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4645Y1 - Automatic switching system of power - Google Patents
Automatic switching system of pow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54645Y1 KR200454645Y1 KR2020090006153U KR20090006153U KR200454645Y1 KR 200454645 Y1 KR200454645 Y1 KR 200454645Y1 KR 2020090006153 U KR2020090006153 U KR 2020090006153U KR 20090006153 U KR20090006153 U KR 20090006153U KR 200454645 Y1 KR200454645 Y1 KR 20045464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 generator
- switch
- ats
- commercial pow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1—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DC powered load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원의 자동 절체 시스템(ATS)을 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automatic power supply switching system (ATS).
본 고안에 따른 전원의 자동 절체 시스템은 타이머를 구비한 ATS 제어기; 배터리를 구비한 발전기; 상기 ATS 제어기 및 상기 발전기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ATS 제어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스위치; 상기 발전기 자체에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ATS 제어기를 통해 상기 발전기의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한 발전기 비상정지 스위치; 상기 상용전원을 부하출력에 전달하는 상용전원 스위치; 및 상기 발전기로부터 발생되는 발전 전원을 부하출력에 전달하는 발전 전원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ATS 제어기는 상기 상용전원의 정전 발생시 상기 상용전원 스위치에서 상기 발전 전원 스위치로 접속 상태를 절체하고, 상기 상용전원이 정상 상태로 복구되면 상기 발전 전원 스위치에서 상기 상용전원 스위치로 접속상태를 절체하며, 상기 타이머는 상기 발전기를 미리 정해진 주기 및 미리 정해진 시간에 따라 자동으로 시동 및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utomatic switching system of the power supp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TS controller having a timer; A generator with a battery; A power supply switch connected to the ATS controller and the generator, respectively, for supplying power from the battery to the ATS controller; A generator emergency stop switch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generator through the ATS controller when an abnormal situation occurs in the generator itself; A commercial power switch for transferring the commercial power to a load output; And a power generation power switch for transferring the power generation power generated from the generator to a load output, wherein the ATS controller transfers a connection state from the commercial power switch to the power generation power switch when the commercial power failure occurs. When it is restored to the normal state, the connection state is switched from the power generation switch to the commercial power switch, and the tim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enerator starts and stops automatically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ycle and a predetermined time.
자동 절체 시스템, 제어기, 발전기, 상용전원, 발전전원 Automatic transfer system, controller, generator, commercial power, power generation
Description
본 고안은 전원의 자동 절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상용전원 및 발전기의 발전 전원의 상태를 포함한 전원 관련 정보를 현장에서 또는 원격으로 모니터링하며, 또한 주기적으로 발전기를 시동 및 정지시킴으로써 상용전원의 정전 발생시 발전기의 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전원의 자동 절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switching system of the power sourc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monitors power-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the state of commercial power and generator power, on-site or remotely, and also periodically starts and stops the generator to smoothly start the generator in the event of a power outag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switching system of a power source that can be made.
일반적으로 관공서, 학교, 빌딩 등의 건물에서는 컴퓨터, 청소기, 냉난방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부하가 사용된다. 이러한 다양한 부하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상용전원이 사용되고 있다. 상용전원은 사용되는 도중에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하면 부하에 공급되는 전력이 자동으로 차단되어 정전 상태가 된다. 그 후, 비상용 발전기가 가동되어 부하에 전력을 일시적으로 공급한다. 그 후, 상용전원이 정상 상태로 돌아오면, 비상용 발전기로부터 부하로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고, 상용전원이 부하에 전력을 공급한다.In general, various loads such as computers, vacuum cleaners, air conditioning units, etc. are used in buildings such as public offices, schools, and buildings. Commercial power sources for supplying the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se various loads are used. If an abnormal situation occurs while the commercial power is in use, the power supplied to the load is automatically cut off and the power failure state. Thereafter, the emergency generator is activated to temporarily supply power to the load. After that, when the commercial power source returns to the normal state, the power supplied from the emergency generator to the load is cut off, and the commercial power supply power to the load.
