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47784Y1 - 오토바이용 방한 장갑 - Google Patents

오토바이용 방한 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784Y1
KR200447784Y1 KR2020070019480U KR20070019480U KR200447784Y1 KR 200447784 Y1 KR200447784 Y1 KR 200447784Y1 KR 2020070019480 U KR2020070019480 U KR 2020070019480U KR 20070019480 U KR20070019480 U KR 20070019480U KR 200447784 Y1 KR200447784 Y1 KR 2004477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main body
gloves
glove
connecting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94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5570U (ko
Inventor
최재욱
Original Assignee
최재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욱 filed Critical 최재욱
Priority to KR20200700194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784Y1/ko
Publication of KR200900055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5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7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784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33/00Arrangements for warming rid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토바이용 방한 장갑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한 오토바이용 방한 장갑은 상기 장갑의 본체 선단에서 연장되어 통하면서 그 양단에 탄성 밴드가 구비되어 상기 핸들에 장착된 조작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일단에 절개된 양 끝단을 연결부에 의해 연결하는 연장부가 더 구비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핸들 이외에 조명계, 경적 및 스타트 버튼 등과 같은 조작부를 장갑 내부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더 연장시켜 추운 날씨에서 조작시 불편함을 해소 가능하고, 핸들의 3 지점을 지지하여 견고한 고정효과와 함께 상기 핸들에 부착된 여러 가지 선을 외부에서 안보이게 감싸 정돈하여 미각적으로 미려할 수 있게 하며, 백미러의 위치가 상이한 신모델에도 범용적으로 장착이 가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오토바이, 방한 장갑, 본체, 연장부, 조작부

