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50423Y1 - 트윈스프링 교환장치 - Google Patents

트윈스프링 교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423Y1
KR200450423Y1 KR2020080014100U KR20080014100U KR200450423Y1 KR 200450423 Y1 KR200450423 Y1 KR 200450423Y1 KR 2020080014100 U KR2020080014100 U KR 2020080014100U KR 20080014100 U KR20080014100 U KR 20080014100U KR 200450423 Y1 KR200450423 Y1 KR 2004504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win
spring
shaft
twin spring
suppo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41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4501U (ko
Inventor
김남호
Original Assignee
김남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호 filed Critical 김남호
Priority to KR20200800141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423Y1/ko
Publication of KR201000045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5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4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423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B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R PERMANENTLY ATTACHING OBJECTS THERETO
    • B42B5/00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therwise than by stitching
    • B42B5/08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therwise than by stitching by finger, claw or ring-like elements passing through the sheets, quires or signatures
    • B42B5/10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therwise than by stitching by finger, claw or ring-like elements passing through the sheets, quires or signatures the elements being of castellated or comb-like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트윈스프링 교환장치(2)에 관한 것으로서 트윈스프링공급롤(56)이 삽입되는 회전축봉(32)이 양단에 각각 축설된 선회작동바(30)의 중심회전축(34)이 지지체(20)에 축설되고 지지체(20)내 중심회전축(34)은 제1 구동부(36)의 구동력에 의해 축회전가능케 구성하며, 선회작동바(30)의 양단의 회전축봉(32)중 하나는 제2구동부(46)의 구동력으로 회전되며 지지체(20)에 축설치된 축기어(50)에 기어물림되어 회전되게 구성하는 트윈스프링 공급 및 교환부(4)를 구비하여서, 트윈스프링 교환작업을 손쉽게 할 수 있으며, 교환작업에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트윈 스프링 교환에 따른 작업 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된다.
트윈 스프링, 제본기, 교환, 모터, 센서

Description

트윈스프링 교환장치{Apparatus for exchanging twin spring}
본 고안은 제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트윈스프링을 이용하여 제본대상물을 체결하는 장치에서 트윈스프링의 교환보다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트윈 스프링 교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트, 달력 등 많은 제본 대상물이 트윈스프링(twin spring)이라는 스프링을 이용하여 체결(binding)되고 있다. 이러한 트윈스프링은 가는 철사를 지그재그로 밴딩하여 반원을 벌려 놓은 듯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C"자모양의 고리를 옆으로 연속하여 이어놓은 듯한 모양으로 되어 있어 체결시 제본 대상물에 형성된 펀칭 구멍에 맞추고 누르면 체결이 완료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트윈스프링을 이용한 체결방식은 기존 코일스프링과 같이 한쪽 끝을 제본대상물의 첫 번째 구멍으로 끼워 돌리고 다음 번 구멍에 끼워 돌리고 하는 반복동작으로 제본 대상물을 체결하는 방식에 비해 불편함을 덜 수 있고 작업 생산성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요즈음의 많은 제본대상물들은 트윈스프링이 이용되어 제본되고 있다. 트윈스프링은 '트윈 링(twin ring)' 또는 '더블링(double ring)' 또는 '더블스프링(double spring)' 으로도 불리어진다.
