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50437Y1 - 구획틀을 구비한 조리기구 - Google Patents

구획틀을 구비한 조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437Y1
KR200450437Y1 KR2020100004379U KR20100004379U KR200450437Y1 KR 200450437 Y1 KR200450437 Y1 KR 200450437Y1 KR 2020100004379 U KR2020100004379 U KR 2020100004379U KR 20100004379 U KR20100004379 U KR 20100004379U KR 200450437 Y1 KR200450437 Y1 KR 2004504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protrusion
partition frame
plate
parti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43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상우
Original Assignee
(주)한림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림홀딩스 filed Critical (주)한림홀딩스
Priority to KR20201000043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4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4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43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47J27/12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with adaptation of shape to that of adjacent vessels for forming a unit, e.g. sector-shap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획틀을 갖는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판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향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구획틀, 상기 구획틀은 좌·우측의 두 측면돌출체를 구성하며 후면돌출체와 결합되고, 상기 측면돌출체와 상기 후면돌출체의 사이에, 후면돌출체와 연결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분할판과, 그 분할판 상측에는 조리가 끝난 후 들어올릴 수 있도록 파지부를 구성하여 이루어지며, 음식을 조리할 때, 특히 빙화만두의 조리시 구획을 나누어 조리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더욱 효과적으로 정량의 빙화만두를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구획틀을 갖는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구획틀을 갖는 조리기구는 조리판; 및 상기 조리판 상부에 위치하며, 상향 돌출부재를 구비한 구획틀;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구획틀을 구비한 조리기구{COOKWARE EQUIPPED WITH PARTITION}
본 고안은 구획틀을 갖는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용 음식을 조리할 때, 특히 빙화만두의 조리시 구획을 나누어 조리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더욱 효과적으로 정량의 빙화만두를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구획틀을 구비한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튀김이나 붙임 또는 찜 등을 조리할 때는 원형의 프라이팬 또는 사각형의 프라이팬으로 내부의 공간이 한 부분으로 형성된 부분에서만 조리가 이루어진다. 그래서 정량 규격에 맞게 조리하는 경우 음식재료를 한꺼번에 프라이팬 내부에 넣어 조리하게 되고, 조리한 음식물을 외부로 옮겨서 나누게 되는데, 이때 균등하게 나누어지지 않아 음식물의 고유의 맛이 조금씩 차이가 생기게 될 뿐 아니라, 시각적으로 고르지 못하여 미감을 자극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조리 후 외부로 옮겨져서 칼이나 가위 등으로 절단해야 하는데, 이때 여러 용도로 사용되던 칼이나 가위로 인하여 오염된 물질이 묻게 되어 조리해 놓은 음식이 쉽게 상하게 되는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그리므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각의 구획을 나누어 음식물을 조리하여야 하는 조리기구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구획을 나누어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종래기술로는 특허 제0256817호(2001년11월28일) [피자 구이 장치], 실용신안등록 제422311호(2006년07월 19일) [조리장치 및 이를 위한 가열장치], 특허공개 제11524(2008년02월05일) [다중요리가 가능한 조리기구] 등이 있다.
특허 제0256817호(2001년11월28일) [피자 구이 장치]는 가열판 위에 피자편이 올려져 각각의 나누어진 곳에 다른 재료를 넣어 굽는 용도의 구성을 제공된다.
그리하여 음식물을 나누어 분배시에 구획된 피자편이 외부로 누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실용신안등록 제422311호(2006년07월 19일) [조리장치 및 이를 위한 가열장치]는 별도의 카트리지부재가 다단으로 구획된 구이판을 갖도록 구성하고 상기 카트리지부재의 구획판에는 유니트조리기구를 각각 얹어 놓은 상태로 구성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획 또는 별개의 유니트조리기구에 음식물 재료를 넣고 카트리지로 밀어넣어 구획판으로 다단으로 쌓아서 조리하는 것으로 부피가 클 뿐만 아리라 별도의 조리용 가열장치를 구비해야 하므로 설치시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며, 비용면에서 고가의 장비를 구입해야하는 부담이 생기게 되며, 조리용 가열장치의 고장 등에 의해 수리보수 비용이 상승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특허공개 제11524(2008년02월05일) [다중요리가 가능한 조리기구]는 하나의 조리기구를 이용하여 동시에 두가지 이상의 요리만 가능하도록 분할판에 의해 몸체 내측이 분할되는 구조를 제공된다.
