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381Y1 - Food treatment device for sensor operated sink - Google Patents
Food treatment device for sensor operated sin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46381Y1 KR200446381Y1 KR2020090009192U KR20090009192U KR200446381Y1 KR 200446381 Y1 KR200446381 Y1 KR 200446381Y1 KR 2020090009192 U KR2020090009192 U KR 2020090009192U KR 20090009192 U KR20090009192 U KR 20090009192U KR 200446381 Y1 KR200446381 Y1 KR 20044638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nsor
- food waste
- sink
- food
- grinding mo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9000010794 food was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8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9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1
- 235000012046 side dish Nutrition 0.000 claims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9191 jump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186361 Actinobacteria <clas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8631 Hexa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86660 Lactobacil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808 Saccharomyces cerevisi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63 growth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39696 lactobacillus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91 liquid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13 municipal solid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43 photosynth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67 refin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95 synerg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싱크대의 배수구에 장착되어 센서작동식으로 동작되면서 각종 음식물쓰레기를 안전하게 분쇄처리하여 배출시키는 음식물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싱크대의 배수구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상부 내주면에 형성된 제 1단턱에는 분쇄모터작동센서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1단턱의 하부에 형성된 제 2단턱에는 전자변작동센서가 설치되어 있으며 내측 하부에는 분쇄모터에 의해 회전 작동되는 분쇄커터가 설치되어 있고 일측면 하부에는 전자변에 의해 개폐되는 배수관이 연통 설치되어 있는 음식물처리통과, 상기 음식물처리통의 제 2단턱에 안착되어 상기 전자변작동센서를 작동시키면서 싱크대로부터의 음식물쓰레기를 걸름처리하는 걸름통과, 상기 음식물처리통의 제 1단턱에 안착되어 상기 분쇄모터작동센서를 작동시키면서 상부 외측으로 분쇄물이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뚜껑으로 구성되어 있되, 상기 전자변작동센서는 제 2단턱에 걸름통이 안착된 상태에서는 전자변을 개방시키도록 되어 있고 상기 걸름통이 제거되면 전자변을 닫혀지도록 하며 상기 분쇄모터작동센서는 제 1단턱에 뚜껑이 안착된 상태에서는 분쇄모터를 가동시켜 분쇄커터가 회전 작동되도록 하고 상기 뚜껑이 제거되면 분쇄모터를 정지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작동식 싱크대장착용 음식물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processing apparatus for safely crushing and discharging various food wastes while being mounted on a drain hole of a sink and operating in a sensor operation.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y mounted on a drain hole of a sink and formed on an upp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he first step is provided with a grinding motor operation sensor, the second step formed on the lower step of the first step is provided with an electronic variable sensor, the inner bottom is provided with a grinding cutter that is rotated by the grinding motor, the lower side of one side A food waste treatment container having a drain pipe opened and closed by an electromagnetic valve, and a filter barrel disposed on the second step of the food waste treatment container to filter food waste from a sink while operating the electronic shift sensor; Seated on the first step when operating the grinding motor operation sensor It consists of a lid that prevents the pulverized object from jumping out of the upper portion while the key, the electronic actuating sensor is to open the electronic valve in the state that the filter barrel is seated on the second step and when the filter container is removed, the electronic valve is opened. The grinding motor operation sensor is operated to operate the grinding motor when the lid is seated on the first step so that the grinding cutter is rotated and the grinding motor is stopped when the lid is removed. It relates to a food treatment apparatus for mounting a sink type.