트윈스프링을 이용하여 제본 대상물을 체결하는 트윈 스프링 체결장치의 일예로는 등록실용신안 제0117504호(1998.02.10)가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0117504호의 종래 트윈 스프링 체결장치는,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트윈스프링을 일정한 거리로 이송시키고 정지된 상태에서 커터날을 이용하여 일정거리로 트윈 스프링을 절단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절단된 트윈 스프링을 기준판 위치까지 이송하고, 작업자에 의해 제본 대상물이 기준판에 맞춰 세팅되면, 세팅된 제본대상물의 펀칭 구멍에 트윈스프링이 삽입되면서 압축됨에 의해 제본 완료물이 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트윈 스프링 체결장치에 사용되는 트윈스프링은 원통형의 구조물의 외부면에 감겨져 있다. 이를 트윈스프링 구조체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트윈 스프링 구조체는 트윈스프링 체결장치 또는 트윈스프링 제본기에 트윈스프링을 공급한다. 즉 트윈스프링 체결장치 또는 트윈스프링 제본기의 상부(또는 상단), 측면 또는 전면에 위치하여 상기 트윈스프링 체결장치 또는 트윈스프링 제본기에 트윈스프링을 공급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경우에 트윈스프링이 다 소진되어 트윈스프링구조체를 교환해야 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이미 사용된 교체대상 트윈스프링 구조체를 빼기 위해 받침대를 놓고 올라가야 하고, 미사용된 새로운 트윈스프링 구조체로 교환하기 위해 2∼3명의 작업자가 힘들게 교환작업을 진행해야 하는 등 불편함이 있다. 특히 트윈스프링 구조체가 트윈스프링 체결장치 또는 트윈스프링 제본기의 상부에 위치되기 때문에 트윈스프링 교환작업이 더 힘들게 진행되어 작업부담이 크며, 교환작업에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트윈 스프링 교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트윈스프링 교환작업을 손쉽게 할 수 있는 트윈스프링 교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트윈스프링 교환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트윈스프링 교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트윈스프링 교환장치(2)는, 트윈스프링공급롤(56)이 삽입되는 회전축봉(32)이 양단에 각각 축설된 선회작동바(30)의 중심회전축(34)이 지지체(20)에 축설되고 지지체(20)내 중심회전축(34)은 제1 구동부(36)의 구동력에 의해 축회전가능케 구성하며, 선회작동바(30)의 양단의 회전축봉(32)중 하나는 제2 구동부(46)의 구동력으로 회전되며 지지체(20)에 축설치된 축기어(50)에 기어물림되어 회전되게 구성하는 트윈스프링 공급 및 교환부(4)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트윈스프링 교환작업을 손쉽게 할 수 있으며, 교환작업에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트윈 스프링 교환에 따른 작업 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할 의도 외에는 다른 의도없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트윈스프링 교환장치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트윈스프링 공급 및 교환부 사시도이며, 도 3은 트윈스프링 교환장치의 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트윈스프링 공급 및 교환부의 측단면도이고, 도 5는 트윈스프링 교환장치의 배면 사시도이다.
제본대상물의 펀칭공들에 트윈스프링을 체결하도록 하기 위해 작업대본체(도 3의 6)에는 제본대상물을 좌우 일측방향으로 이송안내되도록 도 1과 같이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판형의 이송지지대(10)가 경사형성되게 설치된다. 이송지지대(10)를 포함한 제본대상물의 이송을 담당하는 이송부에 대해서는 본원 출원인에 의해서 선등록된 국내 등록특허 제10-0835075호 "트윈스프링 체결장치 및 트윈스프링 체결방법" 을 참조하면 명확히 이해할 수 있다.
이송지지대(10) 일측의 근접 후방에는 도 1과 같이 트윈스프링(58)을 이송지지대(10)측으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 트윈스프링 공급장치(2)의 트윈스프링 공급 및 교환부(4)가 설치되며, 이송지지대(10)의 일측 상부는 절개부가 형성된다.
이송지지대(10)의 절개부에는 트윈스프링 이송안내로(13)가 형성된 접동판(12)이 힌지 연결되고, 접동판(12)의 후부에는 피스톤실린더와 같은 승강작동구 (14)가 장치된다. 그러므로 승강작동구(14)의 상승작동에 의해서 접동판(12)이 젖혀 올라가면서 이송지지대(10)의 절개부로부터 빠져나와 전방으로 다소 나아가게 되며, 승강작동구(14)의 하강작동으로 젖혀 올라간 접동판(12)이 이송지지대(10)에 절개부에 다시 들어갈 수도 있게 된다.
접동판(12) 부근의 작업대본체(6)에는 승강작동구(14)를 작동시킬 수 있는 스위치레버(16)가 장치되며, 접동판(12)의 후면 일측에는 이송지지대(10)의 절개부로 되돌아왔을 때의 접동판(12)과의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감지센서(18)가 설치되어 있다. 작업자가 스위치레버(16)를 일측으로 돌리면 승강작동구(14)가 상승작동하고 그에 따라 접촉감지센서(18)는 접동판(12)과의 비접촉됨에 대응된 감지신호를 제어부(미도시됨)로 인가한다. 반대로 작업자가 스위치레버(16)를 타측으로 돌리게 되면 승강작동구(14)는 하강작동을 하고 그에 따라 접촉감지센서(18)는 접동판(12)과 접촉됨에 대응된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인가한다.
