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50878Y1 - 매트용 이중직물지 - Google Patents

매트용 이중직물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878Y1
KR200450878Y1 KR2020080003353U KR20080003353U KR200450878Y1 KR 200450878 Y1 KR200450878 Y1 KR 200450878Y1 KR 2020080003353 U KR2020080003353 U KR 2020080003353U KR 20080003353 U KR20080003353 U KR 20080003353U KR 200450878 Y1 KR200450878 Y1 KR 2004508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ndle
mat
pile yarn
double
fabri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33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9371U (ko
Inventor
신해식
이강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남
신해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남, 신해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남
Priority to KR20200800033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878Y1/ko
Publication of KR200900093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3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8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878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11/02Fabrics formed with pockets, tubes, loops, folds, tucks or flap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17Woven household fabric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6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elast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1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elas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arp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깔개나 등받이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매트 제조용 직물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직물지가 두 겹(상직부 및 하직부)으로 구성되면서 사이를 연결하는 수많은 파일사로 이중직물지를 구성하되, 파일사가 수직이 아닌 ∧형 또는 ∨형이 번복되는 형태로 연결되게 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압박이 가해질 때 부드러움을 느끼게 되면서도 압박을 견디는 힘과 복원력이 강하도록 구성을 개선한 것이다.
더블낫셀, 이중직물지, 통풍매트, 파일직물, V형

