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51833Y1 - 체조경기장 포디움 - Google Patents

체조경기장 포디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833Y1
KR200451833Y1 KR2020080014312U KR20080014312U KR200451833Y1 KR 200451833 Y1 KR200451833 Y1 KR 200451833Y1 KR 2020080014312 U KR2020080014312 U KR 2020080014312U KR 20080014312 U KR20080014312 U KR 20080014312U KR 200451833 Y1 KR200451833 Y1 KR 2004518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late
podium
binding
members
stadiu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43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4644U (ko
Inventor
신광식
Original Assignee
현대체육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체육산업(주) filed Critical 현대체육산업(주)
Priority to KR20200800143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833Y1/ko
Publication of KR201000046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6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8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833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Mats or the like for absorbing shocks for jumping, gymnastics or the like
    • A63B6/02Mats or the like for absorbing shocks for jumping, gymnastics or the like for landing, e.g. for pole vaul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loor Finish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체조경기장 포디움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여러 개의 지주부재와 구조부재가 상호 결합되면서 포디움의 기초 구조물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포디움의 신속한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한 체조경기장 포디움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기둥과, 기둥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다수개의 결속공을 갖는 제1 고정판과 제2 고정판이 각각 구비된 것으로 이루어지며, 종,횡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지주부재;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두 지주부재를 사이에서 연결하되, 두 지주부재의 제1 고정판과 제2 고정판에 구비된 결속공에 양단이 끼움결합되어 지주부재와 함께 구조물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구조부재; 상기 지주부재들과 구조부재들의 결합에 의해 제작된 구조물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구조물의 상단부에 평평한 바닥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합판재; 및 상기 합판재들이 설치된 구조물을 전체적으로 덮어 마감하는 커버부재로 구성된 체조경기장 포디움에 관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지주부재, 구조부재, 고정구, 구조물, 마감재

Description

체조경기장 포디움{Podium}
본 고안은 체조경기장 포디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해진 규격에 따라 제작된 지주부재와 구조부재를 반복적으로 조립하여 현장서 손쉽게 포디움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한 체조경기장 포디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디움(podium)이라 함은 바닥에 설치된 낮은 높이의 단을 말하는 것으로, 노래나 춤 또는 연극 등을 위한 무대영역을 구분하거나 또는 체조 등의 각종 경기가 이루어지는 영역을 구분하기 위해 설치된다.
한편 체조 경기에 사용되는 포디움의 경우, 체조 경기가 실내에서 이루어지는 특성 상 체육관의 내부에 설치되며, 체조 경기시 발생되는 충격을 충분히 완화할 수 있도록 견고한 구조가 요구된다.
또 체육관에서는 체조뿐만 아니라 다른 경기가 치루어질 수도 있으므로, 원활한 경기의 진행을 위해서는 포디움의 신속한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해야만 한다.
한편, 종래 체조경기장에서 사용되는 포디움은 대부분 사각형의 각 모서리에 배치된 기둥들의 상단부를 상호 연결시켜 하나의 단위체를 형성한 뒤, 여러 단위체를 종,횡으로 배열하여 포디움을 구성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의 포디움은 각각의 단위체가 무거워 운반이 용이하지 못하고, 또 무거운 단위체를 정확한 위치에 배치해야 함에 따라 작업이 어려운 것을 물론이고, 여러 명의 작업자가 함께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더디게 진행되어 신속한 설치 및 해체가 어려우며, 단위체의 무게로 인해 운반과정이나 설치과정에서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은 것을 물론이고, 체육관의 마루바닥을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여러 개의 지주부재와 구조부재가 상호 결합되면서 포디움의 기초 구조물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포디움의 신속한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한 체조경기장 포디움을 제공함에 있다.
또, 각 부재의 경량화로 인해 자재의 운반이 용이하고, 타인에게 의지하지 않고 혼자서도 하나하나의 부재를 조립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된 체조경기장 포디움을 제공함에 있다.
또, 포디움의 설치 및 해체과정에서 체육관의 마루바닥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체조경기장 포디움을 제공함에 있다.
