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46920Y1 - 지구본 - Google Patents

지구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920Y1
KR200446920Y1 KR20080000019U KR20080000019U KR200446920Y1 KR 200446920 Y1 KR200446920 Y1 KR 200446920Y1 KR 20080000019 U KR20080000019 U KR 20080000019U KR 20080000019 U KR20080000019 U KR 20080000019U KR 200446920 Y1 KR200446920 Y1 KR 2004469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ntry
globe
pieces
state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000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0094U (ko
Inventor
이진욱
Original Assignee
이진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욱 filed Critical 이진욱
Priority to KR200800000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920Y1/ko
Publication of KR200800000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0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9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9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7/00Planetaria; Globes
    • G09B27/08Glob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7/00Planetaria; Globes
    • G09B27/02Tellurions; Orr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형의 형상을 갖고 해당 표면에 각 대륙과 해양 및 각 나라의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지구체와, 상기 지구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를 갖는 지구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표면은 상기 지구체의 표면 곡률에 따른 곡률을 가지며 각 국가별 국경선을 외곽의 형상으로 하는 국가 조각들과; 상기 국가 조각들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하며 상기 국가 조각들의 하부에 위치하여 눌림 동작에 의해 온상태에서는 돌출되고 오프상태에서는 정상위치로 복귀하는 푸시버튼들; 및 상기 국가 조각들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하며 해당 국가조각에 대응하는 상기 푸시버튼의 온동작 상태에 따라 발광 동작하는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구본을 제공하여 구본의 각 나라별로 버튼 형식을 이용해 색깔이 있는 불이 들어오게 함으로서 다양한 놀이나 교육프로그램에 활용하여 학습 효과를 높이게 된다.

Description

지구본{the globe}
본 고안은 지구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구본의 각 나라별로 버튼 형식을 이용해 색깔이 있는 불이 들어오게 함으로서 다양한 놀이나 교육프로그램에 활용하여 학습 효과를 높이는데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지구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구본은 표면에 지구가 도시된 구 형체를 회전되게 지지대에 설치하여 자전과 공전하는 상태와 지리적 위치 등을 가르치는 교습(敎習)용 또는 관찰하는 학습(學習)용으로 사용하도록 제안되었다.
한편, 지구본은 통상 상술한 교습 및 학습 용도뿐만 아니라 장식이나 조명장치로도 활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지구본의 일반적인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놓여지는 지지대(1)의 상부 중앙에 중심축(2)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중심축(2)의 일측이 개방된 반원형의 지지 프레임(3)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3)의 내측 상하부에 연결된 회전축(4)을 매개로 구형의 지구체(5)가 회전 가능하게 지구본(10)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지구본(10)을 회전시키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국가를 찾아보거나 각종 명칭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지구본은 지구체 표면에 평면적인 정보가 인쇄물의 형태로 나타나 있으므로 인해 해당 정보를 인식하는 데 용이하지 않으며, 쉽게 싫증이 나며 그 학습효과가 기대치에 비하여 상당히 낮아진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지구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구본의 각 나라별로 버튼 형식을 이용해 색깔이 있는 불이 들어오게 함으로서 다양한 놀이나 교육프로그램에 활용하여 학습 효과를 높이는데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지구본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지구본의 특징은, 구형의 형상을 갖고 해당 표면에 각 대륙과 해양 및 각 나라의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지구체와, 상기 지구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를 갖는 지구본에 있어서: 표면은 상기 지구체의 표면 곡률에 따른 곡률을 가지며 각 국가별 국경선을 외곽의 형상으로 하는 국가 조각들과; 상기 국가 조각들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하며 상기 국가 조각들의 하부에 위치하여 눌림 동작에 의해 온상태에서는 돌출되고 오프상태에서는 정상위치로 복귀하는 푸시버튼들; 및 상기 국가 조각들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하며 해당 국가조각에 대응하는 상기 푸시버튼의 온동작 상태에 따라 발광 동작하는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고안에 따른 특징으로 인해 기대되는 효과로는, 지구본의 각 나라별로 버튼 형식을 이용해 색깔이 있는 불이 들어오게 함으로서 다양한 놀이나 교육프로그램에 활용하여 학습 효과를 높이게 된다.
본 고안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지구본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지구본의 동작을 위한 구성 예시도로서, 바닥에 놓여지는 지지대(1)의 상부 중앙에 중심축(2)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중심축(2)의 일측이 개방된 반원형의 지지 프레임(3)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3)의 내측 상하부에 연결된 회전 축(4)을 매개로 구형의 지구체(5)가 회전 가능하게 지구본(100)이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종래의 구성과 동일하며, 본 고안에 따른 지구본의 특징 구성을 살펴보면, 표면은 상기 지구체(5)의 표면 곡률에 따른 곡률을 가지며 각 국가별 국경선을 외곽의 형상으로 하는 국가 조각들(101)과, 상기 국가 조각들(101)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하며 상기 국가 조각들(101)의 하부에 위치하여 눌림 동작에 의해 온상태에서는 돌출되고 오프상태에서는 정상위치로 복귀하는 푸시버튼(102)과, 상기 국가 조각들(101)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하며 해당 국가조각(102)에 대응하는 상기 푸시버튼(102)의 온동작 상태에 따라 발광 동작하는 발광다이오드(LED)로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정상상태의 본 고안에 따른 지구본(100)에서 관심 있어 하는 대상 예를 들어 한국을 누르게 되면 한국의 국경을 기준으로 조각나 있는 국가 조각(101)이 사용자가 누르는 힘에 의해 아래로 눌리게 되며, 이에 따라 그 하부에 연결되어 있는 푸시버튼(102) 역시 눌려지게 되므로 사용자가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푸시버튼(102)에 의해 해당 국가 조각이 상기 지구체(5)의 표면에 비하여 돌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푸시버튼(102)은 이러한 상태가 온상태이므로 상기 국가 조각(101)에 구비되어진 발광다이오드(LED)가 발광 동작하도록 전원의 공급경로를 연결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돌출되어진 국가조각을 다시 누르는 경우 국경을 기준으로 조각나 있는 국가 조각(101)이 사용자가 누르는 힘에 의해 아래로 눌리게 되며, 이에 따라 그 하부에 연결되어 있는 푸시버튼(102) 역시 눌려지게 되므로 사용자가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푸시버튼(102)은 원 상태로 복귀한다.
따라서 상기 푸시버튼(102)에 의해 해당 국가 조각은 상기 지구체(5)의 표면과 동일한 위치로 돌아가게 되며 발광 동작하던 발광다이오드(LED)는 오프되어 진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지구본의 일반적인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지구본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지구본의 동작을 위한 구성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지대 2 : 중심축
3 : 지지 프레임 4 : 회전축
5 : 지구체 101 : 국가 조각
102 : 푸시버튼 LED : 발광다이오드

