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143Y1 - Sensor strip extraction device for blood glucose meter - Google Patents
Sensor strip extraction device for blood glucose me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52143Y1 KR200452143Y1 KR2020100011199U KR20100011199U KR200452143Y1 KR 200452143 Y1 KR200452143 Y1 KR 200452143Y1 KR 2020100011199 U KR2020100011199 U KR 2020100011199U KR 20100011199 U KR20100011199 U KR 20100011199U KR 200452143 Y1 KR200452143 Y1 KR 20045214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nsor strip
- coupled
- blood glucose
- glucose meter
- pressure por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1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1
- WQZGKKKJIJFFOK-GASJEMHNSA-N 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2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2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06010012601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10902 straw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848 electrochem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375 photometr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OMKZKJEJBZBJJ-UHFFFAOYSA-N 1,2-dichloro-3-phenylbenzene Chemical compound ClC1=CC=CC(C=2C=CC=CC=2)=C1Cl XOMKZKJEJBZBJ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743 erythr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43 intermedi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7756 respiratory electron transport chai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98 tes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or pH-value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or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or pH-value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or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or pH-value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or cerebral tissue
- A61B5/1468—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or pH-value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or cerebral tissue using chemical or electrochemical methods, e.g. by polarographic means
- A61B5/1477—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or pH-value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or cerebral tissue using chemical or electrochemical methods, e.g. by polarographic means non-invasiv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58—Strips for collecting blood, e.g. absorb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7—Devices characterised by integrated means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01—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 G01N21/11—Filling or emptying of cuvett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혈당 측정기용 센서스트립 취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당뇨 환자의 혈액을 채취하여 혈당을 측정하는 혈당 측정기에서 일단은 상기 혈액이 흡착되고, 타단은 상기 혈당 측정기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센서스트립을 사용한 후 검사자가 직접 파지하지 않고도 혈당 측정기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한 혈당 측정기용 센서스트립 취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내부에 혈당 측정 대상자의 혈액이 채취된 센서스트립의 일단이 착탈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센서스트립수용부와, 혈당 측정 완료 후, 상기 센서스트립수용부에 결합된 센서스트립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은 상기 센서스트립수용부 내부에 배치되고 타단은 센서스트립수용부 외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센서스트립수용부에 결합된 센서스트립의 일단을 밀어 배출시키는 밀대와, 상기 밀대의 노출된 타단에 결합되어 수평이동에 따라 상기 밀대를 가압 이동시키는 이동가압구를 포함하는 센서스트립배출부와, 상기 센서스트립배출부의 이동가압구를 외측에서 커버하고, 상기 이동가압구가 유동없이 수평이동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커버와, 상기 이동가압구가 하방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부 위치를 제한하는 지지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nsor strip extracting device for a blood glucose meter, and more particularly, in the blood glucose meter for measuring blood sugar by collecting blood of a diabetic patient, one end of the blood is adsorbed, and the other end is detachable inside the blood glucose met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nsor strip extracting device for a blood glucose meter that allows a tester to separate from the blood glucose meter without using the gripping device directly after using the sensor strip.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strip accommodating part that is detachably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sensor strip from which the blood of the blood sugar measuring object is collected therein, and the sensor strip coupled to the sensor strip accommodating part after the blood sugar measurement is completed. For discharging, the end is disposed inside the sensor strip accommodating part, and the other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nsor strip accommodating part and pushes one end of the sensor strip coupled to the sensor strip accommodating part, and exposes the straw. A sensor strip discharge part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ensor strip including a moving pressure port for pressurizing the push rod according to a horizontal movement, and a moving pressure port of the sensor strip discharge part covered from the outside, and the mobile pressure port moves horizontally without flow. A guide cover for guiding so as to limit the lower position so that the movable pressure port can no longer move downward; Is made including a support bracket.
Description
본 고안은 혈당 측정기용 센서스트립 취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당뇨 환자의 혈액을 채취하여 혈당을 측정하는 혈당 측정기에서 일단은 상기 혈액이 흡착되고, 타단은 상기 혈당 측정기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센서스트립을 사용한 후 검사자가 직접 파지하지 않고도 혈당 측정기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한 혈당 측정기용 센서스트립 취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nsor strip extracting device for a blood glucose meter, and more particularly, in the blood glucose meter for measuring blood sugar by collecting blood of a diabetic patient, one end of the blood is adsorbed, and the other end is detachable inside the blood glucose met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nsor strip extracting device for a blood glucose meter that allows a tester to separate from the blood glucose meter without using the gripping device directly after using the sensor strip.
혈당 측정기는 검사 대상자의 혈액 속에 함유되어 있는 포도당의 농도를 확인하여 혈당 수치의 불안정으로 인해 발생하는 변화를 빠르고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당뇨병(糖尿病)환자와 같이 하루에 몇 번씩 자신의 혈당을 확인해야 하는 검사 대상자의 중요한 의료보조용품 중 하나이다.
Blood glucose meter is to check the concentration of glucose in the blood of the subject to quickly and easily check the changes caused by the instability of the blood sugar level, especially for people with diabetes, their blood sugar several times a day It is one of the important medical aids for the subjects who need to check.
일반적인 혈당 측정기는 혈당을 검사하는 방법에 따라 크게 2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광도측정법을 적용한 혈당 측정기와 전기화학적 측정법을 적용한 혈당 측정기가 있다.
The general blood glucose meter can be classified into two types according to the blood sugar test method. There are a blood glucose meter using photometry and a blood glucose meter using electrochemical measurement.
광도측정법을 적용한 혈당 측정기는 혈액속의 글루코오스가 효소와 반응하는 과정에서 색깔을 변화시키는 중간 물질을 생성하고 이것이 색소원을 변경하여 변화된 색깔을 빛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혈당 측정기 내부 구성에서 광원과 감지부의 구성이 핵심적인 기술이며, 혈액의 적혈구 성분을 잘 확인할 수 있는 센서의 구성이 필요하고, 검사를 위해 필요한 혈액량은 보통 10~20 마이크로리터(대략 굵은 혈액 방울 1개에 해당함)가 필요하며, 상기 혈액을 측정기에 사용하는 방법은 혈액에 측정기 또는 센서를 가져다 대거나 혈액을 떨어뜨려 스트립에 스며들게 하는 방법이 사용되며, 측정에 소요되는 시간은 대략 20~40초가 소요되며, 가격이 낮고 제조원가에 따른 부가가치가 낮기 때문에 주로 아시아, 중남미 및 후진국등에서 주로 사용되었다.
