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9488Y1 - Gas leak prevention bottle - Google Patents
Gas leak prevention bott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49488Y1 KR200449488Y1 KR2020100001979U KR20100001979U KR200449488Y1 KR 200449488 Y1 KR200449488 Y1 KR 200449488Y1 KR 2020100001979 U KR2020100001979 U KR 2020100001979U KR 20100001979 U KR20100001979 U KR 20100001979U KR 200449488 Y1 KR200449488 Y1 KR 20044948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e
- beverage
- circumferential surface
- main body
- insertion tub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formed by a rigid spout outlet opened by tilting of the spout outle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02—Loosely-engaging lids or covers for jars, cans or like containers for liquids without means for effecting sealing of container
- B65D51/10—Loosely-engaging lids or covers for jars, cans or like containers for liquids without means for effecting sealing of container opening automatically when container is tilted for pour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스누출 방지병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병목부와, 상기 병목부에 결합되는 마개로 이루어진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용기부에 수납되어 내부에 음료수가 저장되는 음료수용부와, 상기 음료수용부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병목부 내주면에 면접(面接)되는 주입부와, 상기 주입부에 삽입되는 개폐볼과, 상기 주입부에 삽입되어 개폐볼의 이탈을 방지하고 일정간격으로 음료수 배출홈이 형성된 덮개로 이루어진 삽입튜브로 구성되되; 상기 주입부는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요홈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주면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와 삽입튜브 사이로 공기가 출입되도록 상기 요홈부와 연통되는 공기유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병목부 상단에 거치되는 안착리브와,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개폐볼이 안착되는 볼안착부와, 상기 본체의 내주면 상단에 돌출 형성된 걸림턱으로 구성되어, 삽입튜브에 저장된 탄산음료수로부터 탄산가스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s leak prevention bottle, and in particular, a case consisting of a container, a bottleneck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ntainer, and a cap coupled to the bottleneck; A beverage receiving part housed in a container of the case and storing a beverage therein, an injection part formed on an upper side of the beverage receiving part and interview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ttleneck part of the case, and opening and closing inserted into the injection part. Ball and inserted into the injection portion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ball and consists of an insertion tube consisting of a cover formed with a beverage discharge groov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injection part is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main body is formed in the groov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n air distribution hole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communicating with the groove so that the air enters between the case and the insertion tube is formed bottleneck part of the case It is composed of a seating rib mounted on an upper end, a ball seating portion protruding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seating the opening and closing ball, and a locking jaw protruding on the upper end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leakage.
Description
본 고안은 가스누출 방지병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병의 내부에 저장된 탄산음료수로부터 탄산가스가 용출되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가스누출 방지병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s leak prevention bott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gas leak prevention bottle that can minimize the outflow of carbon dioxide gas from the carbonated beverage water stored inside the bottle to the outside.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과일을 갈아서 만든 쥬스를 비롯하여 콜라나 사이다 또는 맥주와 같은 탄산음료수 등 다양한 종류의 음료수가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As the standard of living improves, various types of beverages are sold on the market, such as juice made from fruit, and carbonated drinks such as cola, cider, or beer.
이러한 음료수를 저장하기 위한 용기는 유리로 만든 병과 흔히 PET병이라고 불리는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 병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중에서도 PET(Poly Ethylene Terephthalate)병은 일정량의 음료수를 취식한 다음 남은 음료수를 보관하기에 편하다는 이유로 최근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As a container for storing such beverages, it is common to use bottles made of glass and bottles made of synthetic resin, commonly called PET bottles. Among them, PET (Poly Ethylene Terephthalate) bottle has been widely used recently because it is easy to store the remaining drink after eating a certain amount of drink.