Description

매트용 이중직물지{Duplex textile for mat}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이중직물지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확대도
도 3은 도 2의 A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도 2의 C-C선 단면도
도 6은 도 4의 작용상태도
도 7은 종래 이중직물지의 작용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이중직물지
10: 상직부 11: 실묶음
20: 하직부 21: 실묶음
30: 파일사
본 고안은 깔개나 등받이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매트 제조용 직물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직물지가 두 겹(상직부 및 하직부)으로 구성되면서 사이를 연결하는 수많은 파일사로 이중직물지를 구성하되, 파일사가 수직이 아닌 ∧형 또는 ∨형이 번복되는 형태로 연결되게 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압박이 가해질 때 부드러움을 느끼게 되면서도 압박을 견디는 힘과 복원력이 강하도록 구성을 개선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상직부와 하직부 및 파일사부로 구성되는 이중직의 직물과 그러한 직물로 제조되는 매트는 많은 종류가 개발되고 있는데, 파일사를 강도가 있는 것으로 선택하여 상직부와 하직부가 간격을 유지하도록 제직하게 되면 파일사 부분에 공간이 생겨 통풍성이 우수한 매트형 직물로 제조된다.
그런데 이러한 이중직물지를 매트로 사용하게 되면 부드럽게 압축되면서도 신속하게 복귀하는 쿳션을 가져야 하는데, 파일사가 수직으로 세워진 종래 이중직물의 경우에는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상직부가 압축되어 하직부에 근접하려면 파일사가 동시에 한 방향으로 드러누워야 하고 동시에 상직부가 그러한 방향으로 젖혀지게 되므로 사용시 편안한 느낌과 안정감이 없었으며, 한 방향으로 드러누운 파일사기 세워지려면 파일사 자체적인 탄성력에 의지할 수밖에 없어서 복귀가 신속하지 못할 뿐 아니라 반복되는 압축에 탄성력과 복귀력이 급격히 줄어들게 되는 단점을 갖는 것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고안은 상직부와 하직부 및 파일사로 구성되는 매트용 이중직물지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직부와 하직부 사이를 왕복하는 파일사가 '
Figure 112008018573411-utm00001
'형으로 구성되도록 제직함으로써 압축시 파일사가 균등하게 휘어 지면서 압축이 이루어지게 한 것으로, 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한 압축이 일어날 시 부드럽게 압축이 일어나면서 균일한 압축에 의해 복귀가 신속하며, 탄성력이 매우 우수한 매트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직부와 하직부가 다이아몬드형 내지 육각형이 반복되는 망사 형태로 제직되고 이러한 형태가 상, 하직부에서 동일한 위치가 아닌 어긋나는 위치가 되도록 하며, 이에 따라 파일사는 수직 형태가 아니라 좌 또는 우로 경사진 형태가 반복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바.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이중직물지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확대도, 도 3은 도 2의 A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도 2의 C-C선 단면도, 도 6은 도 4의 작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이중직물지(1)는 일반적인 이중직물지와 같이 상직부(10)와 하직부(20) 및 그 사이의 파일사(30)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이중직물지(1)는 매트로 사용이 가능토록 하기 위여 강도가 상당한 재질의 원사를 사용하는데, 파일사(30)는 PET 또는 PTT 모노사를 사용하고 상직부(10)와 하직부(20)는 나일론 모노사를 사용하여 제직한다. 상기 특정된 실의 종류는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예시일 뿐, 상기 종류로 한정되지 아니함은 당연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 이중직물지의 상직부(10)와 하직부(20)를 상세히 살펴보면, 실묶음(11)(21)이 연속하여 지그재그로 전진하면서 인근한 좌우측의 실묶음(11)(21)과 엮임 및 이격을 반복하여 다이아몬드형 내지 육각형이 반복되는 망사형으로 제직되도록 한다.
또 이러한 상직부(10)의 실묶음(11)과 그 아래에 위치하는 하직부(20)의 실묶음(21) 사이를 파일사(30)가 왕복하면서 구성된다.
그런데 상직부(10)의 실묶음(11)과 그 아래를 지나는 하직부(20)의 실묶음(21)은 동일하게 좌우로 지그재그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지그재그 상태가 서로 반대가 되므로 상직부(10)의 다이아몬드형 내지 육각형은 하직부(20)의 다이아몬드형 내지 육각형과 일치하지 아니하고 어긋나게 된다. 이를 다시 설명하면 상기 다이아몬드형 내지 육각형은 상직부(10)와 하직부(20)에서 그 크기가 동일하면서, 상직부(10)의 다이아몬드형 내지 육각형의 중앙에 하직부(20)의 실묶음(21) 엮이는 부분이 위치하여 전후좌우 상직부(10)와 하직부(20)의 다이아몬드형 내지 육각형은 절반이 정확하게 어긋나면서 중첩되는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파일사(30)는 좌측으로 경사지거나 우측으로 경사지는 것이 반복되므로 결국 전체적으로 파일사(30)는 실묶음(11)(21)이 진행하는 방향을 따라 측면에서 보았을 때 '
Figure 112010033051681-utm00011
'형이 되는 것이며 상부에서 압박을 받으면 '
Figure 112010033051681-utm00012
'형 또는 '
Figure 112010033051681-utm00013
'형으로 대칭적이면서 동일한 형태로 휘어지게 하였다.
본 고안에 의한 파일사(30)가 기울어지는 각도는 상직부(10)와 하직부(20)의 간격, 실묶음(11)(21)이 지그재그로 벌어지는 정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본 고안의 목적을 감안하면 그 각도가 너무 작으면 수직에 가까운 형태가 되어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거나 달성하기에 부족하게 될 것이고, 그 각도가 너무 커도 탄성과 복원력이 부족할 것인바, 본 고안에 의해 제시되는 적절한 각도(a)는 15도 내지 60도의 범위 내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이중직물지(1)는 용도에 따라 시트커버나 바닥 벽면재 등의 매트로 제조되어 사용된다.
사용시에 사용자의 압력에 의해 상직부(10)가 하직부(20) 쪽으로 압박을 받는 경우에 종래와 같이 상직부가 일측으로 밀려나면서 파일사가 한쪽으로 쓰러지는게 아니라, 도 6의 경우와 같이 각각 상직부(10)가 제자리에서 하직부(20) 쪽으로 근접하면서 파일사(30)가 휘어지는 상태로 압축되게 된다. 특히 본 고안에 의하면 상직부(10)와 하직부(20)의 다이아몬드형 내지 육각형이 동일한 크기이면서 정확하게 중심이 어긋나는 상태이므로 압력을 받게 되면 상직부(10)가 수직으로 하강하면서 파일사(30)는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
Figure 112010033051681-utm00014
'형 또는 '
Figure 112010033051681-utm00015
'형으로 휘어지며 압축되는 것으로 파일사(30)가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탄성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압박이 일어나는 처음부터 끝까지 균일한 압력으로 압축이 일어나며, 따라서 매우 부드러운 감촉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또한 압박력이 제거되면 휘어진 파일사(30)가 펴지면서 상직부(10)가 복귀하므로 신속하고 강한 힘으로 복원이 이루어지게 된다.
아울러 기본적으로 상직부(10)와 하직부(20)가 다이아몬드형 내지 육각형으로 구성되는 망사형이면서 중간에 통로가 형성되므로 통풍기능이 우수함도 당연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기본적인 통풍기능을 유지하면서도 사용시 부드러움과 탄성을 느낄 수 있게 되는 것이고 복귀시 신속하고 탄력있는 복원력을 갖게 되며, 장시간 사용에도 탄성이 유지되므로 매우 긴 수명을 예상할 수 있게 되는 등 한층 기능이 진보된 새로운 차원의 이중직 매트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라 할 수 있다.