또, 포디움의 설치 및 해체시 지주부재와 구조부재의 손상이 발생되지 않아 자재의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체조경기장 포디움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고안의 체조경기장 포디움은 기둥과, 기둥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다수개의 결속공을 갖는 제1 고정판과 제2 고정판이 각각 구비된 것으로 이루어지며, 종,횡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지주부재;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두 지주부재를 사이에서 연결하되, 두 지주부재의 제1 고정판과 제2 고정판에 구비된 결속공에 양단이 끼움결합되어 지주부재와 함께 구조물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구조 부재; 상기 지주부재들과 구조부재들의 결합에 의해 제작된 구조물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구조물의 상단부에 평평한 바닥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합판재; 및 상기 합판재들이 설치된 구조물을 전체적으로 덮어 마감하는 커버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구조부재는 이격되게 배치된 두 지주부재의 제1 고정판으로 양단이 연장되며, 제1 고정판의 결속공으로 삽입되는 결속기둥이 양단에 형성된 제1 연결간; 상기 제1 연결간의 수직 하부에 배치되고, 이격되게 배치된 두 지주부재의 제2 고정판으로 양단이 연장되며, 제2 고정판의 결속으로 삽입되는 결속기둥이 양단에 형성된 제2 연결간; 및 상기 제1 연결간과 제2 연결간을 상호 연결하는 다수개의 보강대로 구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지주부재와 구조부재가 결합된 후, 지주부재에 체결되어 끼움결합된 지주부재와 구조부재를 결속하는 고정구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정구는, 원형의 판으로 이루어지며, 중앙부에 체결공이 구비된 것으로 형성되어 지주부재의 제1 고정판 상에 놓여지되, 제1 고정판의 결속공에 끼움결합된 구조부재의 끝단을 상부에서 가압할 수 있도록 놓여지는 결속판; 및 상기 결속판의 체결공을 통해 지주부재에 체결되어 결속판을 가압함으로써 지주부재와 구조부재를 결속하는 결속용 볼트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둥의 하단부에 고무캡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지주부재들과 구조부재들의 결합에 의해 제작된 구조물의 외각에 배치된 지주부재의 제1 고정판을 상호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상면이 개방되어 ㄷ-형상의 단면을 갖는 앵글; 및 상기 앵글에 삽입되어 설치가 이루어지며, 앵글의 상부로 돌출되어 구조물의 상부에 설치되는 합판재가 측면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구속하는 마감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하면, 포디움을 제작하는 작업자는 다수개의 지주부재와 구조부재의 반복적인 결합을 통해 구조물의 규모를 점차적으로 확장하여 목적으로 하는 면적의 포디움을 제작하게 되므로, 포디움의 설치작업이 용이하고, 또 상호 결합된 지주부재와 구조부재를 분리함으로써 포디움의 해체가 이루어지므로 해체작업이 용이하게 되었다.
또한, 포디움을 구성하는 지주부재나 구조부재의 경우, 작업자 혼자서도 운반이 가능하므로, 작업성을 높일 수 있으며, 또 각 부재의 운반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체육관 마루바닥을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되었다.