음식물처리장치, 싱크대, 음식물처리통, 걸름망, 전자변작동센서, 분쇄모터작동센서, 뚜껑 Food waste treatment device, sink, food waste container, strainer, electronic variable sensor, grinding motor sensor, lid
Description
본 고안은 싱크대의 배수구에 장착되어 센서작동식으로 동작되면서 각종 음식물쓰레기를 안전하게 분쇄처리하여 배출시키는 음식물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싱크대의 배수구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상부 내주면에 형성된 제 1단턱에는 분쇄모터작동센서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1단턱의 하부에 형성된 제 2단턱에는 전자변작동센서가 설치되어 있으며 내측 하부에는 분쇄모터에 의해 회전 작동되는 분쇄커터가 설치되어 있고 일측면 하부에는 전자변에 의해 개폐되는 배수관이 연통 설치되어 있는 음식물처리통과, 상기 음식물처리통의 제 2단턱에 안착되어 상기 전자변작동센서를 작동시키면서 싱크대로부터의 음식물쓰레기를 걸름처리하는 걸름통과, 상기 음식물처리통의 제 1단턱에 안착되어 상기 분쇄모터작동센서를 작동시키면서 상부 외측으로 분쇄물이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뚜껑으로 구성되어 있되, 상기 전자변작동센서는 제 2단턱에 걸름통이 안착된 상태에서는 전자변을 개방시키도록 되어 있고 상기 걸름통이 제거되면 전자변을 닫혀지도록 하며 상기 분쇄모터작동센서는 제 1단턱에 뚜껑이 안착된 상태에서는 분쇄모터를 가동시 켜 분쇄커터가 회전 작동되도록 하고 상기 뚜껑이 제거되면 분쇄모터를 정지시키도록 되어 있어 상기 걸름통에 걸름처리된 음식물쓰레기를 음식물저장통에 넣고 걸름통을 제거한 상태에서 상기 뚜겅을 덮어 분쇄커터에 의해 음식물쓰레기가 분쇄되도록 한 후 뚜껑을 제거하고 다시 걸름통을 안착시켜 배수관을 통해 분쇄된 음식물쓰레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작동식 싱크대장착용 음식물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processing apparatus for safely crushing and discharging various food wastes while being mounted on a drain hole of a sink and operating in a sensor operation.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y mounted on a drain hole of a sink and formed on an upp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he first step is provided with a grinding motor operation sensor, the second step formed on the lower step of the first step is provided with an electronic variable sensor, the inner bottom is provided with a grinding cutter that is rotated by the grinding motor, the lower side of one side A food waste treatment container having a drain pipe opened and closed by an electromagnetic valve, and a filter barrel disposed on the second step of the food waste treatment container to filter food waste from a sink while operating the electronic shift sensor; Seated on the first step when operating the grinding motor operation sensor It consists of a lid that prevents the pulverized object from jumping out of the upper portion while the key, the electronic actuating sensor is to open the electronic valve in the state that the filter barrel is seated on the second step and when the filter container is removed, the electronic valve is opened. The grinding motor operation sensor is operated to operate the grinding motor when the lid is seated on the first step so that the grinding cutter rotates and stop the grinding motor when the lid is removed. Put the processed food waste into the food storage container, and cover the lid with the lid removed so that the food waste is crushed by the crushing cutter, then remove the lid and settle the strainer so that the crushed food waste is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pipe. It relates to a sensor-operated sink food proces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일반적으로 주방에서 나오는 각종 음식물쓰레기는 따로 모아두었다가 버리게 되는데, 각종 음식물쓰레기를 모아둠에 따라 악취가 나고 벌레들이 모여 들게 되어 매우 비위생적인 문제가 발생되며 상기와 같이 모아진 지저분한 음식물쓰레기를 내다 버릴 때 불편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In general, various kinds of food waste from the kitchen are collected and thrown away, and various kinds of food waste are thrown away by odors and insects gather, resulting in a very unsanitary problem. There was a troublesome problem.