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372Y1 - Communication line support device of construction lift - Google Patents
Communication line support device of construction lif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52372Y1 KR200452372Y1 KR2020100005101U KR20100005101U KR200452372Y1 KR 200452372 Y1 KR200452372 Y1 KR 200452372Y1 KR 2020100005101 U KR2020100005101 U KR 2020100005101U KR 20100005101 U KR20100005101 U KR 20100005101U KR 200452372 Y1 KR200452372 Y1 KR 20045237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munication line
- support
- wire
- ring
- cag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6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4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122 cycl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123 defe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31 expec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64—Power supply or signal cab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10—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for equalising rope or cable tens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66B9/187—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with a liftway specially adapted for temporary connection to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건설현장에서 수직으로 인력 및 자재 등을 나르기 위해 설치되는 건설용 리프트(1)의 통신선(6)을 바람에 날리거나 얽히고 단선되는 것 등을 방지토록 한 건설용 리프트(1)의 통신선(6) 지지장치(10)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건설용 리프트(1)의 통신선(6) 지지장치(10)에 있어서, 마스트(2)와 건축물(B) 사이에서 마스트(2)를 건축물(B)에 고정 지지시키는 월타이(2a) 중 하나에 상단이 고정 설치되고, 마스트(2) 하부의 지지대(2b)에 하단이 고정 설치되는 와이어(20)를 상하로 팽팽하게 유지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와이어(20)를 타고 승강되며 케이지(3) 하부 통신선(6)의 처짐부(7)와 와이어(20)를 일정 간격이 유지되게 도르래형 또는 고리형 지지구(30)를 연결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지지구(30)는 케이지(3)의 승강 시 통신선(6)의 처짐부(7) 위치에 따라 와이어(20)를 타고 승강되며, 항시 통신선(6)의 처짐부(7)를 팽팽한 와이어(20)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게 지지되므로 강한 바람이 불더라도 통신선(6)이 와이어(20)에 지지되어 날리거나 걸리지 않으며, 이로 인하여 통신선(6)의 얽힘이나 단선을 방지할 수 있고, 건설용 리프트(1)의 전력공급선(5)과 통신선(6)이 별도로 설치되어 리프트(1)의 오작동이 없으므로 케이지(3)의 승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등 다수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prevent the communication line (6) of the construction lift (1), which is installed to carry manpower and materials vertically in various construction sites to blow, entangle or disconnect the wind. It is to provide a communication line (6) support device (10).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mmunication line (6) support device 10 of the construction lift (1), between the mast (2) and the building (B) wall tie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mast (2) to the building (B) The upper end is fixedly installed on one of the (2a), and the lower end is fixed to the support (2b) of the lower portion of the mast (2) is configured to be maintained in tension up and down, the ascend by riding the wire 20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ulley-type or annular support 30 is connected to the deflection portion 7 and the wire 20 of the cage 3 lower communication line 6 to maintain a predetermined interv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30 is lifted by the wire 20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deflection portion 7 of the communication line 6 when the cage 3 is moved up and down, and the wire 30 which is always stretched on the deflection portion 7 of the communication line 6 ( 20) is supported at regular intervals, so even if strong wind blows, the communication line 6 is supported by the wire 20 so that it is not blown or caught, Due to this, entanglement or disconnection of the communication line 6 can be prevented, and the power supply line 5 and the communication line 6 of the construction lift 1 are separately installed so that there is no malfunction of the lift 1 so that the cage 3 can be Many effects can be expected, such as lifting and lowering smoothly.
Description
본 고안은 건설용 리프트의 통신선 지지장치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각종 건설현장에서 수직으로 인력 및 자재 등을 나르기 위해 설치되는 건설용 리프트의 케이지 내부의 수신기와 방호울 내부의 중계기를 연결 배선한 고장력의 통신선을 케이지의 승강 시에 바람에 날리거나, 얽히고 단선되는 등 훼손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 건설용 리프트의 통신선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munication line support device for a construction lift,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y connecting and connecting a receiver inside a cage of a construction lift installed in order to carry manpower and materials in various construction sites and a repeater in a protective enclosu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line support device for a construction lift that prevents damage to the high tension communication line from being blown, entangled, or broken in the wind when the cage is elevated.