더욱이 본 고안에 따른 지주부재와 구조부재의 배치를 다양하게 함으로써 포디움의 디자인인 변경이 용이하게 되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조경기장 포디움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다른 체조경기장 포디움은 설계된 규격에 따라 미리 제작된 다수개의 지주부재(100)와 구조부재(200)를 상호 결합하면서 구조물(10)의 규모를 확장하여 포디움을 구성하도록 한 것으로, 지주부재(100)와, 구조부재(200)와, 합판재(20)와, 커버부재(30)로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지주부재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지주부재(100)는 바닥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기둥(110)과 제1 고정판(120) 및 제2 고정판(1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기둥(110)은 바닥으로부터 수직하게 입설되는 것으로써, 상단 및 하단이 폐쇄된 사각형의 파이프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기둥(110)의 하단부에 고무캡(140)을 더 설치하여 포디움의 설치 및 해체시 체육관을 구성하는 마루바닥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무캡(140)은 기둥(110)에 본딩되어 결합되나 또는 돌기와 홈에 의해 끼움결합되는 등 다양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판(120)은 사각형의 판으로 구성되며, 전후좌우 네방향에 결속공(121)이 각각 구비된 것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1 고정판(120)은 기둥(110)의 상단부에 고정된 구조로 설치되어 지주부재(100)와 구조부재(200)를 결합하는 기능 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제2 고정판(130)은 사각형의 판으로 구성되며, 전후좌우 네방향에 결속공(131)이 각각 구비된 것에 있어서는 제1 고정판(120)과 동일하다. 다만 제2 고정판(130)은 기둥(110)의 하단부에서 바닥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이격되도록 설치는 바, 기둥(110)이 관통하는 구멍(132)이 중앙부에 형성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어 기둥(110)에 끼워진 채로 용접에 의해 기둥(110)의 하단부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제2 고정판(130) 역시 지주부재(100)와 구조부재(200)를 결합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지주부재(100)는 설계된 규격에 따라 상호 이격되게 될 수 있도록 다수개가 제공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구조부재의 사시도를, 도 4는 고 3에 도시된 구조부재가 두 지주부재의 사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구조부재(200)는 이웃하게 배치된 두 지주부재(100,100`)를 연결하여 포디움을 구성하기 위한 구조물(10)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부재(200)는 제1 연결간(210)과 제2 연결간(220) 및 보강대(2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연결간(210)은 이웃하게 배치되는 두 지주부재(100,100`)의 상단부에 구비된 제1 고정판(120,120`)에 양단이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길게 연장된 사각형의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양끝단의 저면에는 아래쪽을 향하여 돌출된 구조를 갖는 결속기둥(211)이 구비된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 연결간(220)은 이웃하게 배치되는 두 지주부재(100)의 하단부에 구 비된 제2 고정판(130,130`)에 양단이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길게 연장된 사각형의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양끝단의 저면에는 아래쪽을 향하여 돌출된 구조를 갖는 결속기둥(221)이 구비된 것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2 연결간(220)은 제1 연결간(210)의 수직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보강대(230)는 제1 연결간(210)과 제2 연결간(220)을 연결하는 것이다. 이러한 보강대(230)는 구조부재(200)가 충분한 강성을 가질 수 있도록 다수개가 제공되며, 도 3 및 도 4에는 3개의 보강대(230)가 제1 연결간(210)과 제2 연결간(220)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구조부재(200)는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다수개의 지주부재(100)를 사이에서 연결하면서 구조물(10)을 형성하도록 다수개가 제공된다.
다시 도 1을 보면, 상기 합판재(20)는 지주부재(100)와 구조부재(200)의 결합에 의해 제작된 구조물(10)의 상부에 설치되어 평평한 바닥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합판재(20)는 여러개의 합판재(20)가 종,횡으로 배열하여 구조물(10)의 상부면적을 커버하게 되며, 도 1의 경우, 2개의 층으로 합판재(20)가 적층되되, 아래층의 합판재(20)와 윗층의 합판재(20)의 교차되도록 설치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커버부재(30)는 합판재(20)들에 의해 상부가 마감된 구조물(10)을 전체적으로 덮어 마감하는 것이다. 이러한 커버부재(30)는 직물재나 합성수지시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표면에는 경기가 이루어지는 영역을 나타내기 위한 무늬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결속공(121)과 결속기둥(211)에 의하여 상호 결합되는 지주부재(100)와 구조부재(200)를 보다 견고히 고정하도록 하기 위한 고정구(300)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구를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를, 도 6은 도 5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고정구(300)는 지주부재(100)와 구조부재(200)의 결합이 이루어진 후, 지주부재(100)에 추가적으로 결합되어 지주부재(100)와 구조부재(200)를 결속하는 것으로, 결속판(310)과 결속용 볼트(3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결속판(310)은 원형의 판으로 이루어지며, 중앙부에 체결공(311)이 구비된 것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결속판(310)은 지주부재(100)의 상단부에 설치된 제1 고정판(120) 상에 놓여지게 되며, 이때 결속판(310)의 둘레가 구조부재(200)의 제1 연결간(210)을 눌러 가압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결속판(310)의 설치를 돕기 위하여 제1 연결간(210)의 양끝단 상단부에는 결속판(310)의 설치 시 결속판(310)과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일부분을 제거하여 형성된 간섭방지용 홈(211)이 구비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연결간(210)의 경우,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파이프로 구성되어 상면과 저면 그리고 좌우측면을 갖는 구조로써, 결속판(310)의 설치시 결속판(310)과 최초 접촉이 이루어지는 상면에 간섭방지용 홈(211)이 형성되어 결속판(310)을 제1 고정판(120)에 근접하도록 설치할 수 있게 되며, 제1 고정판(120)에 근접하도록 배치된 결속판(310)의 둘레가 제1 연결간(210)의 저면을 눌러줌으로써, 지주부재(100)와 구조부재(200)를 결속하게 된다.