그러나, 여러 음료수 중에서 탄산음료수는 기체가 액체에 용해될 때 갖는 특유의 성질상 온도가 상승되거나 압력이 하락하면 용존되어 있던 탄산가스가 용출되어 탄산음료수 특유의 맛을 느낄 수가 없게 된다.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탄산음료수는 그것을 저장하고 있던 병을 개봉하면 바로 취식하는 것이 좋으나, 0.5 리터 이상의 PET병에 저장된 음료수는 한 번에 모두 마시기 어렵기 때문에 음료수를 수차례에 걸쳐 나누어 마시게 되고, 이 경우 PET병의 마개를 자주 개폐하는 과정에서 PET병 내부 상측에 있는 탄산가스가 외부로 누출이 된다.However, carbonated beverages among various beverages are dissolved in carbonated gas when the temperature rises or the pressure decreases due to a characteristic of the gas dissolved in the liquid, so that the carbonated beverages cannot be tasted. For this reason, carbonated beverages should be eaten immediately after opening the bottle that stores them, but it is difficult to drink all the drinks stored in PET bottles of 0.5 liter or more at once. In the case of frequently opening and closing the cap of the PET bottle, the carbon dioxide gas in the upper side of the PET bottle leaks to the outside.
바로 이런 문제점 때문에 PET병 내부에 탄산음료수가 남아 있게 되면 병을 거꾸로 하여 보관하는 것과 같은 일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지만, 음료수병을 거꾸로 하여 보관하는 경우에는 그 상태로 마시기 어렵기 때문에 다시 제 위치로 복원을 해야 하는데 이 경우 액체 음료에 충격이 가해져 오히려 마개를 개방하였을 때 탄산가스가 급격히 유출되는 문제가 있다.
Because of this problem, if the carbonated beverage is left inside the PET bottle, the usual method of storing the bottle upside down is used.However, if the bottle is stored upside down, it is difficult to drink it in the same state.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carbon dioxide gas is suddenly leaked when the stopper is opened due to the impact on the liquid beverage.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케이스 내부에 탄산음료수가 저장되는 튜브를 삽입하고 탄산음료수의 유출시에 유입되는 공기는 케이스와 튜브 사이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탄산음료수와 공기의 접촉을 최소화시켜 탄산가스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가스누출 방지병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carbonated beverage water and air by inserting a tube in which the carbonated beverage water is stored in the case and the inflow of carbonated beverage water is introduced between the case and the tube so that the carbonated beverage and air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as leak prevention bottle that can prevent the leakage of carbon dioxide gas by minimizing the contact of carbon dioxide.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가스누출 방지병은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병목부와, 상기 병목부에 결합되는 마개로 이루어진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용기부에 수납되어 내부에 음료수가 저장되는 음료수용부와, 상기 음료수용부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병목부 내주면에 면접(面接)되는 주입부와, 상기 주입부에 삽입되는 개폐볼과, 상기 주입부에 삽입되어 개폐볼의 이탈을 방지하고 일정간격으로 음료수 배출홈이 형성된 덮개로 이루어진 삽입튜브로 구성되되; 상기 주입부는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요홈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주면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와 삽입튜브 사이로 공기가 출입되도록 상기 요홈부와 연통되는 공기유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병목부 상단에 거치되는 안착리브와,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개폐볼이 안착되는 볼안착부와, 상기 본체의 내주면 상단에 돌출 형성된 걸림턱으로 구성된다.
Gas leak prevention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case consisting of a container portion, a bottleneck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ntainer portion, and a cap coupled to the bottleneck; A beverage receiving part housed in a container of the case and storing a beverage therein, an injection part formed on an upper side of the beverage receiving part and interview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ttleneck part of the case, and opening and closing inserted into the injection part. Ball and inserted into the injection portion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ball and consists of an insertion tube consisting of a cover formed with a beverage discharge groov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injection part is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main body is formed in the groov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n air distribution hole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communicating with the groove so that the air enters between the case and the insertion tube is formed bottleneck part of the case It is composed of a seating rib mounted on the upper end, a ball seating portion protruding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seating the opening and closing ball, and a locking projection protruding on the upper end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가스누출 방지병은 삽입튜브의 주입부에 저장된 음료수가 일정 부피만큼 유출되면 안착리브의 공기유통홀과 본체의 요홈부를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케이스와 삽입튜브 사이로 유입되므로, 남아 있는 삽입튜브 내부의 음료수가 공기와 접촉되지 않아서 탄산가스의 누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Gas leakage prevention bott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that when the water stored in the inlet of the insertion tube is discharged by a certain volume, the outside air is introduced between the case and the insertion tube through the air distribution hole of the seating rib and the recess of the main body Therefore, the remaining drink inside the insertion tube is not in contact with the air has the advantage of minimizing the leakage of carbon dioxide gas.
