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337Y1 - Agri-food stand with ventilation - Google Patents
Agri-food stand with ventil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48337Y1 KR200448337Y1 KR2020090017122U KR20090017122U KR200448337Y1 KR 200448337 Y1 KR200448337 Y1 KR 200448337Y1 KR 2020090017122 U KR2020090017122 U KR 2020090017122U KR 20090017122 U KR20090017122 U KR 20090017122U KR 200448337 Y1 KR200448337 Y1 KR 20044833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edestal
- agricultural product
- produce
- ventilation
- pres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on of pl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풍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통풍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받침대는, 상부에 농산물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파형의 요철부가 형성된 링형태로 이루어지며, 측부에 하나 이상의 통풍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농산물이 놓여진 받침대 내부로 통풍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농산물과 받침대가 접촉하는 부분을 최소화함으로써, 재배과정에서 농산물 받침대에 농산물이 장시간 놓여져도, 상기 받침대에 의해 농산물의 하부가 변색되거나 짓무르는 현상이 줄어 들어, 농산물의 손실률이 현저히 감소됨에 따라 농가소득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agricultural product pedestal having a ventilation function, the agricultural product pedestal with a ventil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ring shape formed with a concave-convex portion to put the agricultural product on the top, one or more sides A vent is form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ventilation is possible inside the pedestal on which the produce is placed, but also by minimizing th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produce and the pedestal, even if the produce is placed on the produce stand for a long time in the cultivation process, the bottom of the produce by the pedestal Discoloration and squeeze is reduced, and farm income is increased as the loss rate of agricultural products is significantly reduced.
농산물, 받침대, 통풍, 통풍구, 파형의 요철부, 링 Agricultural products, pedestals, ventilation, vents, corrugations, rings
Description
본 고안은 농산물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받침대의 내외부 간에 공기의 흐름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받침대에 올려지는 농산물에서 상기 받침대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의 신선도가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하면서도, 간이한 구성을 갖는 통풍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agricultural product support, and more particularly, by allowing the flow of air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support, while preventing the phenomenon of freshness of the portion located inside the support from the agricultural products placed on the support, It relates to a agricultural product support having a ventilation function having a simple configuration.
농산물 중에서 수박, 호박, 멜론, 큰 참외 등의 원형 또는 타원형태의 농산물은 크기가 크고 토양에 놓여져 재배된다. 상기 농산물은 토양에 놓여진 상태로 재배되기 때문에, 장마철에 토양에 수분이 많은 경우나 저온기간이 길어지면, 토양에 접촉하는 부분이 변색되거나 짓무르게 되어 농산물의 품질이 저하된다. 그리고 토양에 놓여져 있으므로, 농산물에 대한 병해충의 접근 및 침입이 용이하여, 상기 농산물에 이를 예방하기 위한 많은 약제를 살포할 필요성이 있었다.Among the produce, round or oval forms of watermelon, pumpkin, melon, large melon, etc., are large in size and cultivated in soil. Since the agricultural products are cultivated in a state of being placed in the soil, when the soil has a lot of water during the rainy season or the low temperature period is prolonged, the parts in contact with the soil are discolored or crushed, thereby degrading the quality of the agricultural products. In addition, since it is placed in the soil, it is easy to access and invade pests to agricultural products, and there is a need to spray many agricultural products to prevent them.
이러한 이유로 인해, 상기 농산물의 재배과정에서 상기 농산물이 토양에 놓여진 상태로 재배되기 때문에 발생되는 손실률은 약 40%에 달했다. 따라서 이러한 재배과정에서의 손실률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농산물을 토양으로부터 일정 높이만 큼 이격시켜 숙성시키기 위한 받침대가 개발되고 있다.For this reason, the loss rate was about 40% due to the cultivation of the produce in the soil during the cultivation of the produce.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loss rate in the cultivation process, a pedestal for maturing the agricultural product to a certain height apart from the soil has been developed.
도 1에는 이러한 취지로 개발된 통기용 홈이 형성된 기술(국내공개실용신안 제20-2007-0000598호 공보)이 도시되어 있다.Fig. 1 shows a technique for forming a ventilation groove developed for this purpose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07-0000598).
