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644Y1 - Multi-gear transmission of automatic transmission - Google Patents
Multi-gear transmission of automatic transmiss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47644Y1 KR200447644Y1 KR2020080010627U KR20080010627U KR200447644Y1 KR 200447644 Y1 KR200447644 Y1 KR 200447644Y1 KR 2020080010627 U KR2020080010627 U KR 2020080010627U KR 20080010627 U KR20080010627 U KR 20080010627U KR 200447644 Y1 KR200447644 Y1 KR 20044764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ndle
- automatic transmission
- touch
- gear
- switc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5 motor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B60K2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mounted on steering column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변속기의 멀티 기어변속장치에 관련되며, 구성에 특징을 살펴보면,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면서 확장형성되고, 저면이 아치형으로 형성되는 하부동체(10); 상기 하부동체(10)를 사이에 두고 핸들(H) 혹은 핸들지지체(H1)상에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유/무선으로 터치신호를 수동 겸용 자동변속기로 전송하는 스위치(22)가 구비되는 상부동체(20); 및 상기 상부동체(20) 내에 일단이 삽입되어 지지축(32)에 의해 선회되면서 지지축(32)을 기준으로 일측에 스위치(22)를 터치하는 터치바(34)가 구비되면서 타측에 스프링이 구비되고, 다른 일단은 핸들(H)에 근접하게 연장되어 양단에 보조터치판(38)이 돌출형성되는 터치패드(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gear transmission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and looking at the features of the configuration, the lower body 10 is formed to expand the thickness thinner toward the edge, the bottom is formed in an arcuate shape; The switch 22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handle H or the handle support H1 with the lower body 10 therebetween, and has a switch 22 for transmitting a touch signal to a manual / automatic automatic transmission therein by wire or wirelessly. Upper fuselage 20; One end is inserted into the upper body 20 and is pivoted by the support shaft 32 while the touch bar 34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body 20 to touch the switch 22, and the spring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It is provided, the other end is extended to close to the handle (H), the touch pad 30, the auxiliary touch plate 38 protrudes on both end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이에 따라, 본 고안은 핸들과 근접하는 위치에 확장된 터치면을 가지도록 설치되어 운전중 핸들에서 손을 떼지 않고 간편하게 조작하여 기어변속이 가능하여 운전중 안전성이 확보되고, 특히 하부동체를 통하여 다양한 차종의 자동변속차량에 유연하게 적용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so as to have an extended touch surface in the position close to the handle is easy to operate without taking off the handle during operation, the gear shift is possible to ensure safety during operation, in particular through the lower body There is an effect to be applied flexibly to the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of the model.
수동 겸용 자동변속기, 터치패드, 상부동체, 하부동체, 핸들 Manual automatic transmission, touch pad, upper fuselage, lower fuselage, steering wheel
Description
본 고안은 자동변속기의 멀티 기어변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수동변속이 이루어지는 자동변속기의 멀티 기어변속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gear transmission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gear transmission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in which manual transmission is made by a simple operation of a driver.
통상적으로 자동변속기가 장착된 오토차량은 일일이 클러치와 기어봉을 조작하지 않고도 주행속도 및 엔진회전수에 따라 기어가 자동 변속되는 장치로서, 운전자에게 편의성과 안전성을 제공공하므로 근자에 출시되는 차량에는 기본옵션으로 탑재된다. In general, an auto vehicle equipped with an automatic transmission is a device in which the gear is automatically shifted according to the driving speed and the engine speed without manipulating the clutch and the gear rod, and it provides the driver with convenience and safety. It is installed as an option.
그런데, 자동변속기가 장착된 오토차량의 특성상 엔진의 구동력에 의해 미션오일이 고압분사되어 바퀴를 구동시키는 동력이 발생되므로 기어를 통하여 동력이 직접전달되는 수동변속기에 비해 연비가 10~30%정도 저하됨은 물론 주행중 기어변속도가 느린 단점으로 인해 젊은 운전자층에게 외면당하는 실정이다.Howeve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uto vehicle equipped with the automatic transmission, the driving force of the engine is injected by the high-pressure injection of the engine oil, thereby generating the power to drive the wheels. Of course, due to the disadvantage of the slow gear shifting while driving, the situation is ignored by the young driver.
