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996Y1 - Shoe accessories - Google Patents
Shoe accessori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52996Y1 KR200452996Y1 KR2020110000275U KR20110000275U KR200452996Y1 KR 200452996 Y1 KR200452996 Y1 KR 200452996Y1 KR 2020110000275 U KR2020110000275 U KR 2020110000275U KR 20110000275 U KR20110000275 U KR 20110000275U KR 200452996 Y1 KR200452996 Y1 KR 20045299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des
- shoe
- contact surface
- shoelaces
- cen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24—Ornamental buckles or other ornaments for shoes, with fastening function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설포를 구비하고 신발끈을 사용하여 착용하는 신발의 장식을 위한 장식구가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장식구는 정면에 형성된 외피(10)의 상부는 양측으로 절개된 형상을 가지고, 그 중앙에는 설포(12)가 형성되며, 절개된 외피 양측으로 다수의 끈구멍(102)이 일정간격으로 관통 형성되어 신발끈(14)을 장착하도록 하는 신발(1)을 장식하기 위한 장식구(16)로서 저면에 평면 또는 완만한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밀착면(160)을 가지는 장식구 본체(162)와, 상기 밀착면(160)의 전방에 인접한 중앙에 형성되는 측방향으로 신발끈(14)이 관통 연결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결속고리(164)와, 상기 제1 결속고리(164)의 후방으로 양측에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각각 측방향으로 신발끈(14)이 관통 연결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 및 제3 결속고리(166, 16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신발용 장식구는 신발끈에 장착되는 액세서리로서 정확하게 중앙으로 정렬됨으로써 장착이 편리하다.A decorative device for decorating a shoe having a tongue and worn using a shoelace is disclosed. The orna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op portion of the outer shell 10 formed on the front side has a shape cut into both sides, the tongue 12 is formed in the center, a plurality of string holes 102 at both sides of the cut outer shell at regular intervals. Decorator body 162 having a contact surface 160 formed to form a flat or smooth surface on the bottom as a decorative tool 16 for decorating the shoe 1 to be penetrated through the shoelaces 14 to be mounted ), The first binding ring 164 and the first binding ring 164 formed so that the shoelace 14 can be penetrated in a lateral direction formed in the center adjacent to the front of the contact surface 160 and the first binding ring 164.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shoelace 14 is formed by the second and third binding rings (166, 166 ') are formed so as to be penetrated in the lateral direction respectively formed to be symmetrical to both sides to the rear.
Shoe orna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ccessory to be mounted on the shoelace is precisely aligned in the center is convenient for mounting.
Description
본 고안은 신발용 장식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운동화나 구두와 같은 신발끈을 사용하여 착용하는 신발의 장식을 위한 장식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orna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coration for the decoration of shoes worn using a shoelace such as sneakers or shoes.
운동화나 구두를 착용할 때에는 신발끈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 신발끈은 신발의 전면 상단부분인 발등 부분의 절개된 양측에 끼워 조인다. 이로써 착용자의 발 크기, 특히 발등 둘레에 맞게 조절하게 된다. 최근에는 다양한 모양과 색상을 가진 장식구를 신발끈과 연계하여 장식하고 있다.When you wear sneakers or shoes, you use shoelaces that snap into the incised sides of the instep of the front of the shoe. This adjusts to fit the wearer's foot size, especially the foot circumference. Recently, ornaments with various shapes and colors have been decorated in conjunction with shoelaces.
