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286Y1 - snorkel - Google Patents
snorke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46286Y1 KR200446286Y1 KR2020070015953U KR20070015953U KR200446286Y1 KR 200446286 Y1 KR200446286 Y1 KR 200446286Y1 KR 2020070015953 U KR2020070015953 U KR 2020070015953U KR 20070015953 U KR20070015953 U KR 20070015953U KR 200446286 Y1 KR200446286 Y1 KR 20044628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mbrane
- suction
- discharge
- valve
- snorke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6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9189 div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012 bilayer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2—Divers' equipment
- B63C11/12—Diving masks
- B63C11/16—Diving masks with air supply by suction from diver, e.g. snork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2—Divers' equipment
- B63C11/12—Diving masks
- B63C11/16—Diving masks with air supply by suction from diver, e.g. snorkels
- B63C2011/165—Diving masks with air supply by suction from diver, e.g. snorkels comprising two or more air ducts leading from the mouthpiece to the air inlet or outlet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ck Valve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노클에 관한 것으로, 상하가 관통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흡입 및 배출의 2개 공간으로 나누는 이분막과, 상기 이분막과 직교하는 직교봉과, 상기 이분막의 흡입공간측에 장착되되 상기 직교봉 하측에 형성되는 흡입막과, 상기 이분막의 배출공간측에 장착되되 상기 직교봉 상측에 형성되는 배출막과, 상기 몸체 내주면 흡입공간측 아래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흡입막의 일정각도 이동을 제어하는 하탄성돌출구와, 상기 몸체 내주면 배출공간측 위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흡입막의 일정각도 이동을 제어하는 상탄성돌출구로 구성되는 밸브; 2개의 중공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밸브의 상측으로 결합하되, 상기 2개의 중공부재는 상기 밸브에 형성된 흡입공간과 배출공간에 각각 결합하는 공기관; 상기 밸브의 하측으로 결합하는 마우스피스;로 구성되어, 상기 마우스피스로 공기를 흡기할 때 상기 배출막은 클로져되고 상기 흡입막은 오픈되며, 공기를 배기할 때 배출막은 오픈되고 상기 흡입막이 클로져되는 것으로, 신선한 공기를 제공받아 상쾌하게 스노클링을 즐길 수 있고, 다량의 공기를 제공받아 보다 오랜시간을 잠수하여 스노클링을 즐길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norkel, a top and bottom body, a dividing membrane divided into two spaces of suction and discharg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an orthogonal rod orthogonal to the dividing membrane, and the suction space side of the dividing membrane A suction membrane mounted on the lower side of the orthogonal rod, the discharge membrane mounted on the discharge space side of the dividing membrane, and formed on an upper side of the orthogonal rod, and protruding below the suction space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ction membrane to a predetermined angle. A valve composed of a lower elastic protrusion for controlling movement and an upper elastic protrusion for protruding on the discharge space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to control a angular movement of the suction membrane; An air pipe formed of two hollow members and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valve, the two hollow members being coupled to suction and discharge spaces formed in the valve, respectively; And a mouthpiec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valve, wherein the discharge membrane is closed and the suction membrane is opened when inhaling air into the mouthpiece, and when the air is exhausted, the discharge membrane is opened and the suction membrane is closed. You can enjoy snorkeling freshly with fresh air, and you can enjoy snorkeling by diving for a long time with plenty of air.
밸브, 몸체, 이분막, 직교봉, 배출막, 흡입막, 상탄성돌출구, 하탄성돌출구, 탄성부재 Valve, Body, Divided Film, Orthogonal Rod, Discharge Membrane, Suction Membrane, Upper Elastic Projection, Lower Elastic Projection, Elastic Member
Description
본 고안은 스노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잠수를 즐기기 위해 수중으로 잠수할 경우 호흡을 가능하게 하는 잠수 보조장치인 스노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norkel, and more particularly to a snorkel that is a diving aid that enables breathing when diving underwater to enjoy diving.
