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649Y1 - Carrier Tape Perforated Mold Subsidiary Plate Bonding Structure - Google Patents
Carrier Tape Perforated Mold Subsidiary Plate Bonding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50649Y1 KR200450649Y1 KR2020090005828U KR20090005828U KR200450649Y1 KR 200450649 Y1 KR200450649 Y1 KR 200450649Y1 KR 2020090005828 U KR2020090005828 U KR 2020090005828U KR 20090005828 U KR20090005828 U KR 20090005828U KR 200450649 Y1 KR200450649 Y1 KR 20045064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ripper
- hole
- holder
- carrier tape
- mol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02—Perforating by punching, e.g. with relatively-reciprocating punch and bed
- B26F1/14—Punching tools; Punching d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4—Cutters therefor; Die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 Wire Bon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트리퍼 홀더(stripper holder)에 장착되어지는 스트리퍼(stripper)를 간편하고 견고하게 탈,장착시킬 수 있게 됨으로 작업성 및 제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캐리어테이프 타공 금형보조판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rier tape perforated mold auxiliary plate coupling structure which can improve workability and productability by being able to easily and firmly remove and mount a stripper mounted on a stripper holder.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스트리퍼 홀더(20)의 상면에 안착홈(24)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안착홈(24)의 앞뒤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지는 체결홀(25)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스트리퍼 홀더(20)의 안착홈(24)에 안착되어 접시머리볼트(60)로 제1,2보조통공(41,42)이 형성되어진 스트리퍼(40)이 결합되어지되 상기 스트리퍼(40)은 앞뒤면에 상기 접시머리볼트(60)가 삽입되어 체결홀(25)에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홀(25)과 대응되어지게 볼트삽입홀(43)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스트리퍼(40)의 볼트삽입홀(43)은 스트리퍼(40)를 스트리퍼 홀더(20)로부터 분리시 수직면이 상기 체결홀(25) 보다 넓게 형성되어지게 되는 이격부(43a)가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eating groove 24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tripper holder 20, and a fastening hole 25 in which a thread is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seating groove 24 is formed. The stripper 40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24 of the stripper holder 20 and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holes 41 and 42 are formed with the countersunk head bolt 60, but the stripper 40 is front and back. A bolt insertion hole 43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astening hole 25 so that the countersunk head 60 is inserted into the surface to be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25, and the bolt of the stripper 40 is formed. Insertion hole 43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paration portion 43a is formed so that the vertical surface is formed wider than the fastening hole 25 when the stripper 40 is separated from the stripper holder 20.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일 예는 상기 스트리퍼(40)의 양쪽면에는 상기 스트리퍼 홀더(20)에 안착되어지는 스트리퍼(40)을 분리시 탭(TAP)(70)이 관통되어지도록 탭홀(44)이 형성되어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oth sides of the stripper 40, the tab hole 44 so that the tab (TAP) 70 is penetrated when the stripper 40 is seated on the stripper holder 20 ) Is formed.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일 예는 상기 스트리퍼 홀더(20)의 안착홈(24) 바닥면에는 스프링 장착부(26)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스프링 장착부(26)에 안착홈(24)내로 접시머리볼트(60)로 결합되어지는 스트리퍼(40)를 분리 시 접시머리볼트(60) 를 풀게 되면 상기 스트리퍼(40)가 상부로 승강할 수 있도록 탄성스프링(50)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examp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pring mounting portion 26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groove 24 of the stripper holder 20, the head plate bolt into the seating groove 24 in the spring mounting portion 26 When the plate head bolt 60 is released when the stripper 40 coupled to the stripper 40 is separated, the elastic spring 50 is formed so that the stripper 40 can be elevated upward.
