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52383Y1 - 뚜껑에 융기되는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뚜껑에 융기되는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383Y1
KR200452383Y1 KR2020090002615U KR20090002615U KR200452383Y1 KR 200452383 Y1 KR200452383 Y1 KR 200452383Y1 KR 2020090002615 U KR2020090002615 U KR 2020090002615U KR 20090002615 U KR20090002615 U KR 20090002615U KR 200452383 Y1 KR200452383 Y1 KR 2004523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puff
operation button
raised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26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9096U (ko
Inventor
최정선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20200900026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383Y1/ko
Publication of KR201000090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0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3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3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45D33/36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with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06Percussion or tapping mass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6/00Special receptacle or package
    • Y10S206/823Cosmetic, toilet, powder puf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뚜껑에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화장료가 저장되고 상부가 개방된 용기 본체(120)와, 상기 용기 본체(120)의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130)과, 상기 뚜껑(130)에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용기 본체(120) 내부로 인입되도록 설치된 퍼프(140)와, 상기 뚜껑(130)의 상면에 그 일부가 노출되고 뚜껑(130) 내에서 승강하도록 설치된 조작버튼(150)과, 상기 조작버튼(150)으로부터 퍼프(140)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고, 상기 조작버튼(150)의 승강에 따라 화장료가 묻어나는 퍼프(140)의 접촉면의 일부를 융기시키는 형상변형부재(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에 융기되는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가 제공된다. 이에 따라서, 뚜껑(130)에 일체화된 퍼프(140)를 평평한 상태에서 뾰족하게 융기되도록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코등, 콧망울, 눈가, 입 주변과 같은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을 갖고 입체적인 영역에 대해 정교하게 화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화장품 용기, 퍼프, 화장료, 뚜껑, 융기, 정교한 화장

Description

뚜껑에 융기되는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cosmetic container with an installed puff on the cover}
본 고안은 뚜껑에 융기되는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료를 묻혀 피부에 바르는 퍼프가 화장품 용기의 뚜껑에 설치되고 상기 퍼프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일부분이 솟아 오르도록 함으로써, 솟아 오른 부분으로 코등, 콧망울, 눈가, 입 주변과 같은 좁은 면적의 화장을 정교하게 할 수 있는 뚜껑에 융기되는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여성들은 자신을 보다 아름답게 표현함과 동시에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화장품을 이용하여 화장을 하게 되고, 그 중의 하나가 파우더이다. 상기와 파우더는 가볍게 펴서 피부에 바를 때 사용감이 우수하고, 산뜻함을 느낄수 있음은 물론 화장한 상태가 자연스럽다.
일반적으로 파우더를 이용하여 화장을 하고자할 때에는 용기에 저장된 파우더를 별도로 비치된 퍼프에 묻혀 화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별도로 비치된 퍼프에 파우더를 묻혀 화장을 할 때에는 파우더가 외부로 비산되어 파우더의 손실이 많고, 한손에는 파우더 용기를 들고 나머지 손으로 퍼프를 잡고 사용하기 때문에 화 장이 매우 번거롭다.
이에 따라, 화장료가 저장된 용기 본체에 설치되는 뚜껑에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가 등장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뚜껑에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는 크게 화장료가 저장된 내용물 접시와, 상기 내용물 접시가 수납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과 상기 뚜껑에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용기 본체 내부로 인입되도록 설치되는 퍼프 및 내용물 접시의 상부에 위치하여 뚜껑이 용기 본체에 닫혀진 경우 상기 내용물 접시에 저장된 화장료가 퍼프에 묻어나지 않도록 차단하게 되는 차단판으로 구성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용기 본체에 내용물 접시를 승강시키기 위한 코일 스프링과 같은 승강장치가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뚜껑에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는, 뚜껑을 용기 본체에서 분리시키고 차단판을 용기 본체에서 제거한 후에 뚜껑을 용기 본체에 다시 결합시켜 뚜껑에 설치된 퍼프에 화장료가 묻어나도록 한다.
