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941Y1 - Portable lighting equipment - Google Patents
Portable lighting equip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48941Y1 KR200448941Y1 KR20080004667U KR20080004667U KR200448941Y1 KR 200448941 Y1 KR200448941 Y1 KR 200448941Y1 KR 20080004667 U KR20080004667 U KR 20080004667U KR 20080004667 U KR20080004667 U KR 20080004667U KR 200448941 Y1 KR200448941 Y1 KR 20044894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e
- lighting device
- circular
- portable lighting
- portab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2—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F21L4/022—Pocket lamps
- F21L4/027—Pocket lamps the light sources being a L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5—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magne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휴대용 조명장치에 대한 고안이 개시된다. 개시된 휴대용 조명장치는: 휴대용전지가 내장된 케이스부와, 상기 케이스부의 일측면에 원주 방향으로 통공이 형성된 원형장착부와, 상기 원형장착부에 장착되어 상기 통공을 통하여 외측으로 빛을 발하는 원형조명부 및 상기 원형조명부를 내장한 상기 케이스부가 작업공간의 일측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원형장착부, 원형조명부, 발광전구, 곡면기판, 자석부재
Disclosed is a design for a portable lighting device. The disclosed portable lighting device includes: a case part with a built-in portable battery, a circular mounting part having a circumferential hole formed on one side of the case part, a circular lighting part mounted to the circular mounting part to emit light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the The case part having a built-in circular ligh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ing portion to be fixed to one side of the workspace.
Circular mounting part, circular lighting part, light emitting bulb, curved board, magnet member
Description
본 고안은 휴대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주방향으로 빛을 발하는 원형조명부가 복수로 구분된 것에 의하여 조명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으며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휴대용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ligh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lighting device that can adjust the intensity of the light by being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ircular light emitting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easy to maintain.
일반적으로, 손전등과 같은 휴대용 조명장치는 야간이나 어두울 경우 자동차 수리나 기타 작업에 필요한 시야를 확보하기 위하여 사용한다.In general, a portable lighting device such as a flashlight is used to secure the field of vision required for car repair or other work at night or in the dark.
상기 손전등은 단일 전구를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전구의 수명이 다할 경우 사용을 하지 못하게 되며, 작업의 정도에 따라 조명의 세기를 조절하지 못한다.The flashlight can not be used when the life of the bulb by the use of a single bulb, and can not adjust the intensity of the light according to the degree of work.
그리고, 자동차 수리시 보닛(bonnet)을 열고 조명을 비추며 작업하기에는 한손은 조명장치를 잡고 있어야 하는 것에 의하여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된다.In addition, when the vehicle is repaired, one hand must hold the lighting device to open the bonnet and illuminate the light, thereby reducing work efficiency.
그리고, 조명장치는 조명이 설치되는 공간과 배터리가 설치되는 공간이 별도로 구획된 것에 의하여 제품의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과 각 부품간의 결합이 볼트 체결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는 것에 의하여 조립공정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In addition, the lighting device has a problem in that the volume of the product is increased by separately partitioning the space where the lighting is installed and the battery where the battery is installed, and the assembly process is increased because the coupling between the components is performed only by bolting. .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improvement.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단일 전구를 구비한 조명장치에 의하여 조명의 세기를 조절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휴대용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by the necessity as described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lighting device for solving the problem of not being able to control the intensity of the light by the lighting device having a single bulb.
또한 본 고안은 단일 전구를 사용하는 조명장치에서 전구의 수명이 다하면 조명장치를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휴대용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lighting device for solving the problem of not using the lighting device when the lifetime of the bulb in the lighting device using a single bulb.
