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48554Y1 - 파티션 겸용 걸이대 - Google Patents

파티션 겸용 걸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8554Y1
KR200448554Y1 KR2020070021086U KR20070021086U KR200448554Y1 KR 200448554 Y1 KR200448554 Y1 KR 200448554Y1 KR 2020070021086 U KR2020070021086 U KR 2020070021086U KR 20070021086 U KR20070021086 U KR 20070021086U KR 200448554 Y1 KR200448554 Y1 KR 2004485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ost
wall
partition
kitchen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210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6766U (ko
Inventor
오수근
성호진
유석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남
Priority to KR20200700210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554Y1/ko
Publication of KR200900067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7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5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55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4Partition 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파티션 겸용 걸이대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파티션 겸용 걸이대는, 외면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Guide groove)이 각각 형성되며, 설치벽에 상호 이격되어 직립 배치 가능한 한 쌍의 지지포스트; 및 가이드홈에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공간을 구획하는 칸막이를 형성함과 아울러 주방용 걸이대가 걸림 가능한 수직형 가이드 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주위 공간과 조화를 이루면서도 주방 싱크대로부터 물기가 거실 측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고 아이들이 주방용 렌지 등으로 용이하게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정된 공간에서 다양한 용품을 적절하고 효율적으로 걸 수 있도록 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주방, 싱크대, 지지포스트, 완충부재, 흔들림 방지부재

Description

파티션 겸용 걸이대{Combination Hanger and Partition}
본 고안은, 파티션 겸용 걸이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위 공간과 조화를 이루면서도 주방 싱크대로부터 물기가 거실 측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고 아이들이 주방용 렌지 등으로 용이하게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정된 공간에서 다양한 용품을 적절하고 효율적으로 걸 수 있도록 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파티션 겸용 걸이대에 관한 것이다.
파티션(Partition)은 '공간의 구획', '공간을 분할하는 칸막이'라는 의미로서, 현재 실생활에서는 공간을 나누는 칸막이 및 그 일체를 통칭하는 말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현재 대다수의 회사 사무실, 연구소, 작업장 등에서는 파티션을 설치하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 가정집에서도 파티션이 활용되고 있다. 독립적이고 지극히 개인적인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물품 수납이나 정렬 등을 효율적이고 보기 좋게 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파티션은 개인의 활동 공간 또는 작업 공간을 확보하여 작업 능률과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 한정된 공간을 적절히 구획하여 공간 활용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오픈 스타일의 '아일랜드 키친'이 유행을 하고 있는데, '아일 랜드 키친'은 대면형 주방이라고도 한다. 그런데 이 '아일랜드 키친'은 주부만의 공간이 아닌 온 가족과 자녀가 함께 할 수 있는 공간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장점이 있으나, 이러한 아일랜드 키친에서는 오픈 스타일이어서 주방 싱크대로부터 물기가 거실 측으로 튈 수 있으며 아이들이 주방용 렌지 등으로 용이하게 접근하여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주위 공간과 조화를 이루면서도 주방 싱크대로부터 물기가 거실 측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고 아이들이 주방용 렌지 등으로 용이하게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물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사무실 또는 일반 가정의 한정된 공간을 적절히 활용하기 위해서는 각종 물품이 찾기 쉬운 곳에 수납되고 배치되어야 한다. 주방을 예로 들면, 식기, 각종 주방용품 등 주방기구들은 그 수도 많을 뿐만 아니라 그 종류도 다양하다. 사용자는 다양한 주방용품에 쉽게 접근할 수 있어야 하고, 사용한 주방용품을 제 위치에 배치 및 정렬시킬 수 있어야 한다. 다양한 용품을 평면상에 나열하면 배치는 용이할지 모르나 접근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한정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유휴 공간을 적절히 활용하는 방안도 요구된다. 주방에서 싱크대 주변의 유휴 공간을 활용하여 공간 효율을 높일 필요가 있다.