또한, 용기 본체에 내용물 접시를 승강시키는 코일 스프링이 설치된 경우 용기 본체에서 뚜껑을 분리하면 코일 스프링이 내용물 접시를 밀어 올리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차단판을 제거한 뒤 뚜껑을 본체에 결합시켜 퍼프에 화장료가 묻어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뚜껑에 설치된 퍼프는 대략 뚜껑의 저면 또는 화장료가 저장된 내용물 접시에 부합하는 형상을 갖도록 하여 화장료가 퍼프에 골고루 묻어나도록 화장료가 묻어나는 퍼프의 접촉면이 대략 평평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화장료가 묻어나는 퍼프의 접촉면이 평평하게 이루어지면 이마와 볼과 같은 비교적 넓은 면적을 갖는 피부에 화장료를 바르기 편리하지만 코등, 콧망울, 눈가, 입 주변과 같은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을 갖고 입체적인 영역에 대해서는 화장을 정교하게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뚜껑에 일체화된 퍼프로 코등, 콧망울, 눈가, 입 주변과 같은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을 갖고 입체적인 영역에 대해 정교하게 화장할 수 있도록 화장료가 묻어나는 퍼프의 형상이 입체적이고 좁은 영역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변형시킬 수 있는 뚜껑에 융기되는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뚜껑에 일체화된 퍼프로 피부를 자극하여 마사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뚜껑에 융기되는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화장료가 저장되고 상부가 개방된 용기 본체(120)와, 상기 용기 본체(120)의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130)과, 상기 뚜껑(130)에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용기 본체(120) 내부로 인입되도록 설치된 퍼프(140)와, 상기 뚜껑(130)의 상면에 그 일부가 노출되고 뚜껑(130) 내에서 승강하도록 설치된 조작버튼(150)과, 상기 조작버튼(150)으로부터 퍼프(140)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고, 상기 조작버튼(150)의 승강에 따라 화장료가 묻어나는 퍼프(140)의 접촉면의 일부를 융기시키는 형상변형부재(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에 융기되는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뚜껑(130) 내부에서 하부로 이동한 조작버튼(150)을 원래의 위치로 상승시키는 탄성부재(170)가 뚜껑(130)과 조작버튼(150) 사이에 설치되고, 하 강된 조작버튼(150)을 그 상태로 유지시키는 승강 가이드(180)가 뚜껑(130)과 조작버튼(150)이 서로 접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 가이드(180)는, 뚜껑(130)의 내경에 조작버튼(150)의 승강방향으로 나선형의 곡율을 갖는 가이드 홈(182)이 형성되고, 상기 조작버튼(150)의 외경에는 가이드 홈(182)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가이드 돌기(18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형상변형부재(160)는, 역원추기둥의 형상을 갖고 그 밑면이 상기 조작버튼(150)의 하면에 부착되며 정점이 퍼프(140)를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형상변형부재(160)는, 원판의 형상을 갖고 그 일면이 상기 조작버튼(150)의 하면에 부착되며 상기 일면과 대향하는 타면에 다수의 마사지돌기(164)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조작버튼(150)으로부터 퍼프(140)를 향하여 연장 형성된 형상변형부재(160)는 조작버튼(150)의 하면으로부터 착탈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뚜껑에 융기되는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는 뚜껑에 일체화된 퍼프를 평평한 상태에서 뾰족하게 융기되도록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코등, 콧망울, 눈가, 입 주변과 같은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을 갖고 입체적인 영역에 대해 정교하게 화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작버튼의 하면에 설치된 형상변형부재를 다수의 돌기가 돌출 형성된 형상을 갖는 형상변형부재로 교체하여 사용하게 되는 경우 퍼프에 융기되는 부분이 다수 형성되고 이를 이용하여 피부를 자극하는 하게 되면 피부의 혈액순환이 촉진되어 피부의 건강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뚜껑에 융기되는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뚜껑에 융기되는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뚜껑에 융기되는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100)는, 화장료가 저장되고 상부가 개방된 용기 본체(120)와, 상기 용기 본체(1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용기 본체(120)를 개폐하는 뚜껑(130)과, 상기 뚜껑(130)에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뚜껑(130)이 용기 본체(120)에 상부에 설치되면 용기 본체(120)에 저장된 