상술한 바와 같은 비정상적인 상황에 의해 상용전원의 정전이 발생하는 경우, 비상용 발전기의 가동, 부하에 일시적인 전력 공급, 및 정상 상태가 되면 상용 전원으로부터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상용전원과 비상용 발전기 간의 자동 절체를 수행하기 위한 전원 절체 시스템이 사용된다. In the event of a power failure of the commercial power supply due to the abnormal situation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of the emergency power generator, the temporary power supply to the load, and the automatic power supply between the commercial power supply and the emergency generator to supply power from the commercial power supply to the load when the steady state is reached. A power transfer system is used to perform the transfe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원 절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power switch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의 전원 절체 시스템(100)은 릴레이(110)를 포함한다. 릴레이(110)는 발전기(120)와 연결되며, 또한 부하 출력(130)에 절체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종래 기술의 전원 절체 시스템(100)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1, the prior art power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의 전원 절체 시스템(100)에서는 상용전원 입력부(140)로부터 출력되는 상용전원이 상용전원 마그네틱 스위치(116)을 통해 부하출력(130)으로 제공된다. 이 경우, 릴레이(110)는 상용전원 마그네틱 스위치(116)와는 온(ON) 상태를 유지하고 발전 전원 마그네틱 스위치(126)와는 오프(OFF)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용전원 마그네틱 스위치(116)와 연결된 상용전원 표시등(118)이 온(ON) 상태를 유지하여 상용전원이 사용되고 있음을 표시한다. Referring back to FIG. 1, in the conventional
한편, 상용전원 입력부(140)로부터 출력되는 상용전원은 배터리 충전기(124)를 통해 발전기(120)의 배터리(122)를 충전한다. 또한, 상용전원 입력부(140)로부터 출력되는 상용전원은 릴레이(110)의 동작에 필요한 전기 에너지를 릴레이(110)로 공급한다. Meanwhile, the commercial power output from the commercial
상술한 바와 같이, 상용전원이 상용전원 마그네틱 스위치(116)을 통해 부하 출력(130)으로 제공되어 부하출력(130)의 동작이 수행되는 도중에 상용전원의 정전이 발생하면, 릴레이(110)가 상용전원 마그네틱 스위치를 차단하면서 발전기(120)에 시동신호를 전달하여 발전기를 가동한다. 이와 동시에, 발전기(120)의 배터리(122)는 전원 공급 스위치(114)를 통해 릴레이(110)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여 릴레이(110)의 동작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릴레이(110)는 상용전원 마그네틱 스위치(116)와는 오프(OFF) 상태를 유지하고 발전 전원 마그네틱 스위치(126)와는 온(ON) 상태를 유지하도록 절체(스위칭)한다. 그 후, 시동 신호에 따라 발전기(120)가 가동되면, 발전기(120)에서 생성된 전력이 발전 전원 입력부(150), 및 발전 전원 마그네틱 스위치(126)을 통해 부하출력(130)으로 제공된다. 이 경우, 발전 전원 마그네틱 스위치(126)와 연결된 발전 전원 표시등(128)이 온(ON) 상태를 유지하여 발전 전원이 사용되고 있음을 표시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mmercial power is provided to the
그 후, 상용전원이 정상 상태로 복구되면, 릴레이(110)는 발전 전원 마그네틱 스위치(126)와의 연결이 오프(OFF) 상태를 유지하고 상용전원 마그네틱 스위치(116)와의 연결이 온(ON) 상태를 유지하도록 다시 절체한다. 또한, 릴레이(110)는 발전기(120)에 정지 신호를 전달하고, 정지 신호에 따라 발전기(120)의 가동이 정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종래 기술에 따른 전원 절체 시스템(100)은 상용전원의 공급 및 상용전원의 정전 발생시 상용전원과 발전기(120) 간의 자동 절체를 수행한다. After that, when the commercial power is restored to the normal state, the
한편, 도 1에 도시된 발전기 비상정지 스위치(112)는 상용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경우 또는 비정상적인 상황 발생에 의해 발전기(120)의 발전 전원이 공급 되는 경우와는 무관하게, 발전기(120) 자체에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발전기(120)의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Meanwhile, the generator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릴레이(110)를 구비한 종래 기술의 전원 절체 시스템(100)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However, the power
1. 발전기(120)가 장시간 미사용 상태에서 갑작스럽게 상용전원의 정전이 발생한 경우 발전기(120)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로 인하여, 발전기(120)의 수리 또는 교체에 따른 시간 및 비용이 낭비된다. 1. When the
2. 발전기(120)의 유지 보수가 제때에 이루어지지 않아 발전기(120)의 수명이 짧아진다. 2. The maintenance of the
3. 상용전원 및 발전기(120)의 발전 전원의 상태, 발전기(120)의 오일량 및 온도 등과 같은 전원 및 센서 관련 정보가 현장에서 또는 실시간으로 제공되지 않는다. 그 결과, 예를 들어 발전기(120)가 상당 기간 미작동된 상태에서 발전기(120)의 오일량이 부족하여 갑작스럽게 상용전원의 정전이 발생한 경우 발전기(120)의 시동이 이루어지지 않아 상용전원의 정전 상태가 길어진다.3. Power and sensor related information, such as the state of the commercial power source and the generator power source of the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방안이 요구된다.Therefore, a new method for solving the problem is required.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용전원 및 발전기의 발전 전원의 상태를 포함한 전원 관련 정보를 현장에서 또는 원격으로 모니터링하며, 또한 주기적으로 발전기를 시동 및 정지시킴으로써 상용전원의 정전 발생시 발전기의 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전원의 자동 절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monitor the power-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the status of the commercial power source and the generator power source in the field or remotely, and also start and stop the generator periodically to generate a generator in case of power failure It is to provide an automatic switching system of the power that can be started smoothly.
