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47047Y1 - 토출량 조절팁 - Google Patents

토출량 조절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047Y1
KR200447047Y1 KR20080005387U KR20080005387U KR200447047Y1 KR 200447047 Y1 KR200447047 Y1 KR 200447047Y1 KR 20080005387 U KR20080005387 U KR 20080005387U KR 20080005387 U KR20080005387 U KR 20080005387U KR 200447047 Y1 KR200447047 Y1 KR 2004470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contents
container
discharge amount
ti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0800053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0955U (ko
Inventor
이현수
김주섭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200800053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047Y1/ko
Publication of KR200900109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9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0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04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2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dispensing means, e.g. sprink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 B65D35/28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for expelling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6/00Special receptacle or package
    • Y10S206/823Cosmetic, toilet, powder puf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토출량 조절팁에 관한 것으로, 용기(110)에 담기 내용물(S)이 토출구(102)를 통해 배출되는 토출량 조절팁(100)에 있어서, 상기 토출량 조절팁(100)에 형성된 토출구(102) 주위로 용기(110)에 담기 내용물이 토출될 때의 량을 파악하는 정량 눈금 표시부(104)로서, 정량 눈금 표시부(104)는 토출구(102)를 중심으로 토출구(102)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라인(104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량 조절팁이 제공된다. 이에 따라, 용기에 담긴 내용물을 배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된 팁에 정량 눈금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용기에서 토출된 내용물의 량이 얼마만큼인지 쉽게 인지하고 이로부터 내용물의 배출량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화장품, 토출량, 눈금, 토출량 조절