화장료와 접촉하게 되는 퍼프(140) 및 상기 뚜껑(130) 내에서 승강하도록 설치된 조작버튼(150)에 의해 화장료가 묻어나는 퍼프(140)의 접촉면의 일부를 융기시키는 형상변형부재(160)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뚜껑(130)에는 상하로 이동하는 조작버튼(150)이 관통 설치되는 바, 상기 조작버튼(150)의 하면에 퍼프(140)가 설치되어 상기 조작버튼(150)이 뚜껑(130)에서 하부를 향해 이동하였을 때 조작버튼(150)의 하면에 설치된 형상변형부재(160)가 퍼프(140)를 물리적으로 하부를 향해(용기 본체의 내부를 향해) 밀어 퍼프(140)의 일부를 융기(돌출)시켜 융기된 부분으로 정교한 화장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부연하자면, 상기 용기 본체(120)는 화장료를 저장하기 위해 상부가 개방된 원통의 형상을 갖고, 용기 본체(120)의 상부에 뚜껑(130)이 설치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용기 본체(120)의 내부에 화장료를 저장한 내용물 접시(미도시)가 수납되고, 상기 내용물 접시가 수납된 용기 본체(120)에는 코일 스프링(미도시)이 설치되어 상기 내용물 접시가 뚜껑(130)에 설치된 퍼프(140)에 밀려 하강하거나 또는 뚜껑이 용기 본체(120)에서 개방되면 상승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용기 본체(120)의 개방된 상부에 설치되는 뚜껑(130)은, 용기 본체(120)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하부에 단차가 형성된 계단부(132)를 형성하고, 상기 계단부(132) 및 상기 계단부(132)와 대응되는 용기 본체(120)의 내경에는 함몰홈(136)과 돌출홈(122)이 형성되어 뚜껑(130)이 용기 본체(120)로부터 쉽게 개폐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용기 본체(120)와 뚜껑(130)의 체결은 앞서 설명한 돌출홈(122)과 함몰홈(136)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용기 본체(120)와 뚜껑(130)의 접합면에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되 어 나선형 회전에 의해 뚜껑(130)이 용기 본체(120)에 닫히거나 열리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용기 본체(120)를 열고 닫는 뚜껑(130)에는 퍼프(140)가 설치되는데, 상기 퍼프(140)는 뚜껑(130)의 하면 즉, 뚜껑(130)이 용기 본체(120) 내부에 인입되는 면에 퍼프(140)가 설치되어 용기 본체(120)에 저장된 화장료를 퍼프(140)에 묻힐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퍼프(140)와 화장료 사이에는 별도의 차단판(미도시)을 두어 상기 퍼프(140)가 화장료에 지속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막고, 화장을 할 때에만 차단판을 용기 본체(120)로부터 제거한 뒤에 화장료를 퍼프(140)에 묻혀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뚜껑(130)의 하면에 설치되는 퍼프(140)는, 용기 본체(120)에 저장된 화장료가 잘 묻어나며 피부와 접촉했을 때 사용자가 이질감을 갖지 않도록 천, 직물지, 벨로즈 및 이와 동등한 촉감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외피(144)와, 상기 외피(144) 내부에 형성된 쿠션체(144)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쿠션체(144)는 뚜껑(130)의 상면으로 그일부가 노출되고 뚜껑(130) 내에서 승상하도록 설치된 조작버튼(150)의 하부에 설치된 형상변형부재(160)와 연동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상기 조작버튼(150)의 승강에 따라 형상변형부재(160)가 쿠션체(142)를 압축시키고 이러한 변형이 화장료가 묻어나는 퍼프(140)의 접촉면 일부 즉 외피(142)를 융기시키도록 한다.
부연하자면, 뚜껑(130)의 내부에서 승강하도록 설치된 조작버튼(150)은, 그 일부가 뚜껑(130)의 상면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노출된 면에는 사용자가 쉽게 파지할 수 있는 회전노브(156)가 형성되며, 상기 조작버튼(150)이 뚜껑(130) 내에서 회전하며 승강할 수 있도록 조작버튼(150)은 원통의 형상을 갖고 조작버튼(150)의 상면 연부에는 계단지는 환형의 단턱(15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버튼(150)의 하면 즉, 형상변형부재(160)와 대면하는 면에는 상기 형상변형부재(160)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돌기(152)가 형성되는데, 상기 체결돌기(152)의 외경 둘레에는 환의 형상을 갖는 고정돌기(158)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조작버튼(150)의 체결돌기(152)와 대응하는 형상변형부재(160)의 상면에는 상기 체결돌기(152)가 삽입되는 체결홀(162)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162)의 내경에는 고정돌기(158)와 부합하는 형상을 갖는 고정홈(166)이 형성되어 상기 조작버튼(150)의 하면에 설치된 형상변형부재(160)와의 착탈을 쉽게 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특히, 상기 체결돌기(152)의 외경 둘레에 형성된 고정돌기(158)와 체결홀(162)에 형성된 고정홈(166)이 부합되는 형상을 갖도록 함으로써, 상기 형상변형부재(160)가 조작버튼(150)의 하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무부하 회전(idling)토록 설치된다.
