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9448Y1 - Delineator for guard rails - Google Patents
Delineator for guard rail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49448Y1 KR200449448Y1 KR2020090011505U KR20090011505U KR200449448Y1 KR 200449448 Y1 KR200449448 Y1 KR 200449448Y1 KR 2020090011505 U KR2020090011505 U KR 2020090011505U KR 20090011505 U KR20090011505 U KR 20090011505U KR 200449448 Y1 KR200449448 Y1 KR 20044944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p
- circumferential surface
- locking
- cap portion
- connecting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61—Supports, e.g. posts
- E01F15/0469—Covers, e.g. of ground surface around the foot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6—Signs formed of or incorporating reflecting elements or surfaces, e.g. warning signs having triangular or other geometrical sha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드레일용 델리니에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가드레일을 지지하는 지주대의 상단부가 일부 삽입되도록 관통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계단식으로 감소하는 다단 구조의 캡부; 및 상기 캡부의 상단부에 결합되도록 관통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상단에 결합된 반사부로 구성되는 반사체를 포함하되, 상기 캡부에는 상기 연결부의 하단부가 일부 삽입되도록 링 형상의 체결홈이 형성되거나, 체결홀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railer for the guardrail,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for supporting the guardrail is made of a penetrated shape so as to be partially inserted, the cap portion of the multi-stage structure with a cross-sectional step decreasing toward the top; And a connecting part formed in a shape penetrated so as to b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ap part, and a reflector comprising a reflecting part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part, wherein the cap part has a ring-shaped fastening groove formed to partially insert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part. Or a fastening hole is formed through.
본 고안에 따른 가드레일용 델리니에이터에 의하면, 캡부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링 형상의 체결홈, 캡부의 외주면과 연결부의 내주면에 각각 형성되는 걸림돌기 또는 걸림홈, 연결부의 하단부에 형성된 확장부, 캡부의 외주면과 연결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1, 제2 나사산, 상기 걸림턱과 걸림홀 등을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클램프 또는 고정수단 등의 구성을 생략할 수 있어 제조단가를 크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작업에 대한 신속성과 편의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derailer for guard rai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ing-shaped fastening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p portion, a locking projection or a locking groov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p portion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an expansion portion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The first and second thread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p portion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include the locking jaw and the locking hole, so that a separate clamp or fixing means can be omitted,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mprove the speed and convenience of the installation work at the same time.
델리니에이터, 계단식 구조, 가드레일, 지주대, 체결홈, 확장부, 나사산, 걸림턱, 부식방지 처리Delineator, Stepped Structure, Guard Rail, Shoring, Fastening Groove, Extension, Thread, Hanging Jaw, Anti-Corrosion Treatment
Description
본 고안은 가드레일용 델리니에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운전자가 도로경계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별도의 체결 도구 없이도 가드레일을 지지하는 지주대에 설치 가능한 가드레일용 델리니에이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railer for guardrails, and more specifically, a guardrail deli that can be installed on a support stand that supports the guardrail without requiring an additional fastening tool while allowing the vehicle driver to easily recognize the road boundary. It is about a nitrator.
일반적으로, 델리니에이터(Delineator)는 차량이 차도 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가드레일에 설치되어, 운전자에게 도로의 경계와 도로의 진행방향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안전한 운전을 돕는 교통안전시설물이다.In general, a delineator is a traffic safety facility installed in a guard rail that prevents a vehicle from escaping out of a driveway, so that a driver can safely recognize a road boundary and a direction of the road.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통상의 가드레일용 델리니에이터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 1, a typical derailer for guardrails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드레일용 델리니에이터(이하, '종래기술'이라 함)는 가드레일(G)을 지지하는 지주대(1)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지주대(1)의 둘레면을 감싸는 상태로 접촉하는 밴드형 클램프(10)와, 상기 클램프(10)에 일단이 결합되고 지주대(1)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높이로 연장되는 연결본체(20)와, 상기 연결본체(20)의 상단에 배치되는 반사체(30)로 구성된다.As shown, the derailer for guardrails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is installed on the support base 1 supporting the guard rail G,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base 1 Band-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의 설치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지주대(1)에 클램프(10)를 끼우고 상기 클램프(10)에 형성된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 상기 지주대(1)에 대하여 밀착 고정시킨다. 이후, 상기 연결본체(20)의 하단을 상기 클램프(10)에 결합시키고 그 상단에는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체(30)를 결합시키면 된다.Looking at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prior ar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first to clamp the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 따르면, 상기 연결본체(20)를 지주대(1)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클램프(10)를 사용하거나, 이와 비슷한 구성의 고정수단(브라켓 및 볼트, 너트 등)을 추가적으로 구성해야 했으므로 부품수 증가와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n order to install the connecting