Description

토출량 조절팁{Tip for discharge amount adjustment}
본 고안은 토출량 조절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에 담긴 화장품을 사용하기 위해 용기에서 내용물이 배출될 때 내용물의 배출량을 사용자가 쉽게 인식하고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토출량 조절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성들은 자신의 얼굴이 화사하면서 아름답게 보이도록 화장을 하게 된다. 이러한, 화장품은 그 기능에 따라 기초 화장품, 메이크업 화장품, 모발용 화장품, 프레그런스(fragrance), 기능성 화장품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화장품은 그 상태에 따라 크림, 분말, 액상의 상태로 구분되어 각 상태에 알맞은 용기에 보관된다.
도 1 은 종래의 화장품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크림과 액상 같은 소정의 점성을 갖는 화장품은, 그 내용물을 필요에 따라 토출시켜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10)에 보관되어 사용된다. 즉, 상기 화장품은 토출구(14)가 형성된 수용체(12)에 담기게 된다.
부연하자면, 상기 토출구(14)는 수용체(12) 내부에서 토출구(14)로 갈수록 협소해지는 유로를 형성하는 바, 상기 토출구(14)는 상기 수용체(12)와 일체로 형 성되는 네크부(16)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네크부(16)의 외경으로는 치합되거나 형합되는 마개(18)가 설치되어 수납체(12)에 담긴 화장품의 출입을 제어하게 된다. 특히,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튜브 형태의 수납체(12)는 사용자 악력으로 튜브를 눌러 튜브에 담긴 내용물을 토출구(12) 외부로 배출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화장품 용기는, 내용물이 배출될 때의 량을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특히, 기능성 화장품의 경우 정해진 사용법에 따라 정량의 내용물을 적절한 시기에 사용해야 그 효과가 증진되는데, 상기와 같은 튜브 형태의 화장품 용기는 사용자가 용기에서 토출되는 내용물의 량을 임의적으로 판단하고 조절하여 사용하였기 때문에 정량을 사용할 수 없고 따라서 그 효과를 크게 기대할 수 없다.
또한, 상기 튜브 형태의 화장품 용기 이외에 펌프 형태의 화장품 용기는, 누름 버튼을 가압하는 정도에 따라 수용체에 담긴 내용물의 배출량을 어느 정도 조절할 수 있으나, 누름 버튼을 동일하게 가압하더라도 수용체 내부의 압력 및 수용체의 외부온도와 같은 환경에 따라 수용체에서 내용물이 배출될 때의 량이 달라져 정량의 내용물을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용기에 담긴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해 배출시킬 때 사용자가 쉽게 인식하고 이에 따라 배출량을 조절하여 정량의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는 토출량 조절팁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용기(110)에 담기 내용물(S)이 토출구(102)를 통해 배출되는 토출량 조절팁(100)에 있어서, 상기 토출량 조절팁(100)에 형성된 토출구(102) 주위로 용기(110)에 담기 내용물이 토출될 때의 량을 파악하는 정량 눈금 표시부(104)로서, 정량 눈금 표시부(104)는 토출구(102)를 중심으로 토출구(102)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라인(104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량 조절팁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라인(104a)은 토출구(102)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연속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정량 눈금 표시부(104)은 토출구(102)를 중심으로 토출구(102) 둘레가 함몰된 오목홈(104b)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한 토출량 조절팁은, 용기에 담긴 내용물을 배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된 팁에 정량 눈금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용기에서 토출된 내용물의 량이 얼마 만큼인지 쉽게 인지하고, 이로부터 내용물의 토출량을 조절하여 내용물의 1회 사용에 따른 정량을 준수할 수 있어 내용물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토출량 조절팁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토출량 조절팁(100)은 크림과 액상 같은 소정의 점성을 갖는 내용물(S)을 담는 용기(110)의 상부에 설치된다.
부연하자면, 크림과 액상 같은 유동성을 갖는 화장품, 즉 내용물(S)은 용기(110)에 담겨진 상태로 일반 사용자에게 판매된다. 상기와 같은 용기(110)는 그 내부에 내용물(S)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의 상부로는 개구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에는 내용물(S)의 출입을 제어하는 토출량 조절팁(100)이 설치되는데, 상기 토출량 조절팁(100)에는 내용물(S)이 토출되는 토출구(102)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토출량 조절팁(10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10)와 토출량 조절팁(100)이 각각 성형된 상태에서 용기(110)와 토출량 조절팁(100)이 연결되는 부분으로 치합되거나 접합되어 일체로 형성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용기(110)와 토출량 조절팁(100)이 일체로 성형되고, 별도의 공정에 의해 내용물(S)이 용기(110)의 내부 공간에 충전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용기(110)는 내용물(S)의 배출 방식에 따라 사용자의 악력을 이용하여 용기(110)의 외측면을 눌러 내용물을 토출시켜 사용하는 튜브형과 용기(110)의 내부에 펌프(미도시)가 설치되고, 상기 펌프의 작동에 의해 용기(110) 에 담긴 내용물(S)이 토출되는 펌프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튜브형 또는 펌프형은 내용물(S)이 용기(110)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토출구(102)가 형성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정량 눈금 표시부(104)는 토출구 둘레에 형성되어 튜브형 또는 펌프형의 구분없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즉, 용기(110)의 상부에는 토출량 조절팁(100)이 마련되고, 상기 토출량 조절팁(100)의 내부에는 