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종래 음식물처리방법의 하나로서, 주방이나 베란다에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발효처리하는 발효처리기를 마련하고 음식물쓰레기를 발효처리하였는데, 이러한 처리방법은 음식물쓰레기를 내다버리는 일이 없어지는 장점이 있었으나, 음식물쓰레기가 발효처리되는데 약 48시간 내외의 장시간이 소요되게 되고 긴 시간동안 음식물 쓰레기가 발효하면서 악취가 발생하여 집안 구석 구석으로 퍼지면서 심한 불쾌감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As one of the conventional food waste treatment methods to improve such a problem, a fermentation processor for fermenting food wastes using microorganisms in a kitchen or a veranda has been prepared and the food waste has been fermented. This treatment method is to throw out food waste. Although there was an advantage of disappearing, the food waste takes about 48 hours to fermentation process, and the food waste is fermented for a long time, the odor is generated by the fermentation throughout the corners of the house, causing a lot of discomfort.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대(3')의 배수구(4')에 장착되면서 음식물쓰레기를 잘게 분쇄하여 곧바로 배수관(17')을 통해 배출시키는 음식물처리장치(1')가 개발되었는데, 상기 음식물처리장치(1')는 싱크대(3')의 배수구(4')에 상단부가 걸림체결된 상태로 싱크대(3')의 하부쪽으로 설치되는 음식물처리통(2')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음식물처리통(2')의 내측 상부에는 걸름통(18')이 착탈식으로 안착되고 내측 하부에는 분쇄모터(15')에 의해 회전작동되는 분쇄커터(14')가 설치되어 있으며 일측면 하부에는 배수관(17')이 연통 설치되어 있어 음식물쓰레기가 물과 함께 상기 음식물처리통(2')의 내측으로 보내지면 상기 걸름통(18')에서 물기를 제외한 건더기상태의 음식물쓰레기를 걸름처리하여 물만 배수관(17')을 통해 배출시키고 상기 걸름통(18')에 일정량의 음식물쓰레기가 모이면 걸름통(18')에 모인 음식물쓰레기를 음식물처리통(2')의 내측 하부에 부은 다음 상기 분쇄모터(15')와 회로연결된 스위치(27')를 눌러 상기 음식물처리통(2')의 내측 하부에 설치된 분쇄커터(14')가 고속으로 회전작동되면서 음식물처리통(2') 내부의 음식물쓰기가 일정크기로 분쇄되어 배수관(17')을 통해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Recently, in order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s shown in FIG. 7, th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is installed in the drain 4 'of the sink 3' to finely crush food waste and immediately discharges the waste through the
그러나, 상기 음식물처리장치(1')는 분쇄과정에서 배수관(17')이 항상 개방된 구조로 되어 있어 일정량의 물을 계속적으로 급수해야만 음식물쓰레기가 제대로 분쇄되어 물 낭비가 심하며, 또한 상기 음식물쓰레기가 분쇄되는 도중 일측 하부에 연통된 배수관(17')을 통해 일부 배출되어 음식물쓰레기가 미세하고 고르게 분쇄되 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배수관(17')을 통해 배출되면서 배수관(17')이 막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상기 스위치(27')만 누르면 분쇄커터(14')가 고속으로 회전작동되도록 되어 있어 어린이나 노약자의 경우 손이나 팔 등의 신체부위가 음식물처리통(2')에 일부 들어간 상태에서 사용 부주의로 스위치(27')를 누르게 되면 심각한 안전사고를 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food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뚜껑에 의해 감지작동되는 분쇄모터작동센서와 걸름통에 의해 감지작동되는 전자변작동센서를 음식물처리통에 설치하고 배수관은 전자변에 의해 개폐되도록 하여 상기 걸름통이 음식물처리통에 안착된 경우 전자변이 개방되어 싱크대로부터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음식물쓰레기만 걸름통에 걸름처리되고 상기 걸름통의 음식물쓰레기를 음식물저장통에 넣고 걸름통을 제거한 상태에서 상기 뚜겅을 덮으면 전자변이 닫혀진 상태에서 분쇄커터가 작동되어 음식물쓰레기가 분쇄과정에서 배수관을 통해 배출되지 않고 일정크기로 고르게 분쇄되도록 하며, 분쇄과정에서 물낭비 없이 상기 뚜껑이 닫혀진 상태에서만 분쇄커터가 작동되도록 하여 안전사고가 예방되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by installing the pulverization motor operation sensor is detected by the lid and the electronically actuated sensor is detected by the strainer in the food treatment container and the drain pipe is opened and closed by the electromagnetic valve When the container is seated in the food processing container, the electronic stool is opened so that the drainage from the sink is made smoothly, and only the food waste is filtered through the filter container, and the food waste of the filter container is placed in the food storage container and the filter container is removed. When the cover is closed, the grinding cutter is operated while the electronic valve is closed so that the food waste is pulverized evenly without being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pipe during the grinding process, and the grinding cutter is operated only when the lid is closed without waste of water during the grinding process. To ensure that safety accidents are prevented There is an enemy.