그러나 상기 분할판은 요리가 이루어지는 바닥판의 분할을 위해 일정한 높이와 두께로 이루어져 몸체의 일측에서 인출되도록 되어 별도의 프라이팬의 바닥판을 분할해야 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다중요리는 가능하나 별도의 분할판이 몸체(손잡이) 내측에 구성되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전체 조리시 프라이팬 내측 바닥에 구성되는 이동홈에 이물질 등이 끼어 위생상태 또한 급격하게 나빠지는 결과를 초래하였으며, 별도의 프라이팬을 제작하여야 함으로 원가가 상승 되는 문제를 야기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의한 조리기구는 조리판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향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구획틀, 상기 구획틀은 좌우측의 두 측면돌출체를 구성하며 후면돌출체와 결합되고, 상기 측면돌출체와 상기 후면돌출체의 사이에, 후면돌출체와 연결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분할판과, 그 분할판 상측에는 조리가 끝난 후 들어올릴 수 있도록 파지부의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음식을 조리할 때, 특히 빙화만두의 조리시 구획을 나누어 조리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더욱 효과적으로 정량의 빙화만두를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구획틀을 갖는 조리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조리판; 및 상기 조리판 상부에 위치하며, 상향 돌출부재를 구비한 구획틀;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본 고안에 따른 조리기구에서
상기 구획틀의 상향 돌출부재는 좌우 두 측면돌출체와, 상기 측면돌출체를 잇는 후면돌출체를 포함하며,
상기 상향 돌출부재는 상기 후면돌출체와 연결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분할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상향 돌출부재는 상기 두 측면돌출체와 연결된 전면돌출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획틀은 파지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구획틀을 갖는 조리기구는 조리판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향 돌출 되도록 구획틀을 구성하고, 상기 구획틀은 좌우측의 두 측면돌출체를 구성하며 후면돌출체와 결합되고, 상기 측면돌출체와 상기 후면돌출체의 사이에, 후면돌출체와 연결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분할판과, 그 분할판 상측에는 조리가 끝난 후 들어올릴 수 있도록 파지부를 구성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음식을 조리할 때, 상기 구획틀에 커버를 덮어서 조리되는 음식의 저면부는 튀김으로 상부는 찜으로 이루어진 요리, 특히 빙화만두를 조리하는데 효과가 있으며, 조리시 구획을 나누어 조리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더욱 효과적으로 정량의 빙화만두 조리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조리기구의 사용상태도,
도 3은 전면돌출체가 구비되는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도 4는 선회가 되는 전면돌출체를 구비한 다른 실시예,
도 5는 각각의 인출부재를 구비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7은 조리기구를 다양한 구획틀을 구성하는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자면,
본 고안에 따른 구획틀을 구비한 조리기구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특정하면, 구획틀(400)의 전면돌출체(417) 쪽을 전방으로 정하고, 후면돌출체(413) 쪽을 후방으로 정한다.
본 고안에 따른 구획틀을 구비한 조리기구(A)는 도 1 내지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측벽(110)을 사방에 구비한 조리판(100)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향 돌출부재(410)를 구비하는 구획틀(40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조리기구(A)는 고온에 견딜 수 있고, 열 발산 효율을 높이며, 내식성(耐蝕性)이 뛰어난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획틀(400)은 상향 돌출 되도록 구성되고, 좌·우측으로 두 측면돌출체(411)를 각각 구성하며, 상기 측면돌출체(411)를 잇는 후면돌출체(4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구획틀(400)은 상기 측면돌출체(411)와 상기 후면돌출체(413)의 사이에는 상기 후면돌출체(413)와 연결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분할판(41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3에서 (a)와 (b)로 도시한 일 실시예와 같이,
상기 상향 돌출부재(410)는 상기 측면돌출체(411)와 연결되는 전면돌출체(417)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전면돌출체(417)는 두 측면돌출체(411)의 전방 일측에 수직 요부(凹部) 형상의 끼움부(411A)를 각각 구성하고 있어 분리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전면돌출체(417)는 측면돌출체(411)에 회동핀(P)을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측면돌출체(411) 중 하나(도 4에서는 좌측)에는 측면돌기(411B)가 구비되고, 다른(도 4에서는 우측) 측면돌출체(411)는 전방 일측에 수직 끼움부(411A)를 구성하여
전면돌출체(417)의 일단(좌측단)은 회동핀(P)을 통하여 상기 측면돌기(411B)에 결합되며, 전면돌출체(417)의 타단(우측단)은 상기 수직 끼움부(411A)에 끼워진다.
