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46454Y1 -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 - Google Patents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454Y1
KR200446454Y1 KR2020090005918U KR20090005918U KR200446454Y1 KR 200446454 Y1 KR200446454 Y1 KR 200446454Y1 KR 2020090005918 U KR2020090005918 U KR 2020090005918U KR 20090005918 U KR20090005918 U KR 20090005918U KR 200446454 Y1 KR200446454 Y1 KR 2004464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ack
pinion
timing belt
engag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59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현
Original Assignee
김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현 filed Critical 김동현
Priority to KR20200900059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4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4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454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17/002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wings which lie one behind the other when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16Pi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22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1Adjustable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04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component faults or fail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elev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200)는 도어 프레임(11)에 제1 도어(D1), 제2 도어(D2), 제3 도어(D3)가 순차적으로 중첩 설치되고, 상기 제1 도어(D1)는 도어 프레임(11)에 고정되며, 상기 도어 프레임(11)의 상부 플레이트(13)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15)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도어(D1), 상기 제2 도어(D2), 상기 제3 도어(D3)의 상부 양쪽에 가이드 돌기(G)가 설치된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어(D)가 이동하는 위치의 상기 상부 플레이트(13) 일 측에 제1 랙(210)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랙(210)과 치합되도록 상기 제2 도어(D2)의 상부 일 측에 피니언(220)이 설치되며, 상기 피니언(220)과 치합되도록 상기 제3 도어(D3)의 상면에 제2 랙(230)이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220)의 회전축(221)에 구동모터(240)가 연결되며, 상기 피니언(220) 양쪽에 상기 제1 랙(210)과 상기 제2 랙(230)이 직접 치합되어, 상기 구동모터(240)의 회전력에 의해서 상기 피니언(220)이 회전하면, 상기 피니언(220) 양쪽에 치합된 상기 제1 랙(210)과 상기 제2 랙(230)에 의해서 상기 제2 도어(D2)와 상기 제3 도어(D3)가 연동하여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2020090005918
제1 풀리,제2 풀리, 제1 타이밍 벨트, 제2 타이밍 벨트

Description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Belt type automatic door apparatus}
본 고안은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도어 연동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연동 작동이 원활하게 자동으로 수행되는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동 도어 장치는 개구부에 복수 개의 도어, 예를 들어 3개의 도어가 연동되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엘리베이터 도어, 가구 등 여러 분야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는 도어의 하중이 커질 경우, 구동 풀리와 벨트 사이에서 슬립(Slip)이 발생하여 동력전달에 손실이 발생함으로써 도어의 개폐 작동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통상 연동 도어 장치는 설계조건에 따라 3단 구조뿐만 아니라 2단, 또는 6단 등으로 변경 설치할 수 있는바, 종래 연동 도어 장치의 경우에는 브래킷 체결 홀 안에 피봇 축이 쉽게 결합/분리되는 구조가 아니므로, 단수를 2단, 3단 또는 6단으로 변경하는 작업이 매우 힘들고 번거롭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자동으로 출입자를 센싱하고 이에 따라 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하며, 전체적인 도어 연동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동력전달에 손실이 발생하지 않으며, 작동 작동이 원활하며, 고장이 발생하지 않는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예에 따른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는 도어 프레임(문틀)에 제1 도어, 제2 도어, 제3 도어가 순차적으로 중첩 설치되고, 상기 제1 도어는 도어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도어 프레임의 상부 플레이트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도어, 상기 제2 도어, 상기 제3 도어의 상부 양쪽에 가이드 돌기가 설치된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의 상부 양쪽에 제1 풀리가 설치되고, 상기 제1풀리에는 제1타이밍 벨트가 설치되며, 상기 제1 풀리의 상부에는 구동모터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2 도어의 상부 양쪽에 제2 풀리가 설치되고, 상기 제2 풀리에는 제2타이밍 벨트가 설치되며, 상기 제1타이밍 벨트의 일 측에는 상기 제2 풀리의 피봇 축과 결합하는 제1 결합 브래킷이 고정되며, 상기 제2 타이밍 벨트의 일 측 단은 고정 브래킷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타이밍 벨트의 타 측에 고정된 제2결합 브래킷은 상기 제3 도어의 피봇 축과 결합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해서 상기 제1 도어의 제1 풀리가 회전하여 상기 제1타이밍 벨트가 회전하면, 상기 제1 결합 브래킷이 상기 제2 도어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상기 고정 브래킷에 의해 상기 제2 타이밍 벨트가 회전하면 상기 제2 결합 브래킷이 상기 제3 도어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2 도어와 상기 제3 도어를 연동시켜 개폐한다.
