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53320Y1 - 충격완화장치를 갖춘 트리머 헤드 - Google Patents

충격완화장치를 갖춘 트리머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3320Y1
KR200453320Y1 KR2020100012932U KR20100012932U KR200453320Y1 KR 200453320 Y1 KR200453320 Y1 KR 200453320Y1 KR 2020100012932 U KR2020100012932 U KR 2020100012932U KR 20100012932 U KR20100012932 U KR 20100012932U KR 200453320 Y1 KR200453320 Y1 KR 2004533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el
operation knob
hole
housing
trimmer hea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29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석경
박재경
Original Assignee
박재경
함석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경, 함석경 filed Critical 박재경
Priority to KR20201000129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3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3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320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416Flexible line cutters
    • A01D34/4166Mounting or replacement of the 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416Flexible line cutters
    • A01D34/4167Protec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416Flexible line cutters
    • A01D34/4168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flexible l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예초작업중에 지면과의 마찰로 인하여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조작노브가 손상 및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고, 충격완화 장치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구조의 트리머 헤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트리머 헤드는 조작노브(30)가 릴(20)과 별도로 구성되어 보조스프링(80)에 의해 하측으로 가압되므로, 예초작업중 조작노브(30)가 땅바닥 등에 부딪혔을 때, 조작노브(30)만 승강되면서 충격을 흡수 및 완화하므로, 조작노브(30)가 손상 및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충격완화장치를 갖춘 트리머 헤드{trimmer head}
본 고안은 예초작업 중에 지면과의 마찰로 인하여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조작노브가 손상되거나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충격완화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구조의 완충기능을 갖는 트리머 헤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잡초를 벨 때 사용되는 예초기는 구동장치에 의해 고속회전되는 트리머 헤드의 둘레면에 칼날을 설치하여, 칼날이 잡초를 잘라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예초기는 칼날에 의해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일이 잦았으므로, 최근에는 트리머 헤드 전체를 합성수지로 제작하고, 칼날을 대신하여 트리머해드에 강도가 높은 합성수지재의 나이론줄을 설치하여 나이론줄이 트리머 헤드와 함께 고속으로 회전되면서 잡초를 잘라내도록 하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이러한 예초기의 트리머 헤드를 도시한 것으로, 둘레면에 나이론줄(40)이 감겨진 릴(20)이 상하로 분할제작되는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나이론줄(40)은 하우징(10)의 양측면에 형성된 통공(12)을 통해 하우징(10)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이때, 상기 릴(2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나이론줄(40)이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둘레면에 감겨진 나이론줄(40)이 조금씩 풀려서 하우징(1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은 상기 릴(20)에 비해 상하방향으로 넓게 구성되어 릴(20)이 하우징(10)의 내부에서 회전 및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10)의 하측면 중앙에는 개구부(1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릴(20)의 하측에는 상기 개구부(11)를 통해 하우징(10)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조작노브(30)가 구비되고, 상측에 구비된 스프링(50)에 의해 하측으로 가압된다.