Claims (1)

  1. 구형의 형상을 갖고 해당 표면에 각 대륙과 해양 및 각 나라의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지구체와, 상기 지구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를 갖는 지구본에 있어서;
    지구본의 표면은 상기 지구체의 표면 곡률에 따른 곡률을 가지며 각 국가별 국경선을 외곽의 형상으로 하는 국가 조각들과;
    상기 국가 조각들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하며 상기 국가 조각들의 하부에 위치하여 눌림 동작에 의해 온상태에서는 돌출되고 오프상태에서는 정상위치로 복귀하는 푸시버튼들; 및
    상기 국가 조각들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하며 해당 국가조각에 대응하는 상기 푸시버튼의 온동작 상태에 따라 발광 동작하는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구본.
KR20080000019U 2008-01-02 2008-01-02 지구본 KR2004469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00019U KR200446920Y1 (ko) 2008-01-02 2008-01-02 지구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00019U KR200446920Y1 (ko) 2008-01-02 2008-01-02 지구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094U KR20080000094U (ko) 2008-01-23
KR200446920Y1 true KR200446920Y1 (ko) 2009-12-11

Family

ID=45952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00019U KR200446920Y1 (ko) 2008-01-02 2008-01-02 지구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92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62776A (zh) * 2020-09-06 2020-10-30 姜易含 按钮式模块组合地球仪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0732U (ko) * 1998-05-07 1999-12-06 김병석 세계 지도 퍼즐 장치
KR200322349Y1 (ko) * 2003-04-21 2003-08-09 신영균 세계지도를 이용한 학습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0732U (ko) * 1998-05-07 1999-12-06 김병석 세계 지도 퍼즐 장치
KR200322349Y1 (ko) * 2003-04-21 2003-08-09 신영균 세계지도를 이용한 학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094U (ko) 2008-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33035B2 (en) Portable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KR200446920Y1 (ko) 지구본
US11207610B2 (en) Amusement device with writing/drawing surface
CN204441133U (zh) 开关装置
JP2008504061A (ja) 教育用おもちゃ
CN204792566U (zh) 一种无声发光机械键盘上的按键
CN202142254U (zh) 双色led摇摇棒
CN2882331Y (zh) 一种带投射灯光的伞
CN2521656Y (zh) 薄型透光键盘
US20190371208A1 (en) Educational Globe and Wireless Speaker Device
KR200402984Y1 (ko) 조명장식이 가능한 학습용 상
CN2824205Y (zh) 一种发光餐牌
CN2386957Y (zh) 弹性闪光图章
KR200394653Y1 (ko) 지구본 시계
CN210278247U (zh) 玩具风扇琴鼓
CN210257719U (zh) 笔记本
JP3053565U (ja) 団 扇
CN2353424Y (zh) 印章式发光玩具
JP3067599U (ja) 回転印
CN207147616U (zh) 一种设有镭射膜的电子秤
KR200172956Y1 (ko) 조명 장치가 구비된 놀이판
CN206739063U (zh) 一种多功能发光墙砖
TWI376477B (en) Lamp shade
JP3088928U (ja) 三球儀
JP3174364U (ja) 改良式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80102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90428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2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120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9120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612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