Glucometers use photometry to produce intermediates that change color as glucose in the blood reacts with enzymes, which change the pigment source to measure the changed color using light. The composition of the light source and the sensing unit is a key technology, and the configuration of a sensor that can check the erythrocyte component of blood is necessary. The method of using the blood in the measuring device is a method of bringing the measuring device or sensor to the blood or dropping the blood to penetrate the strip, and the measurement takes about 20 to 40 seconds, and the price is low. Because of the low added value according to manufacturing cost, it is mainly used in Asia, Latin America and developing countries. It was.
전기화학적 측정법을 적용한 혈당 측정기는, 혈액속의 글루코오스가 효소와 반응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전자를 전자 전달 매개체를 이용하여 전극으로 전달하여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것으로, 전극표면과 전극의 물질의 구성이 핵심적인 주요기술이며, 센서에서는 전압과 전류의 관계가 선형적으로 나올 수 있도록 하는 효소 고정화 기술이 주로 사용되며, 소요되는 혈액량은 광도측정법에 비해 절반 이하의 혈액이 소요되며, 채혈한 혈액을 센서(또는 스트립)에 가져다 대면 자동으로 이를 흡입하게 되고, 측정에 소요되는 시간은 10~30초 정도가 소요되고, 제조원가에 따른 부가가치가 높기 때문에 일반적인 기준에서 선진국에서 주로 사용되었다.
The blood glucose meter using the electrochemical measurement method measures the current flowing by transferring electrons generated during the reaction of glucose in the blood with the enzyme to the electrode using an electron transfer medium. The composition of the electrode surface and the material of the electrode is essential. It is the main technology, and the enzyme immobilization technology is used mainly in the sensor so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voltage and current can be linear, and the amount of blood required is less than half the blood compared to the photometric method. When it is applied to the strip, it is automatically inhaled, and the time required for measurement is about 10 to 30 seconds, and because of the high added value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cost, it was mainly used in developed countries in general standards.
종래에는 상대적으로 가격이 낮은 광도측정법을 적용한 혈당 측정기가 주로 사용되었으나 점차적으로 전기화학적 측정법을 적용한 혈당 측정기로 대체되고 있는데, 이는 검사에 사용되는 혈액량을 감소시켜 주길 원하는 소비자의 요구를 적용한 것이며, 또한 광도측정법에 비해 전기화학적 측정법이 상품성 및 조작성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In the past, a relatively low-cost photometric blood glucose meter was mainly used but gradually replaced by an electrochemical blood glucose meter, which is applied to the needs of consumers who want to reduce the amount of blood used for the test. This is because the electrochemical measurement method is superior to the photometric method in terms of merchandise and operability.
이하 본 고안에서 언급하는 혈당 측정기는 전기화학적 측정법을 적용한 혈당 측정기이다.
The blood glucose meter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blood glucose meter to which an electrochemical measuring method is applied.
종래의 혈당 측정기를 사용하는 상태를 살펴보면, 사용 전의 센서스트립을 혈당 측정기에 결합한 후 검사 대상자의 혈액을 노출된 센서스트립의 일측에 흡착시키고, 흡착된 혈액을 혈당 측정기 내부에 구비된 검사부가 검사하여 혈당 측정기 외부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여 검사를 마친 후 사용된 센서스트립은 혈당 측정기에서 제거하고 새로운 센서스트립을 다시 결합하여 대기시키는 동작이 반복된다.
In the state of using a conventional blood glucose meter, the sensor strip before use is combined with a blood glucose meter and the blood of the test subject is adsorbed to one side of the exposed sensor strip, and the adsorbed blood is inspected by a test unit provided in the blood glucose meter. After completing the test by displaying on a display provided outside the blood glucose meter, the used sensor strip is removed from the blood glucose meter and the new sensor strip is recombined and waited.
이때, 센서스트립을 혈당 측정기에서 분리하는 과정에서 센서스트립을 직접 파지하여 혈당 측정기에서 분리하게 되므로, 센서스트립에 남아 있는 혈액이 검사자 또는 검사 대상자 본인의 손에 묻게 되고, 이로 인해 새로운 센서트립을 혈당 측정기에 결합할 때 손에 묻어 있던 혈액이 새로운 센서스트립을 오염시키게 되어 오진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검사자 또는 검사 대상자가 한 번의 검사를 진행한 후 손을 씻거나 위생용 장갑을 바꿔 착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At this time, since the sensor strip is separated from the blood glucose meter by directly holding the sensor strip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sensor strip from the blood glucose meter, the blood remaining in the sensor strip is buried in the hands of the examiner or the subject. When combined with the measuring device, the blood on the hand contaminates the new sensor strip, which may cause a misdiagnosis.To prevent this, the inspector or the subject undergoes one test to wash hands or sanitary gloves. There was a hassle to change to wear.
나아가 센서스트립을 혈당 측정기에서 분리하는 과정에서 과도한 힘에 의해 센서스트립이 찢어지는 문제가 있었으며, 파손된 센서스트립을 혈당 측정기 내부에서 제거하기 위해서 측정기를 분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Furthermore,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sensor strip from the blood glucose meter, there was a problem in which the sensor strip was torn due to excessive force, and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meter was separated to remove the broken sensor strip from the blood glucose meter.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혈당 측정기에서 사용 후의 센서스트립을 검사자가 직접 파지하지 않고도 혈당 측정기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센서스트립 취출장치를 구비하여 상기 센서스트립의 배출이 용이하고 검사가 위생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한 혈당 측정기용 센서스트립 취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sensor strip after the use in the blood glucose meter is provided with a sensor strip taking out device so that the tester can be separated from the blood glucose meter without gripping directly, the discharge of the sensor strip is easy and inspec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nsor strip extraction device for a blood glucose meter so that the hygiene can proceed hygienically.