또한, 개폐볼이 볼안착부에 안치되어 그 밑의 음료수용부에 저장된 음료수를 외부와 격리하고 케이스의 마개로 외부와 다시 한 번 격리하므로, 탄산가스의 누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opening and closing ball is placed in the ball seating portion to isolate the beverage stored in the beverage receiving portion below and the outside and once again to the outside with a stopper of the ca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minimize the leakage of carbon dioxide gas.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가스누출 방지병의 삽입튜브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e는 본 고안에 의한 가스누출 방지병에 음료수를 저장하는 모습을 보인 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가스누출 방지병에 저장된 음료수를 유출시키는 모습을 보인 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가스누출 방지병에 저장된 음료수를 일정량 유출시킨 후의 모습을 보인 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ertion tube of the gas leak prevention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to 2e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everage is stored in the gas leak prevention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a spilled beverage stored in the gas leak prevention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state after a certain amount of drinking water stored in the gas leakage prevention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에 의한 가스누출 방지병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embodiment of a gas leak prevention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가스누출 방지병의 삽입튜브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e는 본 고안에 의한 가스누출 방지병에 음료수를 저장하는 모습을 보인 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ertion tube of the gas leak prevention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a to 2e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everage is stored in the gas leak prevention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가스누출 방지병에 저장된 음료수를 유출시키는 모습을 보인 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가스누출 방지병에 저장된 음료수를 일정량 유출시킨 후의 모습을 보인 도이다.
And, Figure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inking water stored in the gas leak prevention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state after a certain amount of drinking water stored in the gas leak prevention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에 의한 가스누출 방지병은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음료수(맥주, 콜라, 사이다와 같은 탄산음료수)에 용존되어 있는 탄산가스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Gas leak prevention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lock the leakage of the carbon dioxide dissolved in the beverage (soda, cola, cider, carbonated beverages such as beer) stored inside.
본 고안에 의한 가스누출 방지병은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에 삽입되어 맥주 또는 콜라, 사이다와 같은 탄산음료수(W)를 저장하는 삽입튜브(200)로 이루어져, 상기 삽입튜브(200) 내부의 탄산음료수(W)에 용존되어 있는 탄산가스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Gas leak prevention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이러한 가스누출 방지병은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삽입되어 음료수(W)를 저장하는 삽입튜브(200)로 구성된다.
The gas leak prevention bottle is composed of a
상기 케이스(100)는 시중에서 일반적으로 판매되는 PET용기나 유리로 된 음료수병과 같은 것으로서, 용기부(110)와, 상기 용기부(110)의 상측에 형성되는 병목부(120)와, 상기 병목부(120)에 결합되어 병목부(120)를 개폐하는 마개(130)로 구성된다.The
상기 용기부(110)는 컵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그 빈 공간에 후술할 삽입튜브(200)의 음료수용부(210)가 삽입된다.The
상기 병목부(120)는 상기 용기부(110)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측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병목부(120)는 외주면 상측에 나선이 형성되어 상기 마개(130)와 결합된다.The
상기 마개(130)는 상기 병목부(120)의 외주면 상측에 나선결합되어 상기 케이스(100)를 개폐한다.
The
상기 삽입튜브(200)는 상기 케이스(100)의 용기부(110)에 수납되는 음료수용부(210)와, 상기 음료수용부(210)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주입부(220)와, 상기 주입부(220)에 삽입되는 개폐볼(230)과, 상기 주입부(220)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되 상기 개폐볼(230)의 상측에 설치되는 덮개(240)로 구성된다.
The
상기 음료수용부(210)는 상기 용기부(110)에 수납되고 내부에 맥주 또는 콜라와 같은 탄산음료수(W)가 저장되며, 그 외주면이 상기 용기부(110)의 내주면에 면접(面接)된다. 이러한 음료수용부(210)는 자유롭게 꼬임 또는 휨이 가능하도록 박막(薄膜)의 합성수지재로 구성한다.