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싱크대의 배수구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상부 내주면에 형성된 제 1단턱에는 분쇄모터작동센서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1단턱의 하부에 형성된 제 2단턱에는 전자변작동센서가 설치되어 있으며 내측 하부에는 분쇄모터에 의해 회전 작동되는 분쇄커터가 설치되어 있고 일측면 하부에는 전자변에 의해 개폐되는 배수관이 연통 설치되어 있는 음식물처리통과, 상기 음식물처리통의 제 2단턱에 안착되어 상기 전자변작동센서를 작동시키면서 싱크대로부 터의 음식물쓰레기를 걸름처리하는 걸름통과, 상기 음식물처리통의 제 1단턱에 안착되어 상기 분쇄모터작동센서를 작동시키면서 상부 외측으로 분쇄물이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뚜껑으로 구성되어 있되, 상기 전자변작동센서는 제 2단턱에 걸름통이 안착된 상태에서는 전자변을 개방시키도록 되어 있고 상기 걸름통이 제거되면 전자변을 닫혀지도록 하며 상기 분쇄모터작동센서는 제 1단턱에 뚜껑이 안착된 상태에서는 분쇄모터를 가동시켜 분쇄커터가 회전 작동되도록 하고 상기 뚜껑이 제거되면 분쇄모터를 정지시키도록 되어 있어 상기 걸름통에 걸름처리된 음식물쓰레기를 음식물저장통에 넣고 걸름통을 제거한 상태에서 상기 뚜겅을 덮어 분쇄커터에 의해 음식물쓰레기가 분쇄되도록 한 후 뚜껑을 제거하고 다시 걸름통을 안착시켜 배수관을 통해 분쇄된 음식물쓰레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것에 본 고안의 특징이 있다.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first step is formed detachably mounted on the drain hole of the sink, the grinding motor operation sensor is installed on the first stepped jaw and the electronically actuated sensor is installed on the second stepped beneath the first step. The inner lower portion is provided with a grinding cutter which is rotated by the grinding motor, and the lower part of one side is provided with a food waste treatment tube having a communication pipe, which is opened and closed by an electromagnetic valve, and is seated on the second step of the food waste treatment vessel. And a lid for filtering food waste from the sink while operating the lid, and a lid that is seated on the first step of the food waste treatment container and prevents the pulverized object from splashing outward while operating the crushing motor operation sensor. However, the electronically actuated sensor is in a state that the trap is seated on the second step The electronic valve is to open the electronic valve, and when the filter is removed, the electronic valve is closed. The grinding motor operation sensor operates the grinding motor when the lid is seated on the first step so that the grinding cutter rotates and the lid is closed. When it is removed, the grinding motor is stopped so that the food waste, which has been treated in the strainer, is put in the food storage container, and the lid is removed while the food waste is crushed by the crushing cutter. There is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eat the strainer so that the food waste is crushed through the drain pipe.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뚜껑에 의해 감지작동되는 분쇄모터작동센서와 걸름통에 의해 감지작동되는 전자변작동센서가 음식물처리통에 설치되어 있고 배수관은 전자변에 의해 개폐되도록 되어 있어 상기 걸름통이 음식물처리통에 안착된 경우 전자변이 개방되어 싱크대로부터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음식물쓰레기만 걸름통에 걸름처리되고 상기 걸름통의 음식물쓰레기를 음식물저장통에 넣고 걸름통을 제거한 상태에서 상기 뚜겅을 덮으면 전자변이 닫혀진 상태에서 분쇄커터가 작동되어 음식물쓰레기가 분쇄과정에서 배수관을 통해 배출되지 않고 일정 크기로 고르게 분쇄되도록 할 수 있으며, 분쇄과정에서 물낭비 없이 상기 뚜껑이 닫혀진 상태에서만 분쇄커터가 작동되도록 하여 안전사고가 예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ulverization motor operation sensor detected by the lid and the electronic actuation sensor detected by the filter box are installed in the food processing container, and the drain pipe is opened and closed by the electronic valve so that the filter container is provided with food. When it is seated in the processing container, the electronic valve is opened so that the drainage from the sink can be made smoothly, and only the food waste is filtered through the filter container, and the food waste of the filter container is put in the food storage container and the lid is removed while the lid is removed. In this closed state, the grinding cutter is operated so that the food waste is crushed to a certain size without being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pipe during the grinding process, and the grinding cutter is operated only when the lid is closed without waste of water during the grinding process. There is an effect that accidents can be prevented.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구성을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ferred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the drawings.