이는, 상기 조작버튼(150)이 뚜껑(130)에서 회전하며 승강될 때 상기 형상변형부재(160)가 조작버튼(150)의 회전과 무관하게 승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만약, 상기 형상변형부재(160)가 회전하며 승강하는 경우 퍼프(140)의 쿠션체(142)를 비틀어 압축하기 때문에 퍼프(140)의 외피(144)가 비틀어지며 융기되고 따라서, 화장료가 퍼프(140)에 균일하게 묻어나지 않기 때문에 사용에 불편함이 있다.
이와 같이, 조작버튼(150)의 하면에 설치된 퍼프(140)의 쿠션체(142)를 감싸고 화장료가 직접적으로 묻어나는 외피(144)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신축성이 있는 직물지로 이루어지고 뚜껑(130)의 하단에 결합된 고정링(190)에 의해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조작버튼(150)의 하면에 형성된 체결돌기(152)에 설치되는 형상변형부재(160)는 대략 역원추기둥의 형상을 갖고 그 밑면이 상기 조작버튼(150)의 하면에 밀착되고 정점이 퍼프(140)에 형성된 쿠션체(142)에 감싸이도록 형성된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변형부재(160)의 정점으로 갈수록 정점과 외피(144) 사이의 쿠션체(142) 두께가 얇아진다.
한편, 조작버튼(150)의 상면 연부에 형성된 단턱(154)에는 조작버튼(150)이 뚜껑(130) 내에서 하부로 이동하였을 때 상기 조작버튼(150)을 원래의 위치로 상승시키기 위한 탄성부재(170)가 설치되는데, 상기 탄성부재(170)는 뚜껑(130)의 하부 내경에 형성된 환형의 단턱(134)에 지지된다.
즉, 상기 탄성부재(170)는 조작버튼(150)의 상면 연부에 형성된 단턱(154)과 뚜껑(130)의 하부 내경에 형성된 단턱(134)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조작버튼(150)의 승강에 따라 압축과 복원을 수행하게 된다.
이렇게, 뚜껑(130) 내에서 승강하는 조작버튼(150)이 상승된 위치 또는 하강된 위치를 고수하도록 상기 뚜껑(130)과 조작버튼(150)이 접하는 부분에 승강 가이드(180)가 형성된다. 상기 승강 가이드(180)는 뚜껑(130)의 내경에 조작버튼(150)의 승강방향으로 나선형의 곡율을 갖는 가이드 홈(182)이 형성되고, 상기 조작버 튼(150)의 외경에는 가이드 홈(182)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가이드 돌기(184)가 형성된다.
즉, 조작버튼(150)의 외경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184)는 뚜껑(130)의 내경에 형성된 가이드 홈(182)에 안내되어 조작버튼(150)이 뚜껑(130)에서 상방으로 또는 하방으로 승강 이동하게 될 때 조작버튼(150)을 가이드 홈(182)의 곡율만큼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홈(182)의 양측 끝단에 조작버튼(150)이 승강된 위치에 지지될 수 있도록 올림한계 지지부(182a)와 내림한계 지지부(182b)가 형성되는 바, 상기 올림한계 지지부(182a)와 내림한계 지지부(182b)는 나선형의 곡율을 갖는 가이드 홈(182)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나선형의 곡율을 갖는 가이드 홈(182)과 달리 수평되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뚜껑에 융기되는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의 사용을 도 3 과 도 4 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3 은 도 1 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뚜껑에 융기되는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뚜껑에 융기되는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120)에 뚜껑(130)이 닫혀졌을 때 퍼프(140)가 화장료의 상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용기 본체(120)에 뚜껑(130)이 닫혀져 있는 상태는 대부분 사용자가 화장품 용기(100)를 보관하기 위한 상태이다. 이때, 뚜껑(130)의 내부에 설치된 조작버튼(150)은 그 일부가 뚜껑(130)의 상면으로 돌출된 상태이고, 상기 조작버튼(150)의 외경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184)는 뚜껑(130)의 내경에 형성된 가이드 홈(182)의 올림한계 지지부(182a)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용기 본체(120)에 뚜껑(130)이 닫혀져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화장을 하기 위해 용기 본체(120)에서 뚜껑(130)을 분리하고, 뚜껑(130)과 일체화 된 퍼프(140)에 화장료를 묻혀 화장하게 된다.