The beverage accommodating
상기 주입부(220)는 상측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100)의 병목부(120) 내부에 삽입되고, 그 외주면이 상기 병목부(120)의 내주면에 면접된다.The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주입부(220)는 본체(221)와, 상기 본체(221)의 외주면 상단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병목부(120)의 상단에 거치되는 안착리브(222)와, 상기 개폐볼(230)이 안착되는 볼안착부(223)와, 상기 본체(221)의 내주면 상단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된 걸림턱(224)으로 구성된다.In more detail, the
상기 본체(221)는 일정 두께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요홈부(221a)가 형성된다. 이러한 요홈부(221a)는 상기 본체(221)의 외주면이 상기 케이스(100)의 병목부(120) 내주면에 밀착되었을 때 병목부(120)의 내주면과 본체(221)의 외주면 사이에 일정한 틈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케이스(100)와 삽입튜브(200) 사이에 공기가 출입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본체(221)의 요홈부(221a)는 케이스(100)와 삽입튜브(200) 사이에 공기가 출입될 수 있도록 공기유로 역할을 하는 것이다.The
상기 안착리브(222)는 상기 본체(221)의 외주면 상단에서 본체의 외측 방향으로 수직되게 연장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케이스(100)에 마개(130)를 체결하였을 때 마개(130)의 저면에 구비된 패킹(131)과 케이스(100)의 병목부(120) 상단 사이에 위치된다. 즉, 상기 마개(130)를 케이스(100)에 체결하면 마개(130)와 병목부(120)의 체결력에 의하여 상기 안착리브(222)는 상기 패킹(131)과 병목부(120)의 상단면 사이에서 강하게 압박된다. 이러한 안착리브(222)에는 상기 본체(221)의 요홈부(221a)와 연통되는 복수개의 공기유통홀(222a)이 형성된다. 따라서, 외부의 공기가 상기 케이스(100)와 삽입튜브(200) 사이로 유입될 때는 상기 안착리브(222)의 공기유통홀(222a)과 본체(221)의 요홈부(221a)를 순차적으로 거쳐 유입되고, 케이스(100)와 삽입튜브(200) 사이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될 때는 상기 본체(221)의 요홈부(221a)와 안착리브(222)의 공기유통홀(222a)을 순차적으로 거쳐 유출된다.The
상기 볼안착부(223)는 상기 본체(221)의 내주면에 라운드지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개폐볼(230)이 삽입튜브(200) 속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볼안착부(223)는 하측으로 갈수록 돌출두께가 점점 더 두꺼워져서 상기 개폐볼(230)이 안정적으로 거치될 만큼 그 사이 간격이 좁아지면 이후에는 하측으로 갈수록 그 돌출두께가 점점 작아진다. 따라서, 상기 개폐볼(230)은 상기 볼안착부(223)의 중간쯤에 거치되어 상기 본체(221)에 저장된 음료수(W)로부터 발생되는 탄산가스가 본체(221)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상기 걸림턱(224)은 상기 본체(221)의 내주면 상단에서 본체(221)의 내측 방향으로 수직되게 연장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덮개(240)가 주입부(220) 내부에 설치되었을 때 덮개(240)가 주입부(2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걸림턱(224)은 상기 본체(221)의 내주면 상단에 형성되되, 상기 안착리브(222)의 공기유통홀(222a) 사이에 돌출 형성된다.
In more detail, the
상기 덮개(240)는 상기 삽입튜브(200)의 주입부(220) 내부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볼(230)이 주입부(22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덮개(240)는 일정두께를 갖는 원기둥 형태의 부재에서 90도 간격으로 음료수 배출홈(241)을 형성시킨다. 즉, 상기 덮개(240)는 삽입튜브(200)의 주입부(220)에 넣을 때 상기 주입부(220)의 걸림턱(224) 사이로 삽입한 다음 회전시켜 걸림턱(224)의 저면에 덮개(240)의 가장자리 상면이 접촉되고, 볼안착부(223)의 상단에 덮개(240)의 가장자리 저면이 접촉된다. 따라서, 덮개(240)는 걸림턱(224)과 볼안착부(223) 사이에서 견고하게 그 위치가 고정된다.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가스누출 방지병에 음료수를 저장하는 방법을 도 2a 내지 도 2e를 참조로 하여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method of storing the beverage in the gas leakage prevention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ures 2a to 2e briefly as follows.