좀 더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전원의 자동 절체 시스템(ATS)은 타이머를 구비한 ATS 제어기; 배터리를 구비한 발전기; 상기 ATS 제어기 및 상기 발전기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ATS 제어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스위치; 상기 발전기 자체에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ATS 제어기를 통해 상기 발전기의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한 발전기 비상정지 스위치; 상기 상용전원을 부하출력에 전달하는 상용전원 스위치; 및 상기 발전기로부터 발생되는 발전 전원을 부하출력에 전달하는 발전 전원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ATS 제어기는 상기 상용전원의 정전 발생시 상기 상용전원 스위치에서 상기 발전 전원 스위치로 접속 상태를 절체하고, 상기 상용전원이 정상 상태로 복구되면 상기 발전 전원 스위치에서 상기 상용전원 스위치로 접속상태를 절체하며, 상기 타이머는 상기 발전기를 미리 정해진 주기 및 미리 정해진 시간에 따라 자동으로 시동 및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the automatic switching system (ATS) of the power supply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TS controller having a timer; A generator with a battery; A power supply switch connected to the ATS controller and the generator, respectively, for supplying power from the battery to the ATS controller; A generator emergency stop switch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generator through the ATS controller when an abnormal situation occurs in the generator itself; A commercial power switch for transferring the commercial power to a load output; And a power generation power switch for transferring the power generation power generated from the generator to a load output, wherein the ATS controller transfers a connection state from the commercial power switch to the power generation power switch when the commercial power failure occurs. When it is restored to the normal state, the connection state is switched from the power generation switch to the commercial power switch, and the tim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enerator starts and stops automatically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ycle and a predetermined time.
본 고안의 전원의 자동 절체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automatic switching system of the power suppl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advantages are achieved.
1. 발전기의 주기적인 자동 시동 및 정지 동작에 의해 상용전원의 정전 발생시에도 발전기가 원활하게 동작될 수 있다. 1. The generator can operate smoothly even in the event of power failure by commercial automatic start and stop operation.
2. 발전기의 주기적인 자동 시동 및 정지 동작에 따라 발전기의 주기적인 유지보수가 이루어져 발전기의 수명이 연장된다.2. Periodic maintenance of the generator is followed by periodic automatic start and stop operation of the generator, thus extending the life of the generator.
3. 발전기의 전원 관련 정보가 현장에서 또는 실시간으로 제공되어 발전기의 유지 보수가 사전에 미리 이루어져, 발전기의 장기간 미사용으로 인한 고장 발생 가능성이 실질적으로 없다.3. The generator's power-related information is provided on-site or in real time, so the maintenance of the generator is done in advance, so there is practically no possibility of failure due to long periods of unused generator.
4. 경보장치에 의해 자동 절체 시스템의 이상 동작이 신속하게 확인됨으로써 자동 절체 시스템의 신속한 정상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4. The quick change of the automatic switching system by the alarm system can be confirmed quickly so that the normal operation of the automatic switching system can be achieved.