또한, 상기 취출장치에는 센서스트립을 배출하는 센서스트립배출부가 승하강할 때 정해진 경로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가 구비되어 반복적인 사용에도 센서스트립배출부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아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혈당 측정기용 센서스트립 취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take-out device is provided with a guide for preventing the sensor strip discharge portion discharging the sensor strip to move up and down in a predetermined path, so that the position of the sensor strip discharge portion does not change even in repeated use to ensure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nsor strip extracting device for a blood glucose met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에 혈당 측정 대상자의 혈액이 채취된 센서스트립의 일단이 착탈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센서스트립수용부와, 혈당 측정 완료 후, 상기 센서스트립수용부에 결합된 센서스트립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은 상기 센서스트립수용부 내부에 배치되고 타단은 센서스트립수용부 외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센서스트립수용부에 결합된 센서스트립의 일단을 밀어 배출시키는 밀대와, 상기 밀대의 노출된 타단에 결합되어 수평이동에 따라 상기 밀대를 가압 이동시키는 이동가압구를 포함하는 센서스트립배출부와, 상기 센서스트립배출부의 이동가압구를 외측에서 커버하고, 상기 이동가압구가 유동없이 수평이동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커버와, 상기 이동가압구가 하방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부 위치를 제한하는 지지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a sensor strip accommodating part which is detachably inserted and coupled to one end of the sensor strip from which blood of the blood sugar measuring object is collected therein, and after completion of blood sugar measurement, the sensor strip accommodating part For discharging the combined sensor strip to the outside, one end is disposed inside the sensor strip accommodating part and the other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nsor strip accommodating part and pushes one end of the sensor strip coupled to the sensor strip accommodating part to discharge. And a sensor strip discharge unit coupled to the exposed other end of the push rod, the sensor strip discharge unit including a moving push hole for pressurizing and moving the push rod according to a horizontal movement, and the mobile push port covering the sensor strip discharge unit from the outside. A guide cover for guiding the sphere to move horizontally without flow, and the movable pressure port can no longer move downward. It includes a support bracket to limit the lower position so as to.
또한, 상기 센서스트립수용부는, 내부에 센서스트립이 삽입 결합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이 개방되어 횡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구성되는 사각틀체로 이루어지며, 상부에는 센서스트립이 출입하는 스트립출입공이 형성되고, 전면 하부에는 결합된 센서스트립의 일단과 접촉하는 단자가 장착되는 단자홀이 형성된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의 개방된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커넥터에 삽입 결합되는 센서스트립을 후방에서 가압 지지하여 상기 단자와의 접촉성을 향상시키도록 저방에 돌출지지면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센서스트립배출부의 밀대가 이동될 수 있도록 밀대이동공이 형성된 지지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ensor strip accommodation portion, the receiving space is formed so that the sensor strip is inserted and coupled therein, the opening is formed on one side is made of a rectangular frame consisting of a cross-section '''shape, the sensor strip on the top A strip access hole is formed to go in and out, and a connector having a terminal hole for mounting a terminal contacting one end of the sensor strip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front surface, and a sensor strip coupled to an open side of the connector and inserted into the connector. Protruding support ground is formed in the lower side to support the pressure contact from the rear to improve the contact with the terminal, the lower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pport formed with a push rod movement hole so that the push rod of the sensor strip discharge portion is moved. .
이때, 상기 센서스트립배출부의 밀대는, 'ㄴ'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일단의 수직 단부는 상기 커넥터의 수용공간에 배치되어 센서스트립의 하단을 밀어서 배출시키고, 타단의 수평 단부는 상기 이동가압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t this time, the sensor strip discharge unit is pushed into a 'b' shape, the vertical end of one end is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connector to push the lower end of the sensor strip to discharge, the horizontal end of the other end of the pressur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또한, 상기 이동가압구는, 상기 밀대에 결합되고 외력에 의해 수평이동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수평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몸체의 중앙에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결합되는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의 외측에 결합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부에 밀대의 노출된 단부가 삽입되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몸체에 관통 결합되는 가이드봉의 하단을 지지하는 받침면이 형성되며, 좌우 양측에는 상기 지지브라켓에 걸려 지지가 되도록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moving pressure port, the body coupled to the push rod and horizontally moved by an external force, a guide rod coupled through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enter of the body to guide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body, and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guide rod It includes a spring that is, the body is formed with a coupling hole is inserted into the exposed end of the push rod on the upper portion, the lower side is formed with a support surface for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guide rod coupled to the body, the support brackets on both sides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step is formed to be supported on.
또한, 상기 가이드커버는, 전방이 개방된 사각틀체로 이루어지며, 하부를 향해 개방된 개구부와, 상기 이동가압구의 몸체가 안치되며 상하로 이동하는 공간이 포함된 안치공간과, 상기 안치공간의 상부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 가이드봉결합공과,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돌출 형성된 체결돌기와, 혈당 측정기 본체의 PCB기판에 고정나사를 통해 결합하기 위한 나사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guide cover is made of a rectangular frame body that is open in the front, an open space toward the bottom, the settlement space including a space for moving the body of the movable pressure port is placed up and down, an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ettlement space Guide rod coupling holes formed to penetrate up and down, and fastening protrusion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and screw holes for coupling to the PCB substrate of the blood glucose meter body through a fixing screw.
나아가, 상기 지지브라켓은, 상기 가이드커버의 하부에 밀착 결합되기 위하여 상부가 개방되고 후면은 가이드커버에 밀착되며, 상기 후면에서 전방을 향해 절곡 형성된 좌우 양측면에 상기 가이드커버의 체결돌기가 결합되기 위해 형성된 체결홈과, 상기 좌우 양측면의 하단에서 중앙을 향해 각각 절곡 형성되어 상기 이동가압구의 좌우 양측의 걸림턱이 안착 지지되는 한 쌍의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가압구가 출입하는 몸체출입공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support bracket, the upper part is open to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cover, the rear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uide cover, the coupling protrusions of the guide cover is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formed bent toward the front from the rear surface And a pair of flanges each of which is formed to be bent from the low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so that the locking jaw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vable pressure port are seated and supported by the flange, and the movable pressure port is moved in and out.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access hole is provided.