따라서 주위 공간과 조화를 이루면서도 주방 싱크대로부터 물기가 거실 측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고 아이들이 주방용 렌지 등으로 용이하게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정된 공간에서 다양한 용품을 적절하고 효율적으로 걸 수 있도록 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구조물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주위 공간과 조화를 이루면서도 주방 싱크대로부터 물기가 거실 측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고 아이들이 주방용 렌지 등으로 용이하게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정된 공간에서 다양한 용품을 적절하고 효율적으로 걸 수 있도록 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파티션 겸용 걸이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외면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Guide groove)이 각각 형성되며, 설치벽에 상호 이격되어 직립 배치 가능한 한 쌍의 지지포스트; 및 상기 가이드홈에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공간을 구획하는 칸막이를 형성함과 아울러 주방용 걸이대가 걸림 가능한 수직형 가이드 벽체를 포함하는 파티션 겸용 걸이대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가이드홈 내면에 마련되어 상기 가이드홈으로 체결되는 상기 수직형 가이드 벽체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흔들림 방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흔들림 방지부재는 PVC 재질이며, 내측면이 요철 형상을 가지고 상기 가이드홈 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포스트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형 가이드 벽체의 상부측 이탈을 저지하는 캡; 및 상기 설치벽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포스트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포스트를 상기 설치벽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설치벽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포스트의 하단부에 나사결 합되는 고정나사; 및 상기 고정나사와 상기 설치벽 사이에 개재되는 고정와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치벽과 상기 지지포스트의 손상을 저지하기 위하여 상기 설치벽과 상기 지지포스트 하단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은 상기 지지포스트와 나사결합되며, 상기 완충부재는 실리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지지포스트는, 내부중공프레임; 상기 내부중공프레임의 일측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형성하는 가이드프레임; 상기 내부중공프레임의 타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강도보강프레임; 및 상기 내부중공프레임에 외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강도보강프레임을 연결하는 외부중공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포스트는 압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설치벽은 주방의 싱크대이며, 상기 수직형 가이드 벽체는 투명한 유리 재질이며, 상기 수직형 벽체의 하단면은 상기 설치벽과 접면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주위 공간과 조화를 이루면서도 주방 싱크대로부터 물기가 거실 측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고 아이들이 주방용 렌지 등으로 용이하게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정된 공간에서 다양한 용품을 적절하고 효율적으로 걸 수 있도록 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 겸용 걸이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지지포스트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지지포스트의 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완충부재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 겸용 걸이대는, 주방 예를 들어 '아일랜드 키친'의 주방 등의 싱크대 등에 설치되어, 주위 공간과 조화를 이루면서도 주방 싱크대로부터 물기가 거실 측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고 아이들이 주방용 렌지 등으로 용이하게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정된 공간에서 다양한 용품을 적절하고 효율적으로 걸 수 있도록 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 겸용 걸이대는, 고정나사(41)를 통해 설치벽(B)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지지포스트(20)와, 지지포스트(20)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어 설치벽(B)에 설치되는 지지포스트(20)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완충부재(30)와, 지지포스트(20)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수직형 가이드 벽체(W)와, 지지포스트(2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수직형 가이드 벽체(W)의 상부측 이탈을 저지하는 캡(10)과, 지지포스트(20)를 설치벽(B)에 고정시키는 고정부(40)를 포함한다.
지지포스트(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 및 하단부에 내부의 중앙영역에 길이방향으로 나사공(22)이 형성되며 대략 원형 단면의 봉 타입으로 마련된다. 후술할 고정나사(41)가 설치벽(B)을 사이에 두고 나사공(22)에 체결되면 지지포스트(20)가 설치벽(B)에 결합된다.
지지포스트(20)는 설치벽(B)에 고정되어 파티션의 골격을 형성하고, 또한 지지포스트(20)에 연결되는 수직형 가이드 벽체(W)와, 수직형 가이드 벽체(W)의 일측에 마련되는 별도의 주방용 걸이대(A)를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지지포스트(20)는,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공(22)이 형성되는 내부중공프레임(24)과, 내부중공프레임(24)의 일측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가이드홈(23)을 형성하는 가이드프레임(25)과, 내부중공프레임(24)의 타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강도보강프레임(26)과, 내부중공프레임(24)에 외측으로 이격되어 가이드프레임(25)과 강도보강프레임(26)을 연결하는 외부중공프레임(27)을 구비한다.
