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54193Y1 - 철재가 절감되고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전지판 고정 구조 - Google Patents

철재가 절감되고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전지판 고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4193Y1
KR200454193Y1 KR2020090012944U KR20090012944U KR200454193Y1 KR 200454193 Y1 KR200454193 Y1 KR 200454193Y1 KR 2020090012944 U KR2020090012944 U KR 2020090012944U KR 20090012944 U KR20090012944 U KR 20090012944U KR 200454193 Y1 KR200454193 Y1 KR 2004541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bar
post
angle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29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3556U (ko
Inventor
전진용
Original Assignee
(주)지티씨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티씨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지티씨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20200900129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193Y1/ko
Publication of KR201100035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5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1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1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태양전지판을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철재의 양을 줄이면서 각도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철재가 절감되고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전지판 고정 구조에 관한 것이며, 기초콘크리트에 고정된 한쌍의 포스트위에 태양전지판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구조에 있어서, 외측포스트(11)의 사이에 중앙포스트(12)가 추가되어 포스트(10)가 형성되고, 외측포스트(11)와 중앙포스트(12)의 상단에 상부고정판(20)이 고정되어 사각바(30)의 중심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중앙포스트(12)에서 사각바(30)의 일측과 상부고정판(20)에 각도조절장치(50)가 설치되어 한명의 작업자에 의해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될 뿐만 아니라 외측포스트(11) 상단 사이에 고정되던 중앙가로바가 제거되어 철재가 절감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2020090012944
태양전지판, 고정, 각도조절, 철재, 사각바