이에 자동변속기를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는 수동 겸용 자동변속기가 출시되는바, 이는 자동변속기의 주행, 정지, 주차, 후진작동을 제어하는 기어봉을 설정된 영역에서 아래(-) 위로(+) 조작하여 기어단이 변속되는 차동차 출시가 줄을 있고 있다.Therefore, the manual dual automatic transmission that can operate the automatic transmission is released, which is operated by operating the gear bar that controls the driving, stop, parking and reverse operation of the automatic transmission down (+) up (+) in the set area. There is a decrease in the launch of differential cars with gear shifts.
하지만, 자동변속기의 개발 목적이 수동변속기의 기어봉 조작에 따른 번거로운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인데 반해, 수동 겸용 자동변속기도 기어변속시 일일이 기어봉을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으로 인해 그 수요가 일부 마니아층들에 국한되는 실정이다.However, the purpose of the development of automatic transmission is to solve the cumbersome disadvantage caused by the operation of the gear bar of the manual transmission, whereas the manual combined automatic transmission also has limited demand for some enthusiasts due to the inconvenience of manipulating the gear bar during gear shifting. It is true.
따라서 일부 유명자동차회사에서는 핸들상에 자동변속기의 수동제어를 위한 멀티버튼을 기본옵션으로 설치하여 운전중 핸들에서 손을 떼지 않고 버튼을 터치하여 기어를 수동변속하는 차동차를 출시하고 있다. 그러나 버튼이 운전중 핸들과 함께 회전됨은 물론 핸들의 구조적 특성상 버튼이 협소한 크기로 구비되어 운전중 쉽게 기어변속을 제어하지 못함에 따라 일일이 육안으로 버튼 위치를 확인하고 제어하면서 자칫 주위가 산만해져 대형사고로 이어지는 폐단이 따랐다.Therefore, some well-known automakers have installed a multi-button for manual control of the automatic transmission on the steering wheel as a basic option, and is releasing a differential car that manually shifts gears by touching the button without removing the steering wheel while driving. However, since the button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handle during operation, and the button has a narrow size due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handle, it is not easy to control the gear shifting during operation. Followed by the consequences of the accident.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행중에 레버의 조작이 간편하면서 멀티버튼이 설치되지 않은 자동변속차량에 간단하게 설치되어 사용가능한 자동변속기의 멀티 기어변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more particularly, the multi-gear transmission of the automatic transmission which can be easily installed and used in an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in which the lever is easy to operate and the multi-button is not installed while driving.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devic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특징은,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두께 가 얇아지면서 확장형성되고, 저면이 아치형으로 형성되는 하부동체(10); 상기 하부동체(10)를 사이에 두고 핸들(H) 혹은 핸들지지체(H1)상에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유/무선으로 터치신호를 수동 겸용 자동변속기로 전송하는 스위치(22)가 구비되는 상부동체(20); 및 상기 상부동체(20) 내에 일단이 삽입되어 지지축(32)에 의해 선회되면서 지지축(32)을 기준으로 일측에 스위치(22)를 터치하는 터치바(34)가 구비되면서 타측에 스프링이 구비되고, 다른 일단은 핸들(H)에 근접하게 연장되어 양단에 보조터치판(38)이 돌출형성되는 터치패드(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is purpose, the
이때, 상기 보조터치판(38) 일면에는 기어변속방향 혹은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부(38a)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one side of the
또한, 상기 스프링은 터치패드(3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36a)이 1개소에 구비되거나 복귀스프링(36a) 반대쪽에 복귀스프링(36a)에 대하여 70~80% 저하된 탄성력을 가진 역복귀스프링(36b)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pring is provided with a
또한, 상기 상부동체(20)가 설치되는 핸들(H) 혹은 핸들지지체(H1)의 커버 내측에 "+"자 형태의 하중분산판(40)이 볼트체결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고안은 핸들과 근접하는 위치에 확장된 터치면을 가지도록 설치되어 운전중 핸들에서 손을 떼지 않고 간편하게 조작하여 기어변속이 가능하여 운전중 안전성이 확보되고, 특히 하부동체를 통하여 다양한 차종의 자동변속차량에 유연하게 적용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o have an extended touch surface in a position close to the handle, so that the gear can be shifted by simply operating without removing the hand from the handle during operation, thereby ensuring safety during operation. The fuselage has the effect of being applied flexibly to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s of various vehicle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 내지 1b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멀티 기어변속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a 내지 2b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멀티 기어변속장치의 하부동체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3a 내지 3b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멀티 기어변속장치의 상부동체를 절개하여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멀티 기어변속장치의 터치패드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이다.1a to 1b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ulti-gear transmission of the automatic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ures 2a to 2b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lower body of the multi-gear transmission of the automatic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to 3b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upper body of the multi-gear transmission of the automatic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nlarged main portion of the touch pad of the multi-gear transmission of the automatic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block diagram.
