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52735Y1 - 구동기와 관이음구를 연결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구동기와 관이음구를 연결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735Y1
KR200452735Y1 KR2020090002184U KR20090002184U KR200452735Y1 KR 200452735 Y1 KR200452735 Y1 KR 200452735Y1 KR 2020090002184 U KR2020090002184 U KR 2020090002184U KR 20090002184 U KR20090002184 U KR 20090002184U KR 200452735 Y1 KR200452735 Y1 KR 2004527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push rod
rod
driver
pip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21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8788U (ko
Inventor
김영균
김준연
나창민
Original Assignee
(주)샘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샘시스템 filed Critical (주)샘시스템
Priority to KR20200900021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735Y1/ko
Publication of KR201000087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7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7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735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7Arrangement or mounting of 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or drai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in pipes or h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관이음구에서 누출된 수분이 구동기로 유입되지 않게 구동기를 배치하면서 구동기에서 발생된 힘이 관이음구로 유효 적절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한 구동기와 관이음구를 연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본 고안은,
유로개폐용 밸브와 연결되어 있는 푸시로드가 노출된 관이음구 일측에 체결되는 관이음구결합부와, 구동기에서 외력이 발생되는 작동부에 체결되며 그 작동부로부터 외력을 전달받는 전달로드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구동기결합부를 갖는 베이스; 및
일단에는 상기 푸시로드와 접촉되는 로드가압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전달로드와 접촉되어 힘을 받는 수압부가 형성되어서, 양단이 상기 베이스 상에서 시소 운동을 하도록 힌지 결합된 시소부재; 를 포함하는 구동기와 관이음구를 연결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관이음구, 구동기, 푸시로드, 밸브, 전달로드, 시소

Description

구동기와 관이음구를 연결하는 장치{Apparatus for Connection Operator to Pipe Coupler}
본 고안은 관이음구에서 누출된 수분이 구동기로 유입되지 않게 구동기를 배치하면서 구동기에서 발생된 힘이 관이음구로 유효 적절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한 구동기와 관이음구를 연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이음구는 서로 다른 여러 개의 배관을 서로 연결하여 유체의 흐름이 연결되도록 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데, 이것은 관의 연결을 위한 목적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유체(예를 들어, 냉수나 온수)가 서로 혼합되어 하나의 관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기능도 가진다.
최근 관이음구에는 내부에 형성된 유로를 가변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밸브가 내장되어 그 밸브의 움직임에 따라 관이음구를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단속함과 동시에 그 유량을 제어한다.
도1은 종래 관이음구 및 그 관이음구의 푸시로드를 작동하는 구동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2는 종래 관이음구와 구동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결합 도이다.
도1 및 도2에 나타낸 것처럼, 관이음구(10)에는 배관과 연결되기 위한 적어도 2개 이상의 관연결부(11)가 형성되고, 그 관연결부(11)가 내부에서 서로 통할 수 있도록 상기 관이음구(10)의 내부에는 연통하는 유로가 형성된다.
첨부된 도면에는 상기 관연결부(11)가 3개로 도시되었으나, 상기 관연결부(11)의 개수는 2개가 될 수도 있고 그 이상이 될 수도 있다.
상기 관연결부(11)에는 각각 서로 다른 배관이 결합되어 서로 통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데, 상기 관이음구(10) 내부에는 유로를 가변적으로 개폐하여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거나 유량을 제어하는 밸브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관이음구(10)와 상기 밸브간의 설치구조는 본 고안의 내용과 무관하기 때문에 여기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필요한 경우 최소한의 범위 내에서 설명한다.
상기 밸브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가 움직이면서 관이음구(10) 내부의 유로를 적절하게 개폐되도록 하는 푸시로드(12)가 구비되어 상기 관이음구(10)의 외부로 소정 길이만큼 노출된다.
상기 푸시로드(12)에 외력을 가하면 그 푸시로드(12)의 이동량 만큼 밸브가 관이음구(10) 내부에서 움직이면서 유로를 개폐하게 되는데,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푸시로드(12)에 힘이 전혀 가해지는 않은 상태에서는 도시된 A관연결부(11a)와 AB관연결부(11b)가 연통되고, 상기 푸시로드(12)에 점차 힘이 가해지면 A관연결부(11a)는 점점 막히면서 B관연결부(11c)가 점점 개방되어 상기 A관연결 부(11a)와 B관연결부(11c)에서 유입된 유체가 혼합되어 상기 AB관연결부(11b)를 통해 나가게 되고, 상기 푸시로드(12)가 외력에 의해 최대로 이동되면 상기 A관연결부(11a)는 폐쇄되고 상기 B관연결부(11c)만 개방되어 B관연결부(11c)의 유체가 AB관연결부(11b)를 통해 배출된다.