Description

철재가 절감되고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전지판 고정 구조 { A fixing structure of solar cell having an angle adjusting device and reducing iron material }
본 고안은 철재가 절감되고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전지판 고정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전지판을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철재의 양을 줄이면서 각도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철재가 절감되고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전지판 고정 구조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발전의 장점은 공해가 없고, 필요한 장소에 필요한 만큼만 발전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것이다. 반면에 전력생산량이 일조량에 의존하고, 설치 장소가 한정적이며, 초기 투자비와 발전단가가 높은 단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적용되는 집광패널 즉 태양전지판체는, 통상 판상의 구조를 취하며 그 외형이 직사각을 이루며 형성되어 이들의 배열을 통해 태양광을 집광하게 된다.
상기한 집광패널은, 프레임에 체결구 등을 통해 배열 고정되는데 이때 집광 패널 하나 하나 체결구를 통해 프레임에 고정시켜야 된다.
이러한 태양전지판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콘크리트(3) 위에 수직으로 포스트(2)가 고정되고, 두개의 포스트(2) 사이에 중앙가로바(4) 각도조절장치(5)에 의하여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중앙가로바(4)의 상부에 다수개의 사각바(6)가 중앙가로바(4)와 직교하도록 고정되며, 다수개의 사각바(6)를 가로질러 다수개의 C채널(7)이 길이 방향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중앙가로바(4)는 태양전지판(1)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하여 포스트(2)와 같은 굵기의 철재를 사용하여 두개의 포스트(2) 사이에 설치되게 되므로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양쪽 포스트(2)에서 동시에 각도조절장치(5)를 구동하여야 하므로 각도를 조절할 때 2인 1조로 작업을 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각도조절장치(5)는 중앙가로바(4)를 양쪽에서 회전시키므로 두사람이 동시에 회전시키고 고정시켜야 하므로 작업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그리고 중앙가로바(4)는 포스트와 같은 굵기의 철재를 사용하므로 무겁고, 중앙가로바(4) 위에 사각바(6)가 고정되고, 사각바(6)위에 다시 C채널(7)이 고정된 상태에서 모든 하중을 지탱하는 중앙가로바(4)가 각도조절장치(5)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면서 포스트(2)에 지지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중량에 의해 각도조절장치(5)가 파손되기 쉽고, 설치하기도 어렵다.
그리고 두개의 포스트에 과다한 중량이 지탱되어야 하므로 기초콘크리트의 크기를 크게 형성하여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두개의 외측포스트의 사이에 중앙포스트를 두고, 중앙포스트에 각도조절장치를 설치하여 한명의 작업자가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하며, 중량의 중앙가로바를 제거하여 철재를 절약하게 하고자 한다. 또한 중앙가로바를 없앰으로서 중앙가로바와 사각바와 체결구조를 없애고자 한다.
그리고 태양전지판이 고정되는 C채널을 포스트 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사각바 위에 횡으로 고정하여 안정적인 지지가 되게 하므로 포스트 하부의 기초콘크리트를 작게 형성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각도조절장치를 간편하게 형성하여 한사람의 작업자가 용이하게 각도조절을 할 수 있게 구성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초콘크리트에 고정된 한쌍의 포스트위에 태양전지판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구조에 있어서, 외측포스트의 사이에 중앙포스트가 추가되어 포스트가 형성되고, 외측포스트와 중앙포스트의 상단에 상부고정판이 고정되어 사각바의 중심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중앙포스트에서 사각바의 일측과 상부고정판에 각도조절장치가 설치되어 한명의 작업자에 의해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될 뿐만 아니라 외측포스트를 잇는 중앙가로바가 제거되어 철재가 절감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부고정판은 포스트의 상단에 고정되는 판체의 양측에 포스트에서 돌출되도록 바고정부가 형성되고, 바고정부에 장공이 형성되며, 두개의 외측포스트에 고정된 상부고정판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의 바고정부에 힌지브라켓이 고정되고, 중앙포스트에 고정된 상부고정판은 힌지브라켓이 중앙에 고정되며, 중앙포스트에 고정된 상부고정판의 양쪽 바고정부에 각도조절브라켓의 일단이 각각 고정되어 각도조절브라켓의 타단에 각도조절장치가 고정되고, 각도조절장치는 사각바 형상의 각도조절바의 상단에 힌지가 형성되어 중앙포스트에 고정된 사각바의 일측에 고정되고, 각도조절바에 다수개의 홈부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홈부에 삽입되는 걸림봉이 각도조절바를 둘러싸는 ㄷ자 형상의 조절체의 양단에 고정되되 동시에 각도조절브라켓의 단부에 고정되고, 조절체의 중앙에 조절볼트가 체결되어 조절볼트의 단부가 각도조절바를 밀어 걸림봉이 홈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가 절감되고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전지판 고정 구조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두개의 외측포스트와 1개의 중앙포스트를 하나의 셋트로 하여 고정되고 각각의 포스트의 상부에 사각바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사각바에 고정된 C채널에 의해 태양전지판이 고정되므로 적은 철재를 이용한 구조임에도 풍압과 태양전지판의 중량에 견고하게 지탱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같이 구성하여 기초는 지내력 5.0 t/m2을 가정하였으며, 동결선을 GL-800mm로 하여 기초 춤을 800mm로 하였다. 풍하중이 클경우 발전기는 수평 15 각분 이 되도록 조정되므로 풍하중에 대하여 구조물을 수평 15 각분으로 하여 해석 및 설계하여 구조 계산을 하면 2/3 이하의 철재를 사용하였음에도 동일하거나 나은 구조 강도를 가지는 결과를 얻었다.