여기서 지지포스트(20)는 압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제작된다. 즉 내부중공프레임(24)과, 가이드프레임(25)과, 강도보강프레임(26)과, 외부중공프레임(27)이 압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제작된다. 압출 성형은 제작이 간단하고, 대량 생산이 가능한 장점이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의 지지포스트(20)의 단면에 형성된 복수의 프레임(24, 25, 26, 27)과 같이 복잡한 구조도 손쉽게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압출 성형된 지지포스트(20)는 샌딩(sanding) 처리하고 피막으로 마감된다.
한편, 지지포스트(20)는 일반 사용자가 손쉽게 분해하고 쉽게 이동 설치할 수 있도록 지지포스트(20) 자체의 무게는 가벼워야 한다. 이를 위해 지지포스 트(20)는 경량 재질이 선호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지지포스트(20)의 소재는 알루미늄(aluminum)을 이용하여 제작된다.
이처럼 지지포스트(20)를 알루미늄 소재를 이용하여 압출 성형하여 제작함으로써, 지지포스트(20)는 경량화 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과 동시에 수직형 가이드 벽체(W)와 주방용 걸이대(A)를 충분한 지지할 수 있는 강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가이드프레임(25)에 의해 지지포스트(20) 외면의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23, guide groove)이 형성된다. 가이드홈(23)은 지지포스트(20)의 일측의 전 구간에 걸쳐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도면과 같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함몰 형성된다. 이에 의해 수직형 가이드 벽체(W)가 가이드홈(23) 상으로 슬라이딩 결합하여 지지포스트(20)에 체결된다.
가이드홈(23) 내면에는 가이드홈(23)으로 체결되는 수직형 가이드 벽체(W)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ㄷ’자 형상의 흔들림 방지부재(21)가 구비된다. 흔들림 방지부재(21)의 내측면은 요철(凹凸) 형상으로 제작되어 지지포스트(20)와 수직형 가이드 벽체(W)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흔들림 방지부재(21)의 요철 형상은 지지포스트(20)의 길이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은 가능하게 하면서도 지지포스트(20)의 길이방향의 수직한 방향으로는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흔들림 방지부재(21)는 탄성력이 있는 PVC 재질로서 제작되어 수직형 가이드 벽체(W)와 지지포스트(20) 간의 결합 시 수직형 가이드 벽체(W) 또는 지지포스트(20)에 스크래치 등의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수직형 가이드 벽체(W)를 견고히 고정시킨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지지포스트(20)는 한 쌍이 설치벽(B)에 상호 이격되어 설치되는데 이때, 각 지지포스트(20)는 지지포스트(20)의 가이드홈(23)이 서로 대향되는 방향을 향하여 설치된다. 각 가이드홈(23)에 수직형 가이드 벽체(W)의 양 단부가 결합되어 고정된다.
한편, 지지포스트(20)는 수직형 가이드 벽체(W)와 직접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설치벽(B)의 외면 형상은 일정 직경을 가진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는데,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와 달리 지지포스트(20)의 외면 직경이 설치벽(B) 방향으로 갈수록 테이퍼진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알루미늄 재질의 지지포스트(20)는 설치벽(B)을 손상시킬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포스트(20) 하단에는 탄성 소재의 완충부재(30)를 구비한다. 이에 완충부재(30)는, 지지포스트(20)의 일측 단부와 서로 끼워맞춤되는 돌출부(31)와, 고정나사(41)가 관통할 수 있도록 중앙영역을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연통구(32)를 포함한다.