아울러, 상기 이동가압구의 몸체에는, 상기 가이드커버에 안치된 상태에서 수평이동될 때 몸체가 가이드커버의 안치공간에 직접 맞닿아 마찰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의 안치공간과 맞닿는 면에 슬라이드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body of the movable pressure port, when the horizontal movement in the state settled in the guide cover, the slide projection on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ettle space of the guide to prevent friction caused by the body directly contact the settle space of the guide cov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혈당 측정기에서 사용 후의 센서스트립을 검사자가 직접 손으로 제거하지 않고도 혈당 측정기에서 분리할 수 있어 검사자의 손 또는 집게와 같은 검사기구를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the sensor strip after use in the blood glucose meter can be separated from the blood glucose meter without removing the tester by h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keep the test equipment such as the tester's hand or forceps clean,
상기 이동가압구가 가이드커버의 안치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수평이동될 때 유동없이 동작할 수 있어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동가압구에 결합된 가이드봉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시 위치 변경을 방지할 수 있으며,When the movable presser is horizontally moved in a state of being accommodated in the settled space of the guide cover, the movable presser can be operated without flow, thereby preventing a malfunction, and preventing the position change during the up or down by a guide rod coupled to the movable presser. Can and
밀대가 이동가압구와 연동되어 상승하면서 센서스트립을 배출할 때 커넥터의 단자홀에 결합된 단자들을 확장돌기가 가압하면서 상승하여 센서스트립의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When the push rod rises in conjunction with the moving pressure port and discharges the sensor strip, the expansion protrusion is pushed up to press the terminals coupled to the terminal hole of the connector to smoothly discharge the sensor strip.
나아가 새로운 센서스트립을 스트립출입공에 결합할 때 스트립출입공 및 지지구의 상부에 형성된 경사면이 센서스트립의 결합 방향을 안내하여 결합이 용이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Furthermore, when the new sensor strip is coupled to the strip entry hole, the inclined surface formed at the top of the strip entry hole and the support guides the coupling direction of the sensor strip to facilitate the coupling.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센서스트립 취출장치가 장착된 측정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측정기의 일부를 분해한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센서스트립 취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센서스트립 취출장치를 분해한 분해사시도.
도 5 는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노브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easuring device equipped with a sensor strip ex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rt of the measuring instrument.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nsor strip ex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exploded sensor strip taking o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 use state.
6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a kno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혈당 측정기용 센서스트립 취출장치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ensor strip extraction device for blood glucose m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혈당 측정기용 센서스트립 취출장치(T)는, 센서스트립수용부(10)와 센서스트립배출부(20)와 가이드커버(30) 및 지지브라켓(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1 to 4, the sensor strip extracting device T for a blood glucose m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상기 센서스트립수용부(10)는, 검사 대상자의 혈액이 흡착된 센서스트립의 일단이 삽입 수용되며 혈당 측정기 본체(1)의 PCB기판(4)에 고정된 부분으로, 내부에 센서스트립(S)이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111)이 형성되고, 일측이 개방되어 횡단면이 대체로 'ㄷ'자 형성으로 구성되는 사각틀체로 이루어지며, 상부에는 센서스트립(S)이 출입하는 스트립출입공(112)이 형성되고, 전면 하부에는 결합된 센서스트립(S)의 일단과 접촉하는 단자(3)를 장착하기 위한 단자홀(113)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 커넥터(11)와,The sensor
상기 센서스트립(S)이 커넥터(11)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구겨지거나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결합된 센서스트립(S)을 후방에서 지지하여 상기 단자(3)와의 접촉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돌출지지면(121)이 전방에 형성되고, 하부에 후술하는 센서스트립배출부(20)의 밀대(21)가 상하로 이동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밀대이동공(122)이 형성된 지지구(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Protruding support for preventing the sensor strip S from being crumpled or torn in the process of coupling to the
이때, 상기 커넥터(11)에는 상기 지지구(12)의 슬라이드 결합을 위한 결합홈(114)이 더 형성된다.
At this time, the
상기 스트립출입공(112)은, 센서스트립(S)이 출입하는 것으로, 상단에 결합되는 센서스트립(S)의 결합 방향을 유도하기 위한 경사면(13)이 더 형성된다.
The
상기 단자홀(113)은, 결합된 센서스트립(S)의 하부 일단과 접촉하는 단자(3)가 삽입되는 것으로, 삽입되는 단자(3)의 개수에 상응하는 개수로 형성되며, 삽입된 각각의 단자(3)가 혈당 측정기 본체(1) 내부에 구비되는 검사부(2)와 연결되도록 커넥터(11)의 저면에도 더 형성될 수 있다.
The terminal hole 113 is to be inserted into the terminal (3)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combined sensor strip (S), is form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terminal (3) to be inserted, each inserted The
상기 지지구(12)의 돌출지지면(121)은, 상기 커넥터(11)에 결합된 센서스트립(S)의 직립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결합된 센서스트립(S)을 단자(3)쪽으로 밀착시켜 단자(3)와의 접촉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상기 지지구(12)의 전방에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단에는 상술한 스트립출입공(112)에 형성된 경사면(13)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갖는 경사면(13)이 상기 스트립출입공(112)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결합하는 센서스트립(S)의 결합 방향을 스트립출입공(112)을 향하도록 유도한다.
The
상기 밀대이동공(122)은 사용 후 센서스트립(S)을 배출할 때 센서스트립(S)의 하단을 밀어올리는 밀대(21)가 상하로 이동하는 공간으로서, 상기 지지구(12)의 하부 중앙에 관통 형성된다.