더욱이, 상기 클램프(10) 또는 고정수단을 이용한 설치작업의 경우, 상기 볼트와 너트를 상호간에 조여주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작업시간이 크게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Moreover, in the case of the installation work using the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별도의 클램프 또는 고정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도구 등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델리니에이터를 지주대에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있는 가드레일용 델리니에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not only does not require a separate clamp or fixing means, but also does not require a separate tool, etc. It is to provide a delineator for the guard rail that can be mounted.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용 델리니에이터는, 가드레일을 지지하는 지주대의 상단부가 일부 삽입되도록 관통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계단식으로 감소하는 다단 구조의 캡부; 및 상기 캡부의 상단부에 결합되도록 관통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상단에 결합된 반사부로 구성되는 반사체를 포함하되, 상기 캡부에는 상기 연결부의 하단부가 삽입되도록 체결홈 및 체결홀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erailer for guardrai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is made of a penetrated shape so that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support stand for supporting the guardrail is partially inserted, toward the top A cap portion of a multi-stage structure, the cross-sectional area of which decreases stepwise; And a reflector comprising a connecting part formed in a shape penetrated to be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cap part, and a reflecting part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connecting part, wherein the cap part includes any one of a fastening groove and a fastening hole such that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part is inserted into the cap par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그리고, 상기 캡부의 외주면에는 그 원주방향을 따라서 제1 걸림돌기 또는 제1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 걸림돌기 또는 제1 걸림홈과 대응 결합하도록 제2 걸림홈 또는 제2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first locking protrusion or a first locking groove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p part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reof, and a second locking groove or a first locking groove or a first locking groove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part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or the first locking groove. 2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projection is formed.
또한, 상기 연결부가 상기 캡부에 강제 끼움되도록, 상기 연결부의 하단부에 는 단면적이 확장된 확장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체결홈에는 상기 확장부가 삽입되도록 확장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portion is forcibly fitted to the cap portion,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is formed in the expansion section is expanded integrally formed, the fastening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xpansion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expansion portion is inserted.
또한, 상기 제1 걸림돌기와 제2 걸림홈은 상기 캡부 및 연결부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locking projection and the second locking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p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또한, 상기 캡부의 외관은 3단의 계단식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uter appearance of the cap portion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three-stage staircase structure.
삭제delete
또한, 상기 연결부의 상단에 결합된 반사부로 구성되는 반사체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의 내주면에는 그 내측방향을 향해 적어도 2개 이상의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캡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턱이 걸리도록 관통된 걸림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ncludes a reflector consisting of a reflector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wherein at least two or more locking projections ar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ion portion toward the inner direction, so that the locking projection is caught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p por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ough-hole engaging hole is formed.
또한, 상기 연결부가 금속재로 이루어질때, 상기 걸림턱은 슬리팅, 엠보싱, 용접 중 어느 하나의 공정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connecting portion is made of a metal material, the locking step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hrough any one of the process of slitting, embossing, welding.
또한, 상기 캡부의 외주면과, 상기 캡부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연결부의 내주면에는 부식방지 처리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p portion,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p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nti-corrosion treatment.
전술한 본 고안에 따른 가드레일용 델리니에이터에 의하면, 캡부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링 형상의 체결홈, 캡부의 외주면과 연결부의 내주면에 각각 형성되는 걸림돌기 또는 걸림홈, 연결부의 하단부에 형성된 확장부, 캡부의 외주면과 연결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1, 제2 나사산, 상기 걸림턱과 걸림홀 등을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클램프 또는 고정수단 등의 구성을 생략할 수 있어 제조단가를 크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작업에 대한 신속성과 편의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derailer for guard rai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ing-shaped fastening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p portion, a locking protrusion or a locking groov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p portion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respectively,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By providing the first and second thread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pansion portion, the cap portion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clamp or the fixing means can be omitted, and thus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greatly reduced.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mprove the speed and convenience of the installation work at the same time.
