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51650Y1 - 외과용 드레이프 - Google Patents

외과용 드레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650Y1
KR200451650Y1 KR2020090000588U KR20090000588U KR200451650Y1 KR 200451650 Y1 KR200451650 Y1 KR 200451650Y1 KR 2020090000588 U KR2020090000588 U KR 2020090000588U KR 20090000588 U KR20090000588 U KR 20090000588U KR 200451650 Y1 KR200451650 Y1 KR 2004516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film
surgical drape
release paper
adhesive fil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05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7560U (ko
Inventor
유현승
박준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알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알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알파
Priority to KR20200900005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650Y1/ko
Publication of KR201000075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5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6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650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46/00Surgical drapes
    • A61B46/40Drape material, e.g. laminates; Manufacture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46/00Surgical drapes
    • A61B46/20Surgical drap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 A61B46/23Surgical drap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with means to retain or hold surgical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46/00Surgical drapes
    • A61B46/20Surgical drap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 A61B2046/205Adhesive dra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외과용 드레이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절취선과 관통구멍을 구비함으로써 이형지 및 보강필름의 분리가 용이하고 별도의 재단 없이 상처부위에 치료기구를 손쉽게 부착할 수 있는 외과용 드레이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외과용 드레이프는 일측면에 접착제가 코팅된 접착면을 갖는 가요성 접착필름과, 중앙을 관통하는 제1절취선에 의해 적어도 2개로 분할되어 상기 접착필름의 접착면에 부착되는 이형지와, 상기 접착면의 대향면에 부착되고 중앙을 관통하는 제2절취선에 의해 적어도 2개로 분할 형성되는 보강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외과용 드레이프, 접착필름, 이형지, 보강필름, 절취선, 분할, 관통구멍