스트리퍼 홀더, 스트리퍼, 볼트삽입홀, 접시머리볼트, 탭홀, 탄성스프링 Stripper holder, stripper, bolt insertion hole, countersunk head bolt, tap hole, elastic spr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캐리어테이프 타공 금형보조판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트리퍼 홀더에 장착되어지는 스트리퍼를 간편하고 견고하게 탈,장착시킬 수 있게 됨으로 작업성 및 제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캐리어테이프 타공 금형보조판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rier tape perforated mold subsidiary plate coupling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a carrier tape perforated to improve workability and productability by being able to easily and firmly detach and mount a stripper mounted on a stripper holder. It relates to a mold auxiliary plate coupling structure.
보통 전개효과트랜지스터(FET)와 저항이나 콘덴서 등의 칩부품과 같은 전자부품을 구비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품의 중량, 크기의 감소 그리고 작동 주파수의 큰 증가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사용되는 전자부품도 더욱 가볍고 얇게 그리고 짧게 제조되어 오고 있다.In general, in a device having a deployment effect transistor (FET) and an electronic component such as a chip component such as a resistor or a capacitor, there is a reduction in the weight, size of the product and a large increase in operating frequency. It has been made lighter, thinner and shorter.
이러한 소형의 전자부품은 회로기판에 자동으로 삽입되는 데, 일반적으로 회로기판에 전자부품을 자동으로 삽입하기 위한 자동삽입장치에 전자부품을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해서, 전자부품을 수용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사각형태의 구멍 즉 수용공이 형성된 전자부품 캐리어테이프가 사용된다.These small electronic components are automatically inserted into the circuit board. In general, in order to continuously supply the electronic components to the automatic insertion device for automatically inserting the electronic components on the circuit board, the electronic components are regularly spaced to accommodate the electronic components. An electronic component carrier tape having rectangular holes, that is, receiving holes, is used.
원형의 릴에 감겨있는 종이로 된 전자부품 캐리어테이프는 전술한 수용공 외 에도 이송시 캐리어테이프를 정확한 피치로 이송하기 위한 원형의 이송용 구멍 즉 이송공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accommodation hole, the carrier tape made of paper wound around a circular reel has a circular transfer hole, that is, a transfer hole, for transferring the carrier tape at an accurate pitch.
이러한 캐리어테이프가 사용되는 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전자부품을 삽입하여둘 수 있도록 캐리어테이프를 관통하는 수용공과 캐리어테이프 이송을 위한 이송공을 천공한 후에 한쪽 면에 보호테이프를 붙이고 전자부품을 수용공에 삽입하며 또 다른 한쪽 면에도 보호테이프를 붙여서 전자부품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Looking at the state in which the carrier tape is used, first to drill the receiving hole through the carrier tape and the transfer hole for transporting the carrier tape so that the electronic component can be inserted, and then attach the protective tape on one side and insert the electronic component into the receiving hole. Inserting a protective tape on the other side prevents the detachment of electronic components.
상기와 같은 캐리어테이프의 종래 가공 금형장치에 있어서는, 천공 중에 펀치들의 가공 단부에 캐리어테이프로부터 절단된 소재가 부착되어 펀치가 하부금형에 대하여 상승할 때 이 소재도 함께 올라오게 되고 그 후 펀치들로 다시 캐리어테이프에 이송공 또는 수용공을 가공할 때 이 절단된 소재가 펀치의 가공 단부에 부착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가공 불량이 야기되기도 하며, 또한 펀치들의 직경이 작으므로 간혹 펀치들이 떨리는 떨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데, 이때 펀치가 하부금형의 금형 관통공에 정확하게 안착되지 못하면서 캐리어테이프와 하부금형 상면을 타격하게 됨으로써 펀치와 하부금형이 상호 맞부딪혀 비교적 고가인 펀치 또는 하부금형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processing mold apparatus of the carrier tape as described above, during cutting, the material cut from the carrier tape is attached to the processing end of the punches so that when the punch rises with respect to the lower mold, this material also comes up together and then into the punches. When machining the conveying hole or the receiving hole on the carrier tape again, the cut material is attached to the processing end of the punch, which may cause machining defects. Also, because the punch diameter is small, the punches may sometimes shake. In this case, the punch hits the upper surface of the carrier tape and the lower mold while the punch is not correctly seated in the mold through-hole of the lower mold, so that the punch and the lower mold collide with each other, thereby causing a relatively expensive punch or lower mold to be damaged.