상기 기술은, 저면부(1)에 연결되어 외주면으로 돌출되고 중심으로 하강되게 경사진 4개의 지지부(3)와 중앙 배수공(9)을 지니며, 상기 지지부(3)는 원형 경사 지지대(5)를 통해 수박을 지지시키고, 상기 지지대(5) 내에 다수의 배수 통기용 홈(7)을 원형 및 방사형으로 형성시켜 배수 통기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수박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The technique has four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수박 받침대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se conventional watermelon pedestals had the following problems.
즉, 배수 통기용 홈(7)을 두는 이유는 받침대 내부에 위치하는 수박 등 농산물의 하부에 외기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농산물과 받침대의 접촉부위에도 외기가 공급되어야 할 것이므로, 상기 농산물과 받침대의 접촉부위는 가능한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종래의 수박 받침대에서는 상당히 넓은 부위에서 원형 경사 지지대(5)와 수박 등 농산물이 접촉하게 되므로, 배수 통기용 홈(7)을 둔다 하더라도, 그 접촉부분에서는 농산물의 변색이나 짓무르는 현상을 피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일정 시간 간격으로 받침대에 놓여진 농산물의 위치를 조정하여야 함에 따라, 추가적인 노동력의 투입으로 농산물 재배비용의 상승이 유발되었다.That is, the reason for having the
그리고, 종래의 수박 받침대는 수박을 토양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높이가 2~3㎝에 불과하였다. 따라서, 상기 받침대가 토양에 놓여지므로 저면부(1)에 흙이 들 어와 쌓이면, 농산물을 토양으로부터 이격시킨다는 실질적인 목적이 달성되지 못하여, 상기 받침대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농산물의 손실률 개선효과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watermelon pedestal was only a height of 2-3 cm away from the soil from the watermelon. Therefore, when the base is placed in the soil and the soil enters and accumulates in the
또한, 종래의 수박 받침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이 복잡하여 금형 제작비용이 상승할 뿐만 아니라, 재료로 사용되는 합성수지재의 양도 증가하여 전체적인 제품 단가가 증가하는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watermelon pedestal, as shown in Figure 1 has a problem that the complexity of the configuration not only increases the mold manufacturing cost, but also increases the amount of synthetic resin material used as a material to increase the overall product cost.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농산물이 놓여진 받침대 내부로 통풍이 되면서도, 농산물과 받침대가 접촉하는 부분을 최소화하는 통풍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받침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duce the agricultural products having a ventilation function to minimize th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agricultural products and the base while being ventilated into the base on which the agricultural products are placed It is to provide a pedestal.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농산물 받침대의 측부에도 통풍구를 형성시켜, 통풍기능을 한층 상승시킨 농산물 받침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gricultural product support by forming a ventilation opening on the side of the agricultural product support, further raising the ventilation function.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농산물 받침대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최소 단면화한 통풍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받침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implify the structure of the agricultural product support, and to provide a produce support with a minimum cross-sectional ventilation function.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상부에 농산물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파형의 요철부가 형성된 링형태로 이루어지며, 측부 에 하나 이상의 통풍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it is made of a ring shape formed with a concave-convex portion to put the agricultural products on the top, it characterized in that one or more vents formed on the side.