상기 건설용 리프트의 통신선 지지장치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현장에 설치된 건설용 리프트는 고층의 건축물에 월타이(wall-tie)로 고정 지지토록 입설(立設)되는 마스트와, 상기 마스트에 설치된 래크기어와 치차 결합되는 구동피니언이 일측에 설치되어 승강구동모터의 가동 시 구동피니언의 회전으로 마스트를 타고 승강되며 설정된 위치에서 정지토록 브레이크가 설치된 케이지와, 마스트 하부의 지상에 설치되며 내부로 각층에 설치된 호출기와 연결 구성된 중계기 내지 외부의 전력공급선이 연결된 배전박스 등이 고정 설치된 방호울로 이루어지고, 이때 케이지 내부에는 승강구동모터 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전력공급선 및 전력공급선에 의해 공급된 전원에 의해 각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배전반이 추가로 구성되며, 케이지 일측에 설치되어 마스트를 타고 승강하는 케이지의 위치 및 이동거리를 감지하여 호출층으로 케이지를 승강시키기 위한 감지수단과 감지수단에 의해 케이지의 승강을 제어토록 케이지 내부에 수신기가 설치되며, 상기 케이지 내부의 수신기와 방호울 내부에 설치된 중계기 상호간에 고장력(高張力)의 통신선이 배선 연결되게 구성된다.In the communication line support device of the construction lift, a construction lift which is generally installed in various construction sites is a mast installed in the high-rise building to be fixed to the wall-tie (wall-tie), and installed on the mast A drive pinion geared to the rack gear is installed on one side, and when the lift drive motor starts, the cage is lifted up and down by the rotation of the drive pinion, and the cage is installed on the ground below the mast to stop at the set position. It consists of a protective fence installed fixedly connected to the pager installed in the distribution box connected to the external power supply line, etc. In this case, to the power supplied by the power supply line and the power supply line to supply power to the lift drive motor, etc. The switchboar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ach part is further configured, and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age The receiver is installed inside the cage to control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cage by the sensing means and the sensing means for lifting the cage to the call floor by sensing the position and the moving distance of the cage to be lifted and lifted on the mast. High-tension communication lin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etween the repeaters installed inside the shield and the shield.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건설용 리프트의 경우 지상에 설치된 방호울 내의 중계기와 케이지 내의 수신기를 유선으로 연결 배선된 통신선을 사용하고 있는바, 통상의 통신선은 케이지가 승강 시 중계기와 수신기 사이의 거리에 따라서 케이지 하부에서 일부가 처져 있게 되므로 통신선의 처진 부분이 바람에 의해서 날리거나 그로 인하여 리프트나 건축물 각부에 걸리게 되고, 날리거나 걸림에 따라 통신선이 얽히거나 그 상태에서 케이지가 승강하여 단선이 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construction lift, a communication line is used in which wires are connected between a relay in a protective fence installed on the ground and a receiver in a cage by a wire. The part of the lower part of the cage is drooped, so the drooping part of the communication line is blown by the wind or is caught by each part of the lift or the building. Would have had.
또한 통상의 통신선은 전력공급선과 함께 마스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고정장치에 일측이 고정되고, 반환부에 설치된 다양한 형태의 도르래에 걸리도록 구성하여 통신선이 일부 날리거나 걸리는 현상을 방지토록 하고 있으나, 통신선이 거치되는 도르래 자체가 바람 등에 날리게 되어 통신선이 날리는 등의 문제를 완전하게 방지할 수 없었고, 상기와 같이 통신선이 걸린 도르래를 설치한 상태에서 강한 바람이 불게 되면 통신선이 걸린 상태에서 도르래가 날리면서 마스트나 건축물에 부딪혀서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전력공급선이 거치되는 도르래에 통신선이 거치되는 도르래를 동시에 결합 구성해야 하므로 도르래 구조가 복잡해지고, 통신선을 전력공급선과 같이 설치할 경우 전력공급선에 흐르는 높은 전압(약 AC 380V)에 의해 방해전파가 유도되어 리프트의 오작동을 유발하게 되는 등 다수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In addition, a general communication line is fixed to one side of a fixing device installed at the upper part of the mast together with a power supply line, and configured to be caught by various types of pulleys installed at the return part to prevent some of the communication lines from being blown or caught. The mounted pulley itself was blown by the wind and could not completely prevent problems such as flying communication lines.If a strong wind blows in the state where the pulley with the communication line is installed as above, the pulley is blown while the communication line is caught. There was a problem such as being damaged by hitting a mast or a building, and the pulley on which the communication line is mounted must be configured at the same time as the pulley on which the power supply line is mounted. Therefore, the pulley structure becomes complicated, and when the communication line is installed together with the power supply line, Interference due to voltage (approximately 380 V AC) Induced to cause a malfunction of the lift and had a number of problems.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종래 건설용 리프트에서 통신선이 날리거나 걸려서 얽히거나 단선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전력공급선과 통신선을 하나의 도르래구조체로 함께 설치함에 따른 리프트의 오작동 등의 문제를 해결코자 본 고안에서는 건설용 리프트의 통신선을 전력공급선과는 별도로 설치하되, 통신선이 바람 등에 의해서 날리지 않도록 하여 얽히거나 단선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로 인하여 리프트의 케이지가 통신선에 의해서 정확하게 승강되게 하여 오작동을 방지토록 한 건설용 리프트의 통신선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고안이 해결하려는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a new technology, to solve the problem of entangled or disconnected by the communication line in the conventional construction lift, hanging, disconnect the power supply line and communication line as a pulley structur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malfunction of the lift due to the installation, in the present design, the communication line of the construction lift is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power supply line, but the communication line is prevented from being entangled or disconnected by the wind or the like, and thus the cage of the lift is prevented. The present invention has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problem to be solved in order to provide a communication line support device for construction lift to prevent the malfunction by allowing the elevating precisely by the communication line.
