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47310Y1 -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비데 - Google Patents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비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310Y1
KR200447310Y1 KR2020090003198U KR20090003198U KR200447310Y1 KR 200447310 Y1 KR200447310 Y1 KR 200447310Y1 KR 2020090003198 U KR2020090003198 U KR 2020090003198U KR 20090003198 U KR20090003198 U KR 20090003198U KR 200447310 Y1 KR200447310 Y1 KR 2004473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eat
pipe
odor
bidet
su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31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근식
Original Assignee
최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근식 filed Critical 최근식
Priority to KR20200900031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3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3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310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98Odour seals consisting only of non-return valv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 E03D9/052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using incorporated fa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변시 발생되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보다 쾌적하고 위생적인 용변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비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데 몸체; 상기 비데 몸체에 연결되어 좌변기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저면에 적어도 둘 이상의 천공된 흡입구가 형성되고 배면에 상기 흡입구와 연결되는 흡입관이 형성되는 변좌; 상기 흡입관에 일단이 연결되고 오수관에 타단이 연결되는 악취 제거관; 상기 악취 제거관의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오수관을 향해 공기를 이송시키는 송풍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비데에 관한 것이다.
비데, 악취 제거 장치, 악취 배출 장치, 악취 제거, 공기 펌핑 장치

Description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비데{Bidet with a bad smell-removing function}
본 고안은 용변시 발생되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보다 쾌적하고 위생적인 용변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비데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악취 제거 기능이 없는 일반적인 비데의 사시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양변기 본체(10)에서 변좌와 커버를 분리한 후 상기 양변기(10)의 상면에 설치되는 비데(20)와 상기 비데 본체(21)의 일 측면에 설치되는 변좌(22) 및 커버(23)와 상기 변좌(22)의 후방 하부로부터 일정량의 세척액을 분사하여 인체의 용변 부위를 세척하는 세척부(24)와 상기 비데 본체(21)의 내부에 설치되어 세척된 인체의 용변 부위를 건조시키기 위한 송풍부(도면 미도시)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비데는 그 구조상 용변 후 세척된 인체의 항문 주위를 세척 및 건조시키는 기능에만 한정되기 때문에 용변시에 발생되는 불쾌한 냄새를 원활하게 제거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특히 상기 송풍부(도면 미도시)의 작동시 양변 기 내부의 불쾌한 냄새가 외부로 함께 배출되기 때문에 화장실 내의 대기 환경을 더욱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비데의 소정 부위에 탈취제를 설치하고 비데를 사용할 때 발생되는 악취를 상기 탈취제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비데가 최근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탈취제를 이용한 탈취 방식의 경우 첫째, 장시간 사용함에 따라 탈취제의 탈취 능력이 감소하여 악취 제거가 되지 않으며 둘째, 용변시 발생되는 악취를 즉각적으로 제거할 수 없어 용변을 보는 사람은 여전히 악취에 시달릴 수 밖에 없다는 문제가 있고 셋째, 탈취제의 경우 악취뿐만 아니라 좌변기 내의 습기까지 함께 흡수하기 때문에 항상 축축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세균이나 곰팡이 등이 번식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장시간 사용해도 악취 제거 기능이 떨어지지 않고 용변시 악취를 즉시 제거하며 세균이나 곰팡이의 번식 염려가 없는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비데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고안은 송풍 장치를 이용하여 흡입구를 통해 악취를 빨아들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비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악취 감지 센서, 타이머, 압력 센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향상된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비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비데 몸체(210); 상기 비데 몸체(210)에 연결되어 좌변기(100)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저면에 적어도 둘 이상의 천공된 흡입구(221)가 형성되고 배면에 상기 흡입구(221)와 