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53672Y1 - 파레트 - Google Patents

파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3672Y1
KR200453672Y1 KR20080010503U KR20080010503U KR200453672Y1 KR 200453672 Y1 KR200453672 Y1 KR 200453672Y1 KR 20080010503 U KR20080010503 U KR 20080010503U KR 20080010503 U KR20080010503 U KR 20080010503U KR 200453672 Y1 KR200453672 Y1 KR 2004536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pallet
core
cover sheet
bond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0800105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1668U (ko
Inventor
윤항노
하로우 쿠레하라
Original Assignee
하로우 쿠레하라
윤항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로우 쿠레하라, 윤항노 filed Critical 하로우 쿠레하라
Priority to KR200800105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672Y1/ko
Publication of KR201000016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6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6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672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레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시트(20)에 서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다각기둥 형상의 코어(24)가 다수 개 형성된다. 상기 시트(20)에는 커버시트(30)가 상기 코어(24)를 감싸서 상기 시트(20)와의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도록 접착된다. 상기 시트(20) 또는 커버시트(30)에는 다수개의 지지레그(40)가 접착되어 상기 지지레그(40) 사이에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무게비 강도 측면에서 뛰어난 특성을 가진 육각 기둥 형상의 코어(24)를 적재판재(10)로 사용하여 재료비가 절감되고, 적재판재(10)를 구성하는 시트(20)와 커버시트(30)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외부의 충격에 강하다는 이점이 있다.
대차, 플라스틱, 합성수지, 적재판재, 시트