일반적으로, 스노클링은 매우 인기 있고, 즐거운 놀이로서 다이버나 수영하는 사람들은 수면아래에 얼굴을 두고서 숨을 쉬기 위하여 스노클을 이용하되, 상기 스노클의 사용에 있어서 사용자는 수면의 바로 아래에서 적당한 깊이를 유지하여야 한다. 만약 수영하는 자가 스노클의 길이를 넘어서는 깊이로 내려가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필수불가결인 공기 대신에 물이 스노클의 공기 흡입구로 유입되게 된다. In general, snorkeling is a very popular and enjoyable game where divers and swimmers use snorkels to breathe face to face under water, but in use of the snorkel the user maintains a suitable depth just below the surface of the water shall. If the swimmer descends to a depth beyond the length of the snorkel,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air intake of the snorkel instead of air, which is indispensable for the user.
이러한 스노클은 통상 착용자가 수면내에서 입으로 파지하기 위한 마우스피스와, 상기 마우스피스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물 밖에 위치하여 대기중의 공기를 착용자가 호흡할 수 있도록 중공의 호스로 이루어져 있다.Such a snorkel is usually composed of a mouthpiece for the wearer to grip the mouth in the water, and one end connected to the mouthpiece, the other end is located outside the water so that the wearer can breathe air in the atmosphere .
도 1은 종래의 스노클의 도시하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norkel.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우스피스(2)와 상기 마우스피스(2)에 연결되는 중공의 호스(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마우스피스(2)는 착용자의 마우스와 접촉 되는 부분으로 공기가 흡기,배기되는 게이트이다. 그리고 상기 호스(3)는 상기 마우스피스(2)에 의해 공기가 이동되는 통로이다.As shown in FIG. 1, it consists of a
그러나, 상기 한개의 통로로 공기를 흡기,배기를 하게되므로 배기때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다시 흡기때 호흡해야 하므로, 이산화탄소가 많이 포함된 산소를 공급받아 숨이 차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air is inhaled and exhausted through the one passage, the carbon dioxide generated during the exhaust air must be breathed again when the gas is inhaled.
그래서, 2003년 11월 28일 등록된 대한민국특허청 실용신안공보 제 0334467에서 상기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잠수용 에어 호흡기를 개시하고 있지만, 상기 잠수용 에어 호흡기는 마우스피스와 공기관을 이어주는 밸브부분에서 공기의 이동통로가 좁아서 많은 공기가 이동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Thus, the Korean Patent Office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0334467, registered on November 28, 2003, discloses a diving air ventilator to improve the above problem, but the diving air ventilator is provided with air at the valve portion connecting the mouthpiece and the air pipe. There is a problem that a lot of air does not move because the moving passage is narrow.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이분막으로 2개의 공간으로 나누어진 몸체에 배출막과 흡입막을 부착하여, 이산화탄소가 포함되지 않은 신선한 산소를 제공받으며, 또한 이러한 산소를 다량으로 제공받아 호흡할 수 있는 스노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attaching the discharge membrane and the suction membrane to the body divided into two spaces into two membranes, provided with fresh oxygen that does not contain carbon dioxide, and also the oxygen in large quantitie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norkel that can be provided and breathed.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스노클은 상하가 관통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흡입 및 배출의 2개 공간으로 나누는 이분막과, 상기 이분막과 직교하는 직교봉과, 상기 이분막의 흡입공간측에 장착되되 상기 직교봉 하측에 형성되는 흡입막과, 상기 이분막의 배출공간측에 장착되되 상기 직교봉 상측에 형성되는 배출막과, 상기 몸체 내주면 흡입공간측 아래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흡입막의 일정각도 이동을 제어하는 하탄성돌출구와, 상기 몸체 내주면 배출공간측 위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흡입막의 일정각도 이동을 제어하는 상탄성돌출구로 구성되는 밸브;2개의 중공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밸브의 상측으로 결합하되, 상기 2개의 중공부재는 상기 밸브에 형성된 흡입공간과 배출공간에 각각 결합하는 공기관; 상기 밸브의 하측으로 결합하는 마우스피스;로 구성되어 상기 마우스피스로 공기를 흡기할 때 상기 배출막은 클로져되고 상기 흡입막은 오픈되며, 공기를 배기할 때 배출막은 오픈되고 상기 흡입막이 클로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nork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is divided into two spaces of the upper and lower through the body, the suction and the discharg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and the orthogonal rod perpendicular to the dichotomy; A suction membrane mounted on the suction space side of the dividing membrane and formed under the orthogonal rod, a discharge membrane mounted on the discharge space side of the dividing membrane and formed above the orthogonal rod, and protruding below the suction space side of the body inner peripheral surface; A valve formed of a lower elastic projection for controlling a predetermined angle movement of the suction membrane, and an upper elastic projection for protruding over the discharge space side of the body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control a constant angle movement of the suction membrane; An air pipe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valve, wherein the two hollow members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suction space and the discharge space formed in the valve; And a mouthpiec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valve, wherein the discharge membrane is closed and the suction membrane is opened when inhaling air into the mouthpiece, and when the air is exhausted, the discharge membrane is opened and the suction membrane is closed. do.