또한 본 고안은 조명장치는 조명이 설치되는 공간과 배터리가 설치되는 공간이 별도로 구획된 것에 의하여 제품의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과 각 부품간의 결합이 볼트 체결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는 것에 의하여 조립공정이 증가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휴대용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oblem that the lighting device is a problem that the volume of the product is largely divided by the space in which the lighting is installed and the battery is installed separately, and that the assembly process is increased by only the fastening of the bolts between the component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portable lighting device for solving the problem.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조명장치는: 휴대용전지가 내장된 케이스부와, 상기 케이스부의 일측면에 원주 방향으로 통공이 형성된 원형장착부와, 상기 원형장착부에 장착되어 상기 통공을 통하여 외측으로 빛을 발하는 원형조명부 및 상기 원형조명부를 내장한 상기 케이스부가 작업공간의 일측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ortabl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se portion with a built-in portable battery, a circular mounting portion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case portion, a circular mounting portion mounted on the circular mounting portion to emit light through the through hol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ing portion to be fixed to one side of the workspace with the lighting unit and the built-in circular lighting unit.
또한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원형장착부가 구비된 제1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 스에 고정되는 제2케이스로 구성되며, 상기 제2케이스 후측에 구비된 상기 고정부가 상기 제2케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1케이스에 고정되도록 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ase part may include a first case having the circular mounting part and a second case fixed to the first case, and the fixing part provided at a rear side of the second case through the second case.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fastening portion to be fixed to.
또한 상기 체결부는 상기 고정부에서 돌출된 체결나사부재와, 상기 체결나사부재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2케이스에 구멍이 형성된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양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체결나사부재의 측면을 감싸는 탄성고정부재 및 상기 탄성고정부재를 통과한 상기 체결나사부재의 일단이 고정되도록 상기 제1케이스에 구비된 암나사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astening part may include a fastening screw member protruding from the fixing part, an insertion part having a hole formed in the second case so that the fastening screw member is inserted, and an elastic part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insertion part to surround the fastening screw member.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female screw member provided in the first case so that one end of the fastening screw member passing through the fixing member and the elastic fixing member.
또한 상기 탄성고정부재와 접하는 상기 체결나사부재의 측면에는 체결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astening groove is preferably formed on the side of the fastening screw member in contact with the elastic fixing member.
또한 상기 케이스부에는 상기 휴대용전지가 개별 장착되기 위한 장착홈과 장착단자가 구비된 개별장착부 및 상기 개별장착부의 장착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ase portion preferably includes a mounting groove for mounting the portable battery individually and the individual mounting portion provided with the mounting terminal and a connecting membe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mounting terminal of the individual mounting portion.
또한 상기 케이스부에서 상기 통공 주위에 있는 측면이 깔대기 형상으로 함입되어 반사면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ide of the periphery of the through-hole in the case portion is formed into a funnel shape to form a reflective surface.
또한 상기 원형조명부는, 상기 통공에 개별적으로 삽입되어 빛을 발하는 발광전구 및 상기 발광전구의 일단이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받도록 회로가 인쇄된 곡면기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ircular lighting unit,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light emitting bulb which is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individually and emits light and a curved substrate printed circuit so that one end of the light emitting bulb is connected to receive electricity.
또한 상기 곡면기판은 원주 형상을 따라서 2개 내지 5개의 부분으로 분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urved substrate is preferably divided into two to five parts along the circumferential shape.
또한 상기 고정부는 철을 구비한 작업공간의 일측에 상기 케이스부가 고정되도록 자석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xing unit preferably includes a magnet member so that the case portion is fixed to one side of the workspace with iron.
또한 상기 케이스부에 양단이 힌지 연결된 손잡이고리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andle ring is further provided hinged to both ends of the cas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조명장치는 종래 고안과 달리 발광전구가 복수로 구비된 것에 의하여 조명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몇개의 발광전구가 고장난다 하여도 다른 발광전구에 의하여 조명을 비추는 작업을 계속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제품의 동작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intensity of the light by being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bulbs, unlike the conventional design, even if several light bulbs are broken by other light emitting bulbs It is possible to continue to work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operation of the product.
또한, 본 고안은 발광전구를 구비한 원형조명부가 설치되는 공간과 휴대용전지가 설치되는 공간이 제1케이스 내에 구비된 것에 의하여 제품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size of the product by having a space in which the circular lighting unit having a light emitting bulb is installed and a space in which the portable battery is installed in the first case.