Description

외과용 드레이프{Surgical Drape}
본 고안은 외과용 드레이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절취선과 관통구멍을 구비함으로써 이형지 및 보강필름의 분리가 용이하고 별도의 재단 없이 상처부위에 치료기구를 손쉽게 부착할 수 있는 외과용 드레이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레이프(drape)는 의료기구로서 수술시 수술부위에 덮어 병원균과 미생물 등으로부터 수술부위의 오염과 감염을 방지하거나, 창상의 오염방지 및 보호를 위해 널리 사용된다.
특히 외과에서는 수술 후 또는 장기간 치료 후 상처부위에 카테터(catheter) 또는 배액(drainage)튜브 및 흡입헤드와 같은 치료기구를 환자에게 부착시키기 위해 외과용 드레이프(Surgical drape)를 사용한다.
이러한 종래의 외과용 드레이프(10)를 첨부도면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살펴본다.
도 1은 종래의 외과용 드레이프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드레이프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종래의 외과용 드레이프(10)는 일면에 접착제가 코팅된 접착필름(1)과, 상기 접착필름(1)의 접착제가 코팅된 접착면(1a)의 대향면(1b)에 부착되는 보강필름(2)과, 상기 접착필름(1)의 접착면(1a)에 부착되는 이형지(3)를 포함하고 소정 크기의 직사각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 외과용 드레이프(10)의 사용은 먼저 상처부위에 이물질과 물기를 제거한 후 치료기구(20)를 부착하고, 치료기구(20)와 상처부위를 함께 덮을 수 있는 크기로 외과용 드레이프(10)를 재단한 다음 그 중앙에 치료기구(20)의 일단이 관통될 수 있는 관통구멍(4)을 형성하도록 중앙부를 재단한다. 그 후에 외과용 드레이프(10)의 접착필름(1)에서 이형지(3)를 분리하여 접착필름(1)을 상처부위와 치료기구(20)를 덮어 환자의 피부(30)에 부착한 뒤 보강필름(2)을 분리한다. 이렇게 하면 상처부위와 치료기구(20)가 외과용 드레이프(10)에 의해 외부와 밀폐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외과용 드레이프는 이형지(3) 및 보강필름(2)의 분리가 접착필름(1)의 단부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접착필름(1)으로부터 이형지(3)와 보강필름(2)의 분리가 어려운 문제와, 접착필름(1)에서 이형지(3) 및 보강필름(2)을 분리하기 위해 접착필름(1)의 접착면(1a)을 만지게 되어 접착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외과용 드레이프(10)는 이형지(3)가 접착필름(1)과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져 접착필름(1)의 접착면(1a)에 부착되므로 이형지(3)를 분리한 후에는 유연한 접착필름(1)의 접착면(1a)이 서로 달라붙어 2명이 같이 처치를 해야 접착필름(1)이 서로 달라붙지 않고 원하는 위치에 접착 및 고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취급 이 불편한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외과용 드레이프(10)는 치료기구를 환자의 상처부위에 부착할 때 중앙부분에 치료기구(20)의 일단이 노출될 수 있도록 관통구멍(4)을 형성하기 위해 중앙부를 직접 가위로 잘라 사용해야하기 때문에 불편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형지와 보강필름 중앙에 절취선을 구비함으로써 접착필름의 양단부와 중앙에서도 이형지와 보강필름을 분리할 수 있어 이형지와 보강필름의 분리가 용이하고, 접착면의 훼손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외과용 드레이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절취선에 의해 접착필름에 이형지와 보강필름이 양분되어 형성됨으로써 사용시 접착필름에서 부분적으로 이형지와 보강필름을 분리 가능하여 접착필름이 서로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므로 1인이 처치 가능해 취급이 용이한 외과용 드레이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중앙 부분에 관통구멍을 구비하여 상처부위에 치료기구를 부착할 때 별도의 재단 없이 치료기구를 손쉽게 상처부위에 부착할 수 있는 외과용 드레이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외과용 드레이프는 일측면에 접착제가 코팅된 접착면을 갖는 가요성 접착필름과, 중앙을 관통하는 제1절취선에 의해 적어도 2개로 분할되어 상기 접착필름의 접착면에 부착되는 이형지와, 상기 접착면의 대향면에 부착되고 중앙을 관통하는 제2절취선에 의해 적어도 2개로 분할 형성되는 보강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착필름은 폴리우레탄계열(polyurethane), 폴리에틸렌계열(polyethylene, PE),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열 (polyvinylchloride, PVC), 폴리프로필렌계열(polypropylene, PP), 폴리에스테르계열(polyester), 폴리스티렌(polystyrene, PS)계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필름은 양측단부가 손잡이를 형성하도록 상기 접착필름 양측단부 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필름과, 이형지 및 보강필름의 중앙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접착면에 코팅되는 접착제는 아크릴계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외과용 드레이프는 이형지와 보강필름 중앙에 절취선을 구비함으로써 접착필름에 이형지와 보강필름이 양분되어 형성되므로 이형지와 보강필름의 분리가 용이하고, 부분적으로 이형지와 보강필름을 분리할 수 있어 접착필름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여 1인이 처치 가능해 취급이 용이하다.
또한, 중앙 부분에 관통구멍을 구비하여 별도의 재단 없이 상처부위에 치료기구를 손쉽게 부착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외과용 드레이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외과용 드레이프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외과용 드레이프를 나타낸 단면도, 도 6a 내지 도 6d은 본 고안에 따른 외과용 드레이프의 사용 방법을 나타낸 사용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외과용 드레이프(100)는 일측면에 접착제가 코팅된 접착면(111)을 갖는 가요성 접착필름(110)과, 중앙을 관통하는 제1절취선(121)에 의해 적어도 2개로 분할되어 상기 접착필름(110)의 접착면(111)에 부착되는 이형지(120)와, 상기 접착면(111)의 대향면(112)에 부착되고 중앙을 관통하는 제2절취선(131)에 의해 적어도 2개로 분할 형성되는 보강필름(1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접착필름(110)은 투명 또는 불투명의 플라스틱 재료로 소정크기의 직사각 형태로 이루어지고, 접착제가 코팅된 접착면(111)을 가지며 상처부위에 부착되거나 치료기구(20)를 상처부위에 부착한다. 