돌출부(31)의 외경은 지지포스트(20)의 내경과 대략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를 통해 완충부재(30)의 돌출부(31)가 지지포스트(20)의 일측 단부에 압축 끼워맞춤된다. 따라서 지지포스트(20)와 설치벽(B) 간의 결합 시 지지포스트(20) 및 설치벽(B)을 각각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완충부재(30)의 바닥면은 실질적으로 평형하게 형성된다. 이는 설치벽(B)에 접촉 시 접촉 면적을 배가시키기 위함이다.
완충부재(30)의 내부 중앙영역 상에는 연통구(32)가 구비되는데, 연통구(32) 를 통해 고정나사(41)가 삽입되어 설치벽(B)을 관통하여 지지포스트(20)의 나사공(22)에 체결된다.
그리고 완충부재(30)의 하단부(33)는 돌출부(31)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제작되는 한편 지지포스트(20)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하여 지지포스트(20)에 완충부재(30)가 연결될 때 일체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완충부재(30)의 소재로는, 성형성이 좋고 탄성력이 우수한 실리콘 재질이 사용된다. 이를 통해 알루미늄 재질의 지지포스트(20)와, 지지포스트(20)를 지지하는 설치벽(B) 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경도가 낮은 설치벽(B)을 보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정나사(41)의 피로도를 줄이고, 지지포스트(20)에 자극의 정도 및 세기가 줄어 들 수 있어 고정나사(41)와 지지포스트(20)의 수명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한편, 완충부재(30)는 지지포스트(20)와의 연결 시에 지지포스트(20)의 일측 단부 내주면과 완충부재(30)의 돌출부(31) 사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지지포스트(20)에 본딩(bonding) 결합될 수도 있다.
수직형 가이드 벽체(W)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의 투명한 판상 유리로 제작되어 주위 공간과 미관에 있어서 조화를 이루도록 하고 있다. 즉, 수직형 가이드 벽체(W) 소재를 투명한 재질의 유리를 사용함으로써, 설치벽(B) 예를 들어 싱크대 및 다른 배경과도 잘 어울릴 수 있고 쉽게 조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수직형 가이드 벽체(W)가 투명한 판상 유리로 제작되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주위의 미관과 조화를 이 룰 수 있고 파티션과 물품 걸이대 등의 목적에 부합하는 강도와 무게를 갖는 것이라면 나무나, 플라스틱 강화판 등 다른 소재를 사용해서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수직형 가이드 벽체(W)의 양 측면은 각각의 지지포스트(20)의 가이드홈(23)에 슬라이딩 결합되게 된다. 또한 수직형 가이드 벽체(W)의 하단면은 설치벽(B)에 접면하게 된다.
이와 같은 수직형 가이드 벽체(W)는 몇 가지 기능으로 활용될 수 있다. 먼저, 파티션의 본래 기능에 충실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주위 공간과 조화를 이루면서도 주방 싱크대로부터 물기가 거실 측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고 아이들이 주방용 렌지 등으로 용이하게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주방용 걸이대(A)를 걸 수 있는 지지체로서 기능할 수 있다. 각 용품의 특성 및 모양에 대응되게 제작된 별도의 주방용 걸이대(A)를 지지하는 지지체로서 활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주방의 싱크대 유휴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 다양한 용품을 적절하고 효율적으로 걸 수 있게 된다.
한편, 지지포스트(20)와 설치벽(B)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고정부(40)는, 고정나사(41)와, 설치벽(B)과 고정나사(41) 사이에 맞물리는 고정와셔(42)를 포함한다.
고정나사(41)는 설치벽(B)을 관통하여 지지포스트(20)와 설치벽(B)을 나사결합시켜 고정한다. 즉, 고정나사(41)는, 지지포스트(20) 내부에 마련되는 나사공(22)과, 완충부재(30)의 연통구(32)와, 설치벽(B)의 나사구멍(미도시)을 연결하게 된다.
고정나사(41)가 체결될 때 설치벽(B)과 고정나사(41) 사이에는 고정와셔(42)가 개재된다. 고정와셔(42)는 보통 설치벽(B)이 연한 재질로 제작되어 체결면에 홈이 생기거나 나사 헤드가 파고 들어감을 방지한다.