상기한 고안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고안에서는 건축물에 월타이로 고정 지지토록 입설(立設)되는 마스트와, 마스트를 타고 승강되어 설정된 위치에서 정지토록 설치된 케이지와, 마스트 하부의 지상에 중계기와 배전박스가 구비되게 설치된 방호울과, 방호울의 배전박스와 케이지 내부의 배전반을 전기적으로 배선 연결된 전력공급선과, 방호출의 중계기와 케이지 내부의 수신기에 배선 연결된 통신선으로 이루어진 건설용 리프트의 통신선 지지장치를 구성하되, 상기 통신선 지지장치는 마스트와 건축물 사이에서 마스트를 건축물에 고정 지지시키는 월타이 중 하나에 상단이 고정 설치되고 마스트 하부의 지지대에 하단이 고정 설치되어 상하로 팽팽하게 유지되도록 구성된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를 타고 승강되도록 구성되며 케이지 하부에서 U형태로 처져 있는 통신선의 처짐부를 와이어와 일정 간격을 유지토록 도르래형 또는 고리형 중 어느 하나로 연결 구성된 지지구로 이루어진다.
As a specific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mast installed to be fixedly supported by a wall tie to a building, a cage installed to stop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y being lifted on a mast, and the ground below the mast A construction lift consisting of a protective enclosure installed to have a repeater and a distribution box at the same time, a power supply lin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istribution box of the protective enclosure and a distribution panel inside the cage, and a communication line connected to the relay at the protective enclosure and the receiver inside the cage. Comprising a communication line support device, the communication line support device is fixed between the mast and the building is fixed to the top of one of the wolte for fixing the mast to the building and the lower end is fixed to the support of the lower mast is installed up and down A wire configured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wire Achieved by any one connection port configured support of the cage on the lower ever keep down in the dumps wire deflection unit and a predetermined interval of the communication line with a U-shaped pulley-like or cyclic.
상술한 과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 의하면, 본 고안의 건설용 리프트의 통신선 지지장치는 마스트와 건축물 사이에서 월타이와 마스트 하부 지지대에 상하로 팽팽하게 고정 설치된 와이어를 타고 승강되는 지지구를 통신선의 처짐부에 연결 구성하여 케이지의 승강 시 통신선의 처짐부 위치에 따라 와이어를 타고 승강되며, 항시 통신선의 처짐부를 팽팽한 와이어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게 지지되므로 강한 바람이 불더라도 통신선이 와이어에 지지되어 날리거나 걸리지 않으며, 이로 인하여 통신선의 얽힘이나 단선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더불어서 건설용 리프트의 전력공급선과 통신선이 별도로 설치되어 고전압에 의한 방해전파의 유도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이에 따른 리프트의 오작동이 없어서 케이지의 승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고안이다.