또한, 상기 밸브가 움직이면서 상기 관이음구(10)의 유로가 제어되도록 상기 푸시로드(12)에 힘을 가하기 위한 구동기(20)가 마련된다.
상기 구동기(20)는 전원이 공급되면 전기력에 의해 내부에 있는 이동체(21)가 움직이면서 상기 푸시로드(12)에 힘을 가하게 되어 상기 밸브가 움직이게 되는데, 상기 이동체(21)에 의해 외력이 발생하는 부위를 편의상 작동부(22)라고 칭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 구동기(20)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이동체(21)가 상기 푸시로드(12)를 밀어서 상기 밸브가 관이음구(10)의 유로를 가변적으로 개폐하게 된다.
상기 구동기(20)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이음구(10)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푸시로드(12)를 상방향으로 밀어 올리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구동기(20)가 관이음구(10)의 푸시로드(12) 하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관이음구(10)에서 누출되는 유체 또는 수분이 상기 구동기(20)로 유입되어 전기장치인 구동기(20)가 고장나거나 오작동되는 사례가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관이음구에서 누출된 유체 또는 수분이 구동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구동기가 고장나거나 오작동되는 것을 예방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유로개폐용 밸브와 연결되어 있는 푸시로드가 노출된 관이음구 일측에 체결되는 관이음구결합부와, 구동기에서 외력이 발생되는 작동부에 체결되며 그 작동부로부터 외력을 전달받는 전달로드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구동기결합부를 갖는 베이스; 및
일단에는 상기 푸시로드와 접촉되는 로드가압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전달로드와 접촉되어 힘을 받는 수압부가 형성되어서, 양단이 상기 베이스 상에서 시소 운동을 하도록 힌지 결합된 시소부재; 를 포함하는 구동기와 관이음구를 연결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로드가압부에는 상기 푸시로드와의 유격을 조절하기 위한 유격조절기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이음구결합부는, 상기 푸시로드가 지나가도록 내부에 관통구가 형성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관이음구 일측에 체결되게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커플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달로드는 상기 구동기 작동부에서 전달되는 외력방향과 동일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상기 구동기결합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격조절기는, 상기 시소부재 일단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부와,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 체결되면서 상기 푸시로드와의 거리조정이 되는 숫나사부와, 상기 숫나사부에 체결되어 상기 숫나사부의 풀림을 제한하는 너트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관이음구와 구동기 사이에 본 고안에 의한 장치가 연결됨으로써 관이음구에서 누출되는 유체나 수분이 전기장치인 구동기로 직접 유입되지 못하는바, 이에 따라 유체나 수분 유입에 의해 구동기가 고장 또는 오작동을 일으키던 문제가 해소되었으며 구동기의 사용연한이 더욱 길어지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3은 관이음구와 구동기 사이에 본 고안에 따른 장치가 서로 연결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5는 본 고안의 장치를 사용하여 관이음구와 구동기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결합도이다.
먼저 도3 내지 도5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면, 본 고안은 베이 스(100) 및 시소부재(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100)는 관이음구결합부(110)와 구동기결합부(120)를 갖는데, 상기 관이음구결합부(110)는 유로개폐용 밸브와 연결되어 있는 푸시로드(12)가 노출된 관이음구(10) 일측에 체결되는 구성이고, 상기 구동기결합부(120)는 구동기(20)에서 외력이 발생되는 작동부(22)에 체결되는 구성으로 상기 구동기결합부(120)에는 상기 작동부(22)로부터 외력을 전달받는 전달로드(121)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관이음구(10)에는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부에 형성된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가 내장되어 있고, 상기 밸브에는 푸시로드(12)가 연결되어 그 일단부가 상기 관이음구(10)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데, 상기 푸시로드(12)가 노출되어 있는 관이음구(10) 일측에 상기 관이음구결합부(110)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된다.
상기 관이음구결합부(110)는 도4에 자세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다시 바디(111)와 그 바디(111)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커플링(11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디(111)는 상기 푸시로드(12)가 지나가도록 내부에 관통구(111a)가 형성된 것으로 상기 베이스(100)와 일체로 이루어져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다.
또한, 상기 커플링(112)은 상기 바디(111)의 외주면에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결합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관이음구(10) 일측에 체결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나사산(112a)이 형성된다. 물론, 상기 커플링(112)이 체결될 상기 관이음구(10)의 일측에도 나사산(10a)이 형성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커플링(112)을 상기 관이음구(10) 일측에 위치시키고 그 커플링(112)을 돌리면 상기 커플링(112)과 상기 관이음구(10) 일측에 각각 형성된 나사산이 서로 나사 결합되면서 상기 관이음구결합부(110)가 상기 관이음구(10) 일측에 고정 결합되며, 이때 상기 푸시로드(12)는 상기 커플링(112) 및 상기 바디(111)의 내부에 형성된 관통구(111a)를 통과하는 형태로 놓이게 된다.