또한, 상호 접촉하는 캡부의 외주면과 연결부의 내주면에 부식방지 처리를 하여 마찰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상호 간의 결합력을 보다 상승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the anti-corrosion treatment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p portion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rease the mutual bonding force.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용 델리니에이터가 지주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FIG.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guardrail delimin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support stand, FIG.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2, and FIG. 4 is another example of FIG. 3. It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which shows.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용 델리니에이터는, 가드레일을 지지하는 지주대에 설치되어 차량 운전자가 도로의 경계와 도로의 진행방향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교통안전시설물로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부(100) 및 반사체(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guardrail delimin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affic safety facility installed on a support stand supporting the guard rail so that a vehicle driver can easily recognize the boundary of the road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road. As shown in FIGS. 2 to 4, the
상기 캡부(100)는 가드레일(미도시)을 지지하는 지주대(300)의 상단부가 일부 삽입되도록 중앙이 관통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계단식으로 감소하는 좀 더 자세하게는, 다단의 계단식 구조가 형성된 외관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여기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주대(300)와 캡부(100)가 결합되었을 경우, 후술하는 연결부(210) 또는 연결부(210)의 확장부(211)가 상기 지주대(300)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캡부(100)의 외관은 3단의 계단식 구조(즉, 3개의 단차부가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as shown in Figures 2 to 4, when the support stand 300 and the
이때, 상기 연결부(210)는 캡부(100)의 3단 구조 중 최상측에 위치한 단차부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상태가 되며, 상기 지주대(300)의 상단은 캡부(100)의 최하측에 위치한 단차부의 내측 저면에 접촉하는 상태가 된다.At this time, the
상기 반사체(200)는 상기 캡부(10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연결부(210), 상기 연결부(210)의 상단에 결합되며 빛이 반사될 수 있는 하니컴 구조의 반사판이 부착된 반사부(220)로 구성된다.The
여기서, 상기 연결부(210)와 반사부(220) 사이에는 통상의 텐션 스프링(TENSION SPRING)을 개재하여 외부의 충격에 의해 반사부(220)가 일정 각도 젖혀지더라도 상기 텐션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자동 복원되도록 할 수 있다.Here, even though the
한편, 상기 캡부(100)는 상기 지주대(300)의 상단부가 캡부(10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배치시킨 후 캡부(100)와 지주대(300)의 외면에 형성된 볼트체결홀(101)에 볼트 등을 체결함으로써 지주대(300)에 고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이어서, 상기 반사체(200)를 상기 캡부(100)에 결합시키게 되는데,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는 반사체(200)를 캡부(100)의 상측으로부터 하향 이동시킨 후 별도의 볼트 결합이 아닌 끼움 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ubsequently, the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캡부(100)에는 상기 연결부(210)의 하단부가 일부 삽입되도록 링 형상의 체결홈(110)이 형성되어 있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ure 3, the
덧붙여,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210)가 상기 캡부(100)에 강제 끼움되도록 상기 연결부(210)의 하단부에는 단면적이 확장된 확장부(211)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홈(110)에도 확장부(211)가 삽입되도록 확장홈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an
즉, 본 고안에서는 상기 연결부(210)와 캡부(100)가 결합할 때 상기 확장부(211)의 탄성력에 의해 그 결합력이 더욱 견고해지도록 상기 연결부(210) 및 캡 부(1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플라스틱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any one of the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캡부(100)의 외주면에는 그 원주방향을 따라서 제1 걸림돌기(1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캡부(100)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상기 연결부(210)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 걸림돌기(130)와 대응 결합하도록 제2 걸림홈(212)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3,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부(210)의 하단부(이때, 상기 확장부(211)도 포함)가 체결홈(110) 내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걸림돌기(130)와 제2 걸림홈(212)의 추가적인 결합 구조를 더 제공함으로써 상기 연결부(210)와 캡부(100)의 결합은 더욱 견고해질 수 있다.Therefore, as described above, in the state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210 (including the expansion portion 211) is inserted into the
이때, 상기 연결부(210)와 캡부(100)의 결합력을 더욱 배가시키기 위해, 상기 제1 걸림돌기(130)와 제2 걸림홈(212)은 각각 상기 캡부(100) 및 연결부(21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n order to further double the coupling force of the connecting