본 고안에 따른 센서작동식 싱크대장착용 음식물처리장치(1)는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싱크대(3)의 배수구(4)에 장착되어 센서작동식으로 동작되면서 각종 음식물쓰레기를 안전하게 분쇄처리하여 배출시키는 장치로서, 싱크대(3)의 배수구(4)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상부 내주면에 형성된 제 1단턱(10)에는 분쇄모터작동센서(1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1단턱(10)의 하부에 형성된 제 2단턱(12)에는 전자변작동센서(13)가 설치되어 있으며 내측 하부에는 분쇄모터(15)에 의해 회전 작동되는 분쇄커터(14)가 설치되어 있고 일측면 하부에는 전자변(16)에 의해 개폐되는 배수관(17)이 연통 설치되어 있는 음식물처리통(2)과, 상기 음식물처리통(2)의 제 2단턱(12)에 안착되어 상기 전자변작동센서(13)를 작동시키면서 싱크대(3)로부터의 음식물쓰레기를 걸름처리하는 걸름통(18)과, 상기 음식물처리통(2)의 제 1단턱(10)에 안착되어 상기 분쇄모터작동센서(11)를 작동시키면서 상부 외측으로 분쇄물이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뚜껑(20)으로 구성되어 있 다. Sensor-operated sink-mounted food
상기 음식물처리통(2)은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대(3)의 배수구(4)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면서 배수되는 물이나 음식물쓰레기가 유입되어 처리되는 부분으로,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막혀있는 통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단부 외주면에는 상단돌출턱(5)이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어 싱크대(3)의 배수구(4)의 상단부에 상단돌출턱(5)이 걸림체결되면서 음식물처리통(2)이 싱크대(3)의 배수구(4) 하부쪽으로 설치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음식물처리통(2)에서 상단돌출턱(5)이 형성된 부분의 하부 외주면에는 숫나사부(6)가 형성되어 있어 음식물처리통(2)의 상단돌출턱(5)이 싱크대(3)의 배수구(4) 상단부에 걸림체결된 상태에서 싱크대(3)의 하부쪽에 위치된 음식물처리통(2)의 하방에서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밀(水密)을 위한 합성수지재질로 된 밀폐링(7)과 와샤(8)와 고정너트(9)가 차례로 끼움결합되면서 상기 고정너트(9)가 숫나사부(6)에 나사체결되어 음식물처리통(2)이 싱크대(3)의 배수구(4)에 착탈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The food
또한, 상기 음식물처리통(2)은 상부 내주면에 계단식으로 절곡된 제 1단턱(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단턱(10)에는 뚜껑(20)이 안착되도록 되어 있고 분쇄모터작동센서(1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1단턱(10)의 하부에는 계단식으로 절곡된 제 2단턱(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단턱(12)에는 걸름통(18)이 안착되도록 되어 있으며 전자변작동센서(1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음식물처리 통(2)의 내측 하부에는 분쇄모터(15)에 의해 회전 작동되는 분쇄커터(14)가 설치되어 있으며 일측면 하부에는 전자변(16)에 의해 개폐되는 배수관(17)이 연통 설치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food waste treatment container (2) is formed on the upp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epped
상기 분쇄모터작동센서(11)는 통상의 자석감지식 또는 근접감지식 등의 센서로 되어 있고 상기 음식물처리통(2)의 저면부에 고정설치된 분쇄모터(15)와 회로연결되어 있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단턱(10)에 뚜껑(20)이 안착되면 이를 분쇄모터작동센서(11)가 감지하고 상기 분쇄모터(15)를 작동시켜 음식물처리통(2)의 내측 하부에 설치된 분쇄커터(14)가 회전 작동되도록 하며, 상기 뚜껑(20)이 제 1단턱(10)으로부터 제거되어 상기 분쇄모터작동센서(11)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분쇄모터(15)가 정지되어 분쇄커터(14)가 회전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The grinding
상기 전자변작동센서(13)는 통상의 자석감지식 또는 근접감지식 등의 센서로 되어 있고 상기 배수관(17)에 설치된 전자변(16)과 회로연결되어 있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단턱(12)에 걸름통(18)의 걸림턱(19)이 안착되면 이를 전자변작동센서(13)가 감지하고 상기 전자변(16)을 개방시켜 상기 싱크대(3)로부터 걸름통(18)을 통해 빠져나오는 물이나 분쇄된 음식물쓰레기가 배수관(17)을 통해 원활히 배출되도록 하며, 상기 걸름통(18)이 제 2단턱(12)으로부터 제거되어 상기 전자변작동센서(13)로부터 이탈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변(16)이 닫혀져 배수관(17)을 통해 물이나 음식물쓰레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The electromagnetically actuated
상기 전자변(16)은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전자식으로 개폐작동되는 밸브로서 상기 음식물처리통(2)과 근접된 위치의 배수관(17)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자변작동센서(13)와 회로연결된 상태로 전자변작동센서(13)에 의해 개폐작동이 제어되어 배수관(17)을 개폐시키도록 되어 있다.3 and 4, the
상기 분쇄커터(14)는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처리통(2)의 내측하부에 위치되면서 음식물처리통(2)의 저면부에 설치된 분쇄모터(15)의 축과 연결되어 있어 음식물처리통(2)의 내측 하부로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일정크기로 미세하게 분쇄하도록 되어 있으며 분쇄커터(14)를 회전작동시키는 분쇄모터(15)가 상기 분쇄모터작동센서(11)와 회로연결되어 있어 상기 분쇄모터작동센서(11)에 의해 회전작동이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The