According to the specific means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communication line support device of the construction lif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pport that is elevated by lifting the wire is installed up and down tightly fixed to the waltie and the lower mast support between the mast and the building of the communication line When the cage is lifted, the wire is lifted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deflection part of the communication line, and the deflection part of the communication line is always supported at a constant distance to the tensioned wire so that even if strong wind blows, the communication line is supported by the wire or This prevents the entanglement or disconnection of the communication line.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line and the communication line of the construction lift are separately installed so that no interference occurs due to high voltage, so there is no malfunction of the lift. Going up and down smoothly Its expected effects, it is intended for.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 중 지지구의 제1실례를 보인 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고안 중 지지구의 제2실례를 보인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 중 지지구의 제3실례를 보인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 중 지지구의 제4실례를 보인 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고안 중 지지구의 제5실례를 보인 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고안 중 지지구의 제6실례를 보인 부분 확대도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referred example of the subject innovation
2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first example of the support during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second example of the support during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third example of the support during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fourth example of the support during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fifth example of the support during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sixth example of the support during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면들과 함께 본 고안을 하기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토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본 고안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종 건축현장에서 인력 및 자재 등을 수직으로 승강하면서 나르기 위해 설치되는 건설용 리프트(1)의 통신선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건설용 리프트(1)는 고층의 건축물(B)에 건축물(B)의 높이에 따라 상향되게 월타이(2a)로 고정 지지토록 입설(立設)되는 마스트(2)와, 상기 마스트(2)에 설치된 래크기어와 치차 결합되는 구동피니언이 일측에 설치되어 승강구동모터의 가동 시 구동피니언의 회전으로 마스트(2)를 타고 승강되도록 구성되며, 설정된 위치에서 정지토록 브레이크가 설치된 케이지(3)와, 마스트(2) 하부의 지상에 설치되며 내부로 각층에 설치된 호출기와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 구성된 중계기(4a) 내지 외부의 전력공급선(5)이 연결된 배전박스(4b) 등이 고정 설치된 방호울(4)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line support device for a construction lift (1) is installed to carry while lifting vertically and lifting people and materials in various construction sites, as shown in Figure 1, the construction lift (1) Drive that is geared with the
상기 케이지(3) 일측에 설치되어 마스트(2)를 타고 승강하는 케이지(3)의 위치 및 이동거리를 감지하여 호출층으로 케이지(3)를 승강시키기 위해 구비된 감지수단에 의해 케이지(3)의 승강을 제어토록 케이지(3) 내부에 수신기(3a)가 설치되며, 이와 더불어 케이지(3) 내부에는 승강구동모터 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전력공급선(5)이 연결되어 전력공급선(5)에 의해 공급된 전원에 의해 각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배전반(3b)이 설치되며, 상기 상기 케이지(3) 내부의 수신기(3a)와 방호울(4) 내부에 설치된 중계기(4a) 상호간에 고장력(高張力)의 통신선(6)이 배선 연결되게 구성되는 것이다.The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구성을 갖는 건설용 리프트(1)의 통신선(6)이 바람 등에 의해서 날리거나 얽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통신선(6) 지지장치(10)를 부가 설치한 것으로서, 상기 건설용 리프트(1)의 통신선(6) 지지장치(10)는 통신선(6)을 마스트(2) 외측으로 설치된 전력공급선(5)과는 별도로 마스트(2)와 건축물(B) 사이에서 마스트(2)를 건축물(B)에 고정 지지시키는 월타이(2a) 중 마스트(2) 전체 높이에서 중간 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 월타이(2a)에 상단이 고정 설치되고, 방호울(4) 내부에 설치된 마스트(2) 하부의 지지대(2b)에 하단이 고정 설치된 와이어(20)를 상하로 팽팽하게 긴장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와이어(20)를 타고 승강되도록 구성되며, 케이지(3) 하부에서 U형태로 처져 있는 통신선(6)의 처짐부(7)와 와이어(20)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토록 지지구(30)를 연결 구성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event the
