR20090001096U (ko) 우편함
KR100887826B1 (ko) 차량용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
KR101972849B1 (ko) 문닫힘 방지구
JP2824562B2 (ja) 合成樹脂製パチンコ機の施錠装置
KR20160048555A (ko) 도어락의 인바디 고정장치
KR102792785B1 (ko) 캐비닛에 사용되는 잠금장치
JP2004081606A (ja) パチンコ遊技機
KR101569991B1 (ko) 사물함 잠금장치
KR101631088B1 (ko) 로드 연동장치
CN210666627U (zh) 一种按压式开启的机箱侧板安装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01005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07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05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01227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4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72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1072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706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