또한, 상기 릴(20)의 상하면과 하우징(10)의 내측면에는 상호 대응되도록 경사돌기(60)와 돌출부(70)가 각각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조작노브(30)를 누르면 상기 경사돌기(60)와 돌출부(70)의 작용에 의해 릴(20)이 일정각도씩 회전되면서 둘레면에 감겨진 나이론줄(40)이 풀려나오게 된다. 이때, 상기 경사돌기(60)와 돌출부(70)는 예초기의 헤드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므로, 경사돌기(60)와 돌출부(70)의 자세한 형상 및 작용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설명하지 않은 도면번호 15는 상기 하우징(10)에 형성되어 트리머 헤드를 예초기의 본체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를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나이론줄(40)이 마모되거나 끊어질 경우, 상기 조작노브(30)를 눌러 나이론줄(40)을 풀어내어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부주의로 나이론줄(40)이 불필요하게 많이 풀려나올 경우, 상기 나이론줄(40)이 감기는 방향으로 릴(20)이 회전되도록 상기 조작노브(30)를 돌려 나이론줄(40)을 감을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예초기의 헤드는 예초작업을 하는 도중에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상기 조작노브(30)가 땅바닥이나 돌에 부딪히는 일이 자주 발생되었으며, 이에따라, 합성수지 재질인 조작노브(30)가 손상 및 마모되거나, 조작노브(30)와 함께 릴(20)이 승강되어 조작노브(30) 눌렀을 때와 같이 릴(20)에 감겨진 나이론줄(40)이 불필요하게 풀려나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예초작업을 하다보면 조작노브(30)의 단부면이 지면에 강한 힘으로 밀착되어, 노작노브(30)의 단부면이 마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트리머 헤드는, 나이론줄(40)을 다 써서 새로운 나이론줄(40)로 교체하기 위해서는, 하우징(10)을 분해하여 릴(20)을 꺼내고 릴(20)의 둘레면에 나이론줄(40)을 감은 후 나이론줄(40)이 상기 통공(12)을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연장되도록 한 상태에서, 하우징(10)을 조립하여야 한다. 따라서, 새로운 나이론줄(40)을 릴(20)에 설치하는 것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초작업중에 지면과의 마찰로 인하여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 및 흡수하여 충격에 의해 조작노브가 손상되거나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완충기능을 갖는 트리머 헤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측에 개구부(11)가 형성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승강 및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는 상기 개구부(11)를 통해 하우징(10)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조작노브(30)가 구비된 릴(20)과, 상기 릴(20)의 둘레면에 감기며 상기 하우징(10)의 둘레면에 형성된 통공(12)을 통해 외부로 연장되는 나이론줄(40)과, 상기 릴(20)에 밀착되며 릴(20)을 가압하는 스프링(50)을 포함하며, 상기 릴(20)의 상하면과 하우징(10)의 내측면에는 상호 대응되도록 경사돌기(60)와 돌출부(70)가 각각 구비된 트리머 헤드에 있어서,
상기 조작노브(30)는 상기 릴(20)과 별도로 구성되어 상기 릴(20)에 승강가능하되 회전은 되지 않도록 결합되고, 상기 조작노브(30)와 릴(20)의 사이에는 상기 스프링(50)에 비해 탄성계수가 작은 보조스프링(80)이 구비되어 릴(20)과 조작노브(30)의 사이에 갭(G)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머 헤드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릴(20)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21)이 형성되고, 조작노브(30)에는 상기 관통공(21)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관통공(21)과 조작노브(30)에는 상호 승강가능하게 맞물리는 결합부(23)와 오목홈(31)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머 헤드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릴(20)의 둘레면에는 상기 나이론줄(40)이 결합되는 결합공(22)이 양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22)이 상기 통공(12)과 일치되도록 릴(20)을 회전시키고 통공(12)을 통해 결합공(22)을 통과하도록 나이론줄(40)을 삽입한 후, 상기 조작노브(30)로 릴(20)을 회전시켜 나이론줄(40)이 릴(20)에 감기도록 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머 헤드가 형성된다.