또한, 본 고안은 고정부와 제1케이스가 볼트체결에 의하여 고정되면서 제2케이스도 제1케이스와 고정부 사이에 고정되는 것에 의하여 제2케이스의 조립공정이 감소됨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productivity as the assembly process of the second case is reduced by being fixed between the first case and the fixing part while the second case is fixed between the fixing part and the first cas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조명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자동차 정비에 사용되는 휴대용 조명장치를 예 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a portabl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 description will be given using a portable lighting device used for automobile maintenance as an example.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an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조명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원형조명부와 원형장착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조명장치가 결합 된 상태의 후면을 보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휴대용 조명장치의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휴대용 조명장치의 전면을 보이는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circular lighting unit and the circular mounting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shown in Figure 1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rtable lighting apparatus illustrated in FIG. 3,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front surface of the portable lighting apparatus illustrated in FIG. 3.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조명장치는, 휴대용전지(38)가 내장된 케이스부(1)와, 케이스부(1)의 일측면에 원주 방향으로 통공(12)이 형성된 원형장착부(10)와, 원형장착부(10)에 장착되어 통공(12)을 통하여 외측으로 빛을 발하는 원형조명부(20) 및 원형조명부(20)를 내장한 케이스부(1)가 작업공간의 일측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40)를 포함한다.1 to 5, a portabl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휴대용전지(38)로 건전지를 사용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원형조명부(2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전지가 사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use a battery as a
원형조명부(2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휴대용전지(38) 외에도 외부전원과 접하는 전원커넥터도 병행하여 사용하거나 전원커넥터만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원형조명부(20)가 내측에 장착되는 케이스부(1)는 제1케이스(3)와 제2케이스(5)로 구분된다.The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케이스(3)와 제2케이스(5)를 원판 형상으로 형성하나, 제1케이스(3)와 제2케이스(5)의 형상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원형조명부(20)와 휴대용 전지 등이 장착되기 위하여 내측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의 제1케이스(3)와 제2케이스(5)로 이루어진 케이스부(1)가 사용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고안 일 실시예에 의한 원형장착부(10)는 제1케이스(3)의 전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통공(12)이 형성된다.
원형장착부(10)의 통공(12)으로 원형조명부(20)의 발광전구(24)가 삽입되어 장착이 이루어지며, 하나의 통공(12)에 하나의 발광전구(24)가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발광전구(24)는 엘이디전구를 포함하여 다양한 종류의 전구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제1케이스(3)의 전면에서 볼 때 통공(12) 주위에 있는 제1케이스(3)의 측면이 깔대기 형상으로 함입되어 반사면(14)을 형성하게 된다.As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상기 반사면(14)에는 반사도료가 도포되어 반사율을 향상시키게 되며, 이로 인하여 발광전구(24)가 작동될 때 케이스부(1)의 전면(도 1기준 좌측)으로 보다 많은 빛을 보낼 수 있게 된다.Reflective paint is applied to the