본 고안은 자동변속기의 멀티 기어변속장치에 관련되며, 이때 자동변속기의 멀티 기어변속장치는 수동 겸용 자동변속기가 장착된 오토차량에 설치되어 핸들에서 손을 떼지 않고 운전중에 간편하게 기어를 변속하기 위해 하부동체(10), 상부동체(20), 터치패드(30)를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gear transmission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wherein the multi-gear transmission of the automatic transmission is installed in an auto vehicle equipped with a manual automatic transmission, so that the gear can be shifted easily during operation without removing the handle. The
본 고안에 따른 하부동체(10)는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면서 확장형성되고, 저면이 아치형으로 형성된다. 하부동체(10)는 고무를 포함한 탄성재질로 형성되되, 후술하는 상부동체(20)를 제작시 일체로 사출성형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조립사용된다.
그리고 하부동체(10)는 아치형의 저면 형상 및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상부동체(20)가 장착되는 설치면(예컨대, 핸들(H), 핸들지지체(H1))이 도 2a처럼 볼록하게 돌출된 형상일 경우 설치면을 수용한 상태로 감싸듯이 설치되고, 또 2b와 같이 설치면이 평평하거나 오목하게 함몰된 경우 가장자리부가 휘어지면서 설치면에 긴밀하게 견착된다.In addition, the
이처럼 하부동체(10)가 설치면의 형상에 대응하여 유연하게 변형되면서 상부동체(20)와 설치면 사이의 공간을 긴밀하게 마감하여 마치 일체형과 같은 조립상태를 유지하므로 설치면이 상이한 다양한 차종에 간편하게 작용가능한 이점이 있다.As the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부동체(20)는 하부동체(10)를 사이에 두고 핸들(H) 혹은 핸들지지체(H1)상에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유/무선으로 터치신호를 수동 겸용 자동변속기로 전송하는 스위치(22)가 구비된다. 상부동체(20)는 내부가 빈 중공의 케이스로 형성되고, 일단에 후술하는 터치패드(30)가 수용되어 선회시 작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일측이 절개된다.In addition, the
상부동체(20)는 핸들(H) 혹은 핸들지지체(H1)와 별도로 분할제작되어 상기한 하부동체(10)를 사이에 두고 원하는 위치에 장착가능함에 따라 기존에 운행중인 수동 겸용 자동변속차량에 간편하게 적용가능한 범용성이 제공된다.The
이때, 상부동체(20)는 양면테이프 혹은 나사결합으로 설치되되, 나사결합시 체결력이 견고하게 유지되면서 설치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동체(20)가 설치되는 핸들(H) 혹은 핸들지지체(H1)의 커버 내측에 "+"자 형태의 하중분산판(40)이 구비된다. 하중분산판(40)은 "+"자형 구조로 형성되어 중량은 감소되면서 견착면이 확대된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스위치(22)는 통상의 기판스위치 혹은 텍트스위치로서 상부동체(20) 바닥에 설치되어 유/무선으로 수동 겸용 자동변속기와 연결되고, 후술하는 터치패드(30)의 작동에 의해 스위치(22)가 제어되어 기어변속이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터치패드(30)는 상부동체(20) 내에 일단이 삽입되어 지지축(32)에 의해 선회되면서 지지축(32)을 기준으로 일측에 스위치(22)를 터치하는 터치바(34)가 구비되면서 타측에 스프링이 구비되고, 다른 일단은 핸들(H)에 근접하게 연장되어 양단에 보조터치판(38)이 돌출형성된다.In addition, the
터치패드(30)는 핸들(H) 혹은 핸들지지체(H1)의 외주면형상을 고려하여 유선형으로 형성되면서 운전자가 운전 중에 제어할 수 있도록 단부가 핸들봉에 근접하게 위치되는바, 여기서 터치패드(30)의 도 4와 같이 일단에 보조터치판(38)은 아치형으로 핸들(H)의 형상을 따라 돌출형성되어 터치범위가 확대되므로 운전중에 조작이 간편하다.The
그리고, 터치패드(30)는 단부가 상부동체(20)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지지축(32)을 중심으로 선회되고, 작동후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원점으로 복귀된다. 이때 스프링은 도 3a처럼 터치패드(3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36a)이 1개소에 구비되거나 도 3b와 같이 복귀스프링(36a) 반대쪽에 복귀스프링(36a)에 대하여 70~80% 저하된 탄성력을 가진 역복귀스프링(36b)이 추가로 구비된다. Then, the
여기서 터치패드(30)상에 복귀스프링(36a)과 역복귀스프링(36b)을 서로 다른 탄성비로 설치함에 따라 터치패드(30)를 작동시 손으로 당기는 힘에 역복귀스프링(36b)의 탄성력이 추가되어 부드러운 터치감이 제공됨은 물론 터치패드(30)상에 서 손을 떼면 복귀스프링(36a)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역복귀스프링(36b)에 완충되어 부드러운 작동을 도모하게 된다.Here, as the
또, 터치패드(30)는 지지축(32)을 중심으로 선회하면서 스위치(22)를 정확하게 터치할 수 있도록 일측에 터치바(34)가 돌출형성되는바, 여기서 터치바(34)는 터치패드(30)를 과도한 힘으로 작동시 충격에 의해 자칫 손상될 수 있는 스위치(22)를 보호하기 위해 고무를 포함한 탄성재질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한편, 스위치(22)와 스프링이 터치패드(30)의 지지축(32)을 중심으로 양단에 배치됨에 따라 상부동체(20) 내부 공간활용도가 향상되어 사이즈를 더욱 작게 축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as the