이때, 퍼프(140)는 대략 평평한 상태이므로 화장료가 퍼프(140)의 외피(144)에 골고루 묻혀지게 됨으로써, 이마와 볼과 같은 비교적 넓은 면적을 갖는 피부에 화장료를 바르기 편리하다.
한편, 코등, 콧망울, 눈가, 입 주변과 같은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을 갖고 입체적인 영역에 대해 화장을 하게 되는 경우에는 뚜껑(130)의 상면으로 돌출된 조작버튼(150)을 하강시켜 퍼프(140)의 외피(144) 일부가 뾰족하게 융기되도록 변형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조작버튼(150)에 형성된 회전노브(156)를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에서 회전시킴과 동시에 조작버튼(150)을 가압하여 조작버튼(150)을 뚜껑(130) 내에서 하부로 이동하도록 하강시킨다. 이렇게, 조작버튼(150)을 회전과 동시에 가압하게 되면 조작버튼(150)이 승강 가이드(180)에 안내되어 뚜껑(130)의 하부로 안내되는 바, 가이드 홈(182)의 올림한계 지지부(182a)에 위치한 가이드 돌기(184)가 가이드 홈(182)에 안내되어 내림한계 지지부(182b)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뚜껑(130)과 조작버튼(150) 사이에 설치된 코일 스프링(170)은 압축된 상태이고, 조작버튼(150)이 하강한 거리만큼 형상변형부재(160)가 퍼프(140)의 쿠션체(142)를 밀게 된다.
이와 같이 형상변형부재(160)가 퍼프(140)의 쿠션체(142)를 밀게 될때 상기 쿠션체(142)는 어느 정도 압축되면서 형상변형부재(160)가 돌출되는 것을 완화시키지만 일정 범위를 넘어서게 되면 쿠션체(142)가 더 이상 압축되지 않고 쿠션체(142)가 압축된 상태로 외피(144)를 밀어 평평했던 퍼프(140)의 외피(144) 일부를 융기시키게 된다.
이렇게, 퍼프(140)가 융기되면 융기된 부분에 화장료를 묻혀 코등, 콧망울, 눈가, 입 주변과 같은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을 갖고 입체적인 영역에 대해 정교하게 화장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좁은 면적을 갖고 입체적인 영역에 대한 화장이 끝나면 퍼프(140)를 원래의 평평했던 상태로 변형시켜 보관하도록 상기 조작버튼(150)을 뚜껑(130)에서 역회전시키게 된다.
이렇게, 조작버튼(150)이 역회전하게 되면 조작버튼(150)의 외경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184)가 가이드 홈(182)의 내림한계 지지부(182b)에서 이탈하게 되고, 이때 압축되었던 코일 스프링(170)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면서 조작버튼(150)을 밀어 올려 가이드 돌기(184)를 올림한계 지지부(182a)에 위치시키게 된다.