본 고안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며, 상기 결합부(23)는 상기 관통공(21)을 방사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구성되고, 상기 결합부(23)에는 상기 나이론줄(40)이 결합되는 결합공(22)이 결합부(23)의 내부공간을 따라 릴(20)의 양측 둘레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머 헤드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트리머 헤드는 조작노브(30)가 릴(20)과 별도로 구성되어 보조스프링(80)에 의해 하측으로 가압되므로, 예초작업중 지면과의 마찰로 인하여 조작노브(30)가 땅바닥 등에 부딪혔을 때, 조작노브(30)만 승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므로, 조작노브(30)가 손상되거나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트리머 헤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종래의 트리머 헤드를 도시한 측단면 분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트리머 헤드를 도시한 측면 분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트리머 헤드의 릴과 조작노브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트리머 헤드의 릴과 조작노브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트리머 헤드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트리머 헤드에 나이론줄을 설치하는 방법을 도시한 참고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트리머 헤드의 변형예를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트리머 헤드를 도시한 것으로, 하측면 중앙부에 개구부(11)가 형성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승강 및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하측면에는 상기 개구부(11)를 통해 하우징(10)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조작노브(30)가 구비된 릴(20)과, 상기 릴(20)의 둘레면에 감기며 상기 하우징(10)의 둘레면에 형성된 통공(12)을 통해 외부로 연장되는 나이론줄(40)과, 상기 릴(20)의 상부에 밀착되어 릴(20)을 하측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스프링(50)으로 구성되고, 상기 릴(20)의 상하면과 하우징(10)의 내측면에는 상호 대응되도록 경사돌기(60)와 돌출부(70)가 각각 구비된 것은 종래의 트리머 헤드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하우징(10)은 상하로 분할제작되며, 상면에 형성된 결합부(15)를 통해 예초기 본체에 결합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조작노브(30)는 상기 릴(20)과 별도로 구성되어 상기 릴(20)에 승강가능하되 회전은 되지 않도록 결합되고, 상기 조작노브(30)와 릴(20)의 사이에는 상기 스프링(50)에 비해 탄성계수가 작은 보조스프링(80)이 구비되어 조작노브(30)를 하측으로 가압하도록 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릴(20)에는 도 4와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21)이 형성되고, 조작노브(30)는 도 4와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로 길고 상단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상단이 상기 관통공(21)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21)의 내부에는 긴 바형상으로 구성되어 관통공(21)을 방사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결합부(23)가 형성되고, 상기 조작노브(30)의 상단에는 상기 결합부(23)의 외부에 승강가능하게 맞물리는 오목홈(31)이 형성된다. 상기 오목홈(31)은 상기 조작노브(30)의 상단에서 수직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조작노브(30)에는 하우징(10)의 내부 바닥면에 걸리는 플랜지부(32)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바닥면에는 상기 플랜지부(32)의 외측에 위치되며 릴(20)의 바닥면을 지지하여 릴(20)이 일정수준이하로 하강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돌부(13)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돌부(13)는 상기 플랜지부(32)의 두께에 비해 상측으로 높게 구성되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50)에 의해 릴(20)이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릴(20)과 조작노브(30)의 사이에 갭(G)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조작노브(30)에 충격이 가해지면 조작노브(30)가 상측으로 밀려 올라가면서 충격을 흡수하고, 사용자가 조작노브(30)를 상측으로 강하게 밀어 올리면 상기 플랜지부(32)가 릴(20)의 하부면에 걸려 릴(20)을 상측으로 밀어올리면서 상기 경사돌기(60)와 돌출부(70)의 작용에 따라 릴(20)이 회전되면서 나이론줄(40)이 풀려 나오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릴(20)의 둘레면에는 상기 나이론줄(40)이 결합되는 결합공(22)이 양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22)은 상기 결합부(23)의 내부공간을 따라 릴(20)이 양측 둘레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공(22)이 하우징(10)에 형성된 통공(12)과 일치되도록 릴(20)을 회전시키고 일측의 통공(12)을 통해 나이론줄(40)을 밀어 넣으면, 나이론줄(40)이 결합공(22)과 반대쪽 통공(12)을 통해 반대쪽으로 나오게 된다. 그리고, 나이론줄(40)의 중간부가 결합공(22)에 끼워지도록 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조작노브(30)를 나이론줄(40)이 감기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20)이 회전되면서 나이론줄(40)이 릴(20)의 둘레면에 감기게 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트리머 헤드는 릴(20)과 조작노브(30)가 각각 별도로 구성되어 사이에 끼워지는 보조스프링(80)에 의해 간격을 유지하도록 지지된다. 따라서, 예초작업을 하는 도중에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상기 조작노브(30)가 땅바닥이나 돌에 부딪히면, 조작노브(30)가 보조스프링(80)에 의해 가압된 상태로 갭(G)의 범위 내에서 승강되면서 충격을 흡수한다.