Description

오토바이용 방한 장갑{GLOVES OF PROTECTION AGAINST THE COLD FOR MOTORCYCLE}
본 고안은 오토바이용 방한 장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핸들 이외에 조명계, 경적 및 스타트 버튼 등과 같은 조작부를 장갑 내부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더 연장시켜 추운 날씨에서 조작시 불편함을 해소 가능하고, 핸들의 3 지점을 지지하여 견고한 고정효과와 함께 상기 핸들에 부착된 여러 가지 선을 외부에서 안보이게 감싸 정돈하여 미각적으로 미려할 수 있게 하며, 백미러의 위치가 상이한 신모델에도 범용적으로 장착이 가능할 수 있는 오토바이용 방한 장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토바이와 같은 이륜차는 운전자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탑승하므로 동절기에는 오토바이 핸들에 방한 장갑을 부착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장갑 입구를 통해 핸들에 구비된 브레이크 레버와 클러치 레버를 조작할 수 있다.
종래의 방한 장갑은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내부에 손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벙어리 장갑 타입의 본체로 그 내측단이 상기 핸들에 고정되며 이때 핸들에 구비된 브레이크 레버와 클러치 레버만 조작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방한 장갑은 그 내부에서 브레이크 레버와 클러치 레버의 조작만 가능할 뿐 깜빡이나 헤드라이트와 같은 조명계, 경적 및 스타트 버튼 등을 조작할 때 장갑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두꺼운 원단을 엄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조작부를 외부에서 간접적으로 조작을 해야 하기 때문에 운전자가 힘이 많이 들고 부자연스럽고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장갑은 백미러가 핸들에 구비된 오토바이에 장착이 가능하도록 한 지점에 잠금장치가 적용이 되어 있어서 견고한 고정이 불가능하고 백미러가 핸들에 없는 신모델 같은 경우 장착이 난해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핸들 이외에 조명계, 경적 및 스타트 버튼 등과 같은 조작부를 장갑 내부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더 연장시켜 추운 날씨에서 조작시 불편함을 해소 가능하고, 핸들의 3 지점을 지지하여 견고한 고정효과와 함께 상기 핸들에 부착된 여러 가지 선을 외부에서 안보이게 감싸 정돈하여 미각적으로 미려할 수 있게 하며, 백미러의 위치가 상이한 신모델에도 범용적으로 장착이 가능할 수 있게 한 오토바이용 방한 장갑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오토바이 핸들 양측에 장착하는 방한 장갑에 있어서, 상기 장갑의 본체 선단에서 연장되어 통하면서 그 양단에 탄 성 밴드가 구비되어 상기 핸들에 장착된 조작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일단에 절개된 양 끝단을 연결부에 의해 연결하는 연장부가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오토바이용 방한 장갑은 핸들 이외에 조명계, 경적 및 스타트 버튼 등과 같은 조작부를 장갑 내부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더 연장시켜 추운 날씨에서 조작시 불편함을 해소 가능하고, 핸들의 3 지점을 지지하여 견고한 고정효과와 함께 상기 핸들에 부착된 여러 가지 선을 외부에서 안보이게 감싸 정돈하여 미각적으로 미려할 수 있게 하며, 백미러의 위치가 상이한 신모델에도 범용적으로 장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오토바이용 방한 장갑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일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방한 장갑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 및 연장부(12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10)는 종래와 같이 입구가 형성되는 벙어리 장갑 형태로 내부에 털이 부착되어 감촉 및 보온성이 향상되도록 구비되어 오토바이의 핸들에 선단이 고정되며 이때 운전자의 손이 통과하여 후술할 연장부(120) 내부까지 들어갈 수 있도록 고정 부위에 공간이 형성된 상태로 고정된다.
더욱이, 상기 본체(110)는 기능적인 부분 이외에 미적 감각을 부여시킬 수 있도록 원단과 특정 무늬(사각 무늬 등)를 사용하여 제작 가능하며, 제작시 상하 이음매를 봉합하는 종래와 달리 외곽 라인을 파이핑(P: Piping) 처리하여 상, 하, 측면에서 구별된 면을 보여주면서 외관의 입체 형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기둥 역할을 하게 한다.
상기 연장부(120)는 상기 방한 장갑(100)의 본체(110)가 삽입되어 상기 핸들(H)에 고정되는 선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핸들(H)에 구비된 조작부(C)까지 감싸도록 구비되며 그 양단에 탄성 밴드(124)가 구비되어 상기 탄성 밴드(124)의 조임력에 의해 상기 핸들(H)에 고정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연장부(120)는 상기 본체(110)와의 연결부위를 재봉한 일체형(도 1 참조)이거나 상기 본체(110)의 선단을 덧대어 감싼 분리형(도 2 참조) 또는 지퍼 또는 암수 똑딱이 단추 또는 벨크로 테이프(Velcro tape)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연결되는 분리형(도면에 미도시)으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연장부(120)는 상기 핸들(H)을 외부에서 감싸므로 이 핸들(H)에 부착된 여러 가지 브레이크 선(도면에 미도시)과 전기선(도면에 미도시) 등을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모아 줌에 따라 미관이 미려하다.