또한 케이스부(1)에는 휴대용전지(38)가 개별 장착되기 위한 장착홈(32)과 장착단자(34)가 구비된 개별장착부(30)가 구비된다.In addition, the
휴대용전지(38)는 복수로 구비되어 직렬로 연결되며, 이를 위하여 제1케이스(3)의 내측에는 휴대용전지(38)를 개별적으로 감싸는 격벽이 돌출 형성되며, 휴대용전지(38)의 양극과 접하는 격벽에는 도체 재질의 장착단자(34)가 구비된다.The
그리고, 개별장착부(30)의 장착단자(34)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36)가 구비되어 휴대용전지(38)는 직렬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In addition, the
원주 형상을 따라 통공(12)이 구비된 원형장착부(10)에 장착되는 원형조명부(20)는 통공(12)에 개별적으로 삽입되어 빛을 발하는 발광전구(24) 및 발광전구(24)의 일단이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받도록 회로가 인쇄된 곡면기판(22)을 포함하게 된다.The
곡면기판(22)은 원주 형상을 따라서 통공(12)이 형성된 원형장착부(10)와 대응하도록 원주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곡면기판(22)은 링 형상으로 된 단일기판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2개 내지 5개의 부분으로 곡면기판(22)이 분할 형성된다.The
이로 인하여, 각 곡면기판(22) 별로 장착된 발광전구(24)를 작동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예를 들어 곡면기판(22)이 3개 구비되며, 각 곡면기판(22) 별로 발광전구(24)가 구비된 경우, 강한 조명을 원하는 경우 3개의 곡면기판(22)에 있는 발광전구(24)를 전부 작동시키게 되며, 약한 조명을 원하는 경우 1개 또는 2개의 곡면기판(22)에 있는 발광전구(24)만을 작동시키는 등 다양한 동작 예가 가능할 것이다.For example, when three
그리고,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곡면기판(22)은 그 형상이 원호를 그리며 형성된 것에 의하여 공간활용도를 극대화하게 된다.And, the
예를 들어 곡면기판(22)과 동일한 개수의 발광전구(24)를 장착한 직선 형상의 인쇄회로기판을 사용하는 경우, 곡면기판(22)에 비하여 설치공간이 많이 필요한 것에 의하여 제품의 외형 치수가 증가하게 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using a linear printed circuit board equipped with the same number of
따라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곡면기판(22)을 사용하는 것이 직선 형상의 회로기판을 사용하는 것보다 공간활용도가 높아지게 된다.Therefore, the use of the
제1케이스(3)와 결합되는 제2케이스(5)의 후면에는 고정부(40)가 구비된다.A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고정부(40)는 철을 구비한 작업공간의 일측에 케이스부(1)가 고정되도록 자성을 갖는 자석부재(44)를 포함한다.The
고정부(40)에는 자석부재(44)가 삽입되어 고정되기 위한 홈이 형성된 회전몸체(42)가 구비된다.The
그리고, 케이스부(1)에 양단이 힌지 연결된 손잡이고리(80)가 더 구비되어 사용자가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조명장치를 휴대하거나 이동하기 용이하게 된다.And, the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조명장치의 제1케이스(3)와 제2케이스(5)와 고정부(40)는 다른 부분으로 이루어져 별도의 체결작업이 요구되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2케이스(5)와 고정부(40)는 일체로 형성되고 제1케이스(3)와 제2케이스(5)의 고정작업만 요구되는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된 실시예가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조명장치에는 제2케이스(5) 후측에 구비된 고정 부(40)가 제2케이스(5)를 통하여 제1케이스(3)에 고정되도록 하는 체결부(50)를 더 포함하게 된다.The portabl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fastening part 50 which allows the fixing
체결부(50)는 고정부(40)에서 돌출된 체결나사부재(52)와, 체결나사부재(52)가 삽입되도록 제2케이스(5)에 구멍이 형성된 삽입부(56)와, 삽입부(56)의 양측에서 돌출되어 체결나사부재(52)의 측면을 감싸는 탄성고정부재(60) 및 탄성고정부재(60)를 통과한 체결나사부재(52)의 일단이 고정되도록 제1케이스(3)에 구비된 암나사부재(59)를 포함한다.The fastening part 50 includes a