접동판(12)이 전방으로 어느 정도 접혀져서 이송지지대(10)의 절개부가 개방된 상태가 되는 경우는 트윈스프링 공급 및 교환부(4)에서 트윈스프링 공급롤(56)을 교환하는 시점이다. 즉 접동판(12)과 근접되어 있으며 트윈스프링(58)을 소진한 트윈스프링 공급롤(56)이 개방된 이송지지대(10)의 절개부를 통해 안전하게 통과해서 선회하면서 후측 하방로 갈 수 있도록 해준다.
한편 이송지지대(10) 일측의 근접 후방에 트윈스프링(58)을 이송지지대(10) 측으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 설치된 트윈스프링 공급 및 교환부(4)는 바닥상에 직립된 박스형 지지체(20)를 구비한다
박스형 지지체(20)는 저부에 캐스터(70)와 조절자(72)가 장치되어서 이동 및 위치고정이 가능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벽에는 다수의 회전가능한 축(34)(48)(66)들이 축설치되고, 박스내부에는 제1, 제2, 제3 구동부(36)(46)(68)가 장치된다. 제1 구동부(36)는 지지체(20)의 중심회전축(34)으로 회전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부이고, 제2 구동부(46)는 중심회전축(34)의 상부에 위치한 구동축(48)으로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부이며, 제3 구동부(68)는 중심회전축(34)의 하부에 위치한 회전축(66)으로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부이다.
제1 구동부(36)는 트윈스프링 공급롤(56)을 거치하고 있는 선회작동바(30)를 선회시키기 위한 제1모터(M1)를 구비한다. 제1 구동부(36)는 제1모터(M1)에 풀리연결된 웜(38)이 선회작동바(30)의 중심회전축(34)에 설치된 웜휠(40)과 웜기어구조로 연결되게 구성한 것으로, 제1모터(M1)가 구동하게 되면 웜기어 구조에 의해 웜휠(40)은 서서히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1 구동부(36)에서, 웜휠(40)과 웜(38)에 의한 웜기어 구조는 다른 구동 연결구조로도 구현될 수 있는 바, 예컨대 평기어와 평기어에 의한 연결구조나 벨트풀리를 이용한 연결구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음이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여진다. 즉, 제1 구동부(36)는 중심회전축(34)에 설치된 평기어과 제1모터(M1)에 풀리연결된 평기어 구조로 연결될 수도 있고, 상기 중심회전축(34)과 제1모터(M1)의 축이 벨트풀리로도 연결될 수 있다.
웜휠(40)이 축설치된 중심회전축(34)에서, 지지체(20)의 외측으로 관통 돌출된 선단에는 선회작동바(30)가 체결고정되며, 선회작동바(30)의 양단에는 트윈스프 링 공급롤(56)이 삽입 및 고정 가능한 회전축봉(32)이 각각 축설치된다. 또 상기 중심회전축(34)에서, 지지체(20)내측으로 돌출된 중심회전축(34)의 후단축부에는 감지봉(42)이 방사상으로 축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게 구성하며, 지지체(20)내 중심회전축(34)과 축연결된 측벽과 수직하는 양쪽의 타측벽에는 상기 감지봉(42)의 양단을 센싱하기 위한 회전감지센서(44)가 각각 설치된다. 그러므로 선회작동바(30)의 중심회전축(34)이 180°를 서서히 선회하게 되면 회전감지센서(44)가 감지봉(42)을 재차 감지하게 된다.
지지체(20)내 제2 구동부(46)는 트윈스프링 공급롤(56)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2모터(M2)를 구비한다. 제2모터(M2)는 선회작동바(30)의 상부에 축설치된 구동축(48)과 스프라켓 구조로 체인연결되며, 구동축부(48)의 선단은 지지체(20)의 외측으로 관통 돌출되고 연결기어(50)가 축고정된다. 또한 선회작동바(30)에서, 트윈스트링 공급롤(56)이 삽입 및 고정되는 회전축봉(32)의 후부는 선회작동바(30)의 양단 후면으로 각각 돌출되어서 축기어(52)가 축고정되게 구성되어 있는데, 선회작동바(30)의 양단 축기어(52)중 하나는 상기 연결기어(50)에 기어물림된다. 그러므로 상기 연결기어(50)와 기어물림된 선회작동바(30)의 일측단 축기어(52)의 회전에 의해서 그 회전축봉(32)이 회전되므로 그에 삽입 및 고정된 트윈스프링 공급롤(56)이 회전하게 된다.