이렇게, 조작버튼(150)이 뚜껑(130) 내에서 상승하게 되면 형상변형부재(160)가 조작버튼(150)의 이동과 동일하게 상승하게 됨으로써 뾰족하게 융기되었 던 퍼프(140)의 외피(144) 일부가 다시 평평한 상태로 복원되어 이마와 볼과 같은 비교적 넓은 면적을 갖는 피부에 화장료를 바르기 편리한 형상으로 변형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뚜껑에 융기되는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100)는 뚜껑(130)에 일체화된 퍼프(140)를 평평한 상태에서 뾰족하게 융기되도록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코등, 콧망울, 눈가, 입 주변과 같은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을 갖고 입체적인 영역에 대해 정교하게 화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로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앞선 설명에서 형상변형부재(160)가 역원추기둥의 형상을 갖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의 형상변형부재(160)를 조작버튼(150)의 하면에서 분리시키고, 피부를 가압 자극하여 혈액순환을 향상시켜 피부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형상을 갖는 형상변형부재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도 5 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뚜껑에 융기되는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조작버튼(150)의 하면에 설치된 형상변형부재(160)는 대략 원판의 형상을 갖고 그 일면이 상기 조작버튼(150)의 하면에 부착되며 상기 일면과 대향하는 타면에 다수의 마사지돌기(164)가 돌출 형성되는 형상 을 갖는다.
이렇게, 형상변형부재(160)에 다수의 마사지돌기(164)가 형성되면 앞선 설명처럼 조작버튼(150)의 승강에 따라 퍼프(140)에 융기된 부분을 다수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퍼프(140)를 피부에 두드려 피부를 자극하여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이로부터 피부의 건강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뚜껑에 융기되는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뚜껑에 융기되는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뚜껑에 융기되는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뚜껑에 융기되는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0 : 용기 본체 122 : 돌출홈
130 : 뚜껑 132 : 계단부
134 : 뚜껑의 단턱 136 : 함몰홈
140 : 퍼프 142 : 쿠션체
144 : 외피 150 : 조작버튼
152 : 체결돌기 156 : 회전노브
160 : 형상변형부재 162 : 체결홀
164 : 마사지돌기 170 : 탄성부재
180 : 승강 가이드 190 : 고정링

Claims (6)

  1. 화장료가 저장되고 상부가 개방된 용기 본체(120)와,
    상기 용기 본체(120)의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130)과,
    상기 뚜껑(130)에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용기 본체(120) 내부로 인입되도록 설치된 퍼프(140)와,
    상기 뚜껑(130)의 상면에 그 일부가 노출되고 뚜껑(130) 내에서 승강하도록 설치된 조작버튼(150)과,
    상기 조작버튼(150)으로부터 퍼프(140)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고, 상기 조작버튼(150)의 승강에 따라 화장료가 묻어나는 퍼프(140)의 접촉면의 일부를 융기시키는 형상변형부재(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에 융기되는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뚜껑(130) 내부에서 하부로 이동한 조작버튼(150)을 원래의 위치로 상승시키는 탄성부재(170)가 뚜껑(130)과 조작버튼(150) 사이에 설치되고, 하강된 조작버튼(150)을 그 상태로 유지시키는 승강 가이드(180)가 뚜껑(130)과 조작버튼(150)이 서로 접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에 융기되는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
  3.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승강 가이드(180)는,
    뚜껑(130)의 내경에 조작버튼(150)의 승강방향으로 나선형의 곡율을 갖는 가이드 홈(182)이 형성되고, 상기 조작버튼(150)의 외경에는 가이드 홈(182)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가이드 돌기(18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에 융기되는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형상변형부재(160)는 역원추기둥의 형상을 갖고 그 밑면이 상기 조작버튼(150)의 하면에 부착되며 정점이 퍼프(140)를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에 융기되는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
  5.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형상변형부재(160)는 원판의 형상을 갖고 그 일면이 상기 조작버튼(150)의 하면에 부착되며 상기 일면과 대향하는 타면에 다수의 마사지돌기(164)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에 융기되는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
  6.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조작버튼(150)으로부터 퍼프(140)를 향하여 연장 형성된 형상변형부재(160)는 조작버튼(150)의 하면으로부터 착탈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에 융기되는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
KR2020090002615U 2009-03-09 2009-03-09 뚜껑에 융기되는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 KR2004523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615U KR200452383Y1 (ko) 2009-03-09 2009-03-09 뚜껑에 융기되는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615U KR200452383Y1 (ko) 2009-03-09 2009-03-09 뚜껑에 융기되는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096U KR20100009096U (ko) 2010-09-17
KR200452383Y1 true KR200452383Y1 (ko) 2011-02-22

Family

ID=44244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2615U KR200452383Y1 (ko) 2009-03-09 2009-03-09 뚜껑에 융기되는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38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156B1 (ko) 2012-05-08 2014-01-15 이넬화장품 주식회사 진동 퍼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716Y1 (ko) * 2018-03-20 2019-06-24 김상선 스프링 퍼프 캡이 구비된 파우더용기
WO2020105592A1 (ja) * 2018-11-19 2020-05-28 株式会社資生堂 マッサージ用美容機器、美容のためのマッサージ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0088A (ko) * 2002-06-24 2004-01-03 (주) 신형엔지니어링 자동차용 시트레일 조립기의 소재 이송방법 및 장치
KR20040017160A (ko) * 2002-08-20 2004-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제조 장치의 제어방법 및 제어 장치를 구비한반도체 제조 장치
KR20040041175A (ko) * 2001-09-24 2004-05-14 에릭슨 인크. 패킷 처리용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088Y1 (ko) 2005-08-24 2005-11-01 주식회사 생 코레 인터내셔날 화장용 퍼프
KR200399930Y1 (ko) 2005-08-12 2005-11-01 변영광 페이스 파우더 용기
KR200417160Y1 (ko) 2006-01-24 2006-05-25 주식회사 생 코레 인터내셔날 화장용 퍼프.