상기 지지구(30)는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도르래형으로 구성하되, 그 세부구성을 살펴보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구(30)의 일측은 통신선(6)의 처짐부(7)에 내입되어 케이지(3)의 승강 시 통신선(6)이 미끄러져 슬라이딩되도록 지지브래킷(33)에 자유 회전되게 축설치된 안내롤러(31)를 구비하고, 지지구(30)의 타측은 마스트(2)와 건축물(B) 사이에서 팽팽하게 긴장된 와이어(20)가 외접하여 케이지(3)의 승강 시 와이어(20)를 타고 지지구(30)가 승강되도록 지지브래킷(33)에 자유 회전되게 축설치된 승강롤러(32)를 구비하여 통신선(6)의 처짐부(7)와 와이어(20)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토록 구성하거나,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구(30)의 일측은 통신선(6)의 처짐부(7)에 내입되어 케이지(3)의 승강 시 통신선(6)이 미끄러져 슬라이딩되도록 지지브래킷(33)에 자유 회전되게 축설치된 안내롤러(31)를 구비하고, 지지구(30)의 타측은 상기 와이어(20)가 외접하여 케이지(3)의 승강 시 와이어(20)를 타고 지지구(30)가 승강되도록 지지브래킷(33)에 자유 회전되게 축설치된 두 개의 승강롤러(32) 사이에 와이어(20)가 관통되도록 하여 통신선(6)의 처짐부(7)와 와이어(20)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토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구(30)의 일측은 통신선(6)의 처짐부(7)에 내입되어 케이지(3)의 승강 시 통신선(6)이 미끄러져 슬라이딩되도록 지지브래킷(33)에 자유 회전되게 축설치된 안내롤러(31)를 구비하고, 지지구(30)의 타측은 상기 와이어(20)가 외접하여 케이지(3)의 승강 시 와이어(20)를 타고 지지구(30)가 승강되도록 지지브래킷(33)에 자유 회전되게 축설치된 두 개의 승강롤러(32) 사이에 와이어(20)가 관통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지지브래킷(33)의 일측에 회전방지고리(34)를 형성하여 상기 와이어(20)와는 별도로 와이어(20)의 옆에 월타이(2a)와 지지대(2b)에 상단과 하단이 각각 고정 설치된 보조와이어(35)가 관통되게 구성하며, 이때 지지구(30)는 와이어(20)에 두 개의 승강롤러(32)가 지지되며 보조와이어(35)에 회전방지고리(34)가 지지되어 통신선(6)의 처짐부(7)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토록 구성하므로 도 2 내지 도 3의 지지구(30)가 와이어(20)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The
상기 지지구(30)는 도2 내지 4에서와 같이 도르래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도 5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고리형으로도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고리형 지지구(30)는 두 개의 고리로 통신선(6)의 처짐부(7)와 와이어(20)를 지지할 수 있는 것으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은 통신선(6)의 처짐부(7)에서 통신선(6)이 관통되도록 원형 또는 타원형의 지지고리(36)를 형성하고, 타측은 와이어(20)가 관통되도록 원형 또는 타원형의 승강고리(37)를 지지고리(36)와 일체로 고정되게 하여 통신선(6)의 처짐부(7)와 와이어(20)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토록 구성하거나,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신선(6)이 관통되는 지지고리(36)와 와이어(20)가 관통되는 승강고리(37) 사이에 간격유지봉(38)을 일체로 형성하여 통신선(6)의 처짐부(7)와 와이어(20) 사이의 간격을 멀어지게 구성할 수도 있으며,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고리(36)와 승강고리(37)를 일체로 고정되게 구성하지 않고, 상호 회전되게 지지고리(36)와 승강고리(37)를 축핀(39)으로 연결 구성하여 지지고리(36)와 승강고리(37)가 축핀(39)을 기점으로 유동 가능토록 하여 케이지(3)의 승강 시 통신선(6)의 처짐부(7)를 와이어(20)에 보다 원활하게 지지하면서 와이어(20)를 타고 승강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건설용 리프트(1)의 통신선(6) 지지장치(10)는 마스트(2)와 건축물(B) 사이에서 상하로 팽팽하게 긴장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와이어(20)와 통신선(6)의 처짐부(7)를 와이어(20)와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시키면서 와이어(20)를 타고 승강되도록 구성된 지지구(30)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의 상세한 작용을 설명하면, 우선 도 2 내지 도 4의 도르래형 지지구(30)에서 케이지(3)가 상승할 경우에는 통신선(6)의 처짐부(7)에서 통신선(6)이 상부로 당겨져 안내롤러(31)가 자유 회전하게 되면서 지지구(30)가 와이어(20)를 타고 상승하게 되며, 이때 안내롤러(31)가 일측에 설치된 지지브래킷(33)의 타측에 설치된 승강롤러(32)가 와이어(20)에 지지되어 자유 회전되므로 원활하게 상승이 이루어지며, 지지구(30)가 상승하면서 와이어(20)에 통신선(6)을 일정 간격으로 지지시켜 주어 바람이 불더라도 통신선(6)이 날리거나 걸리지 않으며, 이로 인하여 얽힘이나 단선이 방지되는 것이며, 케이지(3)가 하강할 경우에는 통신선(6)의 처짐부(7)가 내려감과 동시에 안내롤러(31)가 자유 회전하면서 지지구(30)의 자중에 의해서 지지구(30)도 와이어(20)를 타고 하강하게 되며, 이때 승강롤러(32)가 와이어(20)에 지지되어 자유 회전되므로 원활하게 하강이 이루어지며, 지지구(30)가 하강하면서도 와이어(20)에 통신선(6)을 일정 간격으로 지지시켜 주어 바람 등에 의해서 통신선(6)이 날리지 않게 되는 것이며, 도 4의 지지구(30)는 지지브래킷(33)의 일측에 회전방지고리(34)를 형성하여 와이어(20)와는 별도로 설치된 보조와이어(35)에 결합하여 와이어(20)를 중심으로 지지구(30)가 돌아가서 통신선(6)이 와이어(20)에 얽히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The