본 고안에 따른 통풍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받침대는, 농산물이 놓여진 받침대 내부로 통풍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농산물과 받침대가 접촉하는 부분을 최소화함으로써, 재배과정에서 농산물 받침대에 농산물이 장시간 놓여져도 상기 받침대에 의해 농산물의 하부가 변색되거나 짓무르는 현상이 줄어 들어, 농산물의 손실률이 약 40%에서 약 10% 정도로 현저히 감소됨으로써, 이에 따라 농가소득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The agricultural product pedestal with ventil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capable of ventilation inside the pedestal on which the produce is placed, but also minimizes th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produce and the pedestal, so that the pedestal is placed on the produce pedestal for a long time during the cultivation process. By reducing the phenomenon of discoloration or crushing of the lower part of the produce, the loss rate of the produce is significantly reduced from about 40% to about 10%, thereby increasing the farm income.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르면 농산물 받침대의 측부에도 통풍구를 형성시킴으로써, 농산물 받침대의 일부가 토양에 묻히더라도 상기 받침대가 본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농산물의 병해충이 예방될 뿐만 아니라, 농산물의 숙성시에 신선함이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vent on the side of the agricultural product support, even if a part of the agricultural product support is buried in the soil, the support can perform the original function, not only to prevent pests of agricultural products, but also during the ripening of agricultural products There is an advantage in keeping fresh.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농산물 받침대의 구조를 간이화하고 최소 단면화함으로써, 금형이 단순해지고 사용되는 합성수지재의 양이 줄어들어 전체 제작 단가가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implifying the structure of the agricultural product pedestal and the minimum cross-sec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old is simplified and the amount of synthetic resin material used is reduced to reduce the overall manufacturing cost.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통풍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받침대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더불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gricultural product support having a ventil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의 농산물 받침대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통풍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받침대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 은 도 2에 도시된 받침대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 받침대의 타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1 is a conventional agricultural product support as described above,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agricultural product support with a ventil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use state diagram of the support shown in FIG. 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destal.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농산물 받침대(10)는 하부로부터 상부로 점차 좁아지게 하되, 그 상부가 파형의 요철부(13) 형상을 갖는 링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는 상기 받침대(10)의 상부에 놓여지는 농산물(20)의 무게를 상기 받침대(10)가 지지하기 위한 구조이다. As shown in Figure 2, the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받침대(10) 상부에 요철형태로 이루어진 파형의 요철부(13)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받침대(10) 상부와 농산물(20) 간의 접촉면적이 더욱 작아짐으로써, 농산물(20)이 상기 받침대(10) 상부에 접촉함에 따라, 그 접촉부위가 변색되거나 짖무르는 현상을 보다 경감시킬 수 있다. As shown in the figure,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그리고, 이러한 구조를 채택하게 되면, 상기 파형의 요철부(13)에서 농산물(20)과 접촉하지 않는 부분이 자연스럽게 통풍구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When the structure is adopted, the portion of the
또한, 상기 받침대(10)의 측부에는 하나 이상의 통풍구(11)가 형성된다. 상기 통풍구(11)는, 상기 받침대(10) 내부와 외부를 연결시키는 통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통풍구(11)로 자유로운 공기의 흐름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받침대(10)의 상부에 올려진 농산물(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박)(20)의 상기 받침대(10) 내부에 속한 농산물(20) 하부에도 상기 통풍구(11)를 통하여 외기가 접촉할 수 있으므로, 상기 받침대(10) 내부에 속한 농산물(20)의 하부가 변색되거나 짓무르는 현상을 더욱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t least one
그리고, 상기 받침대(10)의 높이는 종래의 받침대에 비해 약 1.5배 높게 형성된다. 즉, 종래의 받침대의 높이가 약 2~3㎝인데 반해, 본 고안에 따른 받침대(10)의 높이는 약 3~4.5㎝로 제작된다. 이는 받침대(10)의 높이를 높임으로써, 상기 받침대(10)가 토양에 일부 묻히더라도 상기 받침대(10) 상에 놓여진 농산물이 토양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And, the height of the
또한, 농산물(20)은 상기 받침대(10)의 상부에 의해서만 지지된다. 따라서, 농산물(20)과 받침대(10)의 접촉면적은 종래의 받침대에서보다 현저히 줄어들게 됨으로써, 받침대(10)를 사용함에 따른 농산물(20)의 변색 또는 짓무름 현상은 감소된다. In addition, the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통풍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받침대의 타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구성과 대응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본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Next, another embodiment of the agricultural product support having a ventil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used for the components corresponding to those of the present embodiment.
도 4는 본 고안의 타실시예로서, 농산물 받침대(10)는 하부로 부터 상부로 점차 좁아지는 형태를 갖는 링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상기 받침대(10)의 상부에 놓여지는 농산물의 무게를 상기 받침대(10)가 지지하기 위한 구조이고, 받침대(10)하부의 측부에 통풍구(11a)를 설치하여 받침대의 내·외부로 공기가 통할 수 있게 한 것이며, 링형상의 받침대(10) 상·하부는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4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또다른 타실시예로서, 상기 받침대(10)의 하부는 도 4의 타실시예와 달리 육각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육각 형태의 하부는 도 4의 타실시예에서의 원형 또는 타원형의 링 형상에 대한 변형예일 뿐, 상기 하부가 각을 가질 때 오직 육각 형태로만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5 is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상기 하부가 이러한 형태를 가질 때 통풍구(11a)는 측부에서 육각 형태의 모서리 부분이 아닌, 면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통풍구(11)의 개수는 도 4의 타실시예와 같이 3개로 구성되는 것이 예시되어 있으나, 그 개수가 3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When the lower portion has such a shape, the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받침대는 농산물이 재배과정에서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판매를 위하여 농산물을 진열하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 가능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edest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used in the cultivation process, but also for the purpose of displaying the produce for sale.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비록 상기의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의 농산물 받침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agricultural product support,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통풍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받침대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agricultural product support with a ventil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받침대의 사용상태도,3 is a state diagram using the pedestal shown in FIG.