상기 결속용 볼트(320)는 결속판(310)이 배치된 상태에서 결속판(310)의 체결공(311)을 통해 지주부재(100)에 체결되는 것이다. 이러한 결속용 볼트(320)의 체결에 의하여 결속판(310)이 제1 연결간(210)의 저면을 가압하게 됨으로써 지주부재(100)와 구조부재(200)를 결속하게 된다.
한편 상기 지주부재(100)의 경우, 제1 고정판(120)과 제2 고정판(130)이 바깥쪽 방향으로 돌출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지주부재(100)들과 구조부재(200)들의 결합에 의해 제작된 구조물(10)의 측면 외각에는 제1 고정판(120)과 제2 고정판(130)이 돌출되므로, 이를 마감하기 위한 마감재(41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마감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를,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마감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마감재(410)는 앵글(420)에 의하여 제1 고정판(120)에 설치되며, 이때 상기 앵글(420)은 여러 지주부재(100)에 구비된 제1 고정판(1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되며, 상면이 개방된 ㄷ-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앵글(420)은 제1 고정판(120)에 형성된 결속공(121)을 통해 삽입되는 볼트(B)에 의하여 제1 고정판(120)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마감재(410)는 제1 고정판(120)에 설치된 앵글(420)에 삽입됨으로써 설치가 이루어지게 되며, 이때 마감재(410)의 상단부는 앵글(420)의 상부로 돌출됨으로써 구조물(10)의 상부에 설치되는 합판재(20)의 측면을 지지하여 합판재(20)가 측면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구속하게 된다. 이때 앵글(420)에 삽입 된 마감재(410)의 고정을 위하여 앵글(420)의 측면에서 별도의 볼트를 더 체결하여 앵글(420)과 마감재(410)를 고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마감재(410)는 합판재(20)와 마찬가지로 목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430은 결속판(310)의 설치로 인해 제1 고정판(120)과 앵글(42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메우기 위한 평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체조경기장 포디움을 설치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지주부재들과 구조부재들에 의해 제작된 구조물의 일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지주부재(100)와 구조부재(200)를 순차적으로 조립하면서 구조물(10)의 규모를 점차적으로 확장하여 목적으로 하는 면적의 구조물(10)을 제작한다. 이때 이웃하는 두 지주부재(100)의 사이에는 구조부재(200)가 설치되며, 지주부재(100)와 구조부재(200)는 결속공(121,131)과 결속기둥(211,221)의 결합에 의하여 상호 결합된다.