상기 제1 결합 브래킷, 상기 제2 결합 브래킷, 그리고 상기 고정 브래킷은 "ㄱ "자 형상을 가지며, 그 상부에는 삽입 홀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고정후크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도어, 상기 제2 도어, 상기 제3 도어의 상부에는 지지블럭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블럭의 측면에는 상기 고정 후크가 삽입 결합하는 결합 홈이 형성된다.
상기 구동모터는 마운팅 브래킷에 의해서 상기 제1 도어의 상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예에 따른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는 도어 프레임에 제1 도어, 제2 도어, 제3 도어가 순차적으로 중첩 설치되고, 상기 제1 도어는 도어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도어 프레임의 상부 플레이트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도어, 상기 제2 도어, 상기 제3 도어의 상부 양쪽에 가이드 돌기가 설치된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어가 이동하는 위치의 상기 상부 플레이트 일 측에 제1 랙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랙과 치합되도록 상기 제2 도어의 상부 일 측에 피니언이 설치되며, 상기 피니언과 치합되도록 상기 제3 도어의 상면에 제2 랙이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의 회전축에 구동모터가 연결되며, 상기 피니언 양쪽에 상기 제1 랙과 상기 제2 랙이 직접 치합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해서 상기 피니언이 회전하면, 상기 피니언 양쪽에 치합된 상기 제1 랙과 상기 제2 랙에 의해서 상기 제2 도어와 상기 제3 도어가 연동하여 개폐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동으로 출입자를 센싱하고 이에 따라 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하며, 전체적인 도어 연동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동력전달에 손실이 발생하지 않으며, 동작동이 원활하며, 고장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전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도 1의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에서 도어가 닫힘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도 3의 "A"에서 바라본 도면, 도 6은 도 3의 Ⅰ-Ⅰ선 단면도, 도 7은 도 3의 Ⅱ-Ⅱ선 단면도, 및 도 8은 도 3의 Ⅲ-Ⅲ선 단면도이다.
우선,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100)는 도어 프레임(11)에 제1 도어(D1), 제2 도어(D2), 제3 도어(D3)가 순차적으로 중첩 설치되고, 상기 제1 도어(D1)는 도어 프레임(11)에 고정되며, 상기 도어 프레임(11)의 상부 플레이트(13)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15)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도어(D1), 상기 제2 도어(D2), 상기 제3 도어(D3)의 상부 양쪽에 가이드 돌기(G)가 설치된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에 있어 서, 상기 제1 도어(D1)의 상부 양쪽에 제1 풀리(110)(110')가 설치되고, 상기 제1풀리(110)(110')에는 제1 타이밍 벨트(120)가 설치되며, 상기 제1 풀리(110)의 상부에는 구동모터(130)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2 도어(D2)의 상부 양쪽에 제2 풀리(140)(140')가 설치되고, 상기 제2 풀리(140)(140')에는 제2타이밍 벨트(150)가 설치되며, 상기 제1타이밍 벨트(120)의 일 측에는 상기 제2 풀리(140)의 피봇 축(141)과 결합하는 제1 결합 브래킷(121)이 고정되며, 상기 제2 타이밍 벨트(150)의 일 측 단은 고정 브래킷(151)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타이밍 벨트(150)의 타 측에 고정된 제2결합 브래킷(153)은 상기 제3 도어(D3)의 피봇 축161과 결합하여, 상기 구동모터(130)의 회전력에 의해서 상기 제1 도어(D1)의 제1 풀리(110)(110')가 회전하여 상기 제1타이밍 벨트(120)가 회전하면, 상기 제1 결합 브래킷(121)이 상기 제2 도어(D2)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상기 고정 브래킷(151)에 의해 상기 제2 타이밍 벨트(150)가 회전하면 상기 제2 결합 브래킷(153)이 상기 제3 도어(D3)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2 도어(D2)와 상기 제3 도어(3)를 연동시켜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100)의 구성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100)는 도어 프레임(11)에 제1 도어(D1), 제2 도어(D2), 제3 도어(D3)가 순차적으로 중첩 설치되고, 상기 제1 도어(D1)는 도어 프레임(11)에 고정되며, 상기 도어 프레임(11)의 상부 플레이트(13)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15)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도어(D1), 상기 제2 도어(D2), 상기 제3 도어(D3)의 상부 양쪽에 가이드 돌기(G)가 설치된다.