이에 상기 펀치의 펀칭으로부터 상기 하부금형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부금형의 상면에 가이드플레이트를 안착시키는 형태의 금형장치가 사용되어 상기의 문제점을 일면 해소하였지만, 상기 펀치의 단부와 가이드플레이트의 가이드통공 내주벽과의 마찰에 의한 마모로 인해 비교적 고가인 가이드플레이트를 교체하기 위한 비용이 과중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상기 가이드플레이트 자체를 교 체하기 위해 금형장치의 하부금형과 가이드플레이트를 해체하고 다시 조립하는 복잡한 작업과정으로 인해 노동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lower mold from the punching of the punch, a mold apparatus of a type for seating the guide plat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mold is u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 but the end of the punch and the guide plate The cost of replacing the guide plate, which is relatively expensive due to abrasion due to friction with the guide hole inner circumferential wall, is disadvantageous. In order to replace the guide plate itself, the lower mold and the guide plate of the mold apparatus are dismantled and There was a problem of low labor productivity due to the complicated process of assembling.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가이드플레이트의 상면에 보조판을 안착시켜 상기 펀치의 상하운동으로 인한 마찰열로 마모된 보조판을 교체함으로써 비교적 고가인 가이드플레이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캐리어 테이프 타공 금형보조판의 구현이 요구되고 있다.Implementation of carrier tape perforated mold auxiliary plate which can improve durability of relatively expensive guide plate by replacing the auxiliary plate worn by frictional heat due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punch by fixing the auxiliary plat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plat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is is required.
이를 위해 본 출원인은 국내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8-15578호 "캐리어테이프 타공 금형보조판"을 출원한 바 있으며, 이를 간략히 설명하면 가이드플레이트 상면에 캐리어테이프의 이송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 형성된 제1가이드통공 및 제2가이드통공에 각각 대응되는 제1보조통공 및 제2보조통공이 형성된 보조판이 고정핀으로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진다.To this end, the present applicant has filed a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No. 2008-15578 "Carrier Tape Punched Mold Auxiliary Plate". Briefly, the first application formed on the guide plate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carrier tap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plate. An auxiliary plate having a first auxiliary hole and a second auxiliary hole corresponding to the guide hole and the second guide hole, respectively,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xing pin.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금형보조판은 가이드플레이트에 고정핀으로 고정되어지게 됨으로 타공시 강한 압력에 의해 보조판에 유동이 발생되어 펀치날에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와 함께 보조판을 교체시 고정핀을 외부에서 타격하여 빼내게 됨으로 작업성이 현저히 떨어지게 됨은 물론 보조판 및 가이드플레이트의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mold auxiliary plate as described above is fixed to the guide plate by the fixing pin, the flow is generated in the auxiliary plate by a strong pressure when punching, damage to the punch blade, and the fixing pin when replacing the auxiliary plat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breakage of the auxiliary plate and the guide plate as well as the workability is significantly lowered by being blown out.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스트리퍼를 견고하게 장착시킬 수 있어 제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스트리퍼 홀더에 결합되어지는 스트리퍼의 조립 및 분리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어 작업의 편리성 및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캐리어테이프 타공 금형보조판 결합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can be firmly mounted to the stripper to improve the product quality, and can easily perform the assembly and separation of the stripper coupled to the stripper holde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rrier tape perforated mold subsidiary plate joining structure to improve convenience and work efficiency.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는 스프리퍼 홀더 상단에 스트리퍼가 결합되어지되 상기 스트리퍼는 앞뒤면에 접시머리볼트가 삽입되어 스트리퍼 홀더에 체결될 수 있도록 볼트홀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볼트홀에는 상기 접시머리볼트를 분리시 원활하게 탈거될 수 있도록 이격부가 형성되어진다.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tripper is coupled to the top of the stripper holder, the stripper is a bolt hole is formed to be fastened to the stripper holder is inserted into the front and rear plate bolts The bolt hole is formed with a spaced apart so that it can be removed smoothly when removing the countersunk head bolt.