하지만 종래의 신발끈에 끼워지는 신발용 장식구는 제조 단가가 비싸고 정확하게 중앙으로 정렬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hoe decoration fitting to the conventional shoelaces is expensive to manufacture and is not exactly aligned to the center.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신발끈에 장착되는 액세서리로서 정확하게 중앙으로 정렬되는 신발용 장식구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oe ornament that is exactly centered as an accessory mounted on a shoelace.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른 신발용 장식구는,The shoe ornament according to one sid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정면에 형성된 외피(10)의 상부는 양측으로 절개된 형상을 가지고, 그 중앙에는 설포(12)가 형성되며, 절개된 외피 양측으로 다수의 끈구멍(102)이 일정간격으로 관통 형성되어 신발끈(14)을 장착하도록 하는 신발(1)을 장식하기 위한 장식구(16)에 있어서;The upper part of the outer shell 10 formed on the front has a shape cut in both sides, the center is formed in the
저면에 평면 또는 완만한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밀착면(160)을 가지는 장식구 본체(162)와;A decorative body
상기 밀착면(160)의 전방에 인접한 중앙에 형성되는 측방향으로 신발끈(14)이 관통 연결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결속고리(164)와;A first
상기 제1 결속고리(164)의 후방으로 양측에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각각 측방향으로 신발끈(14)이 관통 연결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 및 제3 결속고리(166, 16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onsists of the second and third binding rings (166, 166 ') formed so that the shoelaces (14) are penetratingly connected in the lateral direction, which are formed to be symmetrical on both sides to the rear of the first binding ring (164). It features.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 3 결속고리(164, 166, 166')는 전방과 후방 끝단이 수직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그 끝단이 상기 장식구 본체(162)의 밀착면(160)에 일체형 또는 용접 장착되어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to third binding rings (164, 166, 166 ') is the front and rear end is bent vertically upward and the end is integral or welded to the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른 신발용 장식구는 정면에 형성된 외피(10)의 상부는 양측으로 절개된 형상을 가지고, 그 중앙에는 설포(12)가 형성되며, 절개된 외피 양측으로 다수의 끈구멍(102)이 일정간격으로 관통 형성되어 신발끈(14)을 장착하도록 하는 신발(1)을 장식하기 위한 장식구(26)에 있어서;In addition, the shoe ornament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has an upper portion of the outer shell 10 formed on the front side has a shape cut in both sides, the
저면에 평면 또는 완만한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밀착면(260)을 가지는 장식구 본체(262)와;A decorative body
상기 밀착면(260)의 전방에 인접한 중앙에 형성되는 측방향으로 신발끈(24)이 관통 연결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결속고리(264)와;A first
상기 제1 결속고리(264)의 후방으로 양측에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각각 측방향으로 신발끈(24)이 관통 연결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 및 제3 결속고리(266, 266')와,Second and third binding
상기 제2 및 제3 결속고리(266, 266')의 후방으로 양측에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각각 측방향으로 신발끈(24)이 관통 연결가능하게 형성되는 제4 및 제5 결속고리(268, 26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ourth and fifth binding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신발용 장식구는 정면에 형성된 외피(10)의 상부는 양측으로 절개된 형상을 가지고, 그 중앙에는 설포(12)가 형성되며, 절개된 외피 양측으로 다수의 끈구멍(102)이 일정간격으로 관통 형성되어 신발끈(14)을 장착하도록 하는 신발(1)을 장식하기 위한 장식구(36)에 있어서;In addition, the shoe ornament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technical problem has an upper portion of the outer shell 10 formed on the front side has a shape cut in both sides, the center of the
저면에 평면 또는 완만한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밀착면(360)을 가지는 장식구 본체(362)와;A decorative body
상기 밀착면(360)의 중심부에 양측에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측방향으로 신발끈(34)이 관통 연결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및 제2 결속고리(366, 36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the first and second binding rings (366, 366 ') is formed to be symmetrical on both sides in the center of the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신발용 장식구는 신발끈에 장착되는 액세서리로서 정확하게 중앙으로 정렬됨으로써 장착이 편리하다.Shoe orna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convenient to be mounted by precisely aligned in the center as an accessory mounted on the shoelace.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장식구가 장착된 신발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장식구가 장착된 신발의 상태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장식구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장식구의 저면 구조와 신발끈에 끼워지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장식구의 저면 구조와 신발끈에 끼워지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및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장식구의 저면 구조와 신발끈에 끼워지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a shoe equipped with a shoe orna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shoe is equipped with a shoe orna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decorative fittings for sho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rocess of fitting to the bottom structure and shoelaces of the shoe orna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rocess of fitting to the bottom structure and shoelaces of shoe decoratio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rocess of fitting to the bottom structure and shoelaces of shoe decoratio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장식구가 장착된 신발의 상태를 사시도로써 나타내었고, 도 2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장식구가 장착된 신발의 상태를 확대 사시도로써 나타내었다. 