도 4 및 5는 본 고안에 따른 통풍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받침대의 타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4 and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gricultural product support with a ventil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Code Description of Main Parts of Drawing>
10 : 농산물 받침대 11 : 통풍구10: produce stand 11: ventilation holes
13 : 파형의 요철부 20 : 농산물13: wavy portion 20: agricultural products
Claims (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17122U KR200448337Y1 (en) | 2009-12-31 | 2009-12-31 | Agri-food stand with ventil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17122U KR200448337Y1 (en) | 2009-12-31 | 2009-12-31 | Agri-food stand with ventilation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08566A Division KR20090082667A (en) | 2008-01-28 | 2008-01-28 | A Prop of Agricultural Product Having The Function Of Ventila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1386U KR20100001386U (en) | 2010-02-08 |
KR200448337Y1 true KR200448337Y1 (en) | 2010-04-05 |
Family
ID=44196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90017122U Expired - Lifetime KR200448337Y1 (en) | 2009-12-31 | 2009-12-31 | Agri-food stand with ventila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48337Y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31010A (en) | 2017-09-15 | 2019-03-25 | (주)지금강이엔지 | A combined packing member for watermelon cultivatio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71594B1 (en) * | 2022-07-18 | 2025-02-24 | 주식회사 네이처테크놀로지 | A watermelon cultivation devic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33005B1 (en) | 1997-04-24 | 1999-12-01 | 윤종용 | LCD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
KR100393494B1 (en) * | 1991-07-08 | 2003-08-02 |
-
2009
- 2009-12-31 KR KR2020090017122U patent/KR200448337Y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93494B1 (en) * | 1991-07-08 | 2003-08-02 | ||
KR100233005B1 (en) | 1997-04-24 | 1999-12-01 | 윤종용 | LCD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31010A (en) | 2017-09-15 | 2019-03-25 | (주)지금강이엔지 | A combined packing member for watermelon cultiva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1386U (en) | 2010-02-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408570B1 (en) | Plant cultivation device | |
US10292339B2 (en) | Terrarium | |
KR200448337Y1 (en) | Agri-food stand with ventilation | |
JP3044352U (en) | Hydroponics | |
CN109475093B (en) | Improved flower pots | |
KR200444397Y1 (en) | Breathable Egg Planter | |
CN104145740A (en) | Evenly watering and moisturizing root rot prevention flowerpot | |
KR20150109210A (en) | Pot for vegetable garden | |
CN202340511U (en) | Flowerpot | |
CN204518747U (en) | Flowerpot ventilation retaining automatic supplier | |
KR20090082667A (en) | A Prop of Agricultural Product Having The Function Of Ventilation | |
CN104686302A (en) | Ventilating, water-storing and auto-feed system of flowerpot | |
CN206005428U (en) | Case apparatus cultivated by a kind of agricultural product that are used for | |
CN201674830U (en) | Environmental protection vegetable planting device for household balcony | |
KR200459222Y1 (en) | A flowerpot | |
CN206182029U (en) | Seedling cultivating tray | |
US20180368334A1 (en) | Container for pot culture | |
KR200366584Y1 (en) | a fruit supporter | |
GB1586781A (en) | Containers for plants or bulbs | |
KR200346853Y1 (en) | a melon stay | |
KR100842945B1 (en) | Prefab planter | |
CN206713545U (en) | potting container | |
KR101558845B1 (en) | A planter of the method | |
CN221409873U (en) | Multifunctional flowerpot | |
JP3187766U (en) | Camellia Flower Shape Correction Too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5 | Converted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9-cnv-UA0105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21-cnv-UA0105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UA0201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UG1501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UE0701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UR0701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UR1002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UG1601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7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8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8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
|
EXPY | Expiration of term | ||
UC1801 | Expiration of term |
Not in force date: 20180129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EXPIRATION_OF_DU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4-oth-UC1801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