용기(110)에 담긴 내용물(S)이 토출구(102)로 유동할 수 있도록 유로(103)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량 조절팁(100)에 형성된 토출구(102) 주위에는 유로(103)를 따라 이동한 내용물(S)이 토출구(102)로 토출될 때의 량을 파악할 수 있는 정량 눈금 표시부(104)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정량 눈금 표시부(104)는 토출구(102)를 중심으로 그 둘레를 감싸는 환(環) 모양의 라인(104a)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라인(104a)이라 함은, 토출구(102)에서 배출된 내용물(S)이 토출구(102)를 통해 얼마만큼 토출되었는지를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는 눈금과 같은 역할을 하는 것으로 토출구(102)가 형성된 토출량 조절팁(100)의 표면으로 상기 토출구(102)를 중심으로 그 둘레를 감싸는 환 모양을 갖고 도료에 의해 인쇄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인(104a)은 도료에 의해 페인팅된 것 뿐만 아니라 토출량 조절팁(100)의 표면으로 토출구(102)를 중심으로 그 둘레를 감싸는 모양을 갖는 미세한 슬릿(slit, 미도시)이거나 슬릿과 반대로 돌출된 돌기(미도시)가 될 수 있다.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토출량 조절팁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토출구(102)가 형성된 토출량 조절팁(100)의 표면에 형성된 라인(104a)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102)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연속 형성된 다수의 라인(104a)이 될 수도 있다.
이와 함께, 상기 방사형으로 연속 형성된 라인(104a)을 포함하는 정량 눈금 표시부(104)는 각 라인(104a) 마다 그에 맞는 용량이 표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토출구(102)의 중심과 가장 가까운 라인(104a)에는 0.1m㎖ 이라고 표시되고, 그 다음 라인에는 0.2m㎖ 라고 표시하는 것과 같이, 일정 시기가 지난 다음부터 내용물(S)의 사용량이 증가하거나 감소하여 사용될 때 토출구(102)를 통해 배출된 내용물(S)의 량을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토출량 조절팁(100)에 형성된 토출구(102) 주위로 정량 눈금 표시부(104)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용기(110)에 담긴 내용물(S)을 사용하기 위해 토출시킬 때 토출구(102)를 통해 배출된 내용물(S)이 얼마 만큼인지 쉽게 인식할 수 있고, 이로부터 상기 토출구(102)에서 토출된 내용물(S)이 정량 눈금을 꽉 채우지 못한 경우 용기(110)를 조작하여 내용물(S)을 모자른 용량만큼 내용물(S)을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기(110)가 튜브형인 경우 사용자는 용기(110)를 눌러 내용물(S)을 추가로 짜내어 정량 눈금 표시부(104)에 내용물을 꽉 채워 1회 사용분에 따른 정해진 용량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펌프형인 경우 사용자는 용기(110)에 설치된 누름 버튼(미도시)을 가압하여 정해진 용량만큼 내용물(S)을 추가로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토출구(102)가 형성된 토출량 조절팁(100)의 표면에는 토출구(102)를 중심으로 오목홈(104b)이 형성됨으로써, 내용물(S)이 토출구(102)에서 배출될 때의 용량을 확인할 수도 있다. 이를 도 4 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토출량 조절팁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오목홈(104b)은 토출구(102)가 형성된 토출량 조절팁(100)의 표면에 형성되는 바, 상기 오목홈(104b)은 토출구(102)를 중심으로 토출구(102) 둘레에 형성된다.
즉, 상기 오목홈(104b)은 토출구(102)가 형성된 토출량 조절팁(100)의 표면보다 낮게 함몰되도록 형성되고, 그 단면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만한 곡선을 이루게 됨으로써, 토출구(102)에서 배출된 내용물(S)이 오목홈(104b)에 일시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오목홈(104b)의 면적은 용기(110)에 담긴 내용물의 1회 사용분에 따라 달라진다.
이와 함께, 상기 오목홈(104b)의 표면에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라인(104a)이 방사형으로 연속 형성됨으로써, 토출구(102)를 통해 배출된 내용물(S)의 량을 사용자가 쉽게 인식하고, 이로부터 배출된 내용물(S)의 정량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용기에 담긴 내용물을 배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된 팁에 정량 눈금 표시부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용기에서 토출된 내용물의 량이 얼마 만큼인지 쉽게 인지하고 이로부터 내용물의 배출량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로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토출구(102)가 형성된 토출량 조절팁(100)의 표면에 형성되는 정량 눈금 표시부(104)는, 도 2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 모양을 갖는 라인이 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사각형, 타원형, 마름모 모양이 될 수 있고, 상기 환 모양의 점선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내용물(S)이 배출되는 토출구(102)는 도 2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량 조절팁(100)의 중앙 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토출량 조절팁(100)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토출량 조절팁(100)의 단부에 형성된 토출구(102)를 중심으로 정량 눈금 표시부(104)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 은 종래의 화장품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토출량 조절팁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토출량 조절팁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토출량 조절팁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토출량 조절팁 102 : 토출구
103 : 유로 104 : 정량 눈금 표시부
104a : 라인 104b : 오목홈
110 : 용기 S : 내용물