본 고안의 추가적인 장점은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가 동일한 구성요소를 표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히 이해될 수 있다. Further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like or like reference numerals indicate like elements.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 및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기술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의 자동 절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utomatic power supply switch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의 자동 절체 시스 템(Automatic Transfer System: 이하 "ATS"라 함)(200)은 타이머(211)를 구비한 ATS 제어기(210); 배터리(222)를 구비한 발전기(220); 상기 ATS 제어기(210) 및 상기 발전기(220)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배터리(222)로부터 상기 ATS 제어기(21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스위치(214); 상기 발전기(220) 자체에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ATS 제어기(210)를 통해 상기 발전기(220)의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한 발전기 비상정지 스위치(212); 상기 상용전원을 부하출력(230)에 전달하는 상용전원 스위치(216); 및 상기 발전기(220)로부터 발생되는 발전 전원을 부하출력(230)에 전달하는 발전 전원 스위치(226)를 포함하고, 상기 ATS 제어기(210)는 상기 상용전원의 정전 발생시 상기 상용전원 스위치(216)에서 상기 발전 전원 스위치(226)로 접속 상태를 절체하고, 상기 상용전원이 정상 상태로 복구되면 상기 발전 전원 스위치(226)에서 상기 상용전원 스위치(216)로 접속상태를 절체하며, 상기 타이머(211)는 상기 발전기(220)를 미리 정해진 주기 및 미리 정해진 시간에 따라 자동으로 시동 및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ATS 제어기(210)의 구체적인 구성은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서울 강남구 논현동 239-11 (우편번호: 135-010)에 소재한 ㈜ 월드멀티넷으로부터 입수 가능하다.2, an automatic transfer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TS") 200 of a power sour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의 ATS(200)의 각각의 구성요소 및 동작을 상세히 기술한다.Hereinafter, each component and operation of the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ATS 제어기(210)에서는 상용전원 입력부(240)로부터 출력되는 상용전원이 상용전원 스위치(216)를 통해 부하출력(230)으로 제공된다. 이 경우, ATS 제어기(210)는 상용전원 스위치(216)와는 온(ON) 상태 를 유지하고 발전 전원 스위치(226)와는 오프(OFF)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용전원 스위치(216)와 연결된 상용전원 표시등(218)이 온(ON) 상태를 유지하여 상용전원이 사용되고 있음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용전원 스위치(216)와 발전 전원 스위치(226)는 각각 예를 들어 마그네틱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부하 출력(230)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은 배터리 충전기(224)를 통해 발전기(220)의 배터리(222)를 충전한다. Referring back to FIG. 2, in the ATS
발전기(220)의 배터리(222)는 전원 공급 스위치(214)를 통해 ATS 제어기(210)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여 ATS 제어기(210)의 동작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상용전원이 상용전원 스위치(216)를 통해 부하출력(230)으로 제공되어 부하출력(230)의 동작이 수행되는 도중에 상용전원의 정전이 발생하면ATS 제어기(210)는 상용전원 스위치(216)와는 오프(OFF) 상태를 유지하고 발전기(220)의 연료 적정 여부, 발전기(220)의 오일 적정 여부 등을 확인한 후 발전기(220)에 시동 신호를 전달한다. 시동 신호에 따라 발전기(220)가 가동되면 ATS제어기는 발전기의 전압 및 주파수를 확인하고 발전 전원 스위치(226)와는 온(ON) 상태를 유지하도록 절체(스위칭)한다. 이러한 ATS 제어기(210)의 절체 동작은 ATS 제어기(210) 내에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전자적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발전기(220) 가동 중에 발전기의 동작 상태(구체적으로는, 발전기(220)의 동작 여부, 발전기(220)의 전압 및 주파수의 적정 여부, 발전기(220)의 연료 적정 여부, 발전기(220)의 오일 적정 여부, 발전기의 실린더헤드의 온도 과열 여부)등을 항상 확인하여 이상이 있으면 발전기를 정지시키고 에러 정보를 모니터(260)에 실시간으로 표시한다. 또한, ATS 제 어기(210)는 발전기(220)에서 생성된 전력이 발전 전원 입력부(250) 및 발전 전원 스위치(226)를 통해 부하출력(230)으로 제공된다. 이 경우, 발전 전원 입력부(250)와 연결된 발전 전원 표시등(228)이 온(ON) 상태를 유지하여 발전 전원이 사용되고 있음을 표시한다. The
또한, ATS 제어기(210)의 타이머(211)는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발전기(220)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자동으로 시동 및 정지시킨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주기는 예를 들어 15일이고, 미리 설정된 시간은 예를 들어 15분일 수 있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미리 설정된 주기가 예를 들어 1일, 1주일, 4주일, 1개월, 및 1분기 등이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예를 들어 1분, 5분, 10분, 30분, 및60분 등으로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는 것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타이머(211)에 의한 발전기(220)의 주기적인 자동 시동 및 정지 동작에 의해, 상용전원의 정전 발생시에 발전기(220)가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본 고안의 타이머(211)에 의한 발전기(220)의 주기적인 자동 시동 및 정지 동작에 따라 발전기(220)의 주기적인 유지보수가 이루어져 발전기(220)의 수명이 연장된다. In addition, the