상기 구동기결합부(120) 또한 상기 구동기(20)의 작동부(2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기 작동부(22)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돌출부(122)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22)의 외주면에는 나사산(122a)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기(20)에는 상기 돌출부(122)의 나사산(122a)과 나사결합되기 위한 다른 나사산이 형성된다.
외력을 전달받기 위해 상기 구동기결합부(12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전달로드(121)는 상기 구동기 작동부(22)에서 전달되는 외력방향과 동일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이동할 때 상기 구동기결합부(120)에서 이탈되지 않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상기 시소부재(200)는 상기 베이스(100) 상에서 양단이 시소운동을 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구성인데,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100)와 상기 시소부재(200)에는 각각 힌지부(101,201)가 형성되어 서로 끼워지고, 그 각각의 힌지부(101,201)에 형성된 힌지공(h)에 힌지축(s)이 삽입되어 베이스(100)와 시소부재(200)의 분리를 방지한다.
상기 시소부재(200)의 일단에는 상기 푸시로드(12) 끝단과 접촉되는 로드가압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시소부재(200)의 타단에는 상기 전달로드(121)와 접촉되어 상기 구동기(20) 작동부(22)로부터 상기 전달로드(121)를 통해 가해지는 힘을 받는 수압부(220)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기(20) 작동부(22)에서 발생한 힘은 상기 전달로드(121)에 전달되어 전달로드(121)가 상기 수압부(220) 쪽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수압부(220) 쪽으로 이동된 상기 전달로드(121)에 의하여 상기 수압부(220)가 힘을 받으면서 상기 힌지축(s)을 중심으로 상기 시소부재(200)가 시소운동을 하게 되어 상기 로드가압부(210)가 상기 푸시로드(12)를 밀게 됨에 따라, 그 푸시로드(12)와 연결된 상기 관이음구(10)의 유로개폐용 밸브가 작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로드가압부(210)에는 상기 푸시로드(12)와의 유격을 조절하기 위한 유격조절기(211)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드가압부(210)와 푸시로드(12)는 외력이 전혀 가해지지 않을 때에는 상기 푸시로드(12)가 전혀 눌리지 않고, 외력이 가해지면 즉시 그 힘이 푸시로드(12)에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로드가압부(210)와 푸시로드(12)가 가압되지 않고 접촉만 하고 있는 상태에 있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로드가압부(210)와 푸시로드(12)의 유격은 상기 커플링(112)과 관이음구(10) 일측에 각각 형성된 나사산 수 및 상기 푸시로드(12)의 길이에 따라 변하게 되므로, 상기 유격조절기(211)를 마련하여 필요에 맞게 로드가압부(210)와 푸시로드(12)의 유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특히, 상기 푸시로드(12)는 온도 차이에 따라 그 길이가 신축되는 특성이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도 유격을 항상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유격조절기(211)는, 상기 시소부재(200) 일단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부(미도시)와,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 체결되면서 회전에 의해 상기 푸시로드(12)와의 거리조정이 되는 숫나사부(211a)와, 상기 숫나사부(211a)에 체결되어 상기 숫나사부(211a)의 풀림을 제한하는 너트부(211b)로 이루어진다.
도4에서 보면, 상기 암나사부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이는 도면 작도법에 따를 때 표현할 수 없는 것일 뿐, 상기 시소부재(200)의 일단에 형성된 관통공(202) 내부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부에 상기 숫나사부(211a)가 나사 체결되어 끼워진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구성요소의 치환과 변형이 가능한바,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에 속하게 된다.
도1은 종래 관이음구 및 그 관이음구의 푸시로드를 작동하는 구동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2는 종래 관이음구와 구동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결합도,
도3은 관이음구와 구동기 사이에 본 고안에 따른 장치가 서로 연결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의 장치를 사용하여 관이음구와 구동기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결합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베이스 110 : 관이음구결합부
120 : 구동기결합부 121 : 전달로드
200 : 시소부재 210 : 로드가압부
211 : 유격조절기 220 : 수압부

Claims (5)

  1. 유로개폐용 밸브를 작동시키는 푸시로드(12)가 노출된 관이음구(10) 일측에 체결되는 관이음구결합부(110)와, 구동기(20)의 작동부(22)에 체결되며 그 작동부(22)로부터 외력을 전달받는 전달로드(121)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구동기결합부(120)를 각각 갖는 베이스(100); 및
    일단에는 상기 푸시로드(12)와 접촉되는 로드가압부(210)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전달로드(121)와 접촉되어 힘을 받는 수압부(220)가 형성되어서, 양단이 상기 베이스(100) 상에서 시소 운동을 하도록 힌지 결합된 시소부재(200); 를 포함하는 구동기와 관이음구를 연결하는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드가압부(210)에는 상기 푸시로드(12)와의 유격을 조절하기 위한 유격조절기(21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기와 관이음구를 연결하는 장치.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관이음구결합부(110)는, 상기 푸시로드(12)가 지나가도록 내부에 관통구가 형성된 바디(111)와, 상기 바디(111)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관이음구(10) 일측에 체결되게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커플링(11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기와 관이음구를 연결하는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달로드(121)는 상기 구동기(20)의 작동부(22)에서 전달되는 외력방향과 동일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상기 구동기결합부(120)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기와 관이음구를 연결하는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유격조절기(211)는,
    상기 시소부재(200) 일단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부와,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 체결되면서 상기 푸시로드(12)와의 거리조정이 되는 숫나사부(211a)와, 상기 숫나사부(211a)에 체결되어 상기 숫나사부(211a)의 풀림을 제한하는 너트부(211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기와 관이음구를 연결하는 장치.