또한,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는 상기 스트리퍼가 안착되어지는 스트리퍼 홀더 상부 내면에 스트리퍼 홀더로부터 스트리퍼를 원활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스트리퍼를 상부로 승강시키게 되는 탄성스프링이 형성되어진다.In additio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stripper holder on which the stripper is seated is formed an elastic spring to lift the stripper to the top to smoothly separate the stripper from the stripper holder.
본 고안의 제 3 실시 예는 상기 스트리퍼 홀더 상단에 압착되어지는 펀치홀더를 제1펀치가 결합되어지는 부위를 절반으로 나누어지도록 복수로 나누어서 연삭 작업을 수행하게 되어 펀치홀더를 많은 수량을 빠른 시간에 제작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테이프 타공 금형보조판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unch holder pressed on the stripper holder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s to which the first punch is coupled in half so that the grinding operation is performed. It is to provide a carrier tape perforated mold auxiliary plate coupl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manufactured.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스트리퍼 홀더에 스트리퍼를 볼트로 결합하고 스트리퍼 홀더와 스트리퍼 사이에 스트리퍼를 상부로 탄성시킬 수 있도록 탄성스프링을 형성하게 됨으로 스트리퍼를 스트리퍼 홀더에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어 제품의 체결력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탄성스프링에 의해 스트리퍼 홀더로부터 스트리퍼를 분리시 스트리퍼가 상부로 탄성되어지게 되어 스트리퍼를 간단하게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bolts the stripper to the stripper holder and forms an elastic spring between the stripper holder and the stripper so that the stripper can be elasticized to the top, thereby maximally tightening the stripper to the stripper holder. In addition, when the stripper is separated from the stripper holder by the elastic spring, the stripper becomes elastic to the top, so that the stripper can be easily separated, thereby maximizing workability.
또한, 본 고안은 스트리퍼 홀더 상단에 압착되어지는 펀치홀더를 제1펀치의 결합부위가 나누어지게 복수로 분리 제작한 상태에서 제1펀치가 결합되어지는 내면을 연삭작업하게 됨으로 작업성을 단축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작업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workability by grinding the inner surface to which the first punch is coupled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punch holders that are pressed onto the stripper holder are separated and manufactured by dividing the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punch. At the same tim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reduce the operating cos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캐리어테이프 타공 금형장치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하부금형과 스트리퍼 홀더 및 스트리퍼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퍼 홀더 및 스트리퍼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절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퍼가 스트리퍼 홀더에서 분리되는 상태를 도시한 절단면예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carrier tape punching mold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wer mold and a stripper holder and a stri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mbined state of a stripper holder and a stri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tri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rom a stripper holder.