The push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센서스트립수용부(10)는, 결합하는 센서스트립(S)의 결합 방향을 유도하여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결합되는 센서스트립(S)이 결합 중 구부러지거나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결합된 센서스트립(S)을 단자(3)에 밀착시켜 오작동의 염려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Sensor
상기 센서스트립배출부(20)는, 상기 센서스트립수용부(10)에 결합된 센서스트립(S)의 단부를 밀어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은 상기 센서스트립수용부(10)의 커넥터(11) 수용공간(111)에 배치되어 센서스트립(S)의 일측을 밀어 배출시키고 타단은 측정기 본체(1)의 PCB기판(4)을 관통한 후 노출된 밀대(21)와,The sensor
상기 밀대(21)의 노출된 타단이 결합되어 혈당 측정기 본체(1) 외측에 구비되는 노브(5)를 밀어줌에 따라 수평 이동되어 이로 인해 상기 밀대(21)가 연동하여 수평 이동하도록 하는 이동가압구(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other end of the
상기 밀대(21)는, 대체로 'ㄴ'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일단의 수직 단부(211)는 상기 커넥터(11)의 수용공간(111)에 배치되어 센서스트립(S)의 하단을 밀어서 배출시키고, 타단의 수평 단부(212)는 혈당 측정기 본체(1)의 PCB기판(4)을 관통한 후 노출되며, 도면 중 도시된 바로는 상기 수평 단부(212)는 2지창(枝槍) 형태로 돌출된 형태인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돌출형태가 하나 또는 셋 이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또한, 상기 수평 단부(212)에서 수직 단부(211)와 맞닿는 절곡부위(213)는 상기 수평 단부(212)의 좌우폭에 비해 좁은 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구(12)의 밀대이동공(122)에 삽입되어 후술하는 이동가압구(22)의 동작에 따라 밀대이동공(122)에서 수평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밀대이동공(122)의 상단에 맞닿으면서 밀대(21)의 이동을 제한하게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나아가 상기 수직 단부(211)에는 센서스트립(S)의 접촉 면적을 넓히기 위한 확장돌기(214)가 다수개 형성되어 밀대(21)가 상승할 때 센서스트립(S)이 수직 단부(211)와 커넥터(11)의 수용공간(111) 사이에 끼워지는 것을 방지하고, 밀대(21)가 상승할 때 커넥터(11)에 결합된 단자(3)를 가압하여 센서스트립(S)의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Furthermore, a plurality of
또한, 상기 수직 단부(21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되는 센서스트립(S)이 스트립출입공(112)에서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된 위치에 떨어지도록 상기 스트립출입공(112)의 상부에 위치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상기 이동가압구(22)는, 상기 밀대(21)에 결합되고 외력에 의해 수평이동되는 몸체(221)와, 상기 몸체(221)의 수평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몸체(221)의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결합되는 가이드봉(222)과, 상기 가이드봉(222)의 외측에 결합되는 스프링(2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221)는 상부(221a)에 밀대(21)의 노출된 단부가 삽입되는 결합공(224)이 형성되고, 하부(221b)에는 상기 몸체(221)에 관통 결합되는 가이드봉(222)의 하단을 지지하는 받침면(226)이 형성되고, 좌우 양측에는 후술하는 지지브라켓(40)에 걸려 지지되도록 걸림턱(23)이 형성된다.
The moving
상기 몸체(221)는, 상부(221a)와 하부(221b)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부(221a)에는 밀대(21)의 수평 단부(212)가 삽입되는 결합공(224)이 수평 단부(212)의 형태 및 개수에 상응하는 형태 및 개수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봉(222)이 삽입되는 관통공(225)이 형성되고, 후술하는 가이드커버(30)의 안치공간(31)과 맞닿는 면에 다수개의 슬라이드 돌기(24)가 더 형성된다.
The
상기 슬라이드 돌기(24)는 이동가압구(22)가 가이드커버(30)의 안치공간(31)에 안치된 상태에서 이동가압구(22)를 안치공간(31)에서 두께만큼 이격시켜 몸체(221)가 안치공간(31)에서 승하강할 때 몸체(221) 자체가 안치공간(31)과 마찰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승하강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The
상기 몸체(221)의 하부(221b)에 형성된 받침면(226)은, 상기 몸체(221)가 상부로 이동할 때 가이드봉(222)의 하단이 상기 받침면(226)에 맞닿으면서 몸체(221)의 상부 이동을 제한하는 것이다.
Supporting
상기 가이드봉(222)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부는 후술하는 가이드커버(30)에 고정 결합 되고, 하부는 상기 관통공(225)에 관통 삽입되는데, 상기 몸체(221)가 상부로 이동할 때 하단이 상기 몸체(221) 하부(221b)에 형성된 받침면(226)에 맞닿으면서 몸체(221)의 상승을 멈추게 하며, 몸체(221)가 상하로 이동할 때 이동축의 역활을 함과 동시에 외측에 결합 된 스프링(223)이 압축 및 해제될 때 위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The
상기 가이드봉(222)의 외측에 결합된 스프링(223)은, 몸체(221)의 상승에 의해 압축되다가 몸체(221)에 가해지는 힘이 사라짐과 동시에 해제되면서 몸체(221)를 하부로 밀어내어 원위치시키기 위한 것으로, 하부는 상기 스프링(223)은 몸체(221)의 관통공(225) 상부에 지지되고, 상부는 후술하는 가이드커버(30)에 형성된 안치공간(31)의 상면에 지지되어 압축 및 해제되는 것이다.
The
상기 걸림턱(23)은, 후술하는 가이드커버(30)의 지지브라켓(40)에 형성된 플랜지(42)에 맞닿아 몸체(221)의 하부이동을 제한하는 것으로, 스프링(223)의 해제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던 몸체(221)가 상기 걸림턱(23)이 상기 플랜지(42)에 맞닿으면서 하부로의 이동이 멈추게 되고 이로 인해 센서스트립배출부(20)를 원위치에 위치시키는 것이다.
The locking
상기 이동가압구(22)와 혈당 측정기 본체(1)의 노브(5)와의 결합관계 및 동작 상태를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노브(5)에는 상기 이동가압구(22)의 하단과 맞닿아 노브(5)를 밀어줌에 따라 이동가압구(22)를 수평 이동시키는 몸체가압대(7)가 결합되어 노브(5)를 수평 이동시킬 때 몸체가압대(7)가 이동가압구(22)를 가압하면서 수평 이동시켜 센서스트립(S)을 배출시키고, 상기 몸체가압대(7)의 중앙에 구비된 복귀스프링(8)이 압축 및 해제되면서 몸체가압대(7)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Referring to FIG. 6,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이때, 상기 몸체가압대(7)의 수평 이동시 유동없이 이동할 수 있도록 몸체가압대(7)를 안내하는 슬라이드브라켓(9)이 더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브라켓(9)에 상기 복귀스프링(8)의 일단을 지지하는 걸림구(9a)가 더 구비되어 복귀스프링(8)이 압축될 수 있도록 하고, 노브(5)를 밀어주는 힘이 제거됨과 동시에 상기 걸림구(9a)에 의해 지지되던 복귀스프링(8)이 해제되면서 몸체가압대(7)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이다.