Description

파레트{Pallet}
본 고안은 파레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출 및 내수용 물품의 운송이나 상,하역작업 등에 이용되는 물건 적재용 파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레트는 물건을 포장한 박스 등을 다수개 적재시켜 놓을 수 있도록 하며, 지게차를 이용하여 파레트를 들어 운반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하역작업에 있어서, 기타 장소 또는 운반차량에 의해 옮기는데 사용되고 있다
참고로, 파레트는 그 강도에 따라서 적게는 300Kg 에서 많게는 톤(ton)급으로 물건을 적재할 수 있다. 또한, 파레트는 일정간격의 목재를 판재로 켜서 파레트의 기본 골격이 되는 지지부재에 다수열로 부착하여 사용하도록 하기도 한다.
통상적으로 파레트는 목재로 된 판재와 각목을 조합하여 상판부와 하판부를 구성하되, 파레트의 정면 또는 측면에는 지게차의 포크가 인입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사각형의 단면적을 갖는 목재소재의 지지목을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위치시키고, 그 상부에는 상판부를 이루기 위한 판재를 일정간격으로 두어 못으 로서 이들을 결합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파레트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파레트(1)는 상판 및 하판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보강판(2)과, 물건이 적재되는 적재판재(4) 및 이들 사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부재(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파레트(1)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다수개의 지지부재(6)의 상부와 하부에 상기 보강판(2) 및 적재판재(4)가 서로 반복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판(2) 및 적재판재(4)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부재(6)에 체결되는 고정수단(도시되지 않음)을 사용하여 상기 보강판(2) 및 적재판재(4)를 상기 지지부재(6)에 고정하게 된다.
상기 보강판(2) 및 전재판재(4)에는 물건을 포장한 박스 등이 적재되며, 상기 지지부재(6) 각각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지게차의 포크가 인입되어 상기 파레트(1)를 이동시키기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파레트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수출 및 내수용 물품의 운송이나 상,하역작업 등에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는 목재파레트의 경우에는 날로 그 자원이 고갈되고 있는 실정이고 목재에 기생하고 있는 해충과 함께 이동하기 때문에 별도의 방균, 방충 처리를 하게 됨으로써 원가가 상승되며, 각국에서 목재파레트의 사용과 수입을 금지하고 있고, 수분에 취약한 특성으로 인하여 그 사용이 급격하게 줄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플라스틱 파레트의 경우에는 강도가 높고 수분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으나, 강도가 향상되도록 성형하기 때문에 원자재가 많이 소모되어 무겁고 제조원가가 비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정한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원자재의 사용이 적은 파레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상의 코어가 다수 개 형성되는 시트와; 상기 코어의 선단면과 상기 시트의 가장자리에 각각 접착되어 상기 시트와의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는 커버시트와; 상기 시트 또는 상기 커버시트에 접착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지지레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코어는 육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코어는 상기 시트를 프레스가공 또는 진공성형하여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시트 및 상기 커버시트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상기 지지레그가 접착되는 평판부 및 안착부가 상기 코어와 간섭이 방지되도록 각각 형성되어 서로 접착되고, 상기 코어를 감싸는 상기 커버시트의 일부는 상기 코어 각각의 선단과 접착된다.
상기 지지레그는, 내부가 빈 원형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외 측리브와, 상기 외측리브의 내부에 구비되는 내측리브와, 상기 내측리브의 외주면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보강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시트와 커버시트는 동일계열의 합성수지재가 사용된다.
상기 시트와 커버시트는 타르크가 포함된 접착제를 사용하여 초음파실링 또는 열접착에 의해 접착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무게비 강도 측면에서 뛰어난 특성을 가진 육각 기둥 형상의 코어를 적재판재로 사용하여 재료비가 절감되고, 적재판재를 구성하는 시트와 커버시트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외부의 충격에 강하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적재판재 및 지지레그는 동일계열의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여 재활용이 용이하고, 목재를 사용한 파레트에 비해 방역처리가 용이하여 수출입과정에서 통관처리가 쉽게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파레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파레트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파레트 구성의 일부가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시트와 커버시트의 결합상 태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5a에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시트의 구성이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물건 등이 적재되는 적재판재(10)는 플라스틱 재질의 시트(20)와 상기 시트(20)의 일부를 외부로부터 차폐하는 커버시트(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시트(20)와 커버시트(30)로 구성되는 상기 적재판재(10)가 파레트의 상판과 하판으로 사용되며, 상기 시트(20)는 제1시트(20a) 및 제2시트(20b)로 구분되고, 상기 커버시트(30)는 제1커버시트(30a) 및 제2커버시트(30b)로 구분된다. 상기 시트(20)와 커버시트(30)는 동일계열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평판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합성수지재의 시트(20)와 커버시트(30)는 펄프로 이루어진 것에 비해 강도가 월등히 우수할 뿐만 아니라 공기 중에 존재하는 습기 등의 수분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는 문제도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시트(20)는 성형부(22)와 평판부(26)로 구성된다. 상기 성형부(22)에는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코어(24)가 형성된다. 상기 코어(24)는 프레스성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진공성형에 의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어(24)는 다각기둥형상으로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코어(24)의 타측 내부는 외부와 연통된다. (도 4 참조)