따라서, 조작노브(30)가 손상 및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여, 트리머 헤드의 수명을 연장하고, 예초기의 운용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조작노브(30)는 탄성이 비교적 약한 보조스프링(80)에 의해 지지되므로, 조작노브(30)의 단부면이 지면에 밀착될 경우에도 조작노브(30)가 쉽게 상승되어 조직노브(30)가 지면에 긁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나이론줄(40)을 교체할 때, 상기 나이론줄(40)의 중간부가 상기 결합공(22)에 끼워지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조작노브(30)로 릴(20)을 회전시켜 나이론줄(40)이 릴(20)에 감기도록 할 수 있으므로, 나이론줄(40)을 교체하기 위해 하우징(10)을 분리할 필요가 없으며, 작업이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결합공(22)은 릴(20)의 관통공(21)을 가로지르는 결합부(23)를 따라 형성되어, 나이론줄(40)이 릴(20)을 손쉽게 관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조작노브(30)가 하우징(10)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하우징(10)에 형성된 결합부(15)를 통해 예초기의 본체 결합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작노브(30)가 하우징(10)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트리머 헤드를 상하방향으로 뒤집은 상태로 예초기의 본체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조작노브(30)의 상면 중앙부에 본체(90)가 결합되는 결합부(33)가 형성되고 상기 조작노브(30)의 상단 둘레부에 별도의 고정판(34)이 결합되어, 상기 고정판(34)을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0)을 회전시켜 풀려나온 나이론줄(40)이 릴(20)에 감기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릴(20)과 조작노브(30)의 사이 뿐 아니라, 상기 하우징(10)의 상면과 본체(90)의 하측면 사이에도 갭(G)이 형성되어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0)에 충격이 가해지면 하우징(10)이 상부로 승강되면서 하우징(10)에 가해진 충격을 흡수하여 하우징(10)이 손상되거나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 하우징 12. 통공
20. 릴 21. 관통공
22. 결합공 30. 조작노브
31. 오목홈 40. 나이론줄
50. 스프링 80. 보조스프링

Claims (4)

  1. 일측에 개구부(11)가 형성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승강 및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는 상기 개구부(11)를 통해 하우징(10)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조작노브(30)가 구비된 릴(20)과, 상기 릴(20)의 둘레면에 감기며 상기 하우징(10)의 둘레면에 형성된 통공(12)을 통해 외부로 연장되는 나이론줄(40)과, 상기 릴(20)에 밀착되며 릴(20)을 가압하는 스프링(50)을 포함하며, 상기 릴(20)의 상하면과 하우징(10)의 내측면에는 상호 대응되도록 경사돌기(60)와 돌출부(70)가 각각 구비된 트리머 헤드에 있어서,
    상기 조작노브(30)는 상기 릴(20)과 별도로 구성되어 상기 릴(20)에 승강가능하되 회전은 되지 않도록 결합되고, 상기 조작노브(30)와 릴(20)의 사이에는 상기 스프링(50)에 비해 탄성계수가 작은 보조스프링(80)이 구비되어 릴(20)과 조작노브(30)의 사이에 갭(G)이 형성되며,
    상기 릴(20)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21)이 형성되고, 조작노브(30)에는 상기 관통공(21)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관통공(21)과 조작노브(30)에는 상호 승강가능하게 맞물리는 결합부(23)와 오목홈(31)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머 헤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릴(20)의 둘레면에는 상기 나이론줄(40)이 결합되는 결합공(22)이 양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22)이 상기 통공(12)과 일치되도록 릴(20)을 회전시키고 통공(12)을 통해 결합공(22)을 통과하도록 나이론줄(40)을 삽입한 후, 상기 조작노브(30)로 릴(20)을 회전시켜 나이론줄(40)이 릴(20)에 감기도록 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머 헤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23)는 상기 관통공(21)을 방사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구성되고, 상기 결합부(23)에는 상기 나이론줄(40)이 결합되는 결합공(22)이 결합부(23)의 내부공간을 따라 릴(20)의 양측 둘레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머 헤드.