한편, 상기 제1 걸림돌기(130)와 제2 걸림홈(212)은 그 형성 위치가 서로 변경되어 상기 캡부(100)의 외주면에 제1 걸림홈이 형성되고 연결부(210)의 내주면에 제2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상기 제1 걸림돌기(130)와 제2 걸림홈(212)은 연결부(210) 및 캡부(1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체로 연결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용 델리니에이터가 지주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uardrail delimina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holding post.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용 델리니에이터는, 도 2 내지 도 4와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캡부(100) 및 반사체(200)를 포함하며 이하 동일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The guardrail delimina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2 to 4 and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includes a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캡부(100)의 외주면과, 상기 캡부(100)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연결부(210)의 내주면에 각각 대응 결합하는 제1,제2 나사산(140,213)이 형성된다.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5, the first and second corresponding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따라서, 상기 캡부(100)에 대해 상기 연결부(210)를 포함하는 반사체(200)를 회전시킴에 의해 손쉽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제2 나사산(140,213)은 각진 형상이거나 미끄럼 접촉이 가능한 라운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refore, by rotating the
(( 제3실시예Third embodiment ))
도 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용 델리니에이터가 지주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Figure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uardrail deliminat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holding post.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용 델리니에이터는, 도 2 내지 도 4와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캡부(100) 및 반사체(200)를 포함하며 이하 동일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마찬가지로 생략한다.The guardrail deliminat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2 to 4 and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includes a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210)의 내주면에는 그 내측방향을 향해 적어도 2개 이상의 걸림턱(214)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캡부(100)의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턱(214)이 걸려지도록 관통된 걸림홀(150)이 형성된다.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6,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ing
즉, 상기 연결부(210)와 캡부(100)를 결합하기 위해, 상기 연결부(210)를 캡부(100)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이동시키면 우선적으로 걸림턱(214)이 캡부(100)의 외면에 접촉하다가 걸림홀(150) 상에 위치하게 되면 걸림홀(150)에 삽입되어 걸리는 상태가 된다.That is, in order to couple the connecting
한편, 상기 걸림턱(214)은 걸림홀(150)을 제외한 나머지 캡부(100)의 외면에 접촉하는 중에는 그 형상이 압축되다가 걸림홀(150) 상에 위치하게 되면 형상이 복원되어 걸림홀(150)에 걸리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상기 연결부(210)와 캡부(1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일정의 탄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소재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On the other hand, while the contacting
덧붙여, 상기 걸림턱(214)은 직각 삼각형, 타원형, 반원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걸림홀(150)에 보다 확실하게 걸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직각 삼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상기 걸림턱(214)이 직각 삼각형 형상일 경우, 직각 삼각형의 수직면부가 걸림홀(150)의 내측면부에 접촉되는 상태를 가진다. In addition, the latching
한편, 상기 걸림턱(214)은 이하와 같은 구체적인 방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연결부(210)가 플라스틱 수지로 이루어질 때에는 사출 금형 형상을 통해 성형될 수 있고, 상기 연결부(210)가 금속재로 이루어질 때에는 연결부(210)의 외주면을 대략 '∪'자 형상으로 절개한 후 일측으로 젖혀서 형성될 수 있고, 프레스의 슬리팅(slitting), 엠보싱 및 용접 공정을 통해서도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ocking
전술한 제1 내지 제3실시예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캡부(100)의 외주면과 상기 연결부(210)의 내주면은 서로 접촉하는 상태를 가지게 되는데 상호 접촉 면부의 마찰을 증가시켜 상호 마찰에 의한 서로 간의 결합력을 보다 증가시키도록, 상기 캡부(100)의 외주면과 상기 연결부(210)의 내주면에는 미끄럼 방지 처리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상기 캡부(100)와 연결부(210)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미끄럼방지 처리는 사출 성형을 위한 금형 제작시에 부식방지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부(100)와 연결부(210)가 각각 금속재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미끄럼방지 처리는 프레스 공정을 통해 제작된 상기 구성품에 헤어라인(HAIR-LINE) 성형, 널링 등과 같은 별도의 표면 작업 등을 적용함으로써 부여될 수 있다.When the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is specific embodiment, those skilled in the art is appropriate within the scope described in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nged or modified.
일 예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캡부(100)에 전술한 제1실시예의 체결홈(110) 대신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의 관통된 체결홀(160)을 형성시키고, 상 기 체결홀(160) 주위의 상기 캡부(100)의 내측 상면부에서 하방으로 돌출하도록 지지대(17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대(170)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체결홀(16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된 다수로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instead of the
이때, 상기 연결부(210)의 단부는 상기 체결홀(160)을 지나 상기 지지대(170)의 내면에 접촉하게 되며 이를 위해서 상기 연결부(210)의 길이는 제1실시예에 적용된 것에 비해 증가되어야 함은 물론이다.At this time, the end portion of th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가드레일용 델리니에이터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1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guardrail delinea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용 델리니에이터가 지주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Figure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uardrail delimin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holding post.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도 4는 도 3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FIG. 3.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용 델리니에이터가 지주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uardrail delimina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holding post.