지지포스트(20)의 상단부에는 지지포스트(20)의 나사공(22)으로 나사결합할 수 있는 나사돌기부(11)가 마련된 캡(10)이 구비된다. 캡(10)은 수직형 가이드 벽체(W)의 상부 측 이탈을 저지하게 된다. 또한 캡(10)은 지지포스트(20)와 동일한 재질로 제작되어 지지포스트(20)와 일체감을 유지하도록 하며, 지지포스트(20)의 마감을 보다 미려하게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파티션 겸용 걸이대의 설치 과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먼저, 한 쌍의 지지포스트(20)를 설치벽(B)의 상면 상에 가이드홈(23)이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배치한다. 그리고 설치벽(B)에 수직 방향의 나사구멍(미도시)을 마련한 다음 고정나사(41)로 지지포스트(20)와 설치벽(B)을 결합한다. 이때, 고정나사(41)와 설치벽(B) 사이에 고정와셔(42)를 개재한다.
다음으로, 지지포스트(20)의 상부 방향에서 수직형 가이드 벽체(W)를 진입시키면서 수직형 가이드 벽체(W)의 양단이 각각의 가이드홈(23)에 슬라이딩 결합한다. 이에 의하여 수직형 가이드 벽체(W)는 결합되면서 설치벽(B)의 상부에 접촉하게 되면, 지지포스트(20)의 상부에 캡(10)을 결합시켜 수직형 가이드 벽체(W)의 상부측 이탈을 저지시킨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 겸용 걸이대는, 파티션의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주위 공간과 조화를 이루면서도 주방 싱크대로부터 물기가 거실 측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고 아이들이 주방용 렌지 등으로 용이하게 접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공간을 구획하는 칸막이의 몸체가 되는 수직형 가이드 벽체(W) 상에 별도의 주방용 걸이대(A)를 설치할 수 있어, 한정된 공간에서 다양한 용품을 적절하고 효율적으로 걸 수 있도록 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포스트(20)는 알루미늄 소재를 압출 성형하여 일체로 제작함으로써, 제작을 용이하게 하고 지지포스트(20)의 경량화와 동시에 주방용 걸이대(A) 및 수직형 가이드 벽체(W)를 모두 견고히 지지할 수 있다.
나아가, 지지포스트(20)와 설치벽(B)의 직접적인 접촉을 저지시키는 완충부재(30)를 마련함으로써, 지지포스트(20)와 설치벽(B)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이 없게 하고 지지포스트(20) 및 설치벽(B)에 가해지는 체결력 및 외력을 상당 부분 저감시키게 되어 지지포스트(20) 및 설치벽(B)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수명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 겸용 걸이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지지포스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지지포스트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완충부재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캡 20: 지지포스트
21 : 흔들림 방지부재 22 : 나사공
23 : 가이드홈 30 : 완충부재
41 : 고정나사 B : 설치벽
W : 수직형 가이드 벽체

Claims (10)

  1. 외면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Guide groove)이 각각 형성되며, 설치벽에 상호 이격되어 직립 배치 가능한 한 쌍의 지지포스트;
    상기 가이드홈에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공간을 구획하는 칸막이를 형성함과 아울러 주방용 걸이대가 걸림 가능한 수직형 가이드 벽체; 및
    상기 가이드홈 내면에 마련되어 상기 가이드홈으로 체결되는 상기 수직형 가이드 벽체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흔들림 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겸용 걸이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흔들림 방지부재는 PVC 재질이며, 내측면이 요철 형상을 가지고 상기 가이드홈 내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겸용 걸이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포스트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형 가이드 벽체의 상부측 이탈을 저지하는 캡; 및
    상기 설치벽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포스트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포스트를 상기 설치벽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겸용 걸이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설치벽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포스트의 하단부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나사; 및
    상기 고정나사와 상기 설치벽 사이에 개재되는 고정와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겸용 걸이대.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벽과 상기 지지포스트의 손상을 저지하기 위하여 상기 설치벽과 상기 지지포스트 하단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겸용 걸이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지지포스트와 나사결합되며,
    상기 완충부재는 실리콘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겸용 걸이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포스트는,
    내부중공프레임;
    상기 내부중공프레임의 일측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형성하는 가이드프레임;
    상기 내부중공프레임의 타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강도보강프레임; 및
    상기 내부중공프레임에 외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강도보강프레임을 연결하는 외부중공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겸용 걸이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포스트는 압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겸용 걸이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벽은 주방의 싱크대이며,
    상기 수직형 가이드 벽체는 투명한 유리 재질이며,
    상기 수직형 벽체의 하단면은 상기 설치벽과 접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겸용 걸이대.
