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54524Y1 - 크기조절이 가능한 접시 보관대 - Google Patents

크기조절이 가능한 접시 보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4524Y1
KR200454524Y1 KR2020080016997U KR20080016997U KR200454524Y1 KR 200454524 Y1 KR200454524 Y1 KR 200454524Y1 KR 2020080016997 U KR2020080016997 U KR 2020080016997U KR 20080016997 U KR20080016997 U KR 20080016997U KR 200454524 Y1 KR200454524 Y1 KR 2004545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guide rail
dish
lever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69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6689U (ko
Inventor
정동영
Original Assignee
(주)서브제로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브제로코리아 filed Critical (주)서브제로코리아
Priority to KR20200800169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524Y1/ko
Publication of KR201000066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6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5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52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6Stands, or holders for kitchen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incorporation of racks or supports, other than shelves, for household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20Grids, racks or other supports removably mounted in, on or over s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크기조절이 가능한 접시 보관대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접시 보관대는 접시가 놓이는 접시 안착부와, 상기 접시 안착부의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접시 안착부에 놓인 접시의 양측 외주면을 잡아주어 접시를 고정하는 접시 고정부와, 상기 접시 고정부의 하단부에 수직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접시 안착부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접시의 크기에 따라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접시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레일부 및 상기 가이드 레일부에 삽입되어 길이조절된 가이드 레일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레버부를 갖으며, 씽크대 선반 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면서도, 접시의 크기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크기의 접시를 보관함으로써 접시의 정리정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접시, 정리, 보관대, 씽크대, 선반, 길이조절, 크기조절