At this time, the slide bracket (9) for guiding the body pressing table (7) so that it can move without flow during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body pressing table (7) is further provided, the slide bracket (9) of the return spring (8) A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센서스트립배출부(20)는 혈당 측정기 본체(1)에 구비된 노브(5)에 의해 수평으로 이동되면서 센서스트립(S)을 배출시키는 것으로, 노브(5)의 동작에 따라 수평 이동되면서 센서스트립(S)의 하단을 밀어서 배출하고, 스프링(223)의 탄성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되, 원위치로 복귀할 때 몸체(221)에 형성된 걸림턱(23)이 후술하는 가이드커버(30)의 지지브라켓(40)에 형성된 플랜지(42)에 맞닿아 이동이 제한되면서 다음 동작을 위해 대기하게 된다.
The sensor
상기 가이드커버(30)는, 상기 센서스트립배출부(20)의 이동가압구(22)를 외부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이동가압구(22)가 상하 이동시 유동없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이동가압구(22)의 하부 위치를 제한하는 것으로, 하부를 향해 개방된 개구부(32)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가압구(22)가 안치되며 상하로 이동하는 공간이 포함된 안치공간(31)과, 상기 가이드봉(222)이 결합하는 가이드봉결합공(33) 및 좌측과 우측에 각각 돌출 형성된 체결돌기(34)와 혈당 측정기 본체(1)의 PCB기판(4)에 고정나사(도면 중 미도시됨)를 통해 결합하기 위한 나사공(35)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The
상기 가이드커버(30)는, 상기 이동가압구(22)가 안치공간(31)에 수용된 상태에서 혈당 측정기 본체(1)의 PCB기판(4)에 고정나사를 통해 고정 결합되어 이동가압구(22)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며, 상기 이동가압구(22)가 노브(5)에 의해 상하로 이동할 때 안치공간(31) 내부에서 이동하게 되어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The
상기 가이드봉결합공(33)에는 이동가압구(22)의 가이드봉(222) 상부가 고정 결합되어 이동가압구(22)가 상승 또는 하강할 때 가이드봉(222)이 이동축의 역활을 하여 각 구성품의 동을 방지하여 동작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The guide
상기 지지브라켓(40)은, 상기 가이드커버(30)의 하부에 밀착 결합하기 위하여 상부가 개방되고 후면은 가이드커버(30)에 밀착하며, 상기 후면에서 전방을 향해 절곡 형성된 좌우 양측면에 상기 가이드커버(30)의 체결돌기(34)가 결합하는 체결홈(41)이 형성되고, 상기 좌우 양측면의 하단에는 중앙을 향해 절곡 형성된 한 쌍의 플랜지(42)와, 상기 플랜지(42)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가압구(22)의 몸체(221) 하부(223b)가 출입하는 몸체출입공(4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상기 지지브라켓(40)은, 가이드커버(30)에 형성된 체결돌기(34)가 체결홈(41)에 체결 고정되며, 이때 상기 가이드커버(30)의 개구부(32)에 플랜지(42)가 배치되어 플랜지(42) 사이에 형성된 몸체출입공(43)을 통해 출입하는 몸체(221) 중 상부(221a)에 형성된 걸림턱(23)이 플랜지(42)에 맞닿도록 하여 몸체(221)의 하부 이동을 제한한다.
The
도면 중 미설명부호 (6)은 검사된 혈당 수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6)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혈당 측정기용 센서스트립 취출장치의 동작 상태를 도 5 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blood glucose meter sensor strip extra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센서스트립(S)을 측정기 본체(1)에 결합할 때는,First, when the sensor strip S is coupled to the measuring
센서스트립수용부(10)에 형성된 스트립출입공(112)에 센서스트립(S)을 삽입하여 결합하고 이때 스트립출입공(112) 및 지지구(12)에 형성된 경사면(13)이 삽입되는 센서스트립(S)의 방향을 스트립출입공(112)쪽으로 유도하여 결합하고, 결합된 센서스트립(S)은 지지구(12)에 의해 커넥터(11)에 삽입된 단자(3)쪽으로 지지되어 단자(3)와 접촉된 상태로 대기하게 된다.
The sensor strip S is inserted into the
다음으로, 결합 된 센서스트립(S)을 사용한 후 배출할 때는,Next, when discharging after using the combined sensor strip (S),
혈당 측정기 본체(1)에 구비된 노브(5)를 상부로 밀어올리면, 노브(5)와 결합된 이동가압구(22)가 가이드커버(30) 안치공간(31) 내부에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이동가압구(22)에 수평 단부(212)가 결합된 밀대(21)가 동시에 이동하면서 센서스트립(S)의 일단을 밀어 배출한다.When the
이때, 상기 이동가압구(22)에 구비된 스프링(223)이 상승하는 이동가압구(22)에 의해 압축되다가 노브(5)를 밀어올리던 힘이 해제됨과 동시에 스프링(223)이 해제되면서 이동가압구(22)를 하부로 밀어내게 되고, 이로 인해 하부로 이동하던 이동가압구(22)는 지지브라켓(40)에 형성된 플랜지(42)에 걸림턱(23)이 맞닿으면서 이동이 멈추게 된다.