Claims (2)

  1. 상직부와 하직부 및 그 사이의 파일사로 구성되는 이중직물지고, 상직부(10)와 하직부(20)는 실묶음(11)(21)이 연속하여 지그재그로 전진하면서 인근한 좌우측의 실묶음(11)(21)과 엮임 및 이격을 반복하여 다이아몬드형 내지 육각형이 반복되는 망사형으로 제직되며, 이러한 상직부(10)의 실묶음(11)과 그 아래에 위치하는 하직부(20)의 실묶음(21) 사이를 파일사(30)가 왕복하도록 구성되는 이중직물지에 있어서,
    상직부(10)의 다이아몬드형 내지 육각형은 하직부(20)의 다이아몬드형 내지 육각형은 동일한 크기로 구성하며,
    상직부(10)의 실묶음(11)과 그 아래를 지나는 하직부(20)의 실묶음(21)은 지그재그 상태가 서로 반대가 되도록 제직하여 상직부의 다이아몬드형 내지 육각형 중앙에 하직부의 실묶음(21)이 엮이는 부분이 위치하여 상직부와 하직부의 다이아몬드형 내지 육각형은 정확하게 전후좌우 절반이 중첩되는 형태로 어긋나는 상태가 되도록 하며,
    파일사(30)는 좌측으로 경사지거나 우측으로 경사지는 것이 반복되어 전체적으로 파일사(30)는 실묶음(11)(21)이 진행하는 방향을 따라 측면에서 보았을 때 '
    Figure 112010033051681-utm00016
    '형이 되고, 상부에서 압력을 받아 눌려지면 파일사(30)가 '
    Figure 112010033051681-utm00017
    '형 또는 '
    Figure 112010033051681-utm00018
    '형으로 구부러지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용 이중직물지.
  2. 제1항에 있어서,
    파일사(30)가 기울어지는 각도(a)는 15도 내지 60도의 범위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용 이중직물지.
KR2020080003353U 2008-03-14 2008-03-14 매트용 이중직물지 Expired - Fee Related KR2004508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353U KR200450878Y1 (ko) 2008-03-14 2008-03-14 매트용 이중직물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353U KR200450878Y1 (ko) 2008-03-14 2008-03-14 매트용 이중직물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371U KR20090009371U (ko) 2009-09-17
KR200450878Y1 true KR200450878Y1 (ko) 2010-11-08

Family

ID=41532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3353U Expired - Fee Related KR200450878Y1 (ko) 2008-03-14 2008-03-14 매트용 이중직물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87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7608A (ko) * 2017-05-19 2018-11-29 (주)엘오엘 매트리스
KR102461356B1 (ko) * 2022-01-06 2022-10-28 박미정 이중직조구조를 갖는 에어 안전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917B1 (ko) * 2017-09-01 2019-01-17 정재균 도장로봇용 커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9771B1 (ko) 2001-03-29 2006-02-08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좌석 시트용 입체 편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9771B1 (ko) 2001-03-29 2006-02-08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좌석 시트용 입체 편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7608A (ko) * 2017-05-19 2018-11-29 (주)엘오엘 매트리스
KR102015641B1 (ko) * 2017-05-19 2019-08-28 (주)엘오엘 매트리스
KR102461356B1 (ko) * 2022-01-06 2022-10-28 박미정 이중직조구조를 갖는 에어 안전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371U (ko) 2009-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8068B2 (en) Three-dimensionally structured warp knitted fabric
US20020157429A1 (en) Three-dimensional marquisette style knitted fabric
JP5955282B2 (ja) 立体構造布帛
KR200450878Y1 (ko) 매트용 이중직물지
CN104995351B (zh) 阻尼层及其制造方法和使用方法以及一种纺织物
CN106574410B (zh) 三维织物
US4328840A (en) Double side fabric
KR101590265B1 (ko) 입체적 투톤효과 및 소프트감이 우수한 이중직물
JP2004339652A (ja) 立体編物積層体
JP4674675B2 (ja) 自動車内装ポリプロピレンテレフタレート繊維布帛
JP7365214B2 (ja) 製紙用シームフェルト
JPS6137214A (ja) クッション材
CN212293973U (zh) 一体成型可伸缩手把编织织带及编织设备
US20100288459A1 (en) Industrial fabric for forming and pressing
CN204738094U (zh) 一种瓦楞布
US1999067A (en) Resilient fabric
JP2017150114A (ja) 織物
US1057477A (en) Woven fabric.
CN215283708U (zh) 一种用于沙发内套的新型防羽布
CN210657341U (zh) 一种具有3d立体的皮革软包
CN211518718U (zh) 一种弹力针织提花网布
CN213308609U (zh) 一种低噪高舒适型床垫
CN221918421U (zh) 高弹耐磨涤纶复合织物
CN215283844U (zh) 一种耐用沙发布
CN222495751U (zh) 表面粗糙的清洁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80314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00223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10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0110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6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80813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