본 고안은 전자제품을 수용하기 위해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히 병렬로 타공되는 캐리어테이프(C)의 수용공(C1) 및 이 캐리어테이프(C)의 이송을 위한 이송 공(C2)에 각각 대응되도록 제1금형공(11) 및 제2금형공(12)이 상하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하부금형(10)과, 상기 하부금형(10)의 제1금형공(11) 및 제2금형공(12)에 각각 대응되는 제1가이드통공(21) 및 제2가이드통공(22)이 형성되며 하단부에 캐리어테이프(C)의 이송통로 역할을 하는 가이드홈(23)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금형(10)의 상부에 안착되는 스트리퍼 홀더(20)와, 상기 스트리퍼 홀더(20)의 상부에 대하여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가이드통공(21) 및 제2가이드통공(22)에 각각 대응되는 제1펀치(31) 및 제2펀치(32,33)가 홀딩되는 펀치홀더(3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제1펀치(31) 및 제2펀치(32,33)는 상기 펀치홀더(30)가 하강시에 상기 스트리퍼 홀더(20)의 제1가이드통공(21) 및 제2가이드통공(22)을 따라 하강하여 상기 가이드홈(23)을 통과하는 캐리어테이프(C)에 상기 수용공(C1) 및 이송공(C2)을 가공하는 캐리어테이프 타공 금형장치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so as to correspond to the receiving hole (C1) of the carrier tape (C) perforated side by side in paralle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accommodating electronic products and the transfer hole (C2) for the transfer of the carrier tape (C), respectively. The
상기 스트리퍼 홀더(20)의 상면에 안착홈(24)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안착홈(24)의 앞뒤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지는 체결홀(25)이 형성되어지며,The
상기 스트리퍼 홀더(20)의 안착홈(24)에 안착되어 접시머리볼트(60)로 스트리퍼(40)가 결합되어지되 상기 스트리퍼(40)는 앞뒤면에 상기 접시머리볼트(60)가 삽입되어 체결홀(25)에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홀(25)과 대응되어지게 볼트삽입홀(43)이 형성되어진다.The
이때, 상기 스트리퍼(40)의 볼트삽입홀(43)은 스트리퍼(40)를 스트리퍼 홀더(20)로부터 분리시 수직면이 상기 체결홀(25) 보다 넓게 형성되어지게 되는 이격부(43a)가 형성되어진다.At this time, the
상기에서 스트리퍼(40)에는 상기 제1가이드통공(21) 및 제2가이드통공(22)에 각각 대응되어지도록 제1보조통공(41) 및 제2보조통공(42)이 형성되어진다.In the
한편, 상기의 제1보조통공(41)은 사각형태로 형성되어지며, 상기 제2보조통공(42)은 원형으로 형성되어짐이 바람직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secondary through
또한, 첨부된 도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리퍼(40)의 양쪽면에는 상기 스트리퍼 홀더(20)에 안착되어지는 스트리퍼(40)를 분리시 탭(TAP)(70)이 관통되어지도록 탭홀(44)이 형성되어진다.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S. 8 and 9,
본 고안에 따른 금형보조판 결합구조의 다른 일 예를 살펴보면, 첨부된 도면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리퍼 홀더(20)의 안착홈(24) 바닥면에는 스프링 장착부(26)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스프링 장착부(26)에 안착홈(24)내로 접시머리볼트(60)로 결합되어지는 스트리퍼(40)를 분리 시 접시머리볼트(60)를 풀게 되면 상기 스트리퍼(40)가 상부로 승강할 수 있도록 탄성스프링(50)이 형성되어진다.Looking at another example of the mold auxiliary plat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5 to Figure 7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일 예를 살펴보면, 첨부된 도면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펀치홀더(30)를 복수로 나누어서 제작하되 상기 펀치홀더(30)의 제1펀치(31)가 결합되어지는 부위를 절반으로 나누어지도록 성형되어진다.In addition, referring to another examp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한편, 첨부된 도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리퍼(40)에는 제1보조통공(41) 및 제2보조통공(42) 이외에 캐리어테이프(C)의 생산량을 늘리기 위하여 제1추가통공(45) 및 제2추가통공(46)이 형성되어지게 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12, the
그리고, 첨부된 도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펀치홀더(30)와 스트리퍼 홀더(20)는 금형비를 절감하고 작업성을 높일 수 있도록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짐이 바람직한 것이다.And, as shown in Figure 13 the
첨부된 도면중 미설명 부호 (P)는 스트리퍼(40)를 스트리퍼 홀더(20)에 체결시키기 위한 고정핀이다.Reference numeral P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a fixing pin for fastening the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Looking at the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of a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스트리퍼(40)를 스트리퍼 홀더(20)의 안착홈(24)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볼트삽입홀(43)에 접시머리볼트(60)를 삽입한 다음 상기 접시머리볼트(60)를 스트리퍼 홀더(20)의 체결홀(25)에 체결하여 상기 스트리퍼 홀더(20)에 스트리퍼(40)를 고정 설치하게 된다.First, the