또한, 본 고안의 ATS 제어기(210)는 모니터(26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260)는 전원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 관련 정보는, 예를 들어, 상용전원 스위치(216) 및 발전 전원 스위치(226)의 동작 상태, 발전기(220)의 동작 상태(구체적으로는, 발전기(220)의 동작 여부, 발전기(220)의 전압 및 주파수의 적정 여부, 발전기(220)의 연료 적정 여부, 발전기(220)의 오일 적정 여부, 발전기의 실린더헤드의 온도 과열 여부) 및 발전기(220)의 자가 시운전 상태(구체적으로는, 발전기(220)의 시동주기, 발전기(220)의 가동 시작 시간, 발전기(220)의 가동 동작 시간 등) 등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발전기(220)는 발전기(220)의 연료, 오일 및 온도 등의 정보 제공을 위해 예를 들어 센서(223)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정보는 센서(223)에 의해 ATS 제어기(210)로 제공되어 모니터(260) 상에 실시간으로 표시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ATS 제어기(210)는 원격 모니터링 포트(27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원격 모니터링 포트(270)는 상술한 전원 관련 정보를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s) 방식으로 외부 제어장치(280) 및 외부 모니터(282)로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제어장치(280)는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PC)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외부 제어장치(280) 및 외부 모니터(282)를 통해 전원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ATS(200)에서는 전원 관련 정보가 모니터(260)에 의해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되거나 또는 외부 제어장치(280) 및 외부 모니터(282)에 의해 원격으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발전기(220)의 오일량의 모니터링에 의해 적절한 시점에 오일을 공급해주거나 적절한 시점에 발전기(220)의 유지 보수를 미리 수행함으로써 갑작스럽게 상용전원의 정전이 발생한 경우에도 오일 부족 또는 발전기(220)의 불충분한 유지 보수로 인한 발전기(120)의 시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방지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또한, 본 고안의 ATS 제어기(210)는 경보장치(215)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 다. 경보장치(215)는 ATS(200)의 동작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경고음을 발생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경보장치(215)는 예를 들어 부저(buzzer)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경보장치(215)에 의해 ATS(200)의 이상 동작이 신속하게 확인됨으로써 ATS(200)의 신속한 정상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한편, 상용전원이 정상 상태로 복구되면, ATS 제어기(210)는 발전 전원 스위치(226)와는 오프(OFF) 상태를 유지하고 상용전원 스위치(216)와는 온(ON) 상태를 유지하도록 다시 절체한다. 또한, ATS 제어기(210)는 발전기(220)에 정지 신호를 전달한다. 그 후, 정지 신호에 따라 발전기(220)의 가동이 정지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mmercial power is restored to the normal state,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ATS(200)에서는 타이머(211)에 의해 발전기(220)가 주기적으로 자동 시동 및 정지됨으로써 상용전원의 정전 발생시 발전기(220)의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또한 발전기(220)의 수명이 연장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또한, 본 고안의 ATS(200)에서는 모니터(260), 또는 외부 제어장치(280) 및 외부 모니터(282)에 의해 전원 관련 정보가 현장에서 또는 원격으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되어 갑작스런 상용전원의 정전 발생시에도 오일 부족 또는 발전기(220)의 불충분한 유지 보수로 인한 발전기(120)의 시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다양한 변형 예가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본 명세서에 기술되고 예시된 구성 및 방법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거나 첨부 도면에 도시된 모든 사항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고안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 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의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따라서만 정해져야 한다.Since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configurations and methods described and illustrated 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matter contained in the above description or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illustrative and is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It is not.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xemplary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only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원 절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power switch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의 자동 절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utomatic power supply switch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06153U KR200454645Y1 (en) | 2009-05-21 | 2009-05-21 | Automatic switching system of pow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06153U KR200454645Y1 (en) | 2009-05-21 | 2009-05-21 | Automatic switching system of pow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11645U KR20100011645U (en) | 2010-12-01 |
KR200454645Y1 true KR200454645Y1 (en) | 2011-07-19 |
Family
ID=44204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90006153U KR200454645Y1 (en) | 2009-05-21 | 2009-05-21 | Automatic switching system of pow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54645Y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17964B1 (en) * | 2017-08-30 | 2018-01-15 | 김명국 | System for supplying a emergency power on household |
KR101977621B1 (en) | 2018-10-17 | 2019-05-13 | (주)동현기술사사무소 | Emergency power supply switching system of data cent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29210B1 (en) * | 2020-04-29 | 2021-03-18 | 주식회사 이노비 | Automatic transfer switch device and controll method thereof |
CN113162215B (en) * | 2021-04-01 | 2023-06-02 | 中国电建集团华东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 Emergency power supply system for replacing offshore platform diesel generator system and control method |