At this time, while the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본 고안에 따른 혈당 측정기용 센서스트립 취출장치는 상기 이동가압구(22)가 가이드커버(30)의 안치공간(31)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여, 동작시 유동없이 동작할 수 있어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동가압구(22)에 결합된 가이드봉(222)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시 위치 변경을 방지할 수 있으며,The sensor strip extracting device for blood glucose m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ng as described above moves up or down in a state where the
밀대(21)가 이동가압구(22)와 연동되어 상승하면서 센서스트립(S)을 배출할 때 커넥터(11)의 단자홀(113)에 결합된 단자(3)들을 확장돌기(214)가 가압하면서 상승하여 센서스트립(S)의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The
나아가 새로운 센서스트립(S)을 스트립출입공(112)에 결합할 때 스트립출입공(112) 및 지지구(12)의 상부에 형성된 경사면(13)이 센서스트립(S)의 결합 방향을 안내하여 결합이 용이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Further, when the new sensor strip S is coupled to the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혈당 측정기용 센서스트립 취출장치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러한 설명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가 갖는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및 변경 또한 본원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lthough the sensor strip extracting device for a blood glucose m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descriptions and is intend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idea of the appended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and should also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측정기 본체 2 : 검사부 3 : 단자
4 : PCB기판 5 : 노브
T : 취출장치 S : 센서스트립
10 : 센서스트립수용부 11 : 커넥터 12 : 지지구
13 : 경사면
111 : 수용공간 112 : 출입공 113 : 단자홀
114 : 결합홈 121 : 돌출지지면 122 : 밀대이동공
20 : 센서스트립배출부 21 : 밀대 22 : 이동가압구
23 : 걸림턱 24 : 슬라이드돌기
211 : 수직단부 212 : 수평단부 213 : 절곡부위
214 : 확장돌기 221 : 몸체 222 : 가이드봉
223 : 스프링 221a : 상부 221b : 하부
224 : 결합공 225 : 관통공 226 : 받침면
30 : 가이드커버 31 : 안치공간 32 : 개구부
33 : 가이드봉결합공 34 : 체결돌기 35 : 나사공
40 : 지지브라켓 41 : 체결홈 42 : 플랜지
43 : 몸체출입공DESCRIPTION OF
4: PCB 5: Knob
T: Takeout device S: Sensor strip
10 sensor
13: slope
111: accommodation space 112: access hole 113: terminal hole
114: coupling groove 121: protrusion ground 122: rod moving ball
20: sensor strip discharge portion 21: push rod 22: moving pressure port
23: engaging jaw 24: slide projection
211: vertical end 212: horizontal end 213: bending part
214: extension protrusion 221: body 222: guide rod
223:
224: coupling hole 225: through hole 226: support surface
30: guide cover 31: settle space 32: opening
33: guide rod coupling hole 34: fastening protrusion 35: screw hole
40: support bracket 41: fastening groove 42: flange
43: body access hole
Claims (7)
혈당 측정 완료 후, 상기 센서스트립수용부에 결합된 센서스트립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은 상기 센서스트립수용부 내부에 배치되고 타단은 센서스트립수용부 외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센서스트립수용부에 결합된 센서스트립의 일단을 밀어 배출시키는 밀대와, 상기 밀대의 노출된 타단에 결합되어 수평이동에 따라 상기 밀대를 가압 이동시키는 이동가압구를 포함하는 센서스트립배출부와;
상기 센서스트립배출부의 이동가압구를 외측에서 커버하고, 상기 이동가압구가 유동없이 수평이동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커버와;
상기 이동가압구가 하방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부 위치를 제한하는 지지브라켓을 포함하는 혈당 측정기용 센서스트립 취출장치.
A sensor strip accommodating part to which one end of the sensor strip from which blood of the blood sugar measurement subject is collected is detachably inserted therein;
After completion of the blood glucose measurement, to discharge the sensor strip coupled to the sensor strip receiving portion to the outside, one end is disposed inside the sensor strip receiving portion and the other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nsor strip receiving portion and the sensor strip receiving portion A sensor strip discharge unit including a push rod for pushing and discharging one end of the coupled sensor strip, and a moving pressure port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push rod to press and move the push rod according to a horizontal movement;
A guide cover which covers the moving pressure sphere of the sensor strip discharge part from the outside and guides the moving pressure sphere to move horizontally without flow;
And a support bracket for limiting the lower position such that the movable pressure port is no longer moved downward.
내부에 센서스트립이 삽입 결합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이 개방되어 횡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구성되는 사각틀체로 이루어지며, 상부에는 센서스트립이 출입하는 스트립출입공이 형성되고, 전면 하부에는 결합된 센서스트립의 일단과 접촉하는 단자가 장착되는 단자홀이 형성된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의 개방된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커넥터에 삽입 결합되는 센서스트립을 후방에서 가압 지지하여 상기 단자와의 접촉성을 향상시키도록 저방에 돌출지지면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센서스트립배출부의 밀대가 이동될 수 있도록 밀대이동공이 형성된 지지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 측정기용 센서스트립 취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nsor strip receiving portion,
An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so that the sensor strip can be inserted and coupled therein, and one side is opened to form a rectangular frame body having a cross-section having a 'c' shape. A connector having a terminal hole at a lower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the terminal having a terminal contacting one end of the sensor strip coupled thereto;
Is coupled to the open side of the connector, the support strip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connector from the rear to support the contact with the terminal to improve the contact surface i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the lower portion of the sensor strip discharge portion Sensor strip taking out device for a blood glucose me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pporter formed with a rod movement hole so that the rod can be moved.
'ㄴ'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일단의 수직 단부는 상기 커넥터의 수용공간에 배치되어 센서스트립의 하단을 밀어서 배출시키고, 타단의 수평 단부는 상기 이동가압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 측정기용 센서스트립 취출장치.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push rod of the sensor strip discharge portion,
'B' is formed in a bent shape is a vertical end of one end is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connector to push out the lower end of the sensor strip, the horizontal end of the other end for the blood glucose meter,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mobile pressure port Sensor strip ejection device.
상기 밀대에 결합되고 외력에 의해 수평이동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수평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몸체의 중앙에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결합되는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의 외측에 결합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부에 밀대의 노출된 단부가 삽입되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몸체에 관통 결합되는 가이드봉의 하단을 지지하는 받침면이 형성되며, 좌우 양측에는 상기 지지브라켓에 걸려 지지가 되도록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 측정기용 센서스트립 취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ovable pressure port,
A body coupled to the push rod and horizontally moved by an external force;
A guide rod penetratingly coup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center of the body to guide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body;
It includes a spring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guide rod,
The body is formed with a coupling hole into which the exposed end of the push rod is inserted in the upper portion, and a support surface for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guide rod coupled to the body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caught to be supported by the support bracket Sensor strip extraction device for blood glucose me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jaw is formed.