이와 같이, 상기 스트리퍼(40)를 스트리퍼 홀더(20)에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스트리퍼 홀더(20) 하단부의 가이드홈(23)에 케리어테이프(C)가 가이드되어짐에 따라 상기 스트리퍼 홀더(20) 상부에서 펀치홀더(30)를 상승 및 하강시키게 되면 상기 제1,2펀치(31,32,33)가 상기 스트리퍼(40)의 제1보조통공(41) 및 제2보조통공(42)을 통과하게 되고 이와 함께 상기 제1,2보조통공(41,42)을 통과한 제1,2펀치(31,32,33)는 제1,2가이드통공(21,22)을 통과하게 되면서 상기 가이드홈(23)을 따라 이송되는 캐리어테이프(C)를 타공시키게 된다.As such, the carrier tape C is guided to the
따라서, 상기 스트리퍼 홀더(20) 상부에 스트리퍼(40)를 접시머리볼트(60)로 체결 고정하게 됨으로 타공 금형장치를 사용시 강한 압력에도 스트리퍼(40)가 스트 리퍼 홀더(20)로부터 흔들리지 않고 견고하게 결속되어진다.Therefore, the
그리고, 상기 스트리퍼 홀더(20)에 고정된 스트리퍼(40)를 교체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체결홀(25)에 체결되어 있는 접시머리볼트(60)를 풀은 다음 상기 볼트삽입홀(43)에 이격부(43a)의 직경과 동일한 볼트(80)를 잠그게 되는 데, 이때 상기 체결홀(25)의 직경보다 볼트삽입홀(43)의 이격부(43a)가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볼트(80)를 볼트삽입홀(43)에 끼워 잠가도 상기 체결홀(25) 내로 볼트(80)가 삽입되지 않게 되어 상기 볼트(80)를 돌림에 따라 상기 안착홈(24)에 안착되어 있는 스트리퍼(40)가 작업자가 스트리퍼(4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상부로 상승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스트리퍼(40) 양쪽면에 탭홀(44)을 형성하게 됨으로 상기와 같이 스트리퍼(40)를 교체 시 상기 탭홀(44)에 탭(70)을 삽입하여 돌림에 따라 상기 스트리퍼(40)가 안착홈(24)으로부터 상승하게 되어 작업자가 스트리퍼 홀더(20)로부터 스트리퍼(40)를 간편하게 빼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the
이와 함께, 상기 스트리퍼 홀더(20)의 안착홈(24)에 스프링 장착부(26)를 형성하여 이 스프링 장착부(26)에 탄성스프링(50)을 장착시키게 됨으로 상기 안착홈(24)에 결합된 스트리퍼(40)를 분리하기 위해 상기 접시머리볼트(60)를 풀게 되면 상기 탄성스프링(5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스트리퍼(40)가 상부로 탄성되어지게 되어 스트리퍼(4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forming a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타공 금형장치의 스트리퍼(40)를 사각형태의 제1보조통공(41)이 반으로 분리되도록 성형하게 됨으로 상기 제1보조통공(41)의 연삭 등 의 가공작업을 짧은 시간에 많은 수량을 가공할 수 있게 되어 가공비는 물론 작업시간을 최소화하여 작업성 및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스트리퍼(40)에 제1,2보조통공(41,42)와 함께 제1,2추가통공(45,46)을 형성하게 됨으로 캐리어테이프(C)의 타공 생산량을 최대화하여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additional through
그리하여, 본 고안에 따른 타공 금형장치는 상기 스트리퍼(40)를 접시머리볼트(60)로 스트리퍼 홀더(20)에 조립할 수 있으면서 상기 스트리퍼(40)를 분리시 탭(70)이나 볼트(80) 및 탄성스프링(50)의 탄성력에 의해 편리하게 빼낼 수 있어 제품성을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Thus, the punching di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ssembled to the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and any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such change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캐리어테이프 타공 금형장치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분리사시도.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carrier tape punching mold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하부금형과 스트리퍼 홀더 및 스트리퍼를 도시한 분리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wer mold and a stripper holder and a stri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퍼 홀더 및 스트리퍼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절단면도.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ed state of the stripper holder and the stri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퍼가 스트리퍼 홀더에서 분리되는 상태를 도시한 절단면예시도.Figure 4 is an exemplary cutawa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ripper is separated from the stripper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퍼 홀더 및 스트리퍼를 도시한 분리사시도.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ipper holder and a stripp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퍼 홀더 및 스트리퍼의 결합단면도.