도 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용 델리니에이터가 지주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Figure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uardrail deliminat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holding post.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용 델리니에이터가 지주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Figure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uardrail delimin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holding post.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0: 캡부 110: 체결홈100: cap 110: fastening groove
120: 확장홈부 130: 제1 걸림돌기120: expansion groove 130: first locking projection
140: 제1 나사산 150: 걸림홀140: first thread 150: engaging hole
160: 체결홀 170: 지지대160: fastening hole 170: support
200: 반사체 210: 연결부200: reflector 210: connection portion
211: 확장부 212: 제2 걸림홈211: expansion portion 212: second locking groove
213: 제2 나사산 214: 걸림턱213: second thread 214: locking jaw
220: 반사부 300: 지주대220: reflector 300: props
Claims (9)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11505U KR200449448Y1 (en) | 2009-09-02 | 2009-09-02 | Delineator for guard rail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11505U KR200449448Y1 (en) | 2009-09-02 | 2009-09-02 | Delineator for guard rail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49448Y1 true KR200449448Y1 (en) | 2010-07-12 |
Family
ID=44242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90011505U KR200449448Y1 (en) | 2009-09-02 | 2009-09-02 | Delineator for guard rail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49448Y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9892B1 (en) * | 2010-08-16 | 2011-07-19 | 김형근 | Road Guards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04841A (en) | 1997-01-23 | 1998-08-04 | Sekisui Jushi Co Ltd | Protection fence |
KR200245549Y1 (en) * | 1999-01-12 | 2001-10-27 | 이종무 | Cap structure of way guide rail support |
KR20020045549A (en) * | 2000-12-06 | 2002-06-19 | 미다라이 후지오 | Image displaying apparatus |
KR20030091847A (en) * | 2003-09-04 | 2003-12-03 | 권기홍 | The manure manufacturing-process for ecology restoration by using wastewater-sluge |
KR200391847Y1 (en) | 2005-05-11 | 2005-08-09 | 김종석 | A mounting structure of support cap for guardrail |
KR20090038114A (en) * | 2007-10-15 | 2009-04-20 | 서울특별시시설관리공단 | Derailer Structure for Guard Rail Struts |
-
2009
- 2009-09-02 KR KR2020090011505U patent/KR200449448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04841A (en) | 1997-01-23 | 1998-08-04 | Sekisui Jushi Co Ltd | Protection fence |
KR200245549Y1 (en) * | 1999-01-12 | 2001-10-27 | 이종무 | Cap structure of way guide rail support |
KR20020045549A (en) * | 2000-12-06 | 2002-06-19 | 미다라이 후지오 | Image displaying apparatus |
KR20030091847A (en) * | 2003-09-04 | 2003-12-03 | 권기홍 | The manure manufacturing-process for ecology restoration by using wastewater-sluge |
KR200391847Y1 (en) | 2005-05-11 | 2005-08-09 | 김종석 | A mounting structure of support cap for guardrail |
KR20090038114A (en) * | 2007-10-15 | 2009-04-20 | 서울특별시시설관리공단 | Derailer Structure for Guard Rail Struts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9892B1 (en) * | 2010-08-16 | 2011-07-19 | 김형근 | Road Guard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90313927A1 (en) | Protective cap for reinforcing bars | |
US11013328B1 (en) | Impact barrier for a storage unit | |
CN113566176A (en) | Fixed anti-skid locking device and multifunctional rod comprising same | |
US6073415A (en) | Device and method for protecting from reinforcement bar injury | |
JP2013535596A (en) | Bendable pole for wire rope safety fence | |
KR101315991B1 (en) | A road line safety pillar | |
KR200449448Y1 (en) | Delineator for guard rails | |
KR200462194Y1 (en) | The protection cap for a bolt and nut | |
US20130068899A1 (en) | Cable fastening device | |
JP4000274B2 (en) | Road sign pillar | |
JP4063572B2 (en) | Road sign pillar | |
KR100880271B1 (en) | Lane Regulator | |
KR101815641B1 (en) | A lane separator | |
JP2015094111A (en) | Reflection member for protective fence column | |
US9371101B1 (en) | Bicycle parking rack featuring flexible rope wire | |
CN210439833U (en) | Cover lock bouncing post | |
KR100836787B1 (en) | Lane Regulator | |
KR101058356B1 (en) | Bicycle fence | |
KR200413412Y1 (en) | Safety indicator | |
CN202073059U (en) | Large stand column device for highway barrier | |
JP4948497B2 (en) | Vertical facing exterior structure | |
JP3818418B2 (en) | Protective fence | |
KR102486200B1 (en) | Post cap for fe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JP5846769B2 (en) | Barricade clamp | |
KR200459403Y1 (en) | Bollar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90902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UA0301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07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02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91130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2D Patent event date: 20100329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0053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0070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00705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7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7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7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7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7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8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6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EXPY | Expiration of term | ||
U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20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