여기서 상기 접착면(111)에 코팅되는 접착제는 환자의 피부에 강력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아크릴계열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접착필름(110)은 환자에게 부착할 때 부착력과 부착감을 향상시키도록 가요성이고 탄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로 접착필름(110)은 폴리우레탄계열(polyurethane), 폴리에틸렌계열(polyethylene, PE), 폴리비닐클로 라이드계열 (polyvinylchloride, PVC), 폴리프로필렌계열(polypropylene, PP), 폴리에스테르계열(polyester), 폴리스티렌(polystyrene, PS)계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착필름(110)은 약 2mm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형지(120)는 상기 접착필름(110)과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어, 중앙에 절취선(121)을 구비하며 상기 절취선(121)에 의해 2개로 분할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 이형지(120)가 2개 이상으로 분할될 수 있도록 2개 이상의 제1절취선(121)이 중앙을 통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형지(120)는 상기 접착필름(110)의 접착면(111)에 부착되어 상기 접착필름(110)의 접착면(111)을 보호한다.
또한 이형지(120)는 종이, 플라스틱 피복 종이, 플라스틱 필름, 직물, 부직포 등의 다양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고 약 2mm 이하의 두께를 가지며, 일면(122)에 실리콘과 같은 분리성 물질이 코팅되어 접착필름(11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형지(120)는 절취선(121)에 의해 상기 접착필름(110)의 접착면(111)에 2개로 분할되어 형성됨으로써, 사용시 필요한 크기로 재단을 하여도 상기 접착필름(110)의 양단부와 중앙에서도 분리 가능하고, 부분적으로 분리가 가능하여 접착필름(110)이 서로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므로 외과용 드레이프(100)의 취급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보강필름(130)은 중앙에 구비된 절취선(131)에 의해 2개로 분할되어 접착필름(110)을 쉽게 다루기 위해서 상기 접착필름(110)보다 강성인 재료로 형성되 어 접착필름(110)의 접착면(111)과 대향하는 대향면(112)에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진공흡착 또는 정전기 방식으로 부착된다.
보강필름(130)은 필요에 따라 보강필름이(130)가 2개 이상으로 분할될 수 있도록 2개 이상의 제2절취선(131)이 중앙을 통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필름(130)은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이루어지며 양측단부가 상기 접착필름(110)의 양측단부 보다 길게 형성되어 손잡이(13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사용시 손잡이(132)를 제공하여 양측단부 또는 중앙에서 접착필름(110)의 접착면(111)에 부착된 이형지(120)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고, 이형지(120)를 분리한 후에는 매우 유연하며 접착성을 띠는 접착필름(110)을 용이하게 취급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접착필름(110)과 이형지(120) 및 보강필름(130)의 중앙에는 관통구멍(14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처부위에 필요에 따라 치료기구(20)를 부착할 때 별도의 재단 없이 관통구멍(140)으로 상기 치료기구(20)의 일단을 통과시켜 상처부위에 치료기구(20)를 손쉽게 부착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관통구멍(14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직사각형으로 도시하고 설명 하였지만 정사각형, 원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하에 본 고안의 외과용 드레이프(100)의 사용 상태를 도 6a 내지 도 6d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d를 참고하면, 먼저 치료기구(20)가 부착될 상처부위 주변에 이물질과 물기를 제거한 후 상처부위에 치료기구(20)를 부착한다.
다음, 본 고안의 외과용 드레이프(100)의 접착필름(110)의 양측으로 돌출된 보강필름(130)의 손잡이(132)를 잡고 접착필름(110)에 분할 형성된 이형지(120)를 부분적으로 분리하여 접착필름(110)의 일부를 상처부위와 치료기구(20)주변 피부(30)에 부착하고 치료기구(20)의 일단을 상기 관통구멍(140)을 통해 노출시킨다.
그 다음, 상기 접착필름(110)에 남아있는 이형지(120)를 분리하고 상처부위와 치료기구(20)를 완전히 덮어 접착필름(110)을 환자의 피부(30)에 부착한다.
다음, 보강필름(130)을 상기 손잡이(132)를 이용하여 접착필름(110)으로부터 차례로 분리한다. 이렇게 하면 치료기구(20)가 외과용 드레이프(100)에 의해 상처부위에 부착 고정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관통구멍(140)을 통해 노출된 치료기구(20)의 일단을 주변 치료장치에 연결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치료기구(20)와 상처부위를 함께 덮을 수 있는 크기로 외과용 드레이프(100)를 재단하여 사용할 때에도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이형지(120)와 보강필름(130)의 중앙에 구비된 절취선(121)을 통해 접착필름(110)의 양단부와 중앙에서 이형지(120)와 보강필름(130)을 분리할 수 있어 이형지(120)와 보강필름(130)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이형지(120)와 보호필름(130)을 부분적으로 분리 가능하여 접착면의 훼손 없이 외과용 드레이프(100)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외과용 드레이프는 이형지와 보강필름 중앙에 절취선을 구비함으로써 접착필름에 이형지와 보강필름이 적어도 2개로 분할되어 형성됨에 의해 이형지와 보강필름의 분리가 용이하고, 부분적으로 이형지와 보강필름을 분리할 수 있어 접착필름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여 1인이 처치 가능해 취급이 용이하다.
또한, 중앙 부분에 관통구멍을 구비하여 별도의 재단 없이 상처부위에 치료기구를 손쉽게 부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본 고안은 이형지와 보강필름 중앙에 절취선을 구비함으로써 이형지와 보강필름의 분리가 용이하여 접착면의 훼손 없이 사용할 수 있고, 이형지와 보강필름을 부분적으로 분리 가능하여 접착필름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며, 관통구멍을 구비하여 별도의 재단 없이 치료기구를 손쉽게 상처부위에 부착할 수 있으므로 1인이 처치 가능하고 취급이 용이한 외과용 드레이프에 적용된다.
도 1은 종래의 외과용 드레이프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드레이프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외과용 드레이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외과용 드레이프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외과용 드레이프를 나타낸 단면도,
도 6a 내지 도 6d는 본 고안에 따른 외과용 드레이프의 사용 방법을 나타낸 사용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0: 외과용 드레이프 110: 접착필름
111: 접착면 112: 대향면
120: 이형지 121: 제1절취선
130: 보강필름 131: 제2절취선
132: 손잡이 140: 관통구멍
20: 치료기구 30: 피부