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upling stripper holder and stripp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퍼가 스트리퍼 홀더에서 분리되는 상태를 도시한 절단면예시도.Figure 7 is an exemplary cutawa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ripper is separated from the stripper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퍼 및 스트리퍼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ipper and a stripper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 예에 따른 스트리퍼를 스트리퍼 홀더에서 분리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절단면예시도.Figure 9 is an exemplary cutaway view showing a state of separating the stripper from the stripper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및 도 11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 예에 따른 펀치홀더의 제작상태 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분리사시도.10 and 11 are a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nufacturing state of the punch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판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auxiliary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타공 금형장치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perforation mold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하부금형 11 : 제1금형공10: lower mold 11: the first mold hole
12 : 제2금형공 20 : 스트리퍼 홀더12: second mold ball 20: stripper holder
21 : 제1가이드통공 22 : 제2가이드통공21: first guide through hole 22: second guide through hole
23 : 가이드홈 24 : 안착홈23: guide groove 24: seating groove
25 : 체결홀 26 : 스프링 장착부25: fastening hole 26: spring mounting
30 : 펀치홀더 31 : 제1펀치30: punch holder 31: the first punch
32,33 : 제2펀치 40 : 스트리퍼32,33 Punch 2nd 40: Stripper
41 : 제1보조통공 42 : 제2보조통공41: first secondary via 42: second secondary via
43 : 볼트삽입홀 43a : 이격부43:
44 : 탭홀 45 : 제1추가통공44: tap hole 45: the first additional through
46 : 제2추가통공 50 : 탄성스프링46: second additional through hole 50: elastic spring
60 : 접시머리볼트 70 : 탭60: countersunk head bolt 70: tab
80 : 볼트80: bolt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05828U KR200450649Y1 (en) | 2009-05-14 | 2009-05-14 | Carrier Tape Perforated Mold Subsidiary Plate Bonding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05828U KR200450649Y1 (en) | 2009-05-14 | 2009-05-14 | Carrier Tape Perforated Mold Subsidiary Plate Bonding Structur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50649Y1 true KR200450649Y1 (en) | 2010-12-30 |
Family
ID=44242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90005828U Expired - Fee Related KR200450649Y1 (en) | 2009-05-14 | 2009-05-14 | Carrier Tape Perforated Mold Subsidiary Plate Bonding Struc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50649Y1 (en)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873173A (en) * | 2012-10-22 | 2013-01-16 | 成都宏明双新科技股份有限公司 | Punching equipment used for forming carrier tape |
KR101386455B1 (en) | 2012-08-24 | 2014-04-17 | 주식회사 우진정공 | Assembly typed upper part punch worktable device for punching boards of press machine |
KR101457871B1 (en) | 2013-05-13 | 2014-11-06 | 한국성전(주) | die for cutting tape |
KR101956372B1 (en) | 2018-07-23 | 2019-03-08 | (주)한야 | A carrier tape machining mold apparatus having lower guide plate and upper guide plate |
KR101957690B1 (en) * | 2017-09-25 | 2019-07-04 | 주식회사 세코닉스 | assembly structure of core and taper pin of the mold for lens injection |
KR20200010989A (en) | 2019-03-04 | 2020-01-31 | (주)한야 | A carrier tape machining mold apparatus having lower guide plate and upper guide plate |
CN116372582A (en) * | 2023-04-11 | 2023-07-04 | 深圳市东胜嘉科技有限公司 | Integrated processing method for carrier tape punching and forming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94398A (en) * | 1998-09-25 | 2000-04-04 | Ngk Insulators Ltd | Punching device for punching and manufacture of it |
KR100776034B1 (en) * | 2001-07-13 | 2007-11-16 | 주식회사 포스코 | Chopper Knife Coupling Device for Scrap Chopper |
KR200443997Y1 (en) * | 2008-11-24 | 2009-04-02 | 김기덕 | Carrier Tape Perforated Mold Subsidiary Plate |
-
2009
- 2009-05-14 KR KR2020090005828U patent/KR200450649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94398A (en) * | 1998-09-25 | 2000-04-04 | Ngk Insulators Ltd | Punching device for punching and manufacture of it |
KR100776034B1 (en) * | 2001-07-13 | 2007-11-16 | 주식회사 포스코 | Chopper Knife Coupling Device for Scrap Chopper |