상기 제1 도어(D1)의 상부 양쪽에는 제1 풀리(110)(110')가 설치되고, 상기 제1풀리(110)(110')에는 제1타이밍 벨트(120)가 설치된다.
상기 제1 풀리(110)의 상부에는 구동모터(130)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2 도어(D2)의 상부 양쪽에 제2 풀리(140)(140')가 설치된다.
상기 제2 풀리(140)(140')에는 제2타이밍 벨트(150)가 설치되며, 상기 제1타이밍 벨트(120)의 일 측에는 상기 제2 풀리(140)의 피봇 축(141)과 결합하는 제1 결합 브래킷(121)이 고정된다.
상기 제2 타이밍 벨트(150)의 일 측 단은 고정 브래킷(151)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타이밍 벨트(150)의 타 측에 고정된 제2결합 브래킷(153)은 상기 제3 도어(D3)의 피봇 축(161)과 결합한다.
본 고안의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100)에 있어서는, 상기 구동모터(130)의 회전력에 의해서 상기 제1 도어(D1)의 제1 풀리(110)(110')가 회전하여 상기 제1타이밍 벨트(120)가 회전하면, 상기 제1 결합 브래킷(121)이 상기 제2 도어(D2)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상기 고정 브래킷(151)에 의해 상기 제2 타이밍 벨트(150)가 회전하면 상기 제2 결합 브래킷(153)이 상기 제3 도어(D3)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2 도어(D2)와 상기 제3 도어(3)를 연동시켜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결합 브래킷(121), 상기 제2 결합 브래킷(153), 그리고 상기 고정 브래킷(151)은 "ㄱ "자 형상을 가지며, 그 상부에는 삽입 홀(I)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고정 후크(H)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 후크(H)는 상기 제1 결합 브래킷(121), 상기 제2 결합 브래킷(153) 하부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제1 결합 브래킷(121), 상기 제2 결합 브래킷(153)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13)에 고정된다.
상기 제1 도어(D1), 상기 제2 도어(D2), 상기 제3 도어(D3)의 상부에는 지지블럭(170)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블럭(170)의 측면에는 상기 고정 후크(H)가 삽입 결합하는 결합 홈(171)이 형성된다.
상기 구동모터(130)는 마운팅 브래킷(M)에 의해서 상기 제1 도어(D1)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 예에 따른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개폐 버튼(B)을 수동 조작하여 도어 장치(100)를 개폐시킬 수 있고 센서(S:도 2 참조)가 출입하는 사람을 감지하여 도어 장치(100)를 자동 개폐시킬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 버튼(B)에 의한 수동 또는 센서(S)에 의한 자동 작동에 의해서 구동모터(130)가 정방향으로 구동하면, 구동모터(130)의 회전력이 풀리(110)에 전달되어, 상기 풀리(110)(110')에 연결된 제1타이밍 벨트(1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제1타이밍 벨트(120)는 상기 풀리(110)(110'), 그리고 제2타이밍 벨트(150)은 풀리(140)(140')에 요철(치홈) 결합되므로 슬립에 의한 동력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타이밍 벨트(120)가 회전하면, 상기 제1 타이밍 벨트(120)의 제1결합 브래킷(121)이 상기 피봇 축(141)과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 도어(D2)는 화살표 방향(도면상 오른쪽)으로 이동하며, 이와 동시에 고정 브래킷(151)이 제2 타 이밍 벨트(150)를 잡고 있으므로 상기 제2 타이밍 벨트(150)도 시계 방향을 회전한다. 이때 상기 제2 타이밍 벨트(150)의 제2 결합 브래킷(153)이 제3 도어(D3)의 피봇 축(161)과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3 도어(D3)도 화살표 방향(도면상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구동모터(130)가 정 회전하여 제2 도어(D2)와 제3 도어(D3)가 화살표 방향(도면상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도어가 닫히게 된다.
반면에, 구동모터(130)가 역방향으로 구동하면, 구동모터(130)의 회전력이 풀리(110)에 전달되어, 상기 풀리(110)(110')에 연결된 제1타이밍 벨트(120)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1 타이밍 벨트(120)가 회전하면, 상기 제1 타이밍 벨트(120)의 제1결합 브래킷(121)이 상기 피봇 축(141)과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 도어(D2)는 화살표 반대방향(도면상 왼쪽)으로 이동하며, 이와 동시에 고정 브래킷(151)이 제2 타이밍 벨트(150)를 잡고 있으므로 상기 제2 타이밍 벨트(150)도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제2 타이밍 벨트(150)의 제2 결합 브래킷(153)이 제3 도어(D3)의 피봇 축(161)과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3 도어(D3)도 화살표 반대방향(도면상 왼쪽)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구동모터(130)가 역회전하여 제2 도어(D2)와 제3 도어(D3)가 화살표 반대 방향(도면상 왼쪽)으로 이동하여 도어가 열리게 된다.