KR200441175Y1 (ko) 2006-11-09 2008-07-28 (주)아모레퍼시픽 화장품 용기 뚜껑 체결구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1175A (ko) * 2001-09-24 2004-05-14 에릭슨 인크. 패킷 처리용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00088A (ko) * 2002-06-24 2004-01-03 (주) 신형엔지니어링 자동차용 시트레일 조립기의 소재 이송방법 및 장치
KR20040017160A (ko) * 2002-08-20 2004-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제조 장치의 제어방법 및 제어 장치를 구비한반도체 제조 장치
KR200399930Y1 (ko) 2005-08-12 2005-11-01 변영광 페이스 파우더 용기
KR200400088Y1 (ko) 2005-08-24 2005-11-01 주식회사 생 코레 인터내셔날 화장용 퍼프
KR200417160Y1 (ko) 2006-01-24 2006-05-25 주식회사 생 코레 인터내셔날 화장용 퍼프.
KR200441175Y1 (ko) 2006-11-09 2008-07-28 (주)아모레퍼시픽 화장품 용기 뚜껑 체결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156B1 (ko) 2012-05-08 2014-01-15 이넬화장품 주식회사 진동 퍼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096U (ko) 2010-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6286B1 (ko) 파우더 화장용기
JP4621625B2 (ja) 組成物例えば化粧品用包装及び塗布装置
EP3117737A1 (en) Rotary open/close-type tube container
KR100962046B1 (ko) 화장품 용기
KR101325474B1 (ko) 마사지 기능이 구비된 화장품용기
CN106333472B (zh) 具有偏心刷棒的手指插入型睫毛膏容器
KR102221054B1 (ko) 회전방지 구조를 구비한 리필형 화장품 용기
KR200452383Y1 (ko) 뚜껑에 융기되는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
CN111386058A (zh) 用于以预定角度控制旋转体的旋转角度的杆状化妆品容器
KR101242640B1 (ko) 출몰식 퍼프를 갖는 콤팩트
KR200456104Y1 (ko) 뚜껑에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
KR200459833Y1 (ko) 뚜껑에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
KR20190116853A (ko) 하부케이스의 회동에 의해 립스틱용기가 인출되는 립스틱 보호케이스
CN214103573U (zh) 眉毛印章
KR102395106B1 (ko) 화장품 용기
KR20170026867A (ko) 립스틱홀더의 유동을 방지한 립스틱 케이스
KR200460280Y1 (ko) 뚜껑에 퍼프가 설치된 화장품 용기
KR101168375B1 (ko) 립스틱 케이스
JP2021501675A (ja) ハンドリング部を備えた化粧品容器
KR101583902B1 (ko) 화장품 용기
KR102233434B1 (ko) 한 손으로 스틱형 고형 화장품의 출몰 조작이 가능한 스틱형 고형 화장품 용기
KR20160135875A (ko) 벌집구조를 갖는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KR101807294B1 (ko) 이종 어플리케이터가 구비된 용기
KR102550546B1 (ko) 원터치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102685036B1 (ko)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90309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0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21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1021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3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91127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