KR2020070021086U 2007-12-31 2007-12-31 파티션 겸용 걸이대 KR2004485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1086U KR200448554Y1 (ko) 2007-12-31 2007-12-31 파티션 겸용 걸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1086U KR200448554Y1 (ko) 2007-12-31 2007-12-31 파티션 겸용 걸이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766U KR20090006766U (ko) 2009-07-03
KR200448554Y1 true KR200448554Y1 (ko) 2010-04-22

Family

ID=41331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21086U KR200448554Y1 (ko) 2007-12-31 2007-12-31 파티션 겸용 걸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55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53994A (zh) * 2013-11-09 2014-03-26 胡新林 一种办公桌隔板的铝框
KR200497465Y1 (ko) * 2021-05-10 2023-11-16 최영진 조립식 싱크대 물막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41116A (ko) 1974-04-27 1975-11-13
JPS58191213U (ja) 1982-06-16 1983-12-19 高橋 宏和 システムパネル
KR200379821Y1 (ko) 2005-01-05 2005-03-25 이한형 미닫이 창문이 구비된 책상칸막이
JP2005131197A (ja) 2003-10-31 2005-05-26 Okamura Corp テーブルの天板上への仕切板の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41116A (ko) 1974-04-27 1975-11-13
JPS58191213U (ja) 1982-06-16 1983-12-19 高橋 宏和 システムパネル
JP2005131197A (ja) 2003-10-31 2005-05-26 Okamura Corp テーブルの天板上への仕切板の取付構造
KR200379821Y1 (ko) 2005-01-05 2005-03-25 이한형 미닫이 창문이 구비된 책상칸막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766U (ko) 2009-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5760B1 (ko) 욕실용 선반
CN204838655U (zh) 一种电视机背景墙
KR200448554Y1 (ko) 파티션 겸용 걸이대
US20160309891A1 (en) Modular Bottle Rack Cellar System
RU2757235C2 (ru) Стеллаж
US6904714B1 (en) Decorative flower stand
WO2011153248A2 (en) Shelf unit
CN214559124U (zh) 一种异形件夹持机构
KR101100150B1 (ko) 양방향 조립식선반
KR101307416B1 (ko) 미니선반
CN210748627U (zh) 一种高强度轻便的墙挂置物板
CN203223722U (zh) 一种置物架的固定结构
CN220293399U (zh) 一种方便组装的收纳托盘
CN108720686B (zh) 用于淋浴房的挂置架
CN217488017U (zh) 隔断架
CN210809969U (zh) 可拆装式柜体组件及具有该柜体组件的厨用中柜
KR200343373Y1 (ko) 다용도 선반
CN211065766U (zh) 一种厨用搁板及使用该搁板的厨用中柜
CN209404020U (zh) 框架一体式挂衣架及框架式玻璃衣柜
CN212437868U (zh) 一种玻璃柜
KR20110027089A (ko) 창짝 프레임
KR200497322Y1 (ko) 판형 파티션의 다리 연결구조
CN213096931U (zh) 一种改进型餐边柜
CN219048194U (zh) 一种开放式浴室置物架
CN213922599U (zh) 一种具有干燥防虫功能的环保型货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71231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9112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40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41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0041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403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