지지체(20)내 제3 구동부(68)는 트윈스프링공급롤(56)내 트윈스프링(58) 송출시 함께 송출되는 띠형 보호지(60)를 권취하는 권취롤(64)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3모터(M3)를 구비한다. 제3모터(M3)는 선회작동부(30)의 중심회전축(34)의 하부에 축설치된 회전축(66)과 스프라켓 구조로 체인연결되며, 상기 회전축(66)은 지지체(20)의 측벽부에 축설치된 권취롤(64)의 축봉과 일체로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미설명된 참조부호 "62" 는 띠형 보호지(60)를 트윈스프링 공급롤(56)에서 권취롤(64)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봉체(62)이고, "15" 는 트윈스프링 공급연결관이며, "17"은 접동판(12)의 후면을 걸림지지하는 스토퍼이다.
도 6은 트윈스프링 공급롤(56)의 교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트윈스프링 공급 및 교환 작동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트윈스프링 공급 및 교환부(4)에서, 박스형 지지체(20)에 축회전가능케 축설치된 선회작동바(30)의 양단 회전축봉(32)중 하나에는 트윈스프링 공급롤(56)이 끼워져 회전가능케 고정되어 있으며, 제어부(미도시됨)의 제어 하에 선회작동바(30)가 선회하여서 하나의 트윈스프링 공급롤(56)이 작업대본체(6)에 설치된 이송지지대(10)의 접동판(12)에 근접된 상방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선회작동바(30)의 중심회전축(34)의 후단축부에 방사상 연장된 감지봉(42)은 지지체 타측벽 양쪽에 설치된 회전감지센서(44)와 가장 근접하고 있으며, 회전감지센서(44)가 감지봉(42)을 감지하고 있음을 제어부로 전달한 상태이다.
트윈스프링(58)을 공급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제어부의 제어 하에 2,제3 구동부(46)(68)의 제2,제3 모터(M2)(M3)가 구동된다. 제2모터(M2)가 포함된 제2 구동부(46)의 구동에 의해서 지지체(20)의 외측상부에 설치된 구동기어(50)가 회전하고 구동기어(50)에 기어연결된 축기어(52)가 연동회전하므로 접동판(12)에 근접되어 상방부에 위치한 트윈스프링 공급롤(56)이 회전된다. 그러면 트윈스프링 공급롤(56)내의 트윈스프링(58)은 접동판(12)내 이송안내로(13)의 안내를 받아 트윈스프링 체결부로 공급되고 있다. 또 제3 모터(M3)가 포함된 제3 구동부(68)의 구동에 의해서 권취롤(64)이 회전을 하게 되므로 트윈스프링(58) 공급과 함께 벗겨지는 띠형보호지(60)는 안내봉체(62)의 안내를 받아 권취롤(64)에 감기고 있다.
한편 도 1과 같이 상방측의 트윈스프링공급롤(56)내 트윈스프링(58)이 다 소진되어지면 작업자는 메인 작동스위치를 이용해서 제본기의 트윈스프링 체결 및 제본대상물의 이송작동을 멈추게 한다. 이때 제어부는 트윈스프링 공급 및 교환부(4)내 제2 구동부(46)의 작동도 멈추게 하므로 트윈스프링 공급롤(56)의 회전이 멈추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트윈스프링(58)이 감긴 새로운 트윈스프링 공급롤(56)을 선회작동바(30)의 회전축봉(32)중 하방부에 위치한 회전축봉(32)에 끼워넣고 고정을 하게 된다. 그 후 트윈스프링 공급롤(56)의 근처에 위치된 공압을 이용하는 스위치레버(16)를 현 위치에서 다른 쪽 위치로 젖히게 되면, 공압용 피스톤실린더로 된 일예의 승강작동구(14)의 작동로드가 상승을 하면서 접동판(12)을 젖혀 올림과 동시에 다소 전진되게 하므로 도 6과 같이 이송지지대(10)의 절개부가 다소 개방되어진다.