이때 상기 전면돌출체(417)가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부(H)를 갖는다.
또 상기 전면돌출체(417)는 선회할 때 원활하게 구동되도록 라운딩부(417A)를 갖으며, 양 라운드부(417A)의 끝단으로 선회하여 개폐시, 상기 전면돌출체(417)가 수직의 상태로 고정되도록 직립고정부(417B)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직립고정부(417B)는 가운데 부분이 움푹한 형상의 직립다리(417Ba)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추가적으로 상기 측면돌출체(411)의 측면돌기(411B)에는 연장 형성된 스토퍼(417Bb)가 구비되어 있어 이 스토퍼가 직립다리(417Ba)와 함께 선회 개방된 전면돌출체(417)의 직립 고정을 돕게 된다.
또한, 상기 전면돌출체(417)는 끼움부(411A)를 구비한 쪽으로 파지돌기(419)를 더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구획틀(400)은 상기 상향 돌출부재(410)의 두 측면돌출체(411)와 상기 분할판(415)의 상측에는 조리가 끝난 후 들어올릴 수 있도록 파지부(430)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구획틀(400)이 전체가 덮어져 내부의 음식재료를 적정온도에 맞게 조리할 수 있도록 커버(2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커버(200)는 상부 중앙에 양쪽으로 결합고정되는 원통의 고리형상의 손잡이(210)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내지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구획틀(400)의 상향 돌출부재(410)의 전방으로, 상기 측면돌출체(411)와 상기 후면돌출체(413)의 사이에, 상기 후면돌출체(413)와 연결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분할판(415) 사이로 인출되도록 구성되는 인출부재(30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인출부재(300)는 상기 조리판(100)과 접촉하는 하부판(310)을 갖고, 상기 하부판(310)을 지지하며 구획틀(400)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면판(330), 상기 전면판(330) 외면에 구성되는 돌출손잡이(350)로 이루어진다.
또 도 6에는 상기 인출부재(300)에 상기 하부판(310)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하부판(310)을 지지하며 구획틀(400)의 전방에 위치하는 일체형전면판(370)을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7은, 상향 돌출부재(410)인 구획틀(400)의 외관 및 중앙에 고정되어 분할되도록 구성되는 분할판(415)의 구성이 여러 가지 변형을 줄 수 있음을 (a), (b), (c)로 나누어 도시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다양한 변형예를 가질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조리기구(A)는 측벽(110)을 사방에 구비한 조리판(100)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향 돌출부재(410)를 구비하는 구획틀(400) 등과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을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조리기구(A)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조리기구 100: 조리판
110: 측벽 200: 커버
210: 손잡이 300: 인출부재
310: 하부판 330: 전면판
350: 돌출손잡이 370: 일체형전면판
400: 구획틀 410: 상향 돌출부재
411: 측면돌출체 411A: 끼움부
411B: 측면돌기 413: 후면돌출체
415: 분할판 417: 전면돌출체
417A: 라운딩부 417B: 직립고정부
417Ba: 직립다리 417Bb: 스토퍼
419: 파지돌기 430: 파지부
P : 회동핀 H : 힌지

Claims (4)

  1. 조리판(100); 및
    상기 조리판(100) 상부에 위치하며, 상향 돌출부재(410)를 구비한 구획틀(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구획틀(400)의 상향 돌출부재(410)는
    좌우 두 측면돌출체(411)와, 상기 측면돌출체(411)를 잇는 후면돌출체(4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 돌출부재(410)는 상기 후면돌출체(413)와 연결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분할판(41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 돌출부재(410)는 상기 두 측면돌출체(411)와 연결된 전면돌출체(417)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획틀(400)은 파지부(43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돌출체(411) 중 하나는 측면돌기(411B)를 갖고, 다른 하나는 수직 끼움부(411A)를 갖고,
    상기 전면돌출체(417)는 일단이 상기 측면돌기(411B)에 회동핀(P)을 통하여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끼움부(411A)에 결합되며,
    상기 전면돌출체(417)의 일단은 상기 회동핀(P)을 축으로 하여 선회할 때 원활하게 구동되도록 라운딩부(417A)를 갖고,
    양 라운드부(417A)의 끝단으로 선회하여 개폐시, 상기 전면돌출체(417)가 수직의 상태로 고정되도록 직립고정부(417B)를 갖고,