상기 걸름통(18)은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통형상으로 음식물처리통(2)의 내측 상부에 안착되도록 되어 있되, 상기 걸름통(18)의 상부 외주면에는 걸림턱(19)이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턱(19)은 음식물처리통(2)의 제 2단턱(12)의 상면부에 부합되는 직경을 지니고 있어 상기 제 2단턱(12)의 상면부에 안착되면서 제 2단턱(12)에 설치된 전자변작동센서(13)를 작동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외주면과 바닥면에 전체적으로 다수개의 구멍이 조밀하게 천공되어 있어 음식물처리통(2) 내측 상부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전자변(16)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여 물기를 제외한 건더기상태의 음식물쓰레기는 걸름통(18)에 의해 걸름처리되고 물만 음식물처리통(2) 하부의 배수관(17)을 통해 배출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걸름통(18)에 모인 일정량의 음식물쓰레기를 음식물처리통(2)의 내측 하부에 넣기 위해 상기 걸름통(18)을 제 2단턱(12)으로부터 이탈시키면 상기 전자변작동센서(13)로부터 걸름통(18)이 이탈되어 상기 전자변(16)이 닫혀지면서 음식물처리통(2) 내측에 투입된 음식물쓰레기가 배수관(17)을 통해 배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The
상기 뚜껑(20)은 도 1, 2,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형상으로 음식물처리통(2)의 제 1단턱(10)의 상면부에 부합되는 직경을 지니고 있어 상기 제 1단턱(10)의 상면부에 안착되면서 상기 제 1단턱(10)에 설치된 분쇄모터작동센서(11)를 작동시키도록 되어 있되, 상기 걸름통(18)을 제거하고 음식물쓰레기를 음식물처리통(2)에 투입한 상태에서 뚜껑(20)을 제 1단턱(10)에 안착시키면 분쇄모터작동센서(11)에 의해 분쇄모터(15)가 회전작동되어 음식물처리통(2) 내측의 음식물쓰레기가 분쇄커터(14)에 의해 분쇄되도록 되어 있으며 분쇄과정에서 상기 음식물처리통(2)의 상부를 뚜껑(20)이 덮고 있어 상부 외측으로 분쇄물이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고, 음식물쓰레기가 일정크기로 분쇄된 후 상기 뚜껑(20)을 제 1단턱(10)으로부터 제거하면 상기 분쇄모터작동센서(11)로부터 뚜껑(20)이 이탈되어 분쇄모터(15)가 정지되면서 음식물처리통(2)의 내부에는 일정크기로 분쇄된 음식물쓰레기가 남게 된다.The
이 때 상기 걸름통(18)을 제 2단턱(12)에 안착시키면 전자변(16)이 개방되면서 배수관(17)을 통해 분쇄된 음식물쓰레기가 배출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At this time, when the
또한, 필요에 따라서 본 고안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쇄모터작동센서(11)와 전자변작동센서(13)와 전자변(16)과 분쇄모터(15)는 CPU처리장치 등으로 된 통상의 제어부(26)와 회로 연결되어 있어 음식물쓰레기를 음식물처리통(2)에 넣고 걸름통(18)을 제거한 상태에서 상기 뚜껑(20)을 닫아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고 뚜껑(20)을 열면 상기 걸름통(18)을 안착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도 전자변(16)이 자동적으로 개방되어 분쇄된 음식물쓰레기가 배수관(17)을 통해 배출되도록 회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f necessary, as shown in Figure 5, the grinding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음식물처리통(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서 분쇄되는 음식물스레기를 더욱 효과적으로 정화처리하기 위하여 통상의 유용미생물(EM) 등이 공급되는 미생물공급부(21)가 연결설치되는데, 상기 미생물공급부(21)는 액상으로 된 통상의 유용미생물 등이 저장되는 미생물저장조(2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미생물저장조(22)는 공급펌프(23)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펌프(23)는 음식물처리통(2)의 일측면 상부와 연통되게 설치된 미생물공급호스(24)와 연결되어 있어 상기 미생물저장조(22)로부터 일정량의 유용미생물을 음식물처리통(2)으로 공급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미생물공급호스(24)에는 공급량조절레버(25)가 설치되어 있어 미생물공급호스(24)를 통해 공급되는 유용미생물의 양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상기 공급펌프(23)는 음식물처리통(2)에 걸름통(18)이 제거된 상태에서 뚜껑(20)이 덮혀 분쇄모터(15)가 작동시 함께 작동되면서 미생물공급호스(24)를 통해 일정량의 미생물을 음식물처리통(2)으로 보내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유용미생물(EM ; Effective Microorganisms)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많은 미생물 중에서 사람이나 식물에 유익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개의 미생물이 공존공생하면서 상승효과를 발휘하도록 한 것으로, 광합성 세균(혐기성:嫌氣性)을 중심으로 유산균, 효모균(통성혐기성:通性嫌氣性), 방선균(호기성:好氣性) 등 각기 다른 80종류 이상의 미생물이 조합, 배양되어 활성 상태로 공존하고 있는 미생물 집합배양체이며 통상적으로 환경정화나 공중위생, 정화처리공정 등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ffective microorganisms (EM) is a plurality of microorganisms that perform a beneficial function for humans or plants among the many microorganisms existing in the natural coexistence and synergistic effect, and photosynthetic bacteria (anaerobic: 嫌 氣It is a microorganism aggregate culture medium in which 80 different microorganisms such as lactobacillus, yeast (pain anaerobic), actinomycetes (aerobic: aerobic) are combined, cultured, and coexist in an active state. It is widely used for environmental purification, sanitation, and purification process.