KR200443997Y1 (en) * | 2008-11-24 | 2009-04-02 | 김기덕 | Carrier Tape Perforated Mold Subsidiary Plate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86455B1 (en) | 2012-08-24 | 2014-04-17 | 주식회사 우진정공 | Assembly typed upper part punch worktable device for punching boards of press machine |
CN102873173A (en) * | 2012-10-22 | 2013-01-16 | 成都宏明双新科技股份有限公司 | Punching equipment used for forming carrier tape |
KR101457871B1 (en) | 2013-05-13 | 2014-11-06 | 한국성전(주) | die for cutting tape |
KR101957690B1 (en) * | 2017-09-25 | 2019-07-04 | 주식회사 세코닉스 | assembly structure of core and taper pin of the mold for lens injection |
KR101956372B1 (en) | 2018-07-23 | 2019-03-08 | (주)한야 | A carrier tape machining mold apparatus having lower guide plate and upper guide plate |
KR20200010989A (en) | 2019-03-04 | 2020-01-31 | (주)한야 | A carrier tape machining mold apparatus having lower guide plate and upper guide plate |
CN116372582A (en) * | 2023-04-11 | 2023-07-04 | 深圳市东胜嘉科技有限公司 | Integrated processing method for carrier tape punching and forming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50649Y1 (en) | Carrier Tape Perforated Mold Subsidiary Plate Bonding Structure | |
KR200443997Y1 (en) | Carrier Tape Perforated Mold Subsidiary Plate | |
KR102064059B1 (en) | Pressing Aapparatus for Film sheet | |
JP2008119704A (en) | Press machine | |
DE60312787D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benefits in a sheet material cutting machine | |
US20100307311A1 (en) | Pcb cutter module with detachable cutters | |
KR101003887B1 (en) | High speed punching mold using shaft method | |
JP3822227B1 (en) | Mold for processing base plate, method for manufacturing processed pl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roduct plate | |
KR101377568B1 (en) | Fpcb punching apparatus | |
KR101389550B1 (en) | Piercing and Pinnacle Shearing Mold | |
KR200470580Y1 (en) | Pin plant device | |
KR102334121B1 (en) | Chuck table | |
KR20160139872A (en) | Extractor for scrap of press mold | |
JPH0557687A (en) | Ceramic green sheet drilling tool | |
CN218835776U (en) | Punching device | |
KR20190115584A (en) | Apparatus for press forming of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 |
JP6267777B1 (en) | Blanking lower mold | |
KR101105418B1 (en) | Annular band eyelet press mold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annular band eyelet using the same | |
KR101680354B1 (en) | Portable offtype boring machine and boring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263328B1 (en) | Punching molding for flexible pcb | |
KR101805412B1 (en) | punching blade | |
KR101430421B1 (en) | Die board | |
KR20200010989A (en) | A carrier tape machining mold apparatus having lower guide plate and upper guide plate | |
JP2009220223A (en) | Sheet punching waste suction device | |
KR101956372B1 (en) | A carrier tape machining mold apparatus having lower guide plate and upper guide plat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90514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UA0301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429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514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00701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0100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0101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01013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8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13 Year of fee payment: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0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0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7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1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180724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