Claims (3)

  1. 용기(110)에 담기 내용물(S)이 토출구(102)를 통해 배출되는 토출량 조절팁(100)에 있어서,
    상기 토출량 조절팁(100)에 형성된 토출구(102) 주위로 용기(110)에 담기 내용물이 토출될 때의 량을 파악하는 정량 눈금 표시부(104)로서, 정량 눈금 표시부(104)는 토출구(102)를 중심으로 토출구(102)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라인(104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량 조절팁.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라인(104a)은 토출구(102)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연속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량 조절팁.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정량 눈금 표시부(104)는 토출구(102)를 중심으로 토출구(102) 둘레가 함몰된 오목홈(104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량 조절팁.
KR20080005387U 2008-04-23 2008-04-23 토출량 조절팁 Expired - Fee Related KR2004470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05387U KR200447047Y1 (ko) 2008-04-23 2008-04-23 토출량 조절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05387U KR200447047Y1 (ko) 2008-04-23 2008-04-23 토출량 조절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955U KR20090010955U (ko) 2009-10-28
KR200447047Y1 true KR200447047Y1 (ko) 2009-12-21

Family

ID=41554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05387U Expired - Fee Related KR200447047Y1 (ko) 2008-04-23 2008-04-23 토출량 조절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047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764Y1 (ko) 2001-04-06 2001-10-11 주식회사 세모 액체 디스펜서
KR100421502B1 (ko) 2001-06-20 2004-03-12 박판곤 액체 정량 투입용기
KR200361671Y1 (ko) 2004-06-11 2004-09-14 차승훈 화장 크림 용기
US20070227553A1 (en) 2006-04-03 2007-10-04 L'oreal Packaging and applicator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764Y1 (ko) 2001-04-06 2001-10-11 주식회사 세모 액체 디스펜서
KR100421502B1 (ko) 2001-06-20 2004-03-12 박판곤 액체 정량 투입용기
KR200361671Y1 (ko) 2004-06-11 2004-09-14 차승훈 화장 크림 용기
US20070227553A1 (en) 2006-04-03 2007-10-04 L'oreal Packaging and applicato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955U (ko) 2009-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88633B2 (en) Extrusion type cosmetic container
JP6170251B2 (ja) 液状内容物を滴状に吐出するチューブ型化粧品容器
KR101162644B1 (ko) 화장품 용기의 캡
JP5199175B2 (ja) 計量塗布栓
US20100170917A1 (en) Pumping type cosmetic container
US20240315421A1 (en) Massage applicator
KR20140005218U (ko) 두 가지 내용물을 혼합, 배출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
KR101037699B1 (ko) 화장품 강제 토출 용기
CN110996714B (zh) 化妆制品或护理制品的分配和施涂装置
KR101958146B1 (ko) 마스카라 용기
JP7033683B2 (ja) 定量吐出容器
KR200447047Y1 (ko) 토출량 조절팁
JP2008024339A (ja) スクイズ容器
JP2005517601A (ja) スクイーズスプレー装置
US20050087556A1 (en) Metering device for syrups and other fluids
JP6639322B2 (ja) 定量注出容器
US9185959B2 (en) Liquid applicator
US7878374B2 (en) Fluid product dispenser
JP6957105B2 (ja) ポンプ式注出具
KR20120003208U (ko) 화장품용기의 토출구
JP2008137685A (ja) 押出容器
KR20160126269A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CN210630793U (zh) 一种可变量泵的化妆品容器
KR200396798Y1 (ko) 펌프식 화장품용기
KR101559167B1 (ko) 튜브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UA0108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U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UG15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UE0701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UR0701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UR100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U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7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1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30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U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U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UN23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8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17121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UC190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U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1212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UC1903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U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U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UN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