그리고 상기 탄성 밴드(124)는 상기 본체(110)에 연결되는 일단보다 상기 핸들(H)에 고정되는 타단의 조임력을 더 크게 하는 잠금장치로 그 타단은 상기 핸들(H)에 견고하게 고정하면서 그 일단은 상기 본체(110)를 통해 상기 연장부(120)의 내부까지 운전자의 손이 이동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120)가 상기 본체(110)와 분리된 경우 상기 탄성 밴 드(124) 중 상기 본체(110)에 연결되는 일단의 그것은 상기 연장부(120)의 끝 부분에 구비되지 않고 설정 간격만큼 중심 방향으로 치우친 위치에 구비되어 바깥쪽 부분이 상기 본체(110)를 중첩되도록 감싼다.
반면, 상기 연장부(120)가 상기 본체(110)와 일체로 구비된 경우 상기 핸들(H)의 시작 부위에 위치에만 상기 탄성 밴드(124)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120)는 상기 핸들(H)과 평행하도록 일단을 절개하고 그 절개된 양 끝단을 연결하는 연결부(122)가 더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122)는 상기 본체(110)와 상기 연장부(120)가 분리형일 경우 상기 연장부(120)를 상기 핸들(H)에 장착할 때 이 핸들(H)의 끝단에 연결되지 않고 중간에 위치시키므로 절개가 불가피하며, 지퍼 또는 암수 똑딱이 단추 또는 벨크로 테이프(Velcro tape) 중 어느 하나를 절개되어 이웃한 끝단에 구비한다.
더욱이, 상기 연결부(122)는 상기 본체(110)와 상기 연장부(120)가 일체형일 경우 상기 탄성밴드(124)에 의해 상기 핸들(H)에 끼워지지 않으므로 상기 연결부(122)로 상기 연장부(120)의 끝단을 분리시켜 공간을 충분히 확보한 후 실시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의 상기 연결부(12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와의 분리형을 예시한 것으로, 지퍼가 구비된 상태를 예시하였으며, 이는 상기 조작부(C)를 수리하기 위해 상기 연결부(122)만 상기 핸들(H)에서 분리하거나 상기 본체(110)를 통해 상기 조작부(C)를 조작하지 않고 외부에서 조작할 경우 지퍼를 개방한 다음 실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퍼는 의류에서와 같이 완전 분리된 상태에서 일단 끝 부분을 타단 끝 부분의 홈에 삽입시킨 후 이가 물림 되게 지퍼 고리를 올려 양단이 연결되게 한다.
한편, 상기 연결부(122)의 일 실시 예인 지퍼는 지퍼 고리가 양쪽에 구비되어 상기 지퍼 고리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므로 모델마다 백미러의 위치가 상이한 신모델에도 지퍼 고리를 이동시켜 장갑(100)의 장착이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연장부(120)에는 상기 조작부(C)의 조작시 식별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운전자의 시각 범위 내에 상기 조작부(C)가 식별되도록 부분적으로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방한 장갑(100)은 상기 탄성밴드(124) 각각에 의해 이 핸들(H)의 이격된 두 지점을 고정시켜 주고, 상기 연결부(122)에 의해 이 탄성밴드(124)의 사이인 상기 핸들(H) 전체를 조여주므로 3 지점 고정에 따라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오토바이용 방한 장갑(1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와 일체 또는 분리형으로 구비되는 연장부(120)를 먼저 상기 핸들(H)에 끼워 타단에 구비되는 선단에 위치된 탄성 밴드(124)로 이 핸들(H)의 시작 부위에 견고히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본체(110)가 상기 핸들(H)에 삽입되게 한 후 이 핸들(H)의 후단에 위치된 탄성 밴드(124)에 의해 중심부에 고정되며 이때 상기 연장부(120)와 의 연결부위를 통해 운전자가 손으로 상기 핸들(H)의 조작부(C)를 조작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게 한다.
이때 상기 연장부(120)는 상기 핸들(H)을 감싸므로 이 핸들(H)에 부착된 여러 가지 브레이크 선과 전기선 등을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모아 주므로 정돈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120)에 구비된 상기 연결부(122)에서 한 쌍의 지퍼 고리를 백미러(도면에 미도시)의 위치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본체(110)는 상기 핸들(H)과의 연결되는 부위에 그 부위를 외부에서 감싸면서 상기 연장부(120)의 일단에 구비된 탄성 밴드(124)가 바람 유입을 방지할 만큼 조이게 된다.
즉, 상기 연장부(120)가 상기 본체(110)와 분리형일 때 상기 조작부(C) 등의 수리를 위해 분리가 필요할 경우 상기 연결부(122)인 지퍼를 개방시키고 상기 핸들(H)에서 이탈시키며, 상기 본체(110)와 일체형일 때 상기 연결부(122)인 지퍼를 개방시키고 상기 핸들(H)에서 이 본체(110)와 일단이 연결된 상태로 이탈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명계, 경적 및 스타트 버튼 등과 같은 조작부(C)의 조작이 요구되면 운전자는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위치된 손을 상기 연장부(120)를 향해 더 집어넣어 조작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오토바이용 방한 장갑에서 일체형인 본체 및 연장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오토바이용 방한 장갑에서 일체형인 본체 및 연장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오토바이용 방한 장갑의 연장부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방한 장갑 110: 본체
120: 연장부 122: 연결부
124: 탄성밴드 H: 핸들
C: 조작부