접동판(12)이 젖혀 올라가게 되면 접동판(12)의 후면부에 접촉되어 있었던 접촉감지센서(18)에서는 접동판(12)과의 비접촉됨에 대응된 감지신호를 제어부(미도시됨)로 인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제어부는 제1 구동부(36)의 제1모터(M1)를 구 동시킨다. 제1 구동부(36)의 구동에 의해서 중심회전축(34)을 갖는 선회작동바(30)가 도 6에서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서서히 선회를 한다. 그러면 상방부에 위치한 트윈스프링(58)을 소진한 트윈스프링공급롤(56)이 개방된 이송지지대(10)의 절개부를 안전하게 통과해서 선회하면서 후측 하방부로 가게 되며, 후방부에 있는 트윈스프링(58)이 만권된 새로운 트윈스프링공급롤(56)은 상측방으로 가게된다. 그래서 트윈스프링공급롤(56)이 처음 위치에서부터 예를 들면, 180°회전하게 되면 선회작동바(30)의 중심회전축(34)의 후단축부에 방사상 형성된 감지봉(42)이 회전감지센서(44)에 가장 근접면서 회전감지센서(44)가 이를 감지하고 제어부로 전달하므로, 제1 구동부(36)의 제1모터(M1)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서 구동을 멈추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가 트윈스프링 공급롤(56)의 교환이 이루어진 상태이다.
트윈스프링 공급롤(56)의 교환이 이루어져 상측방에 스프링이 감긴 새로운 트윈스프링 공급롤(56)이 위치하게 되면 작업자가 스위치레버(16)를 원래 위치(타측)로 다시 복귀시키면 상승되어졌던 승강작동구(14)가 하강작동하여 스토퍼(17)까지 와서 걸림지지 되어지고 그와 동시에 접촉감지센서(18)에 접동판(12)의 후면이 접촉된다.
그에 따라 접촉감지센서(18)가 접동판(12)과 접촉됨에 대응된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인가되고, 제어부에서는 작업자가 메인 작동스위치를 턴온시키면 트윈스프링 공급 및 교환부(4)의 제2,제3 구동부(46)(68)를 구동시키게된다.
그 결과 접동판(12)에 근접되어 상방부에 위치한 만권된 트윈스프링 공급롤(56)이 회전하고, 띠형 보호지(60)를 권취하는 권취롤(64)도 마찬가지로 회전을 하 게된다. 그러므로 만권된 트윈스프링 공급롤(56)내의 트윈스프링(58)은 접동판(12)내 이송안내로(13)의 안내를 받아 트윈스프링 체결부로 공급되어지고 트윈스프링(58) 공급과 함께 벗겨지는 띠형보호지(60)는 안내봉체(62)의 안내를 받아 권취롤(64)에 감기게 된다.
상술한 본 고안에 따르면, 트윈스프링 교환작업을 손쉽게 할 수 있으며, 교환작업에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트윈 스프링 교환에 따른 작업 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은 본 고안의 더욱 철저한 이해를 위하여 도면을 참조로 예를 든 것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고안의 기본적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트윈스프링 교환장치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트윈스프링 공급 및 교환부 사시도,
도 3은 트윈스프링 교환장치의 측단면도,
도 4는 트윈스프링 공급 및 교환부의 측단면도,
도 5는 트윈스프링 교환장치의 배면 사시도,
도 6은 트윈스프링 공급롤 교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Claims (10)

  1. 트윈스프링 공급롤(56)이 삽입되는 회전축봉(32)이 양단에 각각 축설된 선회작동바(30)의 중심회전축(34)이 지지체(20)에 축설되고 지지체(20)내 중심회전축(34)은 제1 구동부(36)의 구동력에 의해 축회전가능케 구성하며, 선회작동바(30)의 양단의 회전축봉(32)중 하나는 제2 구동부(46)의 구동력으로 회전되며 지지체(20)에 축설치된 축기어(50)에 기어물림되어 회전되게 구성하는 트윈스프링 공급 및 교환부(4)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스프링 교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 구동부(36)는 중심회전축(34)에 설치된 웜휠(40)과 제1모터(M1)에 풀리연결된 웜(38)이 웜기어구조로 연결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스프링 교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지지체(20)내 일측에 장치된 회전감지센서(44)에 센싱가능한 감지봉(42)이 중심회전축봉(34)의 후단축에 방사상으로 연장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스프링 교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제2 구동부(46)는 선회작동바(30)의 양단 회전축봉(32)의 후부에 장치된 축기어(52)와 연결되는 구동기어(50)가 장치된 구동축(48)이 지지체(20)에 축설치되며, 구동축(48)이 제2모터(M2)와는 체인연결되게 구성함을 특징으 로 하는 트윈스프링 교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트윈스프링공급롤(56)내 트윈스프링(58) 송출시 함께 송출되는 띠형 보호지(60)를 권취하는 권취롤(64)이 지지체(20)에 축설치되며, 권취롤(64)의 회전축(66)을 회전시키는 제3 구동부(68)가 지지체(20)에 장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스프링 교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지지체(20)의 전방에 위치한 작업대본체(6)의 판형 이송지지대(10)의 절개부에 트윈스프링 이송안내로(13)가 형성된 접동판(12)을 힌지 연결하고, 접동판(12)은 후부에 연결된 승강작동구(14)에 의해서 접철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스프링 교환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승강작동구(14)는 작업대본체(6)에 설치된 스위치레버(16)에 조작에 의해서 작동되며, 접동판(12)의 일측에는 접촉감지센서(18)가 장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스프링 교환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접촉감지센서(18)가 접동판(12)의 탈착을 감지함에 따라 제어부에 제어 하에 제1 구동부(36)가 구동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스프링 교환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제1 구동부(36)는 중심회전축(34)에 설치된 평기어과 제1모터(M1)에 풀리연결된 평기어 구조로 연결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스프링 교환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제1 구동부(36)는 중심회전축(34)과 제1모터(M1)의 축이 벨트풀리로 연결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스프링 교환장치.