또한, 도 3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장식구의 구조를 측면도로 나타내었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a shoe equipped with a shoe orna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enlarges the state of a shoe equipped with a shoe orna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as a perspective view. In addition, Figure 3 shows a side view of the structure of the shoe orna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신발용 장식구는,1 to 3, the shoe orna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정면에 형성된 외피(10)의 상부는 양측으로 절개된 형상을 가지고, 그 중앙에는 설포(12)가 형성되며, 절개된 외피 양측으로 다수의 끈구멍(102)이 일정간격으로 관통 형성되어 신발끈(14)을 장착하도록 하는 신발(1)을 장식하기 위한 장식구(16)로서,The upper part of the outer shell 10 formed on the front has a shape cut in both sides, the center is formed in the
저면에 평면 또는 완만한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밀착면(160)을 가지는 장식구 본체(162)와,A decorative body
상기 밀착면(160)의 전방에 인접한 중앙에 형성되는 측방향으로 신발끈(14)이 관통 연결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결속고리(164)와,A first
상기 제1 결속고리(164)의 후방으로 양측에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각각 측방향으로 신발끈(14)이 관통 연결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 및 제3 결속고리(166, 166')로 구성된다.The second and third
먼저 저면에 평면 또는 완만한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밀착면(160)을 가지는 장식구 본체(162)에서 상기 밀착면(160)의 전방에 인접한 중앙에 형성되는 측방향으로 신발끈(14)이 관통 연결가능하게 형성되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결속고리(164)에 끈을 먼저 통과시킨후 상기 제1 결속고리(164)의 후방으로 양측에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각각 측방향으로 신발끈(14)이 관통 연결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 결속고리(166)와 제3 결속고리(166')에 끈의 일단과 타단을 각각 통과시키고 반대측으로 당김으로써 장식구(16)가 고정되도록 한다.First, the
상기 제1 내지 제 3 결속고리(164, 166, 166')는 도 4 및 도 5에 저면 구조를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과 후방 끝단이 수직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그 끝단이 상기 장식구 본체(162)의 밀착면(160)에 일체형으로 또는 용접 장착되어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the bottom structure in FIGS. 4 and 5, the first to third
도 6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장식구의 저면 구조와 신발끈에 끼워지는 과정을 사시도로써 나타내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장식구는Figure 6 shows as a perspective view the process of fitting to the bottom structure and shoelaces of shoe decoratio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6, the shoe orna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정면에 형성된 외피(10)의 상부는 양측으로 절개된 형상을 가지고, 그 중앙에는 설포(12)가 형성되며, 절개된 외피 양측으로 다수의 끈구멍(102)이 일정간격으로 관통 형성되어 신발끈(14)을 장착하도록 하는 신발(1)을 장식하기 위한 장식구(26)로서,The upper part of the outer shell 10 formed on the front has a shape cut in both sides, the center is formed in the
저면에 평면 또는 완만한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밀착면(260)을 가지는 장식구 본체(262)와;A decorative body
상기 밀착면(260)의 전방에 인접한 중앙에 형성되는 측방향으로 신발끈(24)이 관통 연결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결속고리(264)와;A first
상기 제1 결속고리(264)의 후방으로 양측에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각각 측방향으로 신발끈(24)이 관통 연결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 및 제3 결속고리(266, 266')와,Second and third binding
상기 제2 및 제3 결속고리(266, 266')의 후방으로 양측에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각각 측방향으로 신발끈(24)이 관통 연결가능하게 형성되는 제4 및 제5 결속고리(268, 268')로 구성된다.Fourth and fifth binding
위 실시예에서 신발끈을 묶는 과정은 제2 및 제3 결속고리(266, 266')에 묶는 과정에 제4 및 제5 결속고리(268, 268')에 묶는 과정이 추가된다. 도 6의 실시예는 장식구 본체의 크기가 큰 경우에 적합하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process of tying the shoelace is added to the process of tying to the fourth and fifth binding
도 7에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장식구의 저면 구조와 신발끈에 끼워지는 과정을 사시도로써 나타내었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에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용 장식구는,Figure 7 shows as a perspective view the process of fitting to the bottom structure and shoelaces of shoe decoratio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7, in Figure 7, shoe ornament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정면에 형성된 외피(10)의 상부는 양측으로 절개된 형상을 가지고, 그 중앙에는 설포(12)가 형성되며, 절개된 외피 양측으로 다수의 끈구멍(102)이 일정간격으로 관통 형성되어 신발끈(14)을 장착하도록 하는 신발(1)을 장식하기 위한 장식구(36)로서,The upper part of the outer shell 10 formed on the front has a shape cut in both sides, the center is formed in the
저면에 평면 또는 완만한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밀착면(360)을 가지는 장식구 본체(362)와;A decorative body
상기 밀착면(360)의 중심부에 양측에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측방향으로 신발끈(34)이 관통 연결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및 제2 결속고리(366, 366')로 구성된다.The first and second
도 7의 실시예는 장식구 본체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 적합하다.