전방이 개방된 사각틀체로 이루어지며, 하부를 향해 개방된 개구부와, 상기 이동가압구의 몸체가 안치되며 상하로 이동하는 공간이 포함된 안치공간과,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돌출 형성된 체결돌기와, 혈당 측정기 본체의 PCB기판에 고정나사를 통해 결합하기 위한 나사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 측정기용 센서스트립 취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guide cover,
It consists of a rectangular frame body with an open front, an open space toward the bottom, a settling space including a space for moving the body of the pressing device is moved up and down, fastening protrusions formed to protrude on the left and right respectively, blood glucose meter body Sensor strip takeout device for a blood glucose me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crew hole for coupling through a fixing screw to the PCB substrate.
상기 가이드커버의 하부에 밀착 결합되기 위하여 상부가 개방되고 후면은 가이드커버에 밀착되며, 상기 후면에서 전방을 향해 절곡 형성된 좌우 양측면에 상기 가이드커버의 체결돌기가 결합되기 위해 형성된 체결홈과, 상기 좌우 양측면의 하단에서 중앙을 향해 각각 절곡 형성되어 상기 이동가압구의 좌우 양측의 걸림턱이 안착 지지되는 한 쌍의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가압구가 출입하는 몸체출입공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 측정기용 센서스트립 취출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upport bracket,
A fastening groove formed so as to be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guide cover, the upper part of which is open and the rear par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uide cover, and the fastening groove of the guide cover is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both sides formed to be bent toward the front from the rear part; A pair of flanges each formed bent toward the center from the lower ends of both sides, and having a pair of flanges on which the locking jaws of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bile pressure port are seated and supported, and a body access hole formed between the flanges and the mobile pressure port in and out; Sensor strip extraction device for blood glucose meter.
상기 가이드커버에 안치된 상태에서 수평이동될 때 몸체가 가이드커버의 안치공간에 직접 맞닿아 마찰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의 안치공간과 맞닿는 면에 슬라이드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 측정기용 센서스트립 취출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body of the movable pressure port,
For a blood glucose meter, the slide projection is formed on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ettle space of the guide to prevent friction when the body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settled space of the guide cover when the horizontal movement in the state placed in the guide cover Sensor strip ejection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11199U KR200452143Y1 (en) | 2010-11-01 | 2010-11-01 | Sensor strip extraction device for blood glucose me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11199U KR200452143Y1 (en) | 2010-11-01 | 2010-11-01 | Sensor strip extraction device for blood glucose met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52143Y1 true KR200452143Y1 (en) | 2011-02-08 |
Family
ID=44244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00011199U Expired - Lifetime KR200452143Y1 (en) | 2010-11-01 | 2010-11-01 | Sensor strip extraction device for blood glucose met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52143Y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49714B1 (en) * | 2013-01-08 | 2014-10-15 | 주식회사 인포피아 | Apparatus for measuring biometric information by using an ejecting butto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199484A2 (en) | 1985-04-08 | 1986-10-29 | Audio Bionics Inc | Medical system |
EP0985376A1 (en) | 1998-09-07 | 2000-03-15 | Roche Diagnostics GmbH | Lancet dispenser |
KR20050018651A (en) * | 2002-04-02 | 2005-02-23 | 라이프스캔 스코트랜드 리미티드 | Integrated sample testing meter |
KR100691582B1 (en) | 2005-04-01 | 2007-03-09 | (주)에이치쓰리시스템 | Automatic blood glucose meter |
-
2010
- 2010-11-01 KR KR2020100011199U patent/KR200452143Y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199484A2 (en) | 1985-04-08 | 1986-10-29 | Audio Bionics Inc | Medical system |
EP0985376A1 (en) | 1998-09-07 | 2000-03-15 | Roche Diagnostics GmbH | Lancet dispenser |
KR20050018651A (en) * | 2002-04-02 | 2005-02-23 | 라이프스캔 스코트랜드 리미티드 | Integrated sample testing meter |
KR100691582B1 (en) | 2005-04-01 | 2007-03-09 | (주)에이치쓰리시스템 | Automatic blood glucose meter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49714B1 (en) * | 2013-01-08 | 2014-10-15 | 주식회사 인포피아 | Apparatus for measuring biometric information by using an ejecting butt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0458440C (en) | Integrated sample testing meter | |
US20090108013A1 (en) | Test strip ejection mechanism | |
CA2873410C (en) | Multistrip cartridge | |
US8409505B2 (en) | Sensor release mechanism for a meter | |
WO2016145673A1 (en) | Integrated continuous blood sugar meter based on blood sugar management | |
CN204269654U (en) | A test strip pushing mechanism and blood glucose meter | |
JP2019527814A (en) | Strip discharge device for blood glucose meter | |
TW201121158A (en) | Connector and biosensing meter with the connector | |
KR200452143Y1 (en) | Sensor strip extraction device for blood glucose meter | |
JP4912307B2 (en) | Contact connector assembly for sensor feeder | |
WO2016145720A1 (en) | Test strip needle used for multi-functional blood glucose meter | |
KR101182730B1 (en) | Apparatus for analyzing diagnosis strip having roller-typed ejector | |
US20080124243A1 (en) | Test strip-ejecting mechanism and a device with the test strip-ejecting mechanism | |
EP1762848B1 (en) | Retracting mechanism for a bio reader | |
US8545755B2 (en) | Sensor release mechanism for a test meter | |
CN209513813U (en) | The blood glucose meter of automatic spring test paper | |
WO2010063304A1 (en) | Test element holding system and personal diagnost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 |
KR20130003830U (en) | Removable device of test strip for blood glucose test meter | |
TWI417542B (en) | A biometric test piece and a device for applying the test piece | |
JP5174600B2 (en) | Sensor mounting structure and measurement display | |
CN221730578U (en) | Blood sugar detection device | |
CN111735814B (en) | A multi-purpose control mechanism and control method for a rapid detection device | |
US20090100927A1 (en) | Multi-contact sensor connector with release mechanism | |
CN205944610U (en) | Card connector | |
CN201083737Y (en) | Test piece exit structure for biochemical sensing instru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01101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UA0301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09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01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1012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1012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10127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16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1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2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1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7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1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8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9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U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21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