KR2020080014100U 2008-10-23 2008-10-23 트윈스프링 교환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4504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100U KR200450423Y1 (ko) 2008-10-23 2008-10-23 트윈스프링 교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100U KR200450423Y1 (ko) 2008-10-23 2008-10-23 트윈스프링 교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501U KR20100004501U (ko) 2010-05-03
KR200450423Y1 true KR200450423Y1 (ko) 2010-10-01

Family

ID=44198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4100U Expired - Fee Related KR200450423Y1 (ko) 2008-10-23 2008-10-23 트윈스프링 교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42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228Y1 (ko) * 2022-07-29 2023-09-04 허윤상 친환경 제본용 종이 스프링의 권취롤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3104A (en) 1978-09-08 1980-11-11 Toshiba Kikai Kabushiki Kaisha Automatic web splicing and feeding apparatus
JPH04133945A (ja) * 1990-09-21 1992-05-07 Toray Eng Co Ltd レボルビング型巻取装置
JPH07108322A (ja) * 1993-10-08 1995-04-25 Nippon Steel Corp 複胴型巻取巻出装置
KR100918510B1 (ko) * 2007-07-13 2009-09-24 한치수 자동화 원시스템 제본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3104A (en) 1978-09-08 1980-11-11 Toshiba Kikai Kabushiki Kaisha Automatic web splicing and feeding apparatus
JPH04133945A (ja) * 1990-09-21 1992-05-07 Toray Eng Co Ltd レボルビング型巻取装置
JPH07108322A (ja) * 1993-10-08 1995-04-25 Nippon Steel Corp 複胴型巻取巻出装置
KR100918510B1 (ko) * 2007-07-13 2009-09-24 한치수 자동화 원시스템 제본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228Y1 (ko) * 2022-07-29 2023-09-04 허윤상 친환경 제본용 종이 스프링의 권취롤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501U (ko) 2010-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34283C (en) Paper sheet processing device
CN105500937A (zh) 打印机
CN114228347B (zh) 一种送纸辊的控制结构及其控制方法和打印设备
KR200450423Y1 (ko) 트윈스프링 교환장치
EP0857105A1 (en) Box blank printer/slotter apparatus
CN205344139U (zh) 打印机
JP2009537424A (ja) リザーブ巻体トレイを有するコーミング機械
JP4877969B2 (ja) 用紙後処理装置
CN214878870U (zh) 一种双工位不停机放卷机
JPH0673831B2 (ja) ヘツド交換装置を具えたスリツタスコアラ
JP4109002B2 (ja) 印刷機の版取扱方法及び装置
JP4410683B2 (ja) ロールを交換するための手段を有する圧延機
CN210001246U (zh) 一种快速更换卷辊的瓦楞纸板输送装置
CN205344148U (zh) 打印机
JP4250613B2 (ja) 印刷シェル搬送装置
CN213997242U (zh) 一种可移动四个动力头放卷机
EP1743859A2 (en) Footboard, especially for winding machines, and winding machine provided with such footboard
JP3979954B2 (ja) 巻取機のシート引出装置
KR20190085707A (ko) 강판용 연속 인쇄기
JP3187531B2 (ja) 給紙装置
JP4484798B2 (ja) プリンタ
JP2503227Y2 (ja) ロ―ル紙給送装置
CN213170551U (zh) 一种放卷辊的调整装置
CN217553265U (zh) 一种粘盒机折边机构
KR200196441Y1 (ko) 라벨 인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81023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2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92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0092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408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