연결되는 흡입관(222)이 형성되는 변좌(220); 상기 흡입관(222)에 일단이 연결되고 오수관(110)에 타단이 연결되는 악취 제거관(230); 상기 악취 제거관(230)의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221)로부터 상기 오수관(110)을 향해 공기를 이송시키는 송풍장치(2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 비데 몸체(210)에는 악취를 감지하는 악취 감지 센서(211)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비데 몸체(210)에는 상기 송풍장치(240)의 작동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타이머(212)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 변좌(220)의 저면에는 사용자가 앉을 경우 압력에 대응되는 신호를 상기 비데 몸체(210)로 전송하는 압력 센서(223)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 송풍장치(240)는 모터(241)에 의해 구동되는 송풍팬(24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고안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흡입구(221) 내부는 그물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 악취 제거관(230)에는 악취와 오수가 역류하지 않도록 역류 방지장치(23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물 세척과정에서 유입된 물을 배출하기 위해 상기 변좌(220)의 힌지 결합 측 저면에는 배수홀(224)이 구비되고 상기 배수홀(224)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수로(22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 변좌(220)의 저면에 형성되는 흡입구(221)는 동일한 이격 거리마다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송풍 장치를 이용하여 용변시에 발생되는 악취를 흡입구로 빨아들여 외부로 배출하여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송풍 장치를 이용하므로 악취 제거 능력이 감소하지 않으며 용변시 실시간으로 발생되는 악취를 즉시 제거할 수 있고 세균이나 곰팡이의 번식 염려가 없다는 효과가 있다.
일반적으로 화장실 문화의 발달에 따라 위생적인 수세식의 변기가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쾌적하고 편리하도록 변기에 여러 가지 기능을 부가한 변기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비데란 좌변기에 일체로 설치되어 용변 후 사용자의 용변 부위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로 단순히 용변 부위를 세척하는 것 이외에 치질과 같은 항문 질환의 통증 완화에도 효과가 있기 때문에 그 사용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생활의 수준이 향상되어 위생에 대한 관심이 더욱 증대되면서 비데 장치가 많이 보급되었는데 이러한 비데는 화장실의 양변기 등에 일체 또는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신체의 용변 부위 즉, 항문 주변 등에 물이나 기타 세척액 등을 일정한 압력으로 분사하여 세척을 행함으로써 용변 후 사용자에게 더욱 향상된 위생 신뢰도를 제공함은 물론 상기한 세척 작용에 의해 인체의 항문 질환 등을 예방하여 건강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변좌의 사시도를,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한 변좌의 악취 제거 구조를 나타낸 구조도를, 도 4 는 본 고안에 의한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비데의 결합 사시도를, 도 5 는 본 고안에 의한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비데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면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비데는 좌변기(100)와 비 데(200)로 크게 나뉘며 상기 비데(200)는 비데 몸체(210), 변좌(220), 악취 제거관(230), 송풍 장치(240), 커버(2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3 을 참조하면 상기 비데 몸체(210)는 상기 좌변기(100)에 설치되며 전기적 및 기계적인 구성들이 내장되는 본체로 상기 변좌(220)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비데 몸체(210)에는 악취를 감지하는 악취 감지 센서(211), 송풍 장치(240)의 작동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타이머(212)가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악취 감지 센서(211)는 악취 발생시 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상기 비데 몸체(210)에 구비된 제어 장치(도면 미도시)로 전기적 신호를 송출하여 상기 송풍 장치(240)를 이용하여 악취 제거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타이머(212)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자동 타이머인 경우 상기 비데 몸체(210)에 구비된 악취 감지 센서(211)에서 악취를 감지하거나 후술하게 될 압력 센서(223)에서 사용자의 착좌를 감지하면 일정 시간동안 상기 송풍 장치(240)를 구동시켜 악취 제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수동 타이머인 경우 사용자가 상기 비데 몸체(210)에 구비된 조작버튼(도면 미도시)을 이용하여 소정의 시간동안 송풍 장치(240)를 구동시켜 악취 제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면 상기 변좌(220)는 상기 비데 몸체(210)에 연결되며 상기 좌변기(100)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변좌(220)에는 사용자가 용변시 편안하게 앉을 수 있도록 쿠션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변좌(220)의 저면에는 적어도 둘 이상의 천공된 흡입구(221)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변좌(220)의 배면에는 상기 흡입구(221)와 연결되는 흡입관(2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221)는 상기 변좌(220)의 저면에 형성되어 좌변기(100)의 악취를 흡입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다수개의 흡입구(221)는 동일한 이격 거리를 두고 상기 변좌(220) 저면의 전체에 형성되어 악취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흡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입구(221)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부에 격자무늬 등의 그물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221)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상기 흡입관(222)으로 모여 후술하게 될 악취 제거관(230)으로 이동한다. 