상기 코어(24)는 원기둥, 삼각기둥, 사각기둥 또는 오각 이상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육각 기둥 형상의 코어(24)가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다. 이와 같은 육각 기둥 형상의 상기 코어(24)는 무게비 강도 측 면에서 여타 재료와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매우 뛰어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 시트(20)는 설계조건에 따라 활용 가능한 다양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고, 재질에 따른 적합한 가공방법들, 즉 사출성형, SMC 성형법 (Sheet Molding Compound), BMC 성형법(Bulk Molding Compound), 펄프몰딩(Pulp molding), RIM 성형법(Reaction Injection Molding), RTM 성형법(Resin Transfer Molding) 등의 성형방법을 사용하여 육각기둥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평판부(26)는 상기 시트(20)의 가장자리를 둘러서 형성된다.(도 5a 참조) 상기 평판부(26)는 상기 코어(24)가 형성되지 않은 편평한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시트(20)의 각 모서리와 모서리 각각의 사이 및 상기 시트(20)의 중앙에 상기 평판부(26)가 형성된다. 상기 평판부(26)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안착부(34)가 접착된다.
한편, 상기 시트(20)에는 커버시트(30)가 접착된다. 상기 커버시트(30)는 상기 코어(24)의 선단에 접착되어 상기 시트(20)와 상기 커버시트(30)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상기 시트(20)와 상기 커버시트(30)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면 상기 적재판재(1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상기 적재판재(10)의 강도를 향상시킨다.
상기 커버시트(30)는 상기 코어(24)의 선단에 접착되는 커버부(32)와 상기 평판부(26)에 접착되는 안착부(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커버시트(30)는 타르크(Talc)가 포함된 접착제를 사용하여 초음파실링에 의해 상기 시트(20)에 접착된다.
상기 안착부(34)는 상기 커버부(32)에 단차지게 구비된다. 상기 안착부(34)와 상기 커버부(32) 각각의 평면은 상기 코어(24)의 돌출높이만큼 떨어져 있다. 상기 커버부(32)는 상기 코어(24)를 감싸서 상기 시트(20)의 일단에 접착된다. 상기 안착부(34)에는 지지레그(40)가 안착되어 접착된다.
상기 지지레그(40)의 외관은 내부가 빈 외측리브(42)가 형성한다. 상기 외측리브(42)는 상기 평판부(26) 및 상기 안착부(34)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외측리브(42)는 상기 평판부(26) 및 상기 안착부(34)의 형상에 따라 원기둥이나 다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외측리브(42)의 모서리부분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외측리브(42)의 내부에는 내측리브(44)가 보강리브(46)에 의해 상기 외측리브(42)의 내면에 연결된다. 상기 내측리브(44)는 다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보강리브(46)는 상기 내측리브(44)의 외주면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외측리브(42)의 내면에 연결된다. 상기 외측리브(42), 내측리브(44) 및 보강리브(46)는 서로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레그(40)는 각각 파레트의 상판과 하판을 형성하는 상기 적재판재(10) 각각의 사이에 구비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지지레그(40)의 선단과 후단은 상기 적재판재(10) 각각의 평판부(26) 또는 안착부(34)에 접착된다.
상기 시트(20), 커버시트(30) 및 지지레그(40)는 다양한 방법으로 접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시트(20), 커버시트(30) 및 지지레그(40) 각각의 접착면에 타르크(talc)가 포함된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용융물질을 삽입시켜 초음파실링에 의해 접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은 설계조건에 따라 접착제 및 용융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열접착을 통하여 접착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파레트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시트(20)의 성형부(22)에 다수개의 코어(24)를 형성시킨다. 상기 코어(24)는 진공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커버시트(30)의 커버부(32)가 상기 시트(20)의 코어(24)를 감싸고, 상기 커버시트(30)의 안착부(34)가 상기 시트(20)의 평판부(26)에 대응되도록 상기 커버시트(30)를 위치시킨다. 상기 코어(24)의 선단과 상기 커버부(32)의 접합면, 그리고 상기 평판부(26)와 상기 안착부(34)의 접착면에 타르크가 포함된 접착제 또는 용융물질을 도포하여 상기 시트(20)와 커버시트(30)를 접착시킨다. 상기 시트(20)와 커버시트(30)는 설계조건에 따라 초음파실링 또는 열접착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시트(20)와 커버시트(30)가 결합되면, 상기 시트(20)와 커버시트(30)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적재판재(10)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적재판재(10)는 파레트의 상판과 하판으로 사용되며, 상기 적재판재(10) 각각의 사이에는 다수개의 지지레그(40)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레그(40)의 양단은 각각 상기 커버시트(30)의 안착부(34)에 접착된다. 상기 지지레그(40)와 상 기 안착부(34)의 접착 역시 상기 시트(20) 및 커버시트(30)의 접착과정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상하로 구비된 적재판재(10)와 지지레그(40)로 이루어진 파레트에는 물건이 적재된다. 지게차의 포크는 상기 지지레그(40) 각각의 사이에 형성된 상기 수용공간(50)에 삽입되어 상기 파레트를 들어올린 후 목적된 장소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무게비 강도 측면에서 뛰어난 특성을 가진 육각 기둥 형상의 코어(24)를 적재판재(10)로 사용하게 되면, 재료비가 절감된다. 또한, 상기 시트(20)와 커버시트(30)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외부의 충격에 강하다.
그리고, 상기 적재판재(10) 및 지지레그(40)는 동일계열의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여 재활용이 뛰어나고, 목재를 사용한 파레트에 비해 방역처리가 용이하여 수출입과정에서 통관처리가 쉽게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시트(20)의 가장자리에 상기 코어(24)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평판부(26)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시트(30)에는 상기 평판부(26)에 대응되는 안착부(34)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레그(40)의 설치를 안내하고 있으나, 설계조건에 따라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20) 전체에 상기 코어(24)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시트(20) 전체에 상기 코어(24)가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코어(24)의 선단이 상기 커버시트(30)를 통해 상기 지지레그(40)의 양단을 지지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파레트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파레트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파레트 구성의 일부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시트와 커버시트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시트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5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 시트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적재판재 20: 시트
22: 성형부 24: 코어
26: 평판부 30: 커버시트
32: 커버부 34: 안착부
40: 지지레그 42: 외측리브
44: 내측리브 46: 보강리브
50: 수용공간