한편,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를 보인 평면도로서, 도어의 닫힘을 보인 도면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를 보인 평면도로서, 도어의 열림을 보인 도면이며, 도 11은 도 10의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200)는 도어 프레임(11)에 제1 도어(D1), 제2 도어(D2), 제3 도어(D3)가 순차적으로 중첩 설치되고, 상기 제1 도어(D1)는 도어 프레임(11)에 고정되며, 상기 도어 프레임(11)의 상부 플레이트(13)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15)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도어(D1), 상기 제2 도어(D2), 상기 제3 도어(D3)의 상부 양쪽에 가이드 돌기(G)가 설치된다.
삭제
상기 제2 도어(D)가 이동하는 위치의 상기 상부 플레이트(13) 일 측에 제1 랙(210)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랙(210)과 치합되도록 상기 제2 도어(D2)의 상부 일 측에 피니언(220)이 설치된다.
상기 피니언(220)과 치합되도록 상기 제3 도어(D3)의 측면에 제2 랙(230)이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220)의 회전축(221)에 구동모터(240)가 연결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200)에 있어서는, 상기 구동모터(240)의 회전력에 의해서 상기 피니언(220)이 회전하면, 상기 피니언(220)이 상기 제1 랙(210)과 상기 제2 랙(230)과 직접 치합되어 상기 제2 도어(D2)와 상기 제3 도어(D3)를 화살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서 도어를 개폐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200)에 있어서는, 상기 제2 도어(D)가 이동하는 위치의 상기 상부 플레이트(13) 일 측에 제1 랙(210)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랙(210)과 치합되도록 상기 제2 도어(D2)의 상부 일 측에 피니언(220)이 설치되며, 상기 피니언(220)과 치합되도록 상기 제3 도어(D3)의 측면에 제2 랙(230)이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220)의 회전축(221)에 구동모터(240)가 연결되며, 상기 피니언(220) 양쪽에 상기 제1 랙(210)과 상기 제2 랙(230)이 직접 치합되어, 상기 구동모터(240)의 회전력에 의해서 상기 피니언(220)이 회전하면, 상기 피니언(220) 양쪽에 치합된 상기 제1 랙(210)과 상기 제2 랙(230)에 의해서 상기 제2 도어(D2)와 상기 제3 도어(D3)가 연동하여 개폐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동으로 출입자를 센싱하고 이에 따라 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하며, 전체적인 도어 연동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동력전달에 손실이 발생하지 않으며, 동작동이 원활하며, 고장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권리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일 예로, 본 고안에서는 3단 도어를 설명하고 있으나, 설계조건에 따라 2단 또 는 6단 구조로 변경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도 1의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에서 도어가 닫힘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도 3의 "A"에서 바라본 도면
도 6은 도 3의 Ⅰ-Ⅰ선 단면도
도 7은 도 3의 Ⅱ-Ⅱ선 단면도
도 8은 도 3의 Ⅲ-Ⅲ선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를 보인 평면도로서, 도어의 닫힘을 보인 도면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를 보인 평면도로서, 도어의 열림을 보인 도면
도 11은 도 10의 측면도
삭제
* 주요 부분에 대한 도면부호
11: 도어 프레임
13: 상부 플레이트
15: 가이드 레일
110,110': 제1 풀리
120: 제1타이밍 벨트
121: 제1 풀리의 제1 결합 브래킷
130: 구동모터
140,140': 제2 풀리
141: 제2 풀리의 피봇 축
150: 제2타이밍 벨트
151: 제2 타이밍 벨트의 고정 브래킷
161: 제3 도어의 피봇 축
170: 지지블럭
171: 결합 홈
210: 제1 랙
220: 피니언
230: 제2 랙
240: 구동모터
D1: 제1 도어
D2: 제2 도어
D3: 제3 도어
G: 가이드 돌기
I: 삽입 홀
H: 고정 후크
M: 마운팅 브래킷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도어 프레임(11)에 제1 도어(D1), 제2 도어(D2), 제3 도어(D3)가 순차적으로 중첩 설치되고, 상기 제1 도어(D1)는 도어 프레임(11)에 고정되며, 상기 도어 프레임(11)의 상부 플레이트(13)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15)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도어(D1), 상기 제2 도어(D2), 상기 제3 도어(D3)의 상부 양쪽에 가이드 돌기(G)가 설치된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어(D)가 이동하는 위치의 상기 상부 플레이트(13) 일 측에 제1 랙(210)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랙(210)과 치합되도록 상기 제2 도어(D2)의 상부 일 측에 피니언(220)이 설치되며, 상기 피니언(220)과 치합되도록 상기 제3 도어(D3)의 상면에 제2 랙(230)이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220)의 회전축(221)에 구동모터(240)가 연결되며, 상기 피니언(220) 양쪽에 상기 제1 랙(210)과 상기 제2 랙(230)이 직접 치합되어,