KR102608280B1 (en) * | 2021-11-26 | 2023-11-30 |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 Systems for detecting and switching power outages in urban building environments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83306Y1 (en) * | 1999-12-31 | 2000-05-15 | 랜텍코리아 | Ups for long life battery and energysaving |
JP2001502519A (en) * | 1996-09-09 | 2001-02-20 | アクティブ パワ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tartup power to a GENSET-BACKED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
JP2008306851A (en) * | 2007-06-07 | 2008-12-18 | Hitachi Ltd | Emergency power facility management system, emergency power facility management method, emergency power facility management program |
-
2009
- 2009-05-21 KR KR2020090006153U patent/KR200454645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502519A (en) * | 1996-09-09 | 2001-02-20 | アクティブ パワ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tartup power to a GENSET-BACKED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
KR200183306Y1 (en) * | 1999-12-31 | 2000-05-15 | 랜텍코리아 | Ups for long life battery and energysaving |
JP2008306851A (en) * | 2007-06-07 | 2008-12-18 | Hitachi Ltd | Emergency power facility management system, emergency power facility management method, emergency power facility management program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17964B1 (en) * | 2017-08-30 | 2018-01-15 | 김명국 | System for supplying a emergency power on household |
KR101977621B1 (en) | 2018-10-17 | 2019-05-13 | (주)동현기술사사무소 | Emergency power supply switching system of data cent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11645U (en) | 2010-12-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825006C (en) | Uninterruptible power supplies for use in a distributed network | |
KR200454645Y1 (en) | Automatic switching system of power | |
KR101480770B1 (en) | Control Operating System And Method for Energy Development Source | |
JP2011055643A (en) | Power supply system | |
AU2012207388A1 (en) | Uninterruptible power supplies for use in a distributed network | |
KR101727060B1 (en) | Intergarated power management system including emergency diesel generator and energy storage system | |
JP5154625B2 (en) | Power supply system | |
JP2020517229A (en) | Overdischarge prevention and restart device for energy storage device and method | |
JP5842171B2 (en) | Management system | |
JP7009208B2 (en) | Smart meter communication device | |
JP2008180432A (en) | Centralized control system | |
KR101372375B1 (en) | Power generator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GB2532311A (en) | Power control circuit assembly for an electric door latch mechanism | |
WO2013136655A1 (en) | Charge/discharge control apparatus | |
KR101977621B1 (en) | Emergency power supply switching system of data center | |
JP5976597B2 (en) | Control device and power demand suppression system | |
KR101237286B1 (en) | Operating test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fer switch without electric power interruption | |
JP2004015035A (en) | Home power generation system | |
JP5223113B2 (en) | System and work space including power supply system and control device | |
CN212275920U (en) | UPS power supply discharge detection device and system | |
KR20180000111U (en) | Emergency generating system | |
JPH1052053A (en) | Power supply unit for computer | |
JPH09238433A (en) | Emergency power supply system for private power generator | |
JP6440401B2 (en) | Power supply device, check program thereof, and check method | |
KR101327443B1 (en) | Method and system for the power usage contro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90521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01109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1062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1071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10711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25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6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7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6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7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7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8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7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EXPY | Expiration of term | ||
U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9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