Claims (5)

  1. 일측면에 접착제가 코팅된 접착면을 갖는 가요성 접착필름과,
    중앙을 관통하는 제1절취선에 의해 적어도 2개로 분할되어 상기 접착필름의 접착면에 부착되는 이형지와,
    상기 접착면의 대향면에 부착되고 중앙을 관통하는 제2절취선에 의해 적어도 2개로 분할 형성되는 보강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드레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필름은 폴리우레탄계열(polyurethane), 폴리에틸렌계열(polyethylene, PE),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열 (polyvinylchloride, PVC), 폴리프로필렌계열(polypropylene, PP), 폴리에스테르계열(polyester), 폴리스티렌(polystyrene, PS)계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드레이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필름은 양측단부가 상기 접착필름 양측단부 보다 길게 형성되어 손잡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드레이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필름과 이형지 및 보강필름의 중앙에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드레이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면에 코팅되는 접착제는 아크릴계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드레이프.
KR2020090000588U 2009-01-16 2009-01-16 외과용 드레이프 Expired - Lifetime KR2004516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588U KR200451650Y1 (ko) 2009-01-16 2009-01-16 외과용 드레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588U KR200451650Y1 (ko) 2009-01-16 2009-01-16 외과용 드레이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560U KR20100007560U (ko) 2010-07-26
KR200451650Y1 true KR200451650Y1 (ko) 2011-01-05

Family

ID=44243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0588U Expired - Lifetime KR200451650Y1 (ko) 2009-01-16 2009-01-16 외과용 드레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65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6777B1 (ko) 2016-09-29 2018-03-08 전두한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
KR20190105456A (ko) 2018-03-05 2019-09-17 이일호 수술도구용 팁 클리너와 이를 구비한 수술용 드레이프
KR20210115496A (ko) 2020-03-13 2021-09-27 주식회사 이앤더블유 (E&W) 치과 수술용 수술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02388B2 (ja) * 1991-01-31 2002-07-15 ジョンソン・アンド・ジョンソン・メディカ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三層積層パネル
WO2005060857A1 (en) 2003-12-16 2005-07-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urgical drape having an expandable member
KR100532521B1 (ko) 1997-05-16 2005-12-02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수술용 절개 드레이프
US20080006279A1 (en) 2006-06-29 2008-01-10 Smiths Group Plc Drap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02388B2 (ja) * 1991-01-31 2002-07-15 ジョンソン・アンド・ジョンソン・メディカ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三層積層パネル
KR100532521B1 (ko) 1997-05-16 2005-12-02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수술용 절개 드레이프
WO2005060857A1 (en) 2003-12-16 2005-07-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urgical drape having an expandable member
US20080006279A1 (en) 2006-06-29 2008-01-10 Smiths Group Plc Drape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6777B1 (ko) 2016-09-29 2018-03-08 전두한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
WO2018062926A3 (ko) * 2016-09-29 2018-08-09 전두한 수술용 드레이프 디스펜서
KR20190105456A (ko) 2018-03-05 2019-09-17 이일호 수술도구용 팁 클리너와 이를 구비한 수술용 드레이프
KR20210115496A (ko) 2020-03-13 2021-09-27 주식회사 이앤더블유 (E&W) 치과 수술용 수술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560U (ko) 2010-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91041B1 (en) Protective dressing for skin-placed medical device
US6899104B1 (en) Wound closure device for viewing a wound and method
CA2303085C (en) Surgical drape and suction head for wound treatment
US6834652B2 (en) Catheter protective shield
JP6280549B2 (ja) 接着性被覆材一体化パッケージ
JP3249084B2 (ja) 創傷用包帯
ES2568202T3 (es) Sistema de paño con tira de cremallera y métodos para fabricar el mismo
US20140121649A1 (en) Wound dressing assembly with absorbent layer
US20070282236A1 (en) Reclosable Wound Dressing System
AU2002329944A1 (en) Catheter protective shield
IE55980B1 (en) Adhesive film dressing
JP2010526566A (ja) 粘着性オーババンデージ
KR200481185Y1 (ko) 오염방지기능을 갖는 일회용 의료밴드
KR200451650Y1 (ko) 외과용 드레이프
JP5918777B2 (ja) カテーテル固定用貼付材
US20080167626A1 (en) Catheter covering for use in bathing
JP5937590B2 (ja) 粘着縁部を有する外科用のドレープ又はタオル
JP5246397B2 (ja) 創傷用バッグ並びに同創傷用バッグを用いた排液管理用具または陰圧閉鎖療法用具
JPS59501446A (ja) 包帯を患者に適用するための装置
JP3226028U (ja) 外包装が取外しやすい絆創膏
JP3696922B2 (ja) カテーテル取付け補助具
JPH02126842A (ja) 施術用皮膚被覆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90116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2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22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0122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3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90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