필요에 따라서, 상기 미생물저장조(22)에 저장 공급되는 미생물은 유용미생물 이외에도 통상의 정화처리용 미생물이 사용될 수 있다.If necessary, the microorganisms stored and supplied to the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처리장치(1)를 싱크대(3)의 배수구(4)에 장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분쇄처리하는 경우에는,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름통(18)을 음식물처리통(2)의 내측 상부에 삽입설치하여 물은 걸름통(18)에 천공된 다수개의 구멍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고 건더기상태의 음식물쓰레기는 걸름처리되도록 하되, 상기 걸름통(18)의 상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턱(19)이 음식물처리통(2)의 상부 내주면에 형성된 제 2단턱(12) 위에 안착되면 상기 제 2단턱(12)에 설치된 전자변작동센서(13)가 이를 감지하여 배수관(17)에 설치된 전자변(16)을 개방시켜 상기 걸름통(18)을 통과한 물은 음식물처리통(2)의 하부에 설치된 배수관(17)으로 배출되도록 하고 건더기 상태의 음식물쓰레기만 걸름처리되도록 하며, 일정량의 음식물쓰레기가 상기 걸름통(18)에 모이면 상기 걸름통(18)에 모인 음식물쓰레기를 음식물처리통(2)의 내측 하부에 넣기 위해 상기 걸름통(18)을 제 2단턱(12)으로부터 이탈시키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전자변작동센서(13)로부터 걸름통(18)의 걸림턱(19)이 이탈되면서 전자변(16)이 닫혀지게 되고 음식물처리통(2) 내측에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는 배수관(17)을 통해 배출되지 않게 된다.When the food
상기와 같이 음식물쓰레기를 음식물처리통(2)에 투입한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20)을 음식물처리통(2)의 상부 내주면에 형성된 제 1단턱(10) 위에 안착시키면 상기 제 1단턱(10)에 설치된 분쇄모터작동센서(11)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음식물처리통(2)의 저면부에 설치된 분쇄모터(15)를 회전작동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음식물처리통(2) 내측 하부에 위치되며 분쇄모터(15)의 축과 연결된 분쇄커터(14)가 회전작동되어 음식물쓰레기를 고르게 분쇄하며, 음식물쓰레기가 일정크기로 분쇄된 후 상기 뚜껑(20)을 제 1단턱(10)으로부터 제거하면 분쇄모터작동센 서(11)로부터 뚜껑(20)이 이탈되면서 분쇄모터(15)가 정지되고 음식물처리통(2)의 내부에는 일정크기로 분쇄된 음식물쓰레기가 남게되며 이 때 상기 걸름통(18)을 제 2단턱(12)에 다시 안착시키면 전자변(16)이 개방되어 배수관(17)을 통해 일정크기로 고르게 분쇄된 음식물쓰레기가 배출된다.In the state in which the food waste is put into the food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센서작동식 싱크대장착용 음식물처리장치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사시개략도1 is a perspective schematic view showing an exploded state of a sensor-operated sink-mounted food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센서작동식 싱크대장착용 음식물처리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개략도 Figure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the sensor-operated sink food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센서작동식 싱크대장착용 음식물처리장치에서 걸름통이 장착되어 전자변이 개방되면서 물만 배수관을 통해 배출되는 상태의 단면개략도Figure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pipe while the electronic valve is opened with a strainer is mounted in the sensor-operated sink mounting food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센서작동식 싱크대장착용 음식물처리장치에서 걸름통이 제거되고 뚜껑이 장착되어 음식물쓰레기가 분쇄되는 상태의 단면개략도Figure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filter bin is removed from the sensor-operated sink mounting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lid is mounted to crush the food waste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센서작동식 싱크대장착용 음식물처리장치가 제어부와 회로연결된 상태의 단면개략도Figure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ensor-operated sink for food mou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the circuit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센서작동식 싱크대장착용 음식물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개략도Figure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sensor-operated sink food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종래 싱크대장착용 음식물처리장치의 단면개략도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food treatment apparatus for sink mountin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jor Parts of Drawings>
1, 1'. 음식물처리장치 2, 2'. 음식물처리통1, 1 '. Food
3, 3'. 싱크대 4, 4'. 배수구3, 3 '.
5. 상단돌출턱 6. 숫나사부5.
7. 밀폐링 8. 와샤7.
9. 고정너트 10. 제 1단턱9. Fixing
11. 분쇄모터작동센서 12. 제 2단턱11. Grinding
13. 전자변작동센서 14, 14'. 분쇄커터13. Electromagnetically actuated
15, 15'. 분쇄모터 16. 전자변15, 15 '. Grinding
17, 17'. 배수관 18, 18'. 걸름통17, 17 '.
19. 걸림턱 20. 뚜껑19. Hanging
21. 미생물공급부 22. 미생물저장조21.
23. 공급펌프 24. 미생물공급호스23.
25. 공급량조절레버 26. 제어부25.