또, 상기 보조터치판(38) 일면에는 기어변속방향 혹은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부(38a)가 구비된다. 표시부는 도 4에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H) 혹은 핸들지지체(H1) 양단에 위치되는 보조터치판(38)을 운전자가 주·야간에 육안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LED램프를 설치하거나 기어의 승단/하단방향을 나타내는 +/-, UP/DOWM 등의 문자를 일면에 표시하여 운전 중 정확한 기어변속을 유도하게 된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도 1a 내지 1b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멀티 기어변속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1a to 1b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multi-gear transmission of the automatic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도 2a 내지 2b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멀티 기어변속장치의 하부동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2a to 2b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lower body of the multi-gear transmission of the automatic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내지 3b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멀티 기어변속장치의 상부동체를 절개하여 나타내는 구성도.Figure 3a to 3b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upper fuselage of the multi-gear transmission of the automatic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변속기의 멀티 기어변속장치의 터치패드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Figure 4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touch pad of the multi-gear transmission of the automatic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10627U KR200447644Y1 (en) | 2008-08-09 | 2008-08-09 | Multi-gear transmission of automatic transmiss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10627U KR200447644Y1 (en) | 2008-08-09 | 2008-08-09 | Multi-gear transmission of automatic transmiss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47644Y1 true KR200447644Y1 (en) | 2010-02-11 |
Family
ID=44210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80010627U Expired - Lifetime KR200447644Y1 (en) | 2008-08-09 | 2008-08-09 | Multi-gear transmission of automatic transmiss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47644Y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67323B1 (en) | 2012-11-09 | 2014-03-0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ttachable electronic shift lever |
KR200499394Y1 (en) * | 2018-11-05 | 2025-07-22 | 실라테크 에스.알.엘. | Control system for automotive transmission including portable control devic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18417A (en) | 2001-10-17 | 2003-04-23 | Mazda Motor Corp | Variable speed operation device for vehicle |
JP2003127696A (en) | 2001-10-23 | 2003-05-08 | Niles Parts Co Ltd | Switch device |
KR20040007606A (en) * | 2001-05-25 | 2004-01-24 |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 Shift device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of a vehicle |
JP2007069634A (en) | 2005-09-05 | 2007-03-22 | Nissan Motor Co Ltd | Paddle type shift operation device of transmission |
-
2008
- 2008-08-09 KR KR2020080010627U patent/KR200447644Y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07606A (en) * | 2001-05-25 | 2004-01-24 |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 Shift device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of a vehicle |
JP2003118417A (en) | 2001-10-17 | 2003-04-23 | Mazda Motor Corp | Variable speed operation device for vehicle |
JP2003127696A (en) | 2001-10-23 | 2003-05-08 | Niles Parts Co Ltd | Switch device |