그리고 각도조절장치는 혼자서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중앙포스트에 설치하되 조절볼트로 홈부에서 벗어나게 하여 조절하고 조절한 각도에서 조절볼트를 조이면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으므로 각도조절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사각바가 각각 포스트 상단에 직접 고정되어 회전하게 되므로 지지력이 뛰어나게 되는 효과가 있고, 외측포스트에는 상부고정판의 일측 바고정부에 사각바가 고정되고, 사각바 3개로 이루어지는 다른 셋트의 사각바가 타측 바고정부에 고정되게 되어 편리하게 연속하여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되지 않고,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고안은 기초콘크리트에 고정된 한쌍의 포스트위에 태양전지판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구조에서, 포스트와 동일한 굵기의 철재를 사용하여 포스트와 포스 트 사이를 연결 고정하여 태양전지판의 하중을 지탱하는 구조를 개선하여 적은 철재로 풍압과 태양전지판의 하중을 용이하게 견디고, 한명의 작업자가 태양전지판의 각도조절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포스트(10)는 두개의 외측포스트(11)와 외측포스트(11)의 사이에 추가되는 중앙포스트(12)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외측포스트(11)와 중앙포스트(12)의 하단에는 베이스판(13)이 고정되어 기초콘크리트에 앵커볼트로 고정된다. 이때 베이스판(13)의 둘레에 리브(13-1)를 고정하여 기울어짐에 대한 저항력을 증대시킨다.
종래와 달리 본 고안에서는 포스트(10)의 상부에 상부고정판(20)을 고정하고, 상부고정판(20)에 사각바(30)를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며, 3개의 사각바(30)에 C채널(40)을 다수개 고정하여 태양전지판(1)을 고정한다.
외측포스트(11)와 중앙포스트(12)의 상단에 각각 상부고정판(20)이 고정되어 사각바(30)의 중심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중앙포스트(12)에서 사각바(30)의 일측과 상부고정판(20)에 각도조절장치(50)가 설치되어 한명의 작업자에 의해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될 뿐만 아니라 외측포스트(11)를 잇는 중앙가로바가 제거되어 철재가 절감되도록 구성된다.
종래에 사용되던 중앙가로바는 포스트 사이에 설치되는 태양전지판의 하중을 지탱하기 위하여 설치되던 것이나, 이러한 중앙가로바는 하중을 지탱하기 위하여 포스트와 동일한 굵기의 철재를 사용하므로 소요되는 비용이 증대되는 원인이 되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구조를 개선하여 적은 철재로 풍압이나 태양전지판의 하중 에 견딜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부고정판(20)은 포스트(10)의 상단에 고정되는 판체(21)의 양측에 포스트(10)에서 돌출되도록 바고정부(22)가 형성되고, 바고정부(22)에 장공(23)이 두개 이상 형성된다.
두개의 외측포스트(11)에 고정된 상부고정판(20)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의 바고정부(22)에 힌지브라켓(24)이 고정되고, 중앙포스트(12)에 고정된 상부고정판(20)은 힌지브라켓(24)이 중앙에 고정된다. 그러므로 외측포스트(11)에 고정된 상부고정판(20)의 다른쪽 바고정부(22)는 인접한 셋트의 사각바(30)가 고정된다.
중앙포스트(12)에 고정된 상부고정판(20)의 양쪽 바고정부(22)에 각도조절브라켓(54)의 일단이 각각 고정되어 각도조절브라켓(54)의 타단에 각도조절장치(50)가 고정된다.
각도조절장치(50)는 사각바 형상의 각도조절바(51)의 상단에 힌지(53)가 형성되어 중앙포스트(12)에 고정된 사각바(30)의 일측에 고정되고, 사각바(30)는 중앙 저부에 형성된 힌지브라켓(31)이 중앙포스트(12)의 힌지브라켓(24)과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각도조절바(51)에 다수개의 반원형 홈부(52)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홈부(52)에 삽입되는 걸림봉(56)이 각도조절바(51)를 둘러싸는 ㄷ자 형상의 조절체(55)의 양단에 고정된다. 각도조절바(51)를 조절체(55)가 둘러싼 상태에서 걸림봉(56)이 고정되되 걸림봉(56)은 각도조절브라켓(54)의 단부에 조절체(55)와 같이 고정된다.
조절체(55)의 중앙에 형성된 홀에 체결되는 조절볼트(57)는 회전하면서 조절볼트(57)의 단부가 각도조절바(51)를 밀어 걸림봉(56)이 홈부(52)에 삽입되게 한다.
조절볼트(57)가 각도조절바(51)를 밀게 되면 조절체(55)에 고정된 걸림봉(56)이 홈부(52)에 삽입된 채로 이탈되지 않게 고정해준다.
도 1은 종래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전지판 고정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철재가 절감되고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전지판 고정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철재가 절감되고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전지판 고정 구조를 도시한 저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철재가 절감되고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전지판 고정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철재가 절감되고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전지판 고정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철재가 절감되고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전지판 고정 구조의 각도조절장치를 도시한 상세도.
도 7은 본 고안의 철재가 절감되고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전지판 고정 구조의 각도조절장치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 태양전지판 2 : 포스트
3 : 기초콘크리트 4 : 중앙가로바
5 : 각도조절장치 6 : 사각바
7 : C채널 10 : 포스트
11 : 외측포스트 12 : 중앙포스트
13 : 베이스판 13-1 : 리브
20 : 상부고정판 21 : 판체
22 : 바고정부 23 : 장공
24 : 힌지브라켓 30 : 사각바
31 : 힌지브라켓 40 : C채널
50 : 각도조절장치 51 : 각도조절바
52 : 홈부 53 : 힌지
54 : 각도조절브라켓 55 : 조절체
56 : 걸림봉 57 : 조절볼트