체결나사부재(52)의 일단은 회전몸체(42)의 중심에 삽입된 상태로 인서트 사출되어 체결나사부재(52)와 회전몸체(42)가 일체로 형성된다.One end of the
체결나사부재(52)의 타단에는 숫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탄성고정부재(60)와 접하는 체결나사부재(52)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있는 체결나사부재(52)의 측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체결홈(54)이 형성된다.A male thread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그리고, 삽입부(56)는 고정부(40)에 일체로 된 체결나사부재(52)가 삽입되도록 제2케이스(5)의 중심부에 구멍이 형성되나, 체결나사부재(52)가 관통되기 위하여 제2케이스(5)에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기술 사상 안에서 다양한 위치에 삽입부(56)가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e
삽입부(56)가 형성된 주변의 제2케이스(5)에는 탄성고정부재(60)가 구비된다. 탄성고정부재(60)는 삽입부(56)를 관통 설치된 체결나사부재(52)의 측면을 감싸며 고정되기 위한 기술 사상 안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삽입부(56)의 양측에 있는 제2케이스(5)의 내측에서 연장되어 삽입 부(56)의 구멍을 향하여 연장된 제1고정부재(62)와 제2고정부재(64)가 구비된다.The elastic fixing
제1고정부재(62)와 제2고정부재(64)는 체결나사부재(52)의 몸통이 관통되기 위하여 이격 설치되며, 제1고정부재(62)와 제2고정부재(64)의 일단에는 체결나사부재(52)의 체결홈(54)의 외주면을 감싸는 걸이홈(66)이 각각 형성된다.The first fixing
제1케이스(3)의 내측에는 원형조명부(20)와 연결되어 스위치부(70)가 설치된다. 스위치부(70)는 케이스부(1)의 외측으로 돌출된 조작버튼(72)과, 조작버튼(72)의 일단이 연결된 스위치기판(74)을 포함하게 된다.Inside the
조작버튼(72)은 돌리는 정도에 의하여 전원 온오프와 불빛의 세기를 강중약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조작버튼(72)의 돌리는 정도를 조절하여 휴대용 조명장치의 작동상태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e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조작버튼(72)은 누르는 방식에 의하여 작동되어 원형조명부(20)가 전체적으로 켜지거나 꺼지는 동작을 갖게 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조명장치의 조립공정과 작동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The assembly process and operation state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회전몸체(42)에 체결나사부재(52)를 인서트사출로 고정시킨 후에, 회전몸체(42)에 자석부재(44)를 장착하여 고정부(40)를 구성하게 된다.After the
그리고, 고정부(40)를 제2케이스(5)의 후측(도1 기준 우측)에 밀착되게 하여 체결나사부재(52)가 제2케이스(5)의 삽입부(56)를 통하여 삽입되도록 한다.Then, the fixing
이로 인하여, 체결나사부재(52)는 제1고정부재(62)와 제2고정부재(64)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삽입된다. 제1고정부재(62)와 제2고정부재(64)는 체결나사부 재(52)의 삽입에 의하여 양측으로 벌어진 후 체결나사부재(52)의 체결홈(54)에 걸이홈(66)이 형성된 제1고정부재(62)와 제2고정부재(64)의 일단이 다시 모이면서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에 의하여, 체결나사부재(52)가 제1고정부재(62)와 제2고정부재(64) 사이에 걸린 상태가 유지된다.As a result, the
작업자가 고정부(40)를 돌리는 것에 의하여 체결나사부재(52)의 일단이 제1케이스(3)에 구비된 암나사부재(59)에 삽입되어 제1케이스(3)와 고정부(40)가 상호 고정된다.As the operator rotates the fixing
제2케이스(5)는 제1케이스(3)와 고정부(40) 사이에 끼어서 고정된 상태를 이루게 되며, 제1케이스(3)와 제2케이스(5)가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됨을 방지하도록 제1케이스(3)와 제2케이스(5)의 측면에는 안내홈과 삽입돌기가 각각 형성된다.The
원형조명부(20)는 원형장착부(10)의 후측에서 결합이 이루어지며, 개개의 발광전구(24)가 통공(12)에 삽입되도록 설치된다.The
곡면기판(22)은 연결선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스위치부(70)의 조작버튼(72) 동작에 의해 온오프와 각 곡면기판(22)의 작동여부가 결정되어 불빛 세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e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art belong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therefrom. Will understand.