그리고 도 5 내지 도 7의 고리형 지지구(30)에서 케이지(3)가 상승할 경우에는 통신선(6)의 처짐부(7)에서 통신선(6)이 상부로 당겨져 지지고리(36)가 슬라이딩되면서 지지구(30)가 와이어(20)를 타고 상승하게 되며, 이때 지지고리(36)에 일체로 형성된 승강고리(37)가 와이어(20)에 지지되어 상승하게 되며, 지지구(30)가 상승하면서 와이어(20)에 통신선(6)을 일정 간격으로 지지시켜 주어 바람이 불더라도 통신선(6)이 날리거나 걸리지 않으며, 이로 인하여 얽힘이나 단선이 방지되는 것이며, 케이지(3)가 하강할 경우에는 통신선(6)의 처짐부(7)가 내려감과 동시에 지지고리(36)에서 통신선(6)이 하부로 슬라이딩되면서 지지구(30)의 자중에 의해서 지지구(30)도 와이어(20)를 타고 하강하게 되며, 이때 승강고리(37)가 와이어(20)에 지지되어 슬라이딩되면서 하강이 이루어지며, 지지구(30)가 하강하면서도 와이어(20)에 통신선(6)을 일정 간격으로 지지시켜 주어 바람 등에 의해서 통신선(6)이 날리지 않게 되는 것이며, 도 6의 지지구(30)는 지지고리(36)와 승강고리(37)를 지지바로 연결되게 형성하여 통신선(6)의 처짐부(7)와 와이어(20) 사이 간격을 멀어지게 할 수 있으며, 도 7의 지지구(30)는 지지고리(36)와 승강고리(37)를 축핀(39)으로 유동되게 구성하여 축핀(39)을 기점으로 지지고리(36)와 승강고리(37)가 유동되도록 하므로 케이지(3)의 승강 시 통신선(6)의 처짐부(7)를 와이어(20)에 보다 원활하게 지지하면서 와이어(20)를 타고 승강되도록 한 것이다.
When the
B:건축물 1:건설용 리프트
2:마스트 2a:월타이
2b:지지대 3:케이지
3a:수신기 3b:배전반
4:방호울 4a:중계기
4b:배전박스 5:전력공급선
6:통신선 7:처짐부
10:지지장치 20:와이어
30:지지구 31:안내롤러
32:승강롤러 33:지지브래킷
34:회전방지고리 35:보조와이어
36:지지고리 37:승강고리
38:간격유지봉 39:축핀B: Building 1: Construction Lift
2:
2b: support 3: cage
3a:
4:
4b: power distribution box 5: power supply line
6: communication line 7: sag
10: support device 20: wire
30: support 31: guide roller
32: lifting roller 33: support bracket
34: anti-rotation ring 35: auxiliary wire
36: Jigori 37: Lift ring
38: interval holding rod 39: shaft pin
Claims (7)
상기 지지구(30)는 도르래형으로 구성하되,
일측에 통신선(6)의 처짐부(7)에 내입되어 케이지(3)의 승강 시 통신선(6)이 미끄러져 슬라이딩되도록 지지브래킷(33)에 자유 회전되게 축설치된 안내롤러(31)와,
타측에 와이어(20)가 외접하여 케이지(3)의 승강 시 와이어(20)를 타고 지지구(30)가 승강되도록 지지브래킷(33)에 자유 회전되게 축설치된 승강롤러(3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리프트의 통신선 지지장치.
The upper end is fixedly installed at one of the wolds 2a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mast 2 to the building B between the mast 2 of the construction lift 1 and the building B, and the lower part of the mast 2 The lower end is fixed to the support (2b) of the wire 20 configured to be maintained in the up and down tension, and the deflection portion 7 of the communication line 6 sagging in the cage 3 lower intervals with the wire 20 In the communication line support device for a construction lift comprising a support 30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ny one of the pulley-type or ring-shaped to ride up and down the wire 20;
The support 30 is configured as a pulley type,
A guide roller 31 inserted into the deflection portion 7 of the communication line 6 on one side and axially installed on the support bracket 33 so that the communication line 6 slides and slides when the cage 3 moves up and down;
On the other side, the wire 20 is externally formed, and the lifting roller 32 is axially installed on the support bracket 33 so that the support bracket 30 can be lifted by the wire 20 when the cage 3 is lifted and lifted. Communication line support device for construction lift.
상기 지지구(30)는 도르래형으로 구성하되,
일측에 통신선(6)의 처짐부(7)에 내입되어 케이지(3)의 승강 시 통신선(6)이 미끄러져 슬라이딩되도록 지지브래킷(33)에 자유 회전되게 축설치된 안내롤러(31)와,
타측에 와이어(20)가 외접하여 케이지(3)의 승강 시 와이어(20)를 타고 지지구(30)가 승강되도록 지지브래킷(33)에 자유 회전되며 사이로 와이어(20)가 관통되게 축설치된 두 개의 승강롤러(3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리프트의 통신선 지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support 30 is configured as a pulley type,
A guide roller 31 inserted into the deflection portion 7 of the communication line 6 on one side and axially installed on the support bracket 33 so that the communication line 6 slides and slides when the cage 3 moves up and down;
When the wire 20 is externally wound on the other side, the cage 20 is freely rotated on the support bracket 33 so that the support 30 is lifted by the wire 20 and the shaft 20 is axially installed therethrough. Communication line support device for a construction lif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wo lifting rollers (32).