먼저, 박막 합성수지재로 제작된 삽입튜브(200)의 음료수용부(210)를 꽈배기 형태로 꼬아서 케이스(100)의 용기부(110) 내부에 삽입한다.First, the beverage accommodating
그런 다음, 삽입튜브(200)의 주입부(220)를 통하여 맥주나 콜라와 같이 탄산가스가 용존된 음료수(W)를 음료수용부(210) 내부로 주입하면 상기 케이스(100)와 삽입튜브(200) 사이에 있던 공기는 삽입튜브(200)가 점점 부풀어 오름에 따라 본체(221)의 요홈부(221a)와 안착리브(222)의 공기유통홀(222a)을 통해 케이스(100) 외부로 유출된다.Then, when the beverage (W) in which carbon dioxide gas is dissolved, such as beer or cola, is injected into the
음료수(W)를 계속 주입하다가 일정량 이상 채워지면 개폐볼(230)을 주입부(220)에 삽입하여 볼안착부(223)에 거치시킨다. 이렇게 개폐볼(230)이 설치되면 상기 음료수(W)로부터 발생되는 탄산가스가 삽입튜브(200)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While continuously injecting the drinking water (W) is filled more than a certain amount, the opening and
이후, 덮개(240)를 주입부(220)의 걸림턱(224) 사이로 넣은 다음에 회전시켜 덮개(240)의 돌출된 가장자리가 볼안착부(223)의 상단에 거치됨과 아울러 걸림턱(224)에 의하여 걸림되어 주입부(220)로부터 덮개(24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렇게 하면 상기 개폐볼(230)이 삽입튜브(200)의 주입부(2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덮개(240)의 음료수 배출홈(241)에 의하여 음료수(W)가 유출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Thereafter, the
덮개(240)가 설치되면 케이스(100)의 마개(130)를 케이스(100)의 병목부(120) 상단 외주면에 나선결합시킨다. 이렇게 하면 삽입튜브(200)의 주입부(220)에 형성된 안착리브(222)는 덮개(240)의 패킹(131)과 병목부(120) 상단 사이에 위치되어 강하게 압박된다.
When the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본 고안에 의한 가스누출 방지병에 저장된 음료수의 유출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the outflow process of the beverage stored in the gas leakage prevention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bove process with reference to Figures 3 and 4 as follows.
먼저, 케이스(100)의 마개(130)를 열고 직립되게 세워져 있던 상기 케이스(100)를 일정각도 기울이면 음료수(W)의 유동압력에 의하여 삽입튜브(200)의 개폐볼(230)이 주입부(220)의 볼안착부(223)에서 이탈되어 덮개(240)의 저면쪽까지 이동한다.First, opening and closing the
이렇게 개폐볼(230)이 볼안착부(223)에서 이탈되면 음료수용부(210)에 저장되어 있던 음료수(W)가 볼안착부(223) 사이를 통과하고 연이어 덮개(240)의 음료수 배출홈(241)을 통하여 삽입튜브(200)의 외부로 유출된다.When the opening and
이때, 케이스(100) 외부에 있던 공기가 삽입튜브(200)의 안착리브(222)에 형성된 공기유통홀(222a)을 통해 상기 케이스(100)와 삽입튜브(200) 사이로 유입된다. 즉, 덮개(240)의 음료수 배출홈(241)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된 음료수(W)의 부피만큼 외부의 공기가 케이스(100)와 삽입튜브(200) 사이로 유입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볼안착부(223) 사이에 형성되는 구멍은 흘러나오는 음료수(W)에 의하여 막히게 되므로 외부의 공기가 삽입튜브(200)의 음료수용부(210)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At this time, air outside the
기존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병은 탄산음료수(W)가 병 외부로 유출되면 외부의 공기가 병 내부로 그대로 유입되어 병 내부에 남아있는 탄산음료수(W)와 접촉하게 되는데, 이렇게 외부의 공기와 탄산음료수(W)가 접촉하면 탄산음료수(W)에 용존되어 있던 탄산가스가 쉽게 외부로 누출되어 탄산음료수가 갖고 있는 특유의 맛을 즐길 수가 없게 되지만, 본 고안에서는 외부의 공기가 케이스(100)와 삽입튜브(200) 사이로 유입됨으로써 근원적으로 탄산음료수와 공기의 접촉을 차단한다.Conventionally used bottles are carbonated beverage water (W) is leaked to the outside of the bottle when the outside air flows into the bottle as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arbonated beverage water (W) remaining inside the bottle, the outside air and carbonated When the drinking water (W) is in contact with the carbonated gas dissolved in the carbonated beverage water (W) easily leaks to the outside, you can not enjoy the unique flavor of the carbonated beverage water,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side air is the
한편, 상기와 같이 삽입튜브(200)의 음료수용부(210)에 저장된 음료수(W)를 일정량 유출시키고 본 고안에 의한 가스누출 방지병을 직립되게 세우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와 삽입튜브(200) 사이의 공기압에 의하여 삽입튜브(200)의 음료수용부(210)가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 움푹해진다.