    상기 구동모터(240)의 회전력에 의해서 상기 피니언(220)이 회전하면, 상기 피니언(220) 양쪽에 치합된 상기 제1 랙(210)과 상기 제2 랙(230)에 의해서 상기 제2 도어(D2)와 상기 제3 도어(D3)가 연동하여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
KR2020090005918U 2009-05-15 2009-05-15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4464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918U KR200446454Y1 (ko) 2009-05-15 2009-05-15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918U KR200446454Y1 (ko) 2009-05-15 2009-05-15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6454Y1 true KR200446454Y1 (ko) 2009-10-30

Family

ID=41561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5918U Expired - Fee Related KR200446454Y1 (ko) 2009-05-15 2009-05-15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45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712B1 (ko) 2010-07-15 2011-06-13 김종록 옥내 중문 개폐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5216A (ja) * 1997-01-27 1998-08-04 Shinkansai Bearing Co Ltd 連動引き戸
KR20010022851A (ko) * 1997-08-14 2001-03-26 쉬퍼 토어 운트 슐츠시스테메 게엠베하 문 또는 게이트 닫힘장치
KR20060045887A (ko) * 2004-05-27 2006-05-17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코시 세이코 개폐체 연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5216A (ja) * 1997-01-27 1998-08-04 Shinkansai Bearing Co Ltd 連動引き戸
KR20010022851A (ko) * 1997-08-14 2001-03-26 쉬퍼 토어 운트 슐츠시스테메 게엠베하 문 또는 게이트 닫힘장치
KR20060045887A (ko) * 2004-05-27 2006-05-17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코시 세이코 개폐체 연동장치
KR100724592B1 (ko) 2004-05-27 2007-06-04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코시 세이코 개폐체 연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712B1 (ko) 2010-07-15 2011-06-13 김종록 옥내 중문 개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9004B2 (en)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with lock
KR100805366B1 (ko) 다단식 슬라이딩 자동도어
KR20100093265A (ko)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 개폐장치
CN115573645B (zh) 一种电动折叠门窗
KR20120134768A (ko) 미닫이문 연동 개폐 장치
CN113876173A (zh) 一种电动窗帘装置
KR200446454Y1 (ko) 연동식 자동 도어 장치
CN201050229Y (zh) 一种用于电子锁的电机传动装置
KR200458730Y1 (ko) 오링 내장형 동력 전달수단을 구비한 패닉 기능을 갖는 도어록
JP2014189040A (ja) 可動扉装置
KR20110038855A (ko) 흄 배기장치
IL281408A (en) Shutter and cabinet system
JP3743393B2 (ja) 扉開閉装置
KR200368512Y1 (ko) 자동문의 동력전달구조
JP3696940B2 (ja) 自動開閉装置を備えた横開きシャッター
JP6503617B2 (ja) ラッチ錠の操作部材
JP2005137830A (ja) 昇降引出し式戸棚
JP6759131B2 (ja) ホーム柵
JP3205515U (ja) 引戸連動装置
CN220053968U (zh) 一种导轨机构、充电口盖装置及车辆
KR100405794B1 (ko) 랙과 피니언을 이용한 자동 커튼 장치
EP1990489A1 (en) Closing Device
CN219296924U (zh) 电梯门机装置
KR101124207B1 (ko) 자전거 수납부용 슬라이딩 도어 개폐 장치
EP3929393A1 (en) High speed sliding roll-up door comprising an upper shelter area for accommodating a flexible curtain in the open configuration of the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90515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05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515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9093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101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102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9102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0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9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70801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