KR2020100012932U 2010-12-15 2010-12-15 충격완화장치를 갖춘 트리머 헤드 Expired - Fee Related KR2004533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932U KR200453320Y1 (ko) 2010-12-15 2010-12-15 충격완화장치를 갖춘 트리머 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932U KR200453320Y1 (ko) 2010-12-15 2010-12-15 충격완화장치를 갖춘 트리머 헤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3320Y1 true KR200453320Y1 (ko) 2011-04-20

Family

ID=44245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2932U Expired - Fee Related KR200453320Y1 (ko) 2010-12-15 2010-12-15 충격완화장치를 갖춘 트리머 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32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317B1 (ko) * 2012-04-05 2014-03-26 주식회사 죽암기계 완충유닛이 마련된 모우어
KR101801372B1 (ko) 2011-05-13 2017-11-27 (주)엠파워텍 예초기의 동력전달장치
EP3766326A1 (en) * 2019-07-17 2021-01-20 Suzhou Yuyuan Machinery Co., Ltd A take-up structure of a mower wire box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4501A (ja) * 2003-10-24 2005-05-19 Shingu Shoko:Kk 刈払機のコード繰出し装置およびコード繰出し装置におけるコード配索方法
JP2010029075A (ja) * 2008-07-25 2010-02-12 Starting Ind Co Ltd 刈払い機用ロータリカッ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4501A (ja) * 2003-10-24 2005-05-19 Shingu Shoko:Kk 刈払機のコード繰出し装置およびコード繰出し装置におけるコード配索方法
JP2010029075A (ja) * 2008-07-25 2010-02-12 Starting Ind Co Ltd 刈払い機用ロータリカッタ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1372B1 (ko) 2011-05-13 2017-11-27 (주)엠파워텍 예초기의 동력전달장치
KR101373317B1 (ko) * 2012-04-05 2014-03-26 주식회사 죽암기계 완충유닛이 마련된 모우어
EP3766326A1 (en) * 2019-07-17 2021-01-20 Suzhou Yuyuan Machinery Co., Ltd A take-up structure of a mower wire box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3320Y1 (ko) 충격완화장치를 갖춘 트리머 헤드
US9333671B2 (en) Chopping aid device
US20150271992A1 (en) Cord-type mowing machine
US20120255182A1 (en) Rotary cutter for mower
US7661252B2 (en) Ground surface slide guide of a grass cutter and grass cutter
KR101078824B1 (ko) 기아 보조장치 및 안전판을 구비한 예초기
KR101050682B1 (ko) 휴대용 동력 예초기용 다기능 회전 절단날
KR101718665B1 (ko) 반복사용이 가능한 예초기용 절첩칼날
CN106457601B (zh) 劈砍辅助装置
KR101362432B1 (ko) 개폐커버를 구비한 모우어 컨디셔너
KR101054726B1 (ko) 예초기용 가변식 안전커버
KR101170046B1 (ko) 예초기용 안전판 충격흡수장치
JPWO2014141481A1 (ja) 草刈機用回転刃およびこれを用いた草刈機
KR20140107021A (ko) 예초기
KR20120094617A (ko) 베어진 풀을 쳐낼 수 있으면서 여러 가지 커터를 교체할 수 있는 예초기용 절단유닛
KR101063856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예초기용 칼날덮개
JP2017074037A (ja) 草刈機の刈刃
KR101692375B1 (ko) 예초기용 트리머 헤드
KR20120007467U (ko) 예초기용 회전날 보호구
KR200482786Y1 (ko) 예초기용 회전판 장치
KR101105261B1 (ko) 예초기용 플레이트 회전방지구
KR101270059B1 (ko) 예초기용 플레이트
KR101037065B1 (ko) 탄성부재 파손방지를 위한 예초기용 플레이트 회전방지구
KR102398457B1 (ko) 압력센서를 구비한 안전 예초기
KR102322770B1 (ko) 낚시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01215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16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15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10223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3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41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1041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503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