상기 지지구(30)는 도르래형으로 구성하되,
일측에 통신선(6)의 처짐부(7)에 내입되어 케이지(3)의 승강 시 통신선(6)이 미끄러져 슬라이딩되도록 지지브래킷(33)에 자유 회전되게 축설치된 안내롤러(31)와,
타측에 와이어(20)가 외접하여 케이지(3)의 승강 시 와이어(20)를 타고 지지구(30)가 승강되도록 지지브래킷(33)에 자유 회전되며 사이로 와이어(20)가 관통되게 축설치된 두 개의 승강롤러(32)와,
와이어(20)와는 별도로 와이어(20)의 옆에 월타이(2a)와 지지대(2b)에 상단과 하단이 각각 고정 설치된 보조와이어(35)와,
보조와이어(35)가 관통되게 지지브래킷(33)의 일측에 형성된 회전방지고리(3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리프트의 통신선 지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support 30 is configured as a pulley type,
A guide roller 31 inserted into the deflection portion 7 of the communication line 6 on one side and axially installed on the support bracket 33 so that the communication line 6 slides and slides when the cage 3 moves up and down;
When the wire 20 is externally wound on the other side, the cage 20 is freely rotated on the support bracket 33 so that the support 30 is lifted by the wire 20 and the shaft 20 is axially installed therethrough. Lifting rollers (32),
Apart from the wire 20, the auxiliary wire 35 is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watie (2a) and the support (2b) next to the wire 20, respectively,
Communication line support device for a construction lift, characterized in that the auxiliary wire 35 is made of a rotation preventing ring 34 form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bracket 33 to pass through.
상기 지지구(30)는 고리형으로 구성하되,
일측에 통신선(6)의 처짐부(7)에서 통신선(6)이 관통되도록 형성된 원형 또는 타원형의 지지고리(36)와,
타측에 지지고리(36)와 일체로 고정 구성되며, 와이어(20)가 관통되도록 형성된 원형 또는 타원형의 승강고리(3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리프트의 통신선 지지장치.
The upper end is fixedly installed at one of the wolds 2a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mast 2 to the building B between the mast 2 of the construction lift 1 and the building B, and the lower part of the mast 2 The lower end is fixed to the support (2b) of the wire 20 configured to be maintained in the up and down tension, and the deflection portion 7 of the communication line 6 sagging in the cage 3 lower intervals with the wire 20 In the communication line support device for a construction lift comprising a support 30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ny one of the pulley-type or ring-shaped to ride up and down the wire 20;
The support 30 is configured in a ring shape,
A circular or elliptical support ring 36 formed to penetrate the communication line 6 at the deflection portion 7 of the communication line 6 on one side,
The other side is fixedly integrated with the support ring 36, the communication line support device for a construction lif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lifting ring 37 of a circular or oval formed so that the wire 20 penetrates.
상기 지지구(30)는 고리형으로 구성하되,
일측에 통신선(6)의 처짐부(7)에서 통신선(6)이 관통되도록 형성된 원형 또는 타원형의 지지고리(36)와,
타측에 와이어(20)가 관통되도록 형성된 원형 또는 타원형의 승강고리(37)와,
지지고리(36)와 승강고리(37) 사이에 일체로 형성된 간격유지봉(38)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리프트의 통신선 지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support 30 is configured in a ring shape,
A circular or elliptical support ring 36 formed to penetrate the communication line 6 at the deflection portion 7 of the communication line 6 on one side,
A circular or elliptical lifting ring 37 formed to penetrate the wire 20 on the other side,
Communication line support device for a construction lif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gap retaining rod (38) integrally formed between the support ring (36) and the lifting ring (37).