비데의 물 세척과정에서 상기 흡입구(221)로 유입된 물을 배출하기 위해 상기 변좌(220)의 내측에서 상기 좌변기(100)와 힌지 결합된 측면의 저면에는 배수홀(22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홀(224)로 물 배출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상기 변좌(220)의 내측 저면에는 상기 변좌(220)의 형성 방향을 따라 상기 배수홀(224)이 형성된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배수로(22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좌(220)의 저면에는 사용자가 앉을 경우 그에 대응되는 신호를 상기 비데 몸체(210)의 제어 장치(도면 미도시)로 전송하는 압력 센서(223)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압력 센서(223)의 형성 위치는 사용자의 체구에 관계없이 압력을 전달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압력 센서(223)는 상기 변좌(220)의 저면에서 상기 배수홀(224)이 형성된 측면과 대향되는 측면에 좌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도 5 를 참조하면 상기 악취 제거관(230)은 일단이 상기 흡입관(222)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좌변기(100)의 오수관(110)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입구(221)에서 흡입되어 흡입관(222)을 통해 유입되는 악취를 포함 한 공기는 상기 악취 제거관(230)을 통과하여 상기 좌변기(100)의 오수관(110)으로 방출된다. 따라서, 화장실 실내의 공기를 오염시키지 않고 방출할 수 있다. 상기 오수관(110)으로부터 악취와 오수가 역류하지 않도록 상기 악취 제거관(230)에는 역류 방지 장치(23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역류 방지 장치(231)는 상기 악취 제거관(230)에서 오수관(110) 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만 통과시키고 그 역방향인 오수관(110)에서 악취 제거관(230) 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와 오수는 차단하는 원웨이(one-way) 밸브일 수 있다.
도 3 을 참조하면 상기 송풍 장치(240)는 상기 흡입구(221)로 부터 공기를 빨아 들여 상기 흡입관(222)과 악취 제거관(230)을 지나 오수관(110)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 유동 장치이다. 상기 송풍 장치(240)는 상기 비데 몸체(210)를 통과하는 악취 제거관(230)의 중앙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모터(241)에 의해 구동되는 송풍팬(24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 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250)는 통상의 변기에서의 커버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도 1 은 종래의 일반적인 비데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변좌의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한 변좌의 악취 제거 구조를 나타낸 구조도.
도 4 는 본 고안에 의한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비데의 결합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의한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비데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양변기 본체 20 : 비데
21 : 비데 본체 22 : 변좌
23 : 커버 24 : 세척부
100 : 좌변기 110 : 오수관
200 : 비데
210 : 비데 몸체 211 : 악취 감지 센서
212 : 타이머
220 : 변좌 221 : 흡입구
222 : 흡입관 223 : 압력 센서
224 : 배수홀 225 : 배수로
230 : 악취 제거관 231 : 역류 방지 장치
240 : 송풍 장치 241 : 모터
242 : 송풍팬
250 : 커버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비데 몸체(210);
    상기 비데 몸체(210)에 연결되어 좌변기(100)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저면에 적어도 둘 이상의 천공된 흡입구(221)가 형성되고 배면에 상기 흡입구(221)와 연결되는 흡입관(222)이 형성되는 변좌(220);
    상기 흡입관(222)에 일단이 연결되고 오수관(110)에 타단이 연결되는 악취 제거관(230);
    상기 악취 제거관(230)의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221)로부터 상기 오수관(110)을 향해 공기를 이송시키는 송풍장치(240);
    를 포함하되,
    상기 비데 몸체(210)에는 악취를 감지하는 악취 감지 센서(211)가 포함되고, 상기 송풍장치(240)는 모터(241)에 의해 구동되는 송풍팬(242)이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흡입구(221) 내부는 그물망으로 구성되고, 상기 악취 제거관(230)에는 악취와 오수가 역류하지 않도록 역류 방지장치(231)가 구비되며, 물 세척과정에서 유입된 물을 배출하기 위해 상기 변좌(220)의 내측에서 상기 좌변기(100)와 힌지 결합된 측면의 저면에는 배수홀(224)이 구비되고, 상기 변좌(220)의 내측 저면에는 상기 변좌(220)의 형성 방향을 따라 상기 배수홀(224)이 형성된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배수로(22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비데.