On the other hand, if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drinking water (W) stored in the
100: 케이스 110: 용기부
120: 병목부 130: 마개
131: 패킹 200: 삽입튜브
210: 음료수용부 220: 주입부
221: 본체 221a: 요홈부
222: 안착리브 222a: 공기유통홀
223: 볼안착부 224: 걸림턱
240: 덮개 241: 음료수 배출홈
W: 음료수100: case 110: container
120: bottleneck 130: cap
131: packing 200: insertion tube
210: beverage container 220: injection unit
221:
222:
223: ball seating portion 224: locking jaw
240: cover 241: beverage discharge groove
W: Beverages
Claims (3)
상기 케이스(100)의 용기부(110)에 수납되어 내부에 음료수(W)가 저장되는 음료수용부(210)와, 상기 음료수용부(210)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100)의 병목부(120) 내주면에 면접(面接)되는 주입부(220)와, 상기 주입부(220)에 삽입되는 개폐볼(230)로 이루어진 삽입튜브(200);로 구성되되,
상기 주입부(220)는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요홈부(221a)가 형성된 본체(221)와, 상기 본체(221)의 외주면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00)와 삽입튜브(200) 사이로 공기가 출입될 수 있도록 상기 요홈부(221a)와 연통되는 공기유통홀(222a)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100)의 병목부(120) 상단에 거치되는 안착리브(222)와, 상기 본체(221)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개폐볼(230)이 안착되는 볼안착부(223)와, 상기 본체(221)의 내주면 상단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걸림턱(224)으로 구성되며,
상기 걸림턱(224)과 볼안착부(223) 사이에는 일정간격으로 음료수 배출홈(241)이 형성된 덮개(24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누출 방지병.
A case 100 formed of a container part 110, a bottleneck part 120 formed on an upper side of the container part 110, and a cap 130 coupled to the bottleneck part 120;
The beverage receiving unit 210 is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unit 110 of the case 100 and the beverage is stored therein, and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everage receiving unit 210, the bottleneck of the case 100. Consists of the injection part 220 to be interview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rtion 120 and the insertion tube 200 is inserted into the injection portion 220, the insertion tube 200;
The injection part 220 is formed on the main body 221 having the recess 221a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formed on an upper end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221 and between the case 100 and the insertion tube 200. An air distribution hole 222a communicating with the groove portion 221a is formed to allow the door to enter and exit, and a mounting rib 222 mounted on an upper end of the bottleneck part 120 of the case 100 and the main body 221. Protrud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ll seating portion 223 is seated on the opening and closing ball 230, and the locking step 224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end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221,
Gas stopper prevention bott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ver 240 is further formed between the stopping jaw 224 and the ball seating portion 223 is formed with a beverage discharge groove 241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상기 삽입튜브(200)의 음료수용부(210)는 휨 또는 꼬임이 가능하도록 박막(薄膜)의 합성수지로 그 재질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누출 방지병.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everage receiving portion 210 of the insertion tube 200 is a gas leakage prevention bottle, characterized in that the material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of a thin film (薄膜) to enable bending or twist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1979U KR200449488Y1 (en) | 2010-02-24 | 2010-02-24 | Gas leak prevention bott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1979U KR200449488Y1 (en) | 2010-02-24 | 2010-02-24 | Gas leak prevention bott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49488Y1 true KR200449488Y1 (en) | 2010-07-13 |
Family
ID=44242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00001979U Expired - Fee Related KR200449488Y1 (en) | 2010-02-24 | 2010-02-24 | Gas leak prevention bott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49488Y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59820B1 (en) * | 2014-03-03 | 2015-10-19 | 이성종 | Food containers for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