    상기 직립고정부(417B)는 가운데 부분이 움푹한 형상의 직립다리(417Ba)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면돌출체(411)의 측면돌기(411B)에 연장 형성된 스토퍼(417Bb)가 구비되어 있어 이 스토퍼가 직립다리(417Ba)와 함께 선회 개방된 전면돌출체(417)의 직립 고정을 돕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KR2020100004379U 2010-04-26 2010-04-26 구획틀을 구비한 조리기구 Expired - Fee Related KR2004504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379U KR200450437Y1 (ko) 2010-04-26 2010-04-26 구획틀을 구비한 조리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379U KR200450437Y1 (ko) 2010-04-26 2010-04-26 구획틀을 구비한 조리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0437Y1 true KR200450437Y1 (ko) 2010-10-04

Family

ID=44479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4379U Expired - Fee Related KR200450437Y1 (ko) 2010-04-26 2010-04-26 구획틀을 구비한 조리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43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6122B1 (ko) * 2015-10-05 2017-11-10 조현숙 피자 도우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조각 피자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0893U (ko) * 1989-12-11 1991-08-19
JPH0521828U (ja) * 1991-09-03 1993-03-23 千恵子 戸高 炊飯器用仕切り具
JP2007000589A (ja) 2005-06-27 2007-01-11 Sayako Sawamukai 仕切りつきフライパン
KR20080000757U (ko) * 2006-10-25 2008-04-30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후라이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0893U (ko) * 1989-12-11 1991-08-19
JPH0521828U (ja) * 1991-09-03 1993-03-23 千恵子 戸高 炊飯器用仕切り具
JP2007000589A (ja) 2005-06-27 2007-01-11 Sayako Sawamukai 仕切りつきフライパン
KR20080000757U (ko) * 2006-10-25 2008-04-30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후라이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6122B1 (ko) * 2015-10-05 2017-11-10 조현숙 피자 도우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조각 피자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8592B1 (en) Electric grill plate appliance for tortilla cuisine
US9661952B2 (en) Sandwich making appliance and method of making a sandwich with the same
US5380986A (en) Multi-purpose electric fast cooking apparatus
US5057331A (en) Cooking food in a food preparation kit in a microwave and in a thermal oven
US8800804B1 (en) Cookware with divider
US20120037639A1 (en) Interchangeable Pan
US20120031918A1 (en) Interchangeable pan
US20180192820A1 (en) Multi level configurable countertop roaster oven
US20070261567A1 (en) Pan assembly for cooking a food item with a depression in same
US20050268794A1 (en) Spool rotisserie system
CN108742113A (zh) 一种多功能烤涮一体锅
KR101311121B1 (ko) 멀티 쿠커
US10687665B1 (en) Stuffed waffle maker
KR200450437Y1 (ko) 구획틀을 구비한 조리기구
US20220104655A1 (en) Waffle Maker
CN114190786A (zh) 一种新型多功能电烤箱
KR102678757B1 (ko) 조리기구
CN204146894U (zh) 煎烤机
CN216702350U (zh) 一种新型多功能电烤箱
US20150118370A1 (en) Microwave macaroni cooking bowl
CN212326181U (zh) 烤盘及具有其的烤箱
KR200455177Y1 (ko) 개량 신선로
CN218651375U (zh) 一种蒸格
CN214128223U (zh) 一种多功能组合式烧烤炉
KR200335328Y1 (ko) 양면 조리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00426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426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00723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2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92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0092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508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