The embodiment of Fig. 7 is suitable when the size of the ornament body is small.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신발용 장식구는 신발끈에 장착되는 액세서리로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정확하게 중앙으로 정렬됨으로써 장착이 편리하다.
Shoe orna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convenient to be mounted as the accessory to be mounted on the shoelace, yet simple and precisely aligned in the center.
10 : 외피
102 : 다수의 끈구멍
12 : 설포
14 : 신발끈
16 : 장식구
160 : 밀착면 162 : 장식구 본체
164 : 제1 결속고리
166, 166' : 제2 및 제3 결속고리
26 : 장식구
260 : 밀착면 262 : 장식구 본체
264 : 제1 결속고리
266, 266' : 제2 및 제3 결속고리
268, 268' : 제4 및 제5 결속고리
36 : 장식구
360 : 밀착면 362 : 장식구 본체
366, 366' : 제1 및 제2 결속고리10: sheath
102: multiple string holes
12: sulfo
14: shoelace
16: ornament
160: contact surface 162: ornament body
164: First Bond
166, 166 ': second and third ties
26: ornament
260: contact surface 262: ornament body
264: First Bond
266, 266 ': 2nd and 3rd binding rings
268, 268 ': 4th and 5th binding rings
36: ornament
360: close contact 362: ornament body
366, 366 ': first and second binding rings
Claims (4)
저면에 평면 또는 완만한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밀착면(160)을 가지는 장식구 본체(162)와;
상기 밀착면(160)의 전방에 인접한 중앙에 형성되는 측방향으로 신발끈(14)이 관통 연결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결속고리(164)와;
상기 제1 결속고리(164)의 후방으로 양측에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각각 측방향으로 신발끈(14)이 관통 연결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 및 제3 결속고리(166, 166')로 구성되는 신발용 장식구.The upper part of the outer shell 10 formed on the front has a shape cut in both sides, the center is formed in the tongue 12, a plurality of string holes 102 are formed through a predetermined interval on both sides of the cut outer shell shoelaces A decorative tool (16) for decorating a shoe (1) for mounting (14);
A decorative body main body 162 having a contact surface 160 formed to form a flat or smooth curved surface on the bottom;
A first binding ring 164 in which a shoelace 14 is formed to be penetrated in a lateral direction formed at a center adjacent to the front of the contact surface 160;
Shoe composed of second and third binding rings 166 and 166 ′ formed so that the shoelaces 14 are penetrated in a lateral direction respectively formed to be symmetrical to both sides to the rear of the first binding ring 164. Dragon ornament.