27'. 스위치27 '. switch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09192U KR200446381Y1 (en) | 2009-07-15 | 2009-07-15 | Food treatment device for sensor operated sin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09192U KR200446381Y1 (en) | 2009-07-15 | 2009-07-15 | Food treatment device for sensor operated sink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46381Y1 true KR200446381Y1 (en) | 2009-10-27 |
Family
ID=41562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90009192U Expired - Lifetime KR200446381Y1 (en) | 2009-07-15 | 2009-07-15 | Food treatment device for sensor operated sin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46381Y1 (en)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6183Y1 (en) * | 2010-10-11 | 2011-10-17 | 엄만용 | Microbial Feeding Device of Food Waste Disposer for Fermentation Microorganism Inoculation |
KR101484686B1 (en) * | 2013-08-28 | 2015-01-21 | 주식회사 클레버 | Treatment apparatus for food garbage |
KR101742977B1 (en) | 2016-04-29 | 2017-06-02 | 최환희 | A slide door opening control device of feeder for food waste processing equipment |
CN109339171A (en) * | 2018-12-12 | 2019-02-15 | 浙江畅远环保设备有限公司 | A kind of kitchen waste treater |
CN115318807A (en) * | 2022-08-11 | 2022-11-11 | 中建安装集团有限公司 | Kitchen waste treatment device adopting technical microbial decomposition |
KR20230001961U (en) * | 2022-04-05 | 2023-10-13 | 김진국 | Leak-proof food waste disposer |
KR20250003133A (en) * | 2023-06-30 | 2025-01-07 | 주식회사 에쎈바이오 | Independent Food Waste Disposal Devic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192521A (en) * | 1996-01-12 | 1997-07-29 | Inax Corp | Crushing device |
JP2002248368A (en) * | 2001-02-27 | 2002-09-03 | Inax Corp | Disposer |
JP2003024813A (en) * | 2001-07-17 | 2003-01-28 | Inax Corp | Disposer |
KR200410491Y1 (en) | 2005-12-22 | 2006-03-07 | 서경태 | Food waste shredder for sink using microorganism |
-
2009
- 2009-07-15 KR KR2020090009192U patent/KR200446381Y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192521A (en) * | 1996-01-12 | 1997-07-29 | Inax Corp | Crushing device |
JP2002248368A (en) * | 2001-02-27 | 2002-09-03 | Inax Corp | Disposer |
JP2003024813A (en) * | 2001-07-17 | 2003-01-28 | Inax Corp | Disposer |
KR200410491Y1 (en) | 2005-12-22 | 2006-03-07 | 서경태 | Food waste shredder for sink using microorganism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6183Y1 (en) * | 2010-10-11 | 2011-10-17 | 엄만용 | Microbial Feeding Device of Food Waste Disposer for Fermentation Microorganism Inoculation |
KR101484686B1 (en) * | 2013-08-28 | 2015-01-21 | 주식회사 클레버 | Treatment apparatus for food garbage |
KR101742977B1 (en) | 2016-04-29 | 2017-06-02 | 최환희 | A slide door opening control device of feeder for food waste processing equipment |
CN109339171A (en) * | 2018-12-12 | 2019-02-15 | 浙江畅远环保设备有限公司 | A kind of kitchen waste treater |
CN109339171B (en) * | 2018-12-12 | 2024-03-26 | 浙江畅远环保设备有限公司 | Kitchen garbage disposer |
KR20230001961U (en) * | 2022-04-05 | 2023-10-13 | 김진국 | Leak-proof food waste disposer |
KR200498888Y1 (en) | 2022-04-05 | 2025-03-07 | 김진국 | Leakage-proof food waste disposal unit |
CN115318807A (en) * | 2022-08-11 | 2022-11-11 | 中建安装集团有限公司 | Kitchen waste treatment device adopting technical microbial decomposition |
KR20250003133A (en) * | 2023-06-30 | 2025-01-07 | 주식회사 에쎈바이오 | Independent Food Waste Disposal Device |
KR102762398B1 (en) | 2023-06-30 | 2025-02-04 | 주식회사 에쎈바이오 | Independent Food Waste Disposal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46381Y1 (en) | Food treatment device for sensor operated sink | |
CN203878684U (en) | Kitchen garbage treatment device | |
KR20140100823A (en) | Screw pressing type's food garbage treating apparatus | |
KR100624005B1 (en) | Waste Food Treatment Device | |
KR100767291B1 (en) | Think Food Waste Treatment Device | |
KR101485716B1 (en) | Food waste disposer which is installed to a sink | |
KR20120018035A (en) | Food waste treatment device | |
KR101308905B1 (en) | Food wastes treater for sink mounting | |
KR101445111B1 (en) | Equipment for treating food waste in the toilet | |
KR101449642B1 (en) | Food wastes treater for sink mounting | |
KR20080065945A (en) | Food waste disposal system for sink with drainage purification | |
KR100832087B1 (en) | Sink Disposal Food Waste Disposer | |
KR101878686B1 (en) |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 |
KR100799915B1 (en) | Food handler | |
KR100744971B1 (en) | Food Waste Disposal Device | |
JP3700224B2 (en) | 厨 芥 Processing machine | |
KR20130112595A (en) | Apparatus for processing food waste for external | |
JPH09264041A (en) | Sink equipped with garbage processing unit | |
KR101858670B1 (en) | Eco-friendly sewage disposal system | |
KR101463574B1 (en) | A treatment equuipment for food waste | |
KR101206478B1 (en) | food residue complex disposal device | |
JP3315282B2 (en) | Garbage disposal system | |
JP2004223463A (en) | Garbage disposal system | |
JP3639565B2 (en) | 厨 芥 Processing device | |
KR20090003805A (en) | Food Waste Disposal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90715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UA0301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716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715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09101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9101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91016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20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2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