KR2020090002184U 2009-02-26 2009-02-26 구동기와 관이음구를 연결하는 장치 Expired - Lifetime KR2004527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184U KR200452735Y1 (ko) 2009-02-26 2009-02-26 구동기와 관이음구를 연결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184U KR200452735Y1 (ko) 2009-02-26 2009-02-26 구동기와 관이음구를 연결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788U KR20100008788U (ko) 2010-09-03
KR200452735Y1 true KR200452735Y1 (ko) 2011-03-24

Family

ID=44199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2184U Expired - Lifetime KR200452735Y1 (ko) 2009-02-26 2009-02-26 구동기와 관이음구를 연결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73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8388A1 (ko) * 2015-11-03 2017-05-11 강석재 누름자 조절장치 및 이를 갖는 매니폴드 게이지 세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2995A (en) 1974-05-11 1976-04-27 Nissan Motor Company Limited Lifter mechanism for spring-loaded valve
US4545560A (en) 1982-03-24 1985-10-08 Dresser Industries, Inc. Valve coupling
JPS6366680U (ko) 1986-10-21 1988-05-06
US20050133755A1 (en) 2003-10-10 2005-06-23 Berghoff Rudolf E. Lever drive for a cryogenic valv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2995A (en) 1974-05-11 1976-04-27 Nissan Motor Company Limited Lifter mechanism for spring-loaded valve
US4545560A (en) 1982-03-24 1985-10-08 Dresser Industries, Inc. Valve coupling
JPS6366680U (ko) 1986-10-21 1988-05-06
US20050133755A1 (en) 2003-10-10 2005-06-23 Berghoff Rudolf E. Lever drive for a cryogenic valv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8388A1 (ko) * 2015-11-03 2017-05-11 강석재 누름자 조절장치 및 이를 갖는 매니폴드 게이지 세트
US10989342B2 (en) 2015-11-03 2021-04-27 Sugjae KANG Depressor-adjustment unit and manifold gauge set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788U (ko) 2010-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349387A (ja) 回動アクチュエータアセンブリを有するディスペンサ
AU2009205529B2 (en) Block and bleed valve assembly
WO2017012497A1 (zh) 一种冷热水切换阀
KR200452735Y1 (ko) 구동기와 관이음구를 연결하는 장치
KR20170051012A (ko) 자동유량조절 이중 볼밸브
US20240424505A1 (en) Ablutionary or plumbing apparatus
EP1526312A1 (en) Valve
RU2313023C1 (ru) Запорно-регул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US20100294963A1 (en) Pneumatic actuator, in particular for valves
KR20090036641A (ko) 밸브 구동 장치
KR100961681B1 (ko) 버터플라이형 콘트롤 밸브
KR200412969Y1 (ko) 릴리프밸브장치
KR100828160B1 (ko) 수도꼭지
RU2485377C2 (ru) Более компактный пластинчатый клапан
KR101128975B1 (ko) 유량 조절 밸브
RU63489U1 (ru) Аппарат для внутритрубного обследования трубопроводов
KR102138090B1 (ko) 제어기구가 구비되는 피스톤방식의 개폐밸브
US20250129858A1 (en) Valve core and sensor faucet
KR101139789B1 (ko) 가변 디스크형 버터플라이 밸브
RU2658972C2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истечением вод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20090008310U (ko) 유량 및 온도의 다단 조절기능을 갖는 밸브
KR100442339B1 (ko) 자동 밸브를 이용한 냉, 온수 배출 어셈블리
RU2326278C1 (ru) Запорно-регул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RU2267046C1 (ru) Зап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крытия трубопроводов
US11408518B2 (en) Pivoting valve for regulating the flow of a fluid and procedure for regulating the flow of a flu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90226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30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1031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1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9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