JP2007069634A (en) | 2005-09-05 | 2007-03-22 | Nissan Motor Co Ltd | Paddle type shift operation device of transmissio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67323B1 (en) | 2012-11-09 | 2014-03-0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ttachable electronic shift lever |
KR200499394Y1 (en) * | 2018-11-05 | 2025-07-22 | 실라테크 에스.알.엘. | Control system for automotive transmission including portable control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30030604A1 (en) | Control system for vehicle, vehicle having the control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US20130220055A1 (en) | Multifunctional integrated shifter | |
US7694604B2 (en) | Shifting mechanism for an automated or automatic transmission | |
WO2005009769A3 (en) | Multiple rpm indicating tachometer for motor vehicles | |
JP2009144833A (en) |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 |
JP2008138818A (en) | Gear position determination device for manual transmission and gear shift instruction device for automobile | |
CN204493677U (en) | A kind of roller type electronic gearshift mechanism | |
CN216671416U (en) | Multifunctional handle arrangement of automobile pocket stop combined switch | |
US20140326101A1 (en) | Cable pulling device used in parking mode manually releasing device for shift-by-wire type automatic transmission | |
ATE263689T1 (en) | CONTROL UNIT FOR VEHICLE | |
ATE382000T1 (en) | TRANSMISSION ACTUATING DEVICE LOCATED ON THE STEERING WHEEL | |
CN103697152B (en) | EPS semi-automatic shift system | |
CN203176342U (en) | Hill starting assisting device of manual-gear automobile and automobile | |
US20120138419A1 (en) | Layout for parking system of decelerator for electric motor vehicle | |
DE50207208D1 (en) | CONTROL UNIT FOR PROGRAM OR SWITCH PROGRAM SELECTION OF AN AUTOMATIC MOTOR VEHICLE GEARBOX | |
KR200447644Y1 (en) | Multi-gear transmission of automatic transmission | |
WO2009060740A1 (en) | Shift device | |
JP2010265903A (en) |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 |
CN201951246U (en) | Electric control transfer case device of automobile | |
CN201103672Y (en) | Locking type overrunning clutch synchro | |
CN212338134U (en) | An upright dial button shift control device | |
CN201777185U (en) | Gear display device for manual transmission of car | |
KR101399182B1 (en) | Electric manual transmission | |
ES2325273T3 (en) | ROBOTIZED SPEED BOX FOR MOTORIZED VEHICLES, IN PARTICULAR FOR DISABLED PEOPLE. | |
KR100218791B1 (en) | Automotive clutch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80809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91026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001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0020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00201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29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1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1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2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7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2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8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1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9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1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EXPY | Expiration of term | ||
U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9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