  7. 비데 몸체(210);
    상기 비데 몸체(210)에 연결되어 좌변기(100)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저면에 적어도 둘 이상의 천공된 흡입구(221)가 형성되고 배면에 상기 흡입구(221)와 연결되는 흡입관(222)이 형성되는 변좌(220);
    상기 흡입관(222)에 일단이 연결되고 오수관(110)에 타단이 연결되는 악취 제거관(230);
    상기 악취 제거관(230)의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221)로부터 상기 오수관(110)을 향해 공기를 이송시키는 송풍장치(240);
    를 포함하되,
    상기 비데 몸체(210)에는 상기 송풍장치(240)의 작동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타이머(212)가 포함되고, 상기 송풍장치(240)는 모터(241)에 의해 구동되는 송풍팬(242)이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흡입구(221) 내부는 그물망으로 구성되고, 상기 악취 제거관(230)에는 악취와 오수가 역류하지 않도록 역류 방지장치(231)가 구비되며,
    물 세척과정에서 유입된 물을 배출하기 위해 상기 변좌(220)의 내측에서 상기 좌변기(100)와 힌지 결합된 측면의 저면에는 배수홀(224)이 구비되고, 상기 변좌(220)의 내측 저면에는 상기 변좌(220)의 형성 방향을 따라 상기 배수홀(224)이 형성된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배수로(22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비데.
  8. 비데 몸체(210);
    상기 비데 몸체(210)에 연결되어 좌변기(100)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저면에 적어도 둘 이상의 천공된 흡입구(221)가 형성되고 배면에 상기 흡입구(221)와 연결되는 흡입관(222)이 형성되는 변좌(220);
    상기 흡입관(222)에 일단이 연결되고 오수관(110)에 타단이 연결되는 악취 제거관(230);
    상기 악취 제거관(230)의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221)로부터 상기 오수관(110)을 향해 공기를 이송시키는 송풍장치(240);
    를 포함하되,
    상기 변좌(220)의 저면에는 사용자가 앉을 경우 압력에 대응되는 신호를 상기 비데 몸체(210)로 전송하는 압력 센서(223)가 포함되고, 상기 송풍장치(240)는 모터(241)에 의해 구동되는 송풍팬(242)이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흡입구(221) 내부는 그물망으로 구성되고, 상기 악취 제거관(230)에는 악취와 오수가 역류하지 않도록 역류 방지장치(231)가 구비되며,
    물 세척과정에서 유입된 물을 배출하기 위해 상기 변좌(220)의 내측에서 상기 좌변기(100)와 힌지 결합된 측면의 저면에는 배수홀(224)이 구비되고, 상기 변좌(220)의 내측 저면에는 상기 변좌(220)의 형성 방향을 따라 상기 배수홀(224)이 형성된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배수로(22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비데.