상기 지지구(30)는 고리형으로 구성하되,
일측에 통신선(6)의 처짐부(7)에서 통신선(6)이 관통되도록 형성된 원형 또는 타원형의 지지고리(36)와,
타측에 와이어(20)가 관통되도록 형성된 원형 또는 타원형의 승강고리(37)와,
지지고리(36)와 승강고리(37) 사이에 지지고리(36)와 승강고리(37)가 상호 회전토록 연결 구성된 축핀(39)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리프트의 통신선 지지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support 30 is configured in a ring shape,
A circular or elliptical support ring 36 formed to penetrate the communication line 6 at the deflection portion 7 of the communication line 6 on one side,
A circular or elliptical lifting ring 37 formed to penetrate the wire 20 on the other side,
Communication line support device for a construction lift,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ring (36) and the lifting ring (37) between the support ring (36) and the lifting ring (37) consists of an axial pin (39)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5101U KR200452372Y1 (en) | 2010-05-14 | 2010-05-14 | Communication line support device of construction lif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5101U KR200452372Y1 (en) | 2010-05-14 | 2010-05-14 | Communication line support device of construction lif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52372Y1 true KR200452372Y1 (en) | 2011-02-22 |
Family
ID=44244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00005101U KR200452372Y1 (en) | 2010-05-14 | 2010-05-14 | Communication line support device of construction lif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52372Y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182953A1 (en) * | 2020-03-11 | 2021-09-16 | Raxtar B.V. | Construction lift provided with an auxiliary guide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1115347U (en) | 1975-03-14 | 1976-09-18 | ||
JP2003182954A (en) | 2001-12-20 | 2003-07-03 | Koshihara:Kk | Cable guide device |
KR20030073177A (en) * | 2002-03-08 | 2003-09-19 | 아이.지.시 주식회사 | Warpness reducing method in bonding process of two different kinds of materials |
KR20040016865A (en) * | 2001-05-18 | 2004-02-25 | 스미스클라인 비참 코포레이션 | Novel Use |
KR200373177Y1 (en) | 2004-10-22 | 2005-01-15 | (주) 대원 P&I | A moving-communication cable supporting apparatus of Lift car for construction |
KR200416865Y1 (en) * | 2006-03-09 | 2006-05-22 | 주식회사 대원이앤씨 | Mobile communication cable support device of construction lift car |
-
2010
- 2010-05-14 KR KR2020100005101U patent/KR200452372Y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1115347U (en) | 1975-03-14 | 1976-09-18 | ||
KR20040016865A (en) * | 2001-05-18 | 2004-02-25 | 스미스클라인 비참 코포레이션 | Novel Use |
JP2003182954A (en) | 2001-12-20 | 2003-07-03 | Koshihara:Kk | Cable guide device |
KR20030073177A (en) * | 2002-03-08 | 2003-09-19 | 아이.지.시 주식회사 | Warpness reducing method in bonding process of two different kinds of materials |
KR200373177Y1 (en) | 2004-10-22 | 2005-01-15 | (주) 대원 P&I | A moving-communication cable supporting apparatus of Lift car for construction |
KR200416865Y1 (en) * | 2006-03-09 | 2006-05-22 | 주식회사 대원이앤씨 | Mobile communication cable support device of construction lift car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182953A1 (en) * | 2020-03-11 | 2021-09-16 | Raxtar B.V. | Construction lift provided with an auxiliary guid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39417B1 (en) | Emergency brake device for construction lift | |
KR101324078B1 (en) | Vertical roller of stage equipment | |
KR200452372Y1 (en) | Communication line support device of construction lift | |
JP6449423B1 (en) | Work gondola | |
KR101053513B1 (en) | Complete cable connection for distribution pole | |
KR101416795B1 (en) | Apparatus for lifting lotus Lantern | |
JP5989372B2 (en) | Safety fence | |
KR101440071B1 (en) | Up and down operating apparatus of laundry hanger | |
KR101280403B1 (en) | Insulated arms for supporting distribution line | |
KR200445096Y1 (en) | Communication cable winding guide device of construction lift | |
KR101470517B1 (en) | Gondola for tower working | |
KR101890490B1 (en) | Ventilation equipment of Plant factory type Greenhouse | |
JP7281936B2 (en) | Elevating method of derrick device for assembly work of steel tower | |
KR101416983B1 (en) | Wire guide device for lifting the curtain on stage | |
KR102363762B1 (en) | Lifting apparatus capable of protecting and safely lifting windows and doors frames and the method thereof | |
KR101600967B1 (en) | Ball-chain guiding structure for the laundry hanger | |
CN207541112U (en) | A kind of high-potting hall electric field shielding curtain | |
KR101055452B1 (en) | Flag hoisting device | |
JP4994493B2 (en) | Floating device | |
KR20220095550A (en) | Apparatus for lifting and lowering objects | |
KR102553833B1 (en) | A free lifting type net easy to going up | |
JP2018203441A (en) | Indoor lifting device | |
KR20130111086A (en) | Curtain control device | |
CN206088665U (en) | Exempt from equipment of climbing | |
JP2006149717A (en) | Stage curtain fold-up lif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00514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UA0301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17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14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0081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0111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1021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10216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25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1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1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04 Year of fee payment: 7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2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02 Year of fee payment: 8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9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2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10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1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U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20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