저면에 평면 또는 완만한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밀착면(260)을 가지는 장식구 본체(262)와;
상기 밀착면(260)의 전방에 인접한 중앙에 형성되는 측방향으로 신발끈(24)이 관통 연결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결속고리(264)와;
상기 제1 결속고리(264)의 후방으로 양측에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각각 측방향으로 신발끈(24)이 관통 연결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 및 제3 결속고리(266, 266')와,
상기 제2 및 제3 결속고리(266, 266')의 후방으로 양측에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각각 측방향으로 신발끈(24)이 관통 연결가능하게 형성되는 제4 및 제5 결속고리(268, 268')로 구성되는 신발용 장식구.The upper part of the outer shell 10 formed on the front has a shape cut in both sides, the center is formed in the tongue 12, a plurality of string holes 102 are formed through a predetermined interval on both sides of the cut outer shell shoelaces An ornament (26) for decorating a shoe (1) for mounting (14);
A decorative body main body 262 having a contact surface 260 formed to form a flat or smooth curved surface at the bottom;
A first binding ring 264 in which a shoelace 24 is formed to be penetratingly connected in a lateral direction formed at a center adjacent to the front of the contact surface 260;
Second and third binding rings 266 and 266 ′ in which the shoelaces 24 are formed to be penetrated in a lateral direction, respectively, which are formed to be symmetrical to both sides to the rear of the first binding ring 264, and
Fourth and fifth binding rings 268 and 268 in which the shoelaces 24 are formed to be penetratingly connected in the lateral directions, respectively, which are formed to be symmetrical on both sides to the rear of the second and third binding rings 266 and 266 '. A shoe ornament consisting of ').
저면에 평면 또는 완만한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밀착면(360)을 가지는 장식구 본체(362)와;
상기 밀착면(360)의 중심부에 양측에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측방향으로 신발끈(34)이 관통 연결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 및 제2 결속고리(366, 366')로 구성되는 신발용 장식구.
The upper part of the outer shell 10 formed on the front has a shape cut in both sides, the center is formed in the tongue 12, a plurality of string holes 102 are formed through a predetermined interval on both sides of the cut outer shell shoelaces An ornament (36) for decorating a shoe (1) for mounting (14);
A decorative body main body 362 having a contact surface 360 formed at a bottom thereof to form a flat or smooth surface;
Shoes ornaments formed of the first and second binding rings (366, 366 ') formed to be symmetrical to both sides in the center of the contact surface 360 is formed so that the shoelace 34 is penetrated in the lateral direction .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0275U KR200452996Y1 (en) | 2011-01-11 | 2011-01-11 | Shoe accessori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0275U KR200452996Y1 (en) | 2011-01-11 | 2011-01-11 | Shoe accessorie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0951U KR20110000951U (en) | 2011-01-27 |
KR200452996Y1 true KR200452996Y1 (en) | 2011-03-30 |
Family
ID=44206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10000275U Expired - Fee Related KR200452996Y1 (en) | 2011-01-11 | 2011-01-11 | Shoe accessori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52996Y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48580B1 (en) * | 2007-07-11 | 2008-07-28 | (주)슈즈버클 | Shoe accessories and shoes with their accessories |
-
2011
- 2011-01-11 KR KR2020110000275U patent/KR200452996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48580B1 (en) * | 2007-07-11 | 2008-07-28 | (주)슈즈버클 | Shoe accessories and shoes with their accessori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0951U (en) | 2011-01-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D757411S1 (en) | Shoe with decorative sole | |
USD744223S1 (en) | Shoe upper | |
USD773794S1 (en) | Shoe upper | |
USD737041S1 (en) | Shoe upper | |
USD817627S1 (en) | Shoe upper | |
USD756088S1 (en) | Shoe with decorative sole | |
USD779189S1 (en) | Shoe upper | |
USD545049S1 (en) | Portion of a shoe upper | |
USD669668S1 (en) | Lace pattern sole for footwear | |
USD503270S1 (en) | Portion of a shoe upper | |
US20090300948A1 (en) | Footwear adornment, system for accessorizing footwear, and methods therefor | |
USD614386S1 (en) | Shoe upper | |
USD498910S1 (en) | Portion of a shoe upper | |
USD557006S1 (en) | Footwear | |
US20150027006A1 (en) | Combined Structure of Shoe Accessories Unit | |
CN201790047U (en) | DIY decorative sandals | |
KR200452996Y1 (en) | Shoe accessories | |
US20150296925A1 (en) | Shoe fastener | |
KR101060212B1 (en) | Shoe accessories | |
KR200425447Y1 (en) | Shoes Accessories | |
KR200438674Y1 (en) | Shoe ornaments | |
USD608083S1 (en) | Decorative foot covering | |
TWM499093U (en) | Vamp adjustment structure of slipper | |
KR100696881B1 (en) | Shoelace Accessories | |
KR100680852B1 (en) | Shoelace Accessori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10111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301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111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1030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1032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10324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1502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