  9. 삭제
KR2020090003198U 2009-03-19 2009-03-19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비데 Expired - Fee Related KR2004473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198U KR200447310Y1 (ko) 2009-03-19 2009-03-19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비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198U KR200447310Y1 (ko) 2009-03-19 2009-03-19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비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7310Y1 true KR200447310Y1 (ko) 2010-01-14

Family

ID=44210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3198U Expired - Fee Related KR200447310Y1 (ko) 2009-03-19 2009-03-19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비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31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61079A (zh) * 2012-11-19 2013-03-13 马军 坐便器及其坐圈
KR20170003010A (ko) * 2015-06-30 2017-01-09 최태열 양변기용 냄새 제거장치
KR20220147200A (ko) * 2021-04-27 2022-11-03 황상미 냄새 센서를 구비한 애완용 동물 방석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2352A (ko) * 2000-09-20 2002-03-27 박상영 좌변기의 환기시스템
KR200306436Y1 (ko) * 2002-10-28 2003-03-11 이복식 냄새 강제 제거 기능을 가지는 양변기
KR200316420Y1 (ko) * 2003-03-20 2003-06-18 주식회사 오메르 다기능 변기시트 커버
KR100461780B1 (ko) * 2002-10-02 2004-12-23 권순영 좌변기용 악취제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2352A (ko) * 2000-09-20 2002-03-27 박상영 좌변기의 환기시스템
KR100461780B1 (ko) * 2002-10-02 2004-12-23 권순영 좌변기용 악취제거 장치
KR200306436Y1 (ko) * 2002-10-28 2003-03-11 이복식 냄새 강제 제거 기능을 가지는 양변기
KR200316420Y1 (ko) * 2003-03-20 2003-06-18 주식회사 오메르 다기능 변기시트 커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61079A (zh) * 2012-11-19 2013-03-13 马军 坐便器及其坐圈
KR20170003010A (ko) * 2015-06-30 2017-01-09 최태열 양변기용 냄새 제거장치
KR101715000B1 (ko) 2015-06-30 2017-03-22 최태열 양변기용 냄새 제거장치
KR20220147200A (ko) * 2021-04-27 2022-11-03 황상미 냄새 센서를 구비한 애완용 동물 방석 및 그 동작 방법
KR102731191B1 (ko) 2021-04-27 2024-11-15 황상미 냄새 센서를 구비한 애완용 동물 방석 및 그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9515B1 (ko) 위생 변기
KR20190061457A (ko) 변기 악취제거장치
KR101072842B1 (ko) 거동불편 환자용 자동 대소변 처리장치
KR200447310Y1 (ko)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비데
KR100491641B1 (ko) 냄새 강제 제거 기능을 가지는 양변기
KR20060079761A (ko) 탈취 실내변기
KR20160001264A (ko) 세균 및 악취 차단 기능을 갖춘 비데
KR101656137B1 (ko) 악취제거 기능을 갖는 비데
KR101358493B1 (ko) 소변기
KR101502302B1 (ko) 위생 변기용 변기좌대
KR20060088521A (ko) 좌변기의 냄새제거 장치
KR200492905Y1 (ko) 착탈식 냄새흡입부재가 구성되는 악취 제거 변기
KR20090043779A (ko) 악취제거 및 건조공기 공급이 용이한 양변기용 비데
KR200432717Y1 (ko) 악취제거변기
KR200306436Y1 (ko) 냄새 강제 제거 기능을 가지는 양변기
KR20070011220A (ko) 양변기용 악취 제거장치
KR102169150B1 (ko) 직수식 변기용 악취 제거장치
KR200438551Y1 (ko) 악취제거 및 그의 역류방지를 위한 양변기
JP6693038B2 (ja) 便器の悪臭除去装置
KR100709400B1 (ko) 벽걸이형 위생 소변기
KR20120117449A (ko) 소변기용 악취제거장치
KR20180009299A (ko) 양변기용 탈취 장치
KR102407222B1 (ko) 악취제거구조를 포함하는 양변기
KR20100126989A (ko) 변기장치
KR200220437Y1 (ko) 수세식 좌변기의 냄새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90319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20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19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90616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1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10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0010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412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