KR101873437B1 (en) * | 2016-12-16 | 2018-07-02 | 박기성 | Acidification prevention container |
KR20180079913A (en) * | 2017-01-03 | 2018-07-11 | 김현석 | Sanitary bottle cap with automatic sealing function using gravity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89003353A1 (en) * | 1987-10-07 | 1989-04-20 | John William Lamb | Improvements to liquid containers |
JPH04132051U (en) * | 1991-05-22 | 1992-12-07 | 武内プレス工業株式会社 | beverage container |
WO1994019255A1 (en) | 1993-02-16 | 1994-09-01 | Anatol Nominees Pty. Ltd. | Container system and bag assembly |
JP2004203443A (en) | 2002-12-26 | 2004-07-22 | Katsutoshi Masuda | Fluid storage container |
-
2010
- 2010-02-24 KR KR2020100001979U patent/KR200449488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89003353A1 (en) * | 1987-10-07 | 1989-04-20 | John William Lamb | Improvements to liquid containers |
JPH04132051U (en) * | 1991-05-22 | 1992-12-07 | 武内プレス工業株式会社 | beverage container |
WO1994019255A1 (en) | 1993-02-16 | 1994-09-01 | Anatol Nominees Pty. Ltd. | Container system and bag assembly |
JP2004203443A (en) | 2002-12-26 | 2004-07-22 | Katsutoshi Masuda | Fluid storage container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59820B1 (en) * | 2014-03-03 | 2015-10-19 | 이성종 | Food containers for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
KR101873437B1 (en) * | 2016-12-16 | 2018-07-02 | 박기성 | Acidification prevention container |
KR20180079913A (en) * | 2017-01-03 | 2018-07-11 | 김현석 | Sanitary bottle cap with automatic sealing function using gravit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652315C2 (en) | Container and valve for container | |
RU2652498C2 (en) | Beverage container and valve for beverage container | |
KR101515423B1 (en) | Bottle cap for adding additive | |
US20070164058A1 (en) | Pouring apparatus for carbonated beverages in bottles | |
KR101635318B1 (en) | Bottle cap | |
KR200449488Y1 (en) | Gas leak prevention bottle | |
US20240043197A1 (en) | Beverage container apparatus | |
KR20140001983U (en) | A cup | |
JP7055594B2 (en) | Carbonated drink server | |
KR200449757Y1 (en) | Beverage containers | |
EP0833788B1 (en) | Container for pressurized liquids with foam generating device | |
AU6217194A (en) | A beverage container with means for frothing the beverage | |
UA119177C2 (en) | DISPOSABLE BOTTLE TUBE FOR AIR CODES | |
KR200494058Y1 (en) | beverage container coupling device | |
KR101956915B1 (en) | Multi funtional plastic bottle | |
KR200344567Y1 (en) | A beverage container | |
JP6929092B2 (en) | Carbonated drink server | |
KR200396029Y1 (en) | Gas leaking out prevention plug | |
KR200359480Y1 (en) | A beverage container | |
KR101136131B1 (en) | PET bottle | |
KR102159609B1 (en) | Cap for adding added beverage | |
KR20130007707A (en) | Bottle cap for dispensing heterogeneous materials that is coupled to a container containing a pressure gas | |
KR200313473Y1 (en) | Drink vessel | |
KR20230135464A (en) | Cap system for keeping carbonic acid | |
KR19980019500A (en) | Apparatus for re-injecting carbonic acid gas into PET bottl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00224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UA0301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08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224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00503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0070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0070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00706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27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5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8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1606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