한편 지주부재(100)와 구조부재(200)를 조립함에 있어, 어느 한 지주부재(100)가 이웃하는 구조부재(200)들과 결합되어 구조물(10)을 구성하게 되면, 고정구(300)를 이용하여 지주부재(100)와 구조부재(200)를 완전히 고정함으로써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지주부재(100)와 구조부재(20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고정구(300)의 설치는 결속판(310)의 둘레가 구조부재(200)의 상단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지주부재(100)의 상단부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결속용 볼트(320)를 이용하여 결속판(310)을 지주부재(100)에 고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다수개의 지주부재(100)들과 구조부재(200)들을 결합하여 구조물(10)이 완성되면, 구조물(10)의 외각에 배치된 지주부재(100)에 앵글(420)을 설치하고, 상기 앵글(420)을 이용하여 마감재(410)를 설치함으로써, 포디움을 구성하는 구조물(10)을 완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완성된 구조물(10)의 상부에 다수개의 합판재(20)를 설치하여 평평한 바닥을 구성하고, 그 상부에 커버부재(30)를 설치함으로써 포디움의 설치를 완료하게 된다. 물론 합판재(20)나 커버부재(30)가 충격에 의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합판재(20)와 커버부재(30)를 볼트나 끈 등을 이용하여 구조물(10)에 추가적으로 고정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조경기장 포디움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지주부재의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구조부재의 사시도,
도 4 는 고 3에 도시된 구조부재가 두 지주부재의 사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구를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도 5의 평면도,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마감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8 은 본 고안에 따른 마감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9 는 본 고안에 따른 지주부재들과 구조부재들에 의해 제작된 구조물의 일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구조물 (20) : 합판재
(30) : 커버부재 (100) : 지주부재
(110) : 기둥 (120) : 제1 고정판
(121) : 결속공 (130) : 제2 고정판
(131) : 결속공 (140) : 고무캡
(200) : 구조부재 (210) : 제1 연결간
(211) : 결속기둥 (220) : 제2 연결간
(221) : 결속기둥 (230) : 보강대
(300) : 고정구 (310) : 결속판
(311) : 체결공 (320) : 결속용 볼트
(410) : 마감재 (420) : 앵글

Claims (6)

  1. 기둥(110)과, 기둥(11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다수개의 결속공(121,131)을 갖는 제1 고정판(120)과 제2 고정판(130)이 각각 구비된 것으로 이루어지며, 종,횡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지주부재(100);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두 지주부재(100)를 사이에서 연결하되, 두 지주부재(100)의 제1 고정판(120)과 제2 고정판(130)에 구비된 결속공(121,131)에 양단이 끼움결합되어 지주부재(100)와 함께 구조물(10)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구조부재(200);
    상기 지주부재(100)들과 구조부재(200)들의 결합에 의해 제작된 구조물(1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구조물(10)의 상단부에 평평한 바닥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합판재(20); 및
    상기 합판재(20)들이 설치된 구조물(10)을 전체적으로 덮어 마감하는 커버부재(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조경기장 포디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부재(200)는,
    이격되게 배치된 두 지주부재(100)의 제1 고정판(120)으로 양단이 연장되며, 제1 고정판(120)의 결속공(121)으로 삽입되는 결속기둥(211)이 양단에 형성된 제1 연결간(210);
    상기 제1 연결간(210)의 수직 하부에 배치되고, 이격되게 배치된 두 지주부 재(100)의 제2 고정판(130)으로 양단이 연장되며, 제2 고정판(130)의 결속공(131)으로 삽입되는 결속기둥(221)이 양단에 형성된 제2 연결간(220); 및
    상기 제1 연결간(210)과 제2 연결간(220)을 상호 연결하는 다수개의 보강대(2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조경기장 포디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재(100)와 구조부재(200)가 결합된 후, 지주부재(100)에 체결되어 끼움결합된 지주부재(100)와 구조부재(200)를 결속하는 고정구(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조경기장 포디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300)는,
    원형의 판으로 이루어지며, 중앙부에 체결공(311)이 구비된 것으로 형성되어 지주부재(100)의 제1 고정판(120) 상에 놓여지되, 제1 고정판(120)의 결속공(121)에 끼움결합된 구조부재(200)의 끝단을 상부에서 가압할 수 있도록 놓여지는 결속판(310); 및
    상기 결속판(310)의 체결공(311)을 통해 지주부재(100)에 체결되어 결속판(310)을 가압함으로써 지주부재(100)와 구조부재(200)를 결속하는 결속용 볼트(3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조경기장 포디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110)의 하단부에 고무캡(14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조경기장 포디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재(100)들과 구조부재(200)들의 결합에 의해 제작된 구조물(10)의 외각에 배치된 지주부재(100)의 제1 고정판(120)을 상호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상면이 개방되어 ㄷ-형상의 단면을 갖는 앵글(420); 및
    상기 앵글(420)에 삽입되어 설치가 이루어지며, 앵글(420)의 상부로 돌출되어 구조물(10)의 상부에 설치되는 합판재(20)가 측면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구속하는 마감재(4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조경기장 포디움.