Description

크기조절이 가능한 접시 보관대{A DISH SAFEKEEPING APPARATUS CAPABLE OF SIZE ADJUSTMENT}
본 고안은 씽크대에 설치가능한 접시 보관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반의 내부 등 적당한 위치에 수납되며, 크기의 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크기의 접시를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는 접시 보관대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접시를 보관하기 위한 수단으로 그릇과 접시 등의 주방용품을 수납하는 그릇 보관함이 있고, 철사로 형성된 것으로 그릇과 접시가 용이하게 안치되는 재치대 등이 있다.
그런데, 상기 보관함과 재치대는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용량이 적고, 주로 씽크대 위에 올려놓고 사용하기 때문에 씽크대 위의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크기가 다양한 다수의 접시를 보관하기에는 적합하지가 못하다.
이와 같은 종래의 보관함과 재치대는 선반내부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으며 접시의 정리정돈이 잘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씽크대 선반 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면서도, 접시의 크기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크기의 접시를 보관함으로써 접시의 정리정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접시 보관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접시가 놓이는 접시 안착부와, 상기 접시 안착부의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접시 안착부에 놓인 접시의 양측 외주면을 잡아주어 접시를 고정하는 접시 고정부와, 상기 접시 고정부의 하단부에 수직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접시 안착부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접시의 크기에 따라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접시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레일부 및 상기 가이드 레일부에 삽입되어 길이조절된 가이드 레일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레버부를 갖는 크기조절이 가능한 접시 보관대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접시 고정부는 접시의 외주면을 안정적으로 잡아주도록 곡선형으로 이루어지며, 다수개의 접시를 적층하여 보관하도록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부는 각각의 접시 고정부의 하단부에 연결형성되고,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톱니부가 형성된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접시 안착부의 저면에 설치되며, 상기 톱니부가 양측에서 맞물려 회전하는 톱니바퀴로 이루 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부에 삽입되는 조절레버와, 상기 조절레버의 홈에 개재된 스프링과, 상기 조절레버의 끝단에 형성된 돌기로 구성되며, 상기 접시 안착부의 저면에는 상기 돌기가 맞물릴 수 있는 요철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조절레버를 올리면 상기 스프링을 가압하면서 상기 돌기가 상기 요철부에서 이탈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부의 길이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조절레버를 내리면 상기 스프링이 복원되면서 상기 돌기가 상기 요철부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가이드 레일부가 고정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접시 고정부의 내측면에는 접시를 적층할 때 접시의 외주면이 고정되도록 수평 고정홈이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접시의 크기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크기의 접시를 보관함으로써 접시의 정리정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시 보관대를 씽크대 선반에 수납함으로써, 씽크대 선반 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접시 보관대의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크기조절을 위해 간격이 벌어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접시 보관대는 접시가 놓이는 접시 안착부(10)와, 상기 접시 안착부(10)의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접시 안착부(10)에 놓인 접시의 양측 외주면을 잡아주어 접시를 고정하는 접시 고정부(20)와, 상기 접시 고정부(20)의 하단부에 수직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접시 안착부(10)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접시의 크기에 따라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접시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레일부(30)와, 상기 가이드 레일부(30)에 삽입되어 길이조절된 가이드 레일부(30)를 고정시키기 위한 레버부(40)로 구성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로서, 접시 보관대의 작동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저면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접시 안착부(10)는 접시를 얹어놓는 판으로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저면에는 마감판(13)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부(30)가 삽입가능한 가이드 레일 수용부(11)가 양측으로 구비된다.
이와 같은 접시 안착부(10)는 동그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접시를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접시 고정부(20)는 상기 접시 안착부(10)에 놓인 접시의 외주면을 안정적으로 잡아주도록 곡선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접시 고정부(20)는 다수개의 접시를 적층하여 보관하도록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씽크대 선반 내부에 접시 보관대가 수용가능하도록 대략 5~6개의 접시를 수납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접시 고정부(20)의 내측면에는 접시를 적층할 때 접시의 외주면이 고정되도록 수평 고정홈(21)이 다수개 형성되어 접시가 수납될 때 보관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부(30)는 각각의 접시 고정부(20)의 하단부에 수직으로 연장형성되어 'L'자형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부(30)는 상기 접시 안착부(10)의 수용부(11)에 끼워지는 가이드 레일(31)이 2개씩 형성되는데, 상기 가이드 레일(31) 중 한 개의 가이드 레일(31) 내측에는 길이방향으로 톱니부(32)가 형성된다.
상기 톱니부(32)는 접시 안착부(10)의 저면에 설치되는 톱니바퀴(33)와 맞물리는데, 상기 톱니바퀴(33)는 양측으로 상기 톱니부(32)가 맞물려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즉, 도 6a 내지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톱니바퀴(33)가 가운데 설치되어, 상기 톱니바퀴(33)의 양측으로 상기 톱니부(32)가 맞물려 이동함으로써, 상기 가이드 레일(31)의 왕복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며, 양측의 접시 고정부(20)가 동일한 간격으로 벌어졌다 오므라짐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레버부(4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레일부(30)에 삽입되는 조절레버(41)와, 상기 조절레버(41)의 홈(45)에 개재된 스프링(43)과, 상기 조절레버(41)의 끝단에 형성된 돌기(44)로 구성된다.
상기 레버부(40)의 저면에는 볼록한 회동중심축(42)이 형성되어 상기 회동중 심축(42)을 중심으로 상기 레버(41)를 들어올림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접시 안착부(10)의 저면에는 상기 돌기(44)가 맞물릴 수 있는 요철부(12)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접시 보관대의 작동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상기 레버부(40)의 돌기(44)가 상기 접시 안착부(10)의 요철부(12)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상기 조절레버(41)의 손잡이(46)를 올리면 상기 회동중심축(42)를 중심으로 조절레버(41)가 들어올려지는데, 이때 조절레버(41)가 상기 스프링(43)을 가압하면서 상기 돌기(44)가 상기 요철부(12)에서 이탈된다.(도 5b)
따라서, 상기 조절레버(41)를 올린 상태로 가이드 레일(31)을 잡아당기면 상기 가이드 레일부(30)의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접시 고정부(20) 간의 간격을 넓힐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 레일부(30)의 톱니부(32)가 톱니바퀴(33)와 맞물려 이동함으로써, 상기 가이드 레일(31)의 왕복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지며, 양측의 접시 고정부(20)가 동일한 간격으로 벌어졌다 오므라짐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간격을 넓힌 후, 상기 조절레버(41)를 내리면 도 5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43)이 복원되면서 상기 돌기(44)가 상기 요철부(12)에 끼워지어, 상기 가이드 레일부(30)의 길이가 조절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조절레버(41)는 양측의 가이드 레일부(30)에 개제되어 있으므로, 2개의 조절레버(41)를 같이 들어올리고 상기 가이드 레일(31)을 동시에 잡아당겨 양측으로 접시 고정부(20)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관하고자 하는 접시의 크기에 따라 접시 보관대의 크기를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의 접시를 수납 보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접시 보관대는 씽크대 선반이나 서랍에 수납이 가능하므로, 씽크대 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므로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크기조절을 위해 간격이 벌어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레버부를 도시한 것으로, 저면을 보인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고안의 레버부의 동작을 보인 요부 단면도,
도 6a 내지 도 6b는 본 고안의 가이드 레일부의 동작을 도시한 저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접시를 보관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접시 안착부 11 : 레일 수용부
12 : 요철부 20 : 접시 고정부
21 : 수평 고정홈 30 : 가이드 레일부
31 : 가이드 레일 32 : 톱니부
33 : 톱니바퀴 40 : 레버부
41 : 조절레버 42 : 회동중심축
43 : 스프링 44 : 돌기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접시가 놓이는 접시 안착부;
    상기 접시 안착부의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접시 안착부에 놓인 접시의 양측 외주면을 잡아주어 접시를 고정하는 접시 고정부;
    상기 접시 고정부의 하단부에 수직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접시 안착부에 삽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접시의 크기에 따라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접시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레일부; 및
    상기 가이드 레일부에 삽입되어 길이조절된 가이드 레일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레버부;
    를 갖으며,
    상기 레버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부에 삽입되는 조절레버와,
    상기 조절레버의 홈에 개재된 스프링과,
    상기 조절레버의 끝단에 형성된 돌기로 구성되며,
    상기 접시 안착부의 저면에는 상기 돌기가 맞물릴 수 있는 요철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조절레버를 올리면 상기 스프링을 가압하면서 상기 돌기가 상기 요철부에서 이탈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부의 길이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조절레버를 내리면 상기 스프링이 복원되면서 상기 돌기가 상기 요철부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가이드 레일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기조절이 가능한 접시 보관대.
  6. 삭제
KR2020080016997U 2008-12-22 2008-12-22 크기조절이 가능한 접시 보관대 KR2004545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997U KR200454524Y1 (ko) 2008-12-22 2008-12-22 크기조절이 가능한 접시 보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997U KR200454524Y1 (ko) 2008-12-22 2008-12-22 크기조절이 가능한 접시 보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689U KR20100006689U (ko) 2010-07-01
KR200454524Y1 true KR200454524Y1 (ko) 2011-07-11