Claims (7)

  1.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상의 코어가 다수 개 형성되는 시트와;
    상기 코어의 선단면과 상기 시트의 가장자리에 각각 접착되어 상기 시트와의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는 커버시트와;
    상기 시트 또는 상기 커버시트에 접착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지지레그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시트 및 상기 커버시트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상기 지지레그가 접착되는 평판부 및 안착부가 상기 코어와 간섭이 방지되도록 각각 형성되어 서로 접착되고, 상기 코어를 감싸는 상기 커버시트의 일부는 상기 코어 각각의 선단과 접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레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육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레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상기 시트를 프레스가공 또는 진공성형하여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레트.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레그는,
    내부가 빈 원형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외측리브와,
    상기 외측리브의 내부에 구비되는 내측리브와,
    상기 내측리브의 외주면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보강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레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와 커버시트는 동일계열의 합성수지재가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레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와 커버시트는 타르크가 포함된 접착제를 사용하여 초음파실링 또는 열접착에 의해 접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레트.
KR20080010503U 2008-08-06 2008-08-06 파레트 Expired - Fee Related KR2004536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10503U KR200453672Y1 (ko) 2008-08-06 2008-08-06 파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10503U KR200453672Y1 (ko) 2008-08-06 2008-08-06 파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668U KR20100001668U (ko) 2010-02-17
KR200453672Y1 true KR200453672Y1 (ko) 2011-05-19

Family

ID=44449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10503U Expired - Fee Related KR200453672Y1 (ko) 2008-08-06 2008-08-06 파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67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542Y1 (ko) 2016-07-05 2016-10-12 이혜숙 파레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07910B2 (en) * 2001-10-19 2004-10-26 Rehrig Pacific Company Pallet assembly
US7143564B2 (en) * 2003-11-19 2006-12-05 Sonoco Development, Inc. Reinforced fiber panel and method of forming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07910B2 (en) * 2001-10-19 2004-10-26 Rehrig Pacific Company Pallet assembly
US7143564B2 (en) * 2003-11-19 2006-12-05 Sonoco Development, Inc. Reinforced fiber panel and method of form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668U (ko) 2010-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9477B2 (en) Pallet and transportation container
KR100985998B1 (ko) 경량 팰릿
KR20090084596A (ko) 철재 팔레트
KR101115606B1 (ko) 팔레트의 강도 보강구조
KR200453672Y1 (ko) 파레트
KR200382461Y1 (ko) 종이팔레트용 보강부재 및 그 보강부재를 구비한종이팔레트
KR101518755B1 (ko) 합성수지재 팔렛트
KR102026668B1 (ko) 가변형 파렛트
KR102026671B1 (ko) 가변형 파렛트
KR100899250B1 (ko) 폐비닐 재활용 합성수지재를 이용한 팔레트 및 그것의 제조방법
KR200400826Y1 (ko) 버팀목 지지구조를 갖는 파레트
KR100304597B1 (ko) 철재 파렛트
KR101840709B1 (ko) 파렛트
KR20120003528U (ko) 기능성 파렛트
KR200462032Y1 (ko) 파레트 다리 및 그것을 포함하는 파레트
CN220315641U (zh) 包装纸箱加强纸板和加强包装纸箱
KR102771673B1 (ko) 친환경 종이파렛트
KR102026673B1 (ko) 가변형 파렛트
KR102026666B1 (ko) 가변형 파렛트
KR102026669B1 (ko) 가변형 파렛트
KR20100009957U (ko) 물품 적재용 팔레트
KR100783323B1 (ko) 종이 팔레트
KR20110008372A (ko) 종이 파렛트
JPH1159677A (ja) パレット
KR20090091563A (ko) 펄프 성형물로 제작된 파레트 및 파레트용 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80806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00728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0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51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1051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9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604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