Claims (6)

  1. 오토바이 핸들 양측에 장착하는 방한 장갑에 있어서,
    상기 핸들에 선단이 각각 고정되며, 고정시 고정 부위에 공간이 형성되되, 상, 하, 측면으로 구비되어 각각 접하는 가장자리를 외관의 입체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파이핑(P: Piping) 처리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 선단에서 각각 연장되어 통하면서 상기 핸들에 장착된 조작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그 양단에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일단보다 상기 핸들에 고정되는 타단의 조임력을 더 크게 하는 탄성 밴드가 구비되고, 상단에서 핸들과 평행하도록 절개된 양 끝단을 연결부에 의해 연결하는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지퍼 또는 다수개의 암수 똑딱이 단추 또는 벨크로 테잎(Velcro tape) 중 어느 하나이며, 연결부의 일부를 연결시키지 않아 형성되는 공간에 백미러의 핸들 연결 부위가 위치되도록 하되 상기 연결부가 지퍼일 경우 이웃한 지퍼 고리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므로 그 사이 공간에 위치된 백미러의 위치에 따라 지퍼 고리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용 방한 장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본체와 분리형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용 방한 장갑.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장갑 본체와 연결되는 일단에 이동 공간이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핸들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용 방한 장갑.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조작부의 식별성을 위해 투명하게 부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용 방한 장갑.
  5. 삭제
  6. 삭제
KR2020070019480U 2007-12-04 2007-12-04 오토바이용 방한 장갑 Expired - Fee Related KR2004477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9480U KR200447784Y1 (ko) 2007-12-04 2007-12-04 오토바이용 방한 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9480U KR200447784Y1 (ko) 2007-12-04 2007-12-04 오토바이용 방한 장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570U KR20090005570U (ko) 2009-06-09
KR200447784Y1 true KR200447784Y1 (ko) 2010-02-22

Family

ID=41297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9480U Expired - Fee Related KR200447784Y1 (ko) 2007-12-04 2007-12-04 오토바이용 방한 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78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9310A3 (ko) * 2009-10-21 2011-11-03 (주)단꼬레아 탈부착이 가능한 보온장갑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65587U (ko) * 1981-03-31 1982-10-19
JPS586682U (ja) 1981-07-03 1983-01-17 垣原 茂人 ハンドルカバ−
JPH072383Y2 (ja) * 1988-09-28 1995-01-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バーハンドルのグリップカバー
KR200342784Y1 (ko) 2003-11-22 2004-02-18 남효종 다목적 때밀이 장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65587U (ko) * 1981-03-31 1982-10-19
JPS586682U (ja) 1981-07-03 1983-01-17 垣原 茂人 ハンドルカバ−
JPH072383Y2 (ja) * 1988-09-28 1995-01-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バーハンドルのグリップカバー
KR200342784Y1 (ko) 2003-11-22 2004-02-18 남효종 다목적 때밀이 장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9310A3 (ko) * 2009-10-21 2011-11-03 (주)단꼬레아 탈부착이 가능한 보온장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570U (ko) 2009-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494890S1 (en) Hood portion of a utility vehicle
WO2008043103A3 (en) Illuminated apparel
USD454988S1 (en) Motorcycle helmet visor
KR200447784Y1 (ko) 오토바이용 방한 장갑
JP5517498B2 (ja) 自転車用ハンドルカバー
JP3173532U (ja) 自転車用車体カバー
KR101277549B1 (ko) 착용형 자전거용 안전장치
GB2480438A (en) Bicycle frame cover
USD512374S1 (en) Jumper cables with lights
USD552518S1 (en) Combined hood, headlight cowling and grill for a vehicle
CN203814624U (zh) 一种多功能雨披衣
JP2014015121A (ja) 自転車用ハンドルカバー
CN211711001U (zh) 一种车用手把式防护手套
JP3128465U (ja) 簡易防寒・防水カバー
JP7236643B2 (ja) ハンドルカバー
CN2796421Y (zh) 新型安全雨披
KR100455446B1 (ko) 보자기를 이용한 상투 모자
CN222722468U (zh) 一种遮阳手套
CN2891711Y (zh) 头部随动安全雨帽
JP2006232131A (ja) 防雨、防風カバー
KR200273029Y1 (ko) 오토바이용 비옷
JP3178579U (ja) 自転車用ハンドルカバー
CN2710391Y (zh) 视窗型安全雨披
JP3141937U (ja) ノンハンド傘差しバンド
CN2630093Y (zh) 摩托车手把护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71204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90814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10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21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0021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1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601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