Claims (3)

  1. 삭제
  2. 기초콘크리트에 고정된 한쌍의 포스트위에 태양전지판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구조에 있어서,
    외측포스트(11)의 사이에 중앙포스트(12)가 추가되어 포스트(10)가 형성되고, 외측포스트(11)와 중앙포스트(12)의 상단에 상부고정판(20)이 고정되어 사각바(30)의 중심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중앙포스트(12)에서 사각바(30)의 일측과 상부고정판(20)에 각도조절장치(50)가 설치되어 한명의 작업자에 의해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될 뿐만 아니라 외측포스트(11) 상단 사이에 고정되던 중앙가로바가 제거되어 철재가 절감되도록 구성되고, 상부고정판(20)은 포스트(10)의 상단에 고정되는 판체(21)의 양측에 포스트(10)에서 돌출되도록 바고정부(22)가 형성되며, 바고정부(22)에 장공(23)이 형성되고, 두개의 외측포스트(11)에 고정된 상부고정판(20)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의 바고정부(22)에 힌지브라켓(24)이 고정되며, 중앙포스트(12)에 고정된 상부고정판(20)은 힌지브라켓(24)이 중앙에 고정되고, 중앙포스트(12)에 고정된 상부고정판(20)의 양쪽 바고정부(22)에 각도조절브라켓(54)의 일단이 각각 고정되어 각도조절브라켓(54)의 타단에 각도조절장치(50)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가 절감되고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전지판 고정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각도조절장치(50)는 사각바 형상의 각도조절바(51)의 상단에 힌지(53)가 형성되어 중앙포스트(12)에 고정된 사각바(30)의 일측에 고정되고, 각도조절바(51)에 다수개의 홈부(52)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홈부(52)에 삽입되는 걸림봉(56)이 각도조절바(51)를 둘러싸는 ㄷ자 형상의 조절체(55)의 양단에 고정되되 동시에 각도조절브라켓(54)의 단부에 고정되고, 조절체(55)의 중앙에 조절볼트(57)가 체결되어 조절볼트(57)의 단부가 각도조절바(51)를 밀어 걸림봉(56)이 홈부(52)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가 절감되고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전지판 고정 구조.
KR2020090012944U 2009-10-05 2009-10-05 철재가 절감되고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전지판 고정 구조 KR2004541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944U KR200454193Y1 (ko) 2009-10-05 2009-10-05 철재가 절감되고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전지판 고정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944U KR200454193Y1 (ko) 2009-10-05 2009-10-05 철재가 절감되고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전지판 고정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556U KR20110003556U (ko) 2011-04-13
KR200454193Y1 true KR200454193Y1 (ko) 2011-06-21

Family

ID=44208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2944U KR200454193Y1 (ko) 2009-10-05 2009-10-05 철재가 절감되고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전지판 고정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19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23707A (zh) * 2017-09-19 2019-03-26 上海享篮信息科技有限公司 共享篮球柜
KR101939172B1 (ko) * 2018-02-09 2019-01-16 김미영 태양광 패널 지지용 기둥 설치를 위한 기초 형성체 및 태양광 패널 지지용 기둥 설치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1123A (ja) 1998-09-25 2000-04-07 Aichi Electric Co Ltd 太陽電池取付架台装置
JP2005317588A (ja) 2004-04-27 2005-11-10 Kyocera Corp 太陽光発電装置
JP2007258357A (ja) 2006-03-22 2007-10-04 Sharp Corp 追尾型太陽光発電装置
KR20090096281A (ko) * 2008-03-07 2009-09-10 (주) 인디고텍 태양광 전지판의 경사각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1123A (ja) 1998-09-25 2000-04-07 Aichi Electric Co Ltd 太陽電池取付架台装置
JP2005317588A (ja) 2004-04-27 2005-11-10 Kyocera Corp 太陽光発電装置
JP2007258357A (ja) 2006-03-22 2007-10-04 Sharp Corp 追尾型太陽光発電装置
KR20090096281A (ko) * 2008-03-07 2009-09-10 (주) 인디고텍 태양광 전지판의 경사각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556U (ko) 2011-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94596B2 (en) Racking assemblies for solar panel installations
EP2413063B1 (en) Slider clip and photovolatic structure mounting system
KR101190695B1 (ko) 조립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
US8468755B2 (en) Solar array support structure
KR101868750B1 (ko) 고정가변형 태양광모듈 지지구조물
KR101700678B1 (ko) 태양광 어레이의 경사각 및 설치폭 조절형 지지장치
CN204794831U (zh) 调平柔性光伏支架
WO2014004275A1 (en) Framing system for mounting solar collecting devices
JP3165884U (ja) 太陽電池パネル装置の基礎架台構造
JP2015220845A (ja) ソーラーパネル用架台
CN114977994B (zh) 柔性光伏支架及光伏系统
KR200454193Y1 (ko) 철재가 절감되고 각도조절이 가능한 태양전지판 고정 구조
KR101796966B1 (ko) 태양광발전모듈 지지구조
JP5622709B2 (ja) 太陽光発電パネルフレームの支持架台構造
KR200462612Y1 (ko) 태양전지판 고정 프레임 지주 고정 구조
KR102237551B1 (ko) 태양광발전장치의 지주구조체
KR101716662B1 (ko) 프레임리스 태양광 모듈 및 이를 지지하는 지지 구조물
KR101717262B1 (ko) 조립식 설치구조를 갖는 태양광 발전장치
KR102112502B1 (ko) 체결볼트로 결합되는 조립형 태양광 구조물
AU2021310874B2 (en) Supporting structure for supporting solar modules and ceiling elements
CN202839658U (zh) 一种倾角可调式光伏支架
JP3178584U (ja) 太陽電池パネルの架台装置
CN104104319A (zh) 一种单立柱手动可调式地面固定支架及其安装方法
KR200454379Y1 (ko) 태양광발전장치의 지주 보강구조
JP2014148820A (ja) 太陽電池アレイの据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91005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10309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0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61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1061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3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20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