또한, 자동차의 정비에 사용되는 휴대용 조명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자동차 정비에 사용되는 휴대용 조명장치가 아 닌 다양한 용도에도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조명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used for the maintenance of the vehicle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for various uses other than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used for the automobile maintenance.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조명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원형조명부와 원형장착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ate of the circular light unit and the circular mounting unit shown in FIG. 1.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조명장치가 결합 된 상태의 후면을 보이는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ar of the portable lighting apparatus shown in Figure 1 is coupled.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휴대용 조명장치의 측단면도이다.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rtable lighting apparatus shown in FIG. 3.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휴대용 조명장치의 전면을 보이는 사시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ront surface of the portable lighting device shown in FIG. 3.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 케이스부 3: 제1케이스1: Case part 3: First case
5: 제2케이스 10: 원형장착부5: 2nd case 10: circular mounting part
12: 통공 14: 반사면12: through hole 14: reflective surface
20: 원형조명부 22: 곡면기판20: circular lighting unit 22: curved substrate
24: 발광전구 30: 개별장착부24: light emitting bulb 30: individual mounting portion
32: 장착홈 34: 장착단자32: mounting groove 34: mounting terminal
36: 연결부재 38: 휴대용전지36: connection member 38: portable battery
40: 고정부 42: 회전몸체40: fixed part 42: rotating body
44: 자석부재 50: 체결부44: magnet member 50: fastening portion
52: 체결나사부재 54: 체결홈52: fastening screw member 54: fastening groove
56: 삽입부 59: 암나사부재56: insertion portion 59: female thread member
60: 탄성고정부재 62: 제1고정부재60: elastic fixing member 62: first fixing member
64: 제2고정부재 66: 걸이홈64: second fixing member 66: hook groove
70: 스위치부 72: 조작버튼70: switch unit 72: operation button
74: 스위치기판 80: 손잡이고리74: switch substrate 80: handle hook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80004667U KR200448941Y1 (en) | 2008-04-08 | 2008-04-08 | Portable lighting equip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80004667U KR200448941Y1 (en) | 2008-04-08 | 2008-04-08 | Portable lighting equipmen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10396U KR20090010396U (en) | 2009-10-13 |
KR200448941Y1 true KR200448941Y1 (en) | 2010-06-09 |
Family
ID=41537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080004667U Expired - Lifetime KR200448941Y1 (en) | 2008-04-08 | 2008-04-08 | Portable lighting equip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48941Y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1915Y1 (en) * | 2012-03-09 | 2014-04-02 | 황용기 | Lighting Apparautus. |
KR102033525B1 (en) * | 2018-09-17 | 2019-10-17 | 윈디텍 주식회사 | Airbreak indicator installation unit of wind turbine generator and its method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18243Y1 (en) | 2003-03-28 | 2003-06-27 | 서울삼강조명공업주식회사 | A Potable Type Hand Lamp |
KR200364445Y1 (en) | 2004-07-14 | 2004-10-11 | 최재고 | Small-type lighihg device |
KR200433632Y1 (en) | 2006-09-28 | 2006-12-11 | 김기창 | Fountain lamp |
-
2008
- 2008-04-08 KR KR20080004667U patent/KR200448941Y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18243Y1 (en) | 2003-03-28 | 2003-06-27 | 서울삼강조명공업주식회사 | A Potable Type Hand Lamp |
KR200364445Y1 (en) | 2004-07-14 | 2004-10-11 | 최재고 | Small-type lighihg device |
KR200433632Y1 (en) | 2006-09-28 | 2006-12-11 | 김기창 | Fountain lamp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10396U (en) | 2009-10-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470377B1 (en) | LED lamp | |
US7806557B2 (en) | Lighting unit, receptacle unit, and assembly thereof | |
US20080278931A1 (en) | Tool structure with illumination | |
US7926991B2 (en) | Connecting device for vehicle-mounted light source device and light source device connected thereto | |
KR200448941Y1 (en) | Portable lighting equipment | |
CN213810069U (en) | Lamp fitting | |
CN205261289U (en) | Light source module and lighting device | |
KR101853187B1 (en) | Line type lighting device | |
KR20090102026A (en) | Safety led lighting fitting from short circuit | |
CN110925614A (en) | Convenient replacement formula LED lamps and lanterns | |
WO2013094223A1 (en) | Led lighting device | |
KR200465943Y1 (en) | Led lighting device having limit switch | |
JP2018026351A (en) | Display device | |
CN112483912A (en) | Lamp fitting | |
US9512967B2 (en) | Straight type lamp | |
CN111156438A (en) | Multifunctional handheld electric lamp | |
JP6317831B1 (en) | Light source assembly | |
CN220453553U (en) | Emergency lighting lamp with lamp body convenient to replace | |
JP2020135995A (en) | lighting equipment | |
CN222849177U (en) | A tree light | |
CN111156437A (en) | Multifunctional handheld electric lamp | |
KR200409283Y1 (en) | PCB with through hole of bulb contact terminal function in automobile interior light | |
CN218819805U (en) | Ceiling lamp | |
JP2011249083A (en) | Lighting fixture and lighting system using the same | |
CN218268813U (en) | Magnetic lamp plate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80408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0022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0052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00527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27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5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