Family

ID=44452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6997U KR200454524Y1 (ko) 2008-12-22 2008-12-22 크기조절이 가능한 접시 보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52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944Y1 (ko) * 2018-08-28 2019-04-08 김준영 채반용 지지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689U (ko) 201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9563B1 (ko) 식기세척기의 랙(rack) 높이 조절장치
US9763556B2 (en) Cutlery rack
US20170280966A1 (en) A dishwasher wire rack having an improved carrier adaptor tine assembly structure
US20120112019A1 (en) Modular beverage holder
ES2358542T3 (es) Bandeja para su fijación a la cesta de un lavavajillas.
CN204587517U (zh) 抽屉式鸡蛋存储装置
KR200454524Y1 (ko) 크기조절이 가능한 접시 보관대
KR101023619B1 (ko) 식기 건조대
CN109008333A (zh) 一种可调节高度的电视柜
KR100846263B1 (ko) 식기 세척기의 랙 높이조절장치
US3328024A (en) Drainage tray for surgical tables
JP3131381U (ja) らくらくモップ埃取り収納箱
CN210643263U (zh) 一种转屉机构以及柜子
JP5713653B2 (ja) 昇降棚装置
CN108158277A (zh) 一种具有可调节角度靠枕的床
KR101223231B1 (ko) 파티션 지지다리
KR101292089B1 (ko) 신발 정리대
KR20110003460U (ko) 테이블
JP5622329B2 (ja) 昇降テーブル
WO2016033516A1 (en) Portable table assembly
CN217311283U (zh) 一种碗盘架
JP3200034U (ja) ティッシュボックス固定具
KR200188099Y1 (ko) 서랍장
JP3158724U (ja) お玉置き
JP5506233B2 (ja) 昇降式吊戸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81222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10106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70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70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10705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506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