KR2020080014312U 2008-10-28 2008-10-28 체조경기장 포디움 Expired - Lifetime KR2004518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312U KR200451833Y1 (ko) 2008-10-28 2008-10-28 체조경기장 포디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312U KR200451833Y1 (ko) 2008-10-28 2008-10-28 체조경기장 포디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644U KR20100004644U (ko) 2010-05-07
KR200451833Y1 true KR200451833Y1 (ko) 2011-01-13

Family

ID=44199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4312U Expired - Lifetime KR200451833Y1 (ko) 2008-10-28 2008-10-28 체조경기장 포디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833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0280U (ko) * 1996-08-05 1998-05-15 신광식 마루운동매트
KR200215052Y1 (ko) 2000-09-28 2001-02-15 주식회사신광테크놀러지 원목 결합 구조를 구비한 차량용 랙크
KR20020015052A (ko) * 1999-06-30 2002-02-27 윌리암 로엘프 드 보에르 레이저-기록가능 중합체 조성물
KR20060037076A (ko) * 2004-10-27 2006-05-03 현대체육산업(주) 산수경기용 패널 구조체
KR100818129B1 (ko) 2007-03-20 2008-04-03 배대환 심신 단련 시설용 상판 부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0280U (ko) * 1996-08-05 1998-05-15 신광식 마루운동매트
KR20020015052A (ko) * 1999-06-30 2002-02-27 윌리암 로엘프 드 보에르 레이저-기록가능 중합체 조성물
KR200215052Y1 (ko) 2000-09-28 2001-02-15 주식회사신광테크놀러지 원목 결합 구조를 구비한 차량용 랙크
KR20060037076A (ko) * 2004-10-27 2006-05-03 현대체육산업(주) 산수경기용 패널 구조체
KR100818129B1 (ko) 2007-03-20 2008-04-03 배대환 심신 단련 시설용 상판 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644U (ko) 201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1340B1 (ko) 상하부 작업대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갱폼 케이지
KR102128100B1 (ko) 가변식 탈형 보 데크
US6839919B2 (en) Curvilinear spa frame
KR200451833Y1 (ko) 체조경기장 포디움
KR101059397B1 (ko) 정글짐 연결 구조
KR101196031B1 (ko) 조립식 기둥 구조체 및 조립식 외장재 구조체
JP4945428B2 (ja) 補強構造
JP2009024447A (ja) 積層構造体に用いる構造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積層構造体
KR102128099B1 (ko) 가변식 탈형 보 데크 시스템
KR101530785B1 (ko) 이중마루 지주 보강재
KR101675045B1 (ko) 모듈박스를 이용한 조립식 구조물의 시공방법
EP2683888A1 (en) Temporary platform
KR102128101B1 (ko) 가변식 탈형 보 데크용 가변식 서포트
KR101049291B1 (ko) 조경시설물용 조립식 기둥
CN110904745B (zh) 道岔设备支撑平台
JP2002060170A (ja) 昇降機用養生扉および養生装置
JP5942379B2 (ja) 遊技島台の構造
KR102768463B1 (ko) 기둥 구조체
KR200458199Y1 (ko) 마감재 결합이 용이한 에이치 형강 기둥 조립구조
KR101654930B1 (ko) 콘크리트 타설용 지주 연결장치
KR200308551Y1 (ko) 금속재 각편이 삽입된 가설물용 조립식 고정지주
KR20130007059U (ko) 체육관 마루용 방진 시스템
JP2023008670A (ja) アスレチック装置
KR100788740B1 (ko) 행거를 이용한 다단의 슬라브 시공을 위한 데크의 결합구조
WO2006001222A1 (ja) 立体構築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81028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2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10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1010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9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