그리고, 상기 상탄성돌출구와 상기 하탄성돌출구의 일측에 탄성부재가 부착되어, 흡기 또는 배기시 상기 배출막과 상기 흡입막이 탄성복원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 elastic member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upper elastic projection and the lower elastic projection, so that the discharge film and the suction film are elastically restored during intake or exhaust.
그리고, 상기 상탄성돌출구와 상기 하탄성돌출구의 일측과 상기 배출막과 상기 흡입막의 일측에 같은극의 자석이 부착되는 것들 특징으로 한다.The magnets of the same pole are attached to one side of the upper elastic projection and the lower elastic projection, and one side of the discharge membrane and the suction membrane.
그리고, 상기 직교봉은 상기 이분막을 관통하여 양단이 상기 몸체의 내주면에 접착되되, 다수개가 일정간격 동일선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rthogonal rods penetrate through the dividing membrane, and both ends thereof are bond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and a plurality of the rods are formed on the same lin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그리고, 상기 배출막 및 상기 흡입막은 알루미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charge membrane and the suction membrane may be aluminum.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이분막으로 2개의 공간으로 나누어진 몸체에 배출막과 흡입막을 부착하여,As described above, the subject innovation is to attach the discharge membrane and the suction membrane to the body divided into two spaces into two membranes,
첫째, 신선한 공기를 제공받아 상쾌하게 스노클링을 즐길 수 있다.First, you can enjoy fresh snorkeling with fresh air.
둘째, 다량의 공기를 제공받아 보다 오랜시간을 잠수하여 스노클링을 즐길 수 있다.Second, you can enjoy snorkeling by diving for a longer time with a lot of ai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에 따른 스노클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snork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노클을 도시하는 사시도 및 스노클 밸브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노클 밸브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norkel and a snorkel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norkel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원기둥 형상의 상하가 관통된 몸체(11)와 상기 몸체(11)의 길이방향을 따라 2개의 공간으로 나누는 이분막(12)과 상기 이분막(12)과 직교하되 동일선상에 다수개 형성되는 직교봉(13)과 상기 이분막(12)의 측면에 형성되는 배출막(14) 및 흡입막(15)과 상기 몸체(11) 내주면에 형성되는 상탄성돌출구(16) 및 하탄성돌출구(17)로 이루어진 밸브(10)와, 상기 밸브(10)의 상측에 결합하는 2개의 중공관으로 형성된 공기관(30)과, 상기 밸브(10)의 하측에 결합하여 사람의 입에 접촉하는 마우스피스(20)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subject innovation is the dividing
이하, 각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상기 밸브(10)는 몸체(11), 이분막(12), 직교봉(13), 배출막(14) 및 흡입막(15), 상탄성돌출구(16) 및 하탄성돌출구(17)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몸체(11)는 상기 밸브(10)의 외관으로 중공관의 일부를 절단한 형상이고, 상하가 관통되어 공기가 원활하게 연동될 수 있어 상기 공기관(30)과 상기 마우스피스(2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물속으로 투입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플라스틱재나 코팅이 된 금속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The
상기 이분막(12)은 사각판 형상으로 상기 몸체(11)내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11)를 2 공간으로 나눈다. 일측의 공간은 흡입공간이고 타측의 공간은 배출공간으로 상기 이분막(12)이 상기 몸체(11)의 내주면에 밀착하여 결합되어 있어 상기 흡입공간과 상기 배출공간의 공기 이동이 발생하지 않는다.The dividing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분막(12)의 상,하면이 상기 몸체(11)의 상,하면과 일치하며 상기 몸체(11)의 중앙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Preferably,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dividing
상기 직교봉(13)은 직경이 작은 봉 형상으로 상기 이분막(12)의 양측에 각각 직교하여 형성되되, 다수개가 지면과 동일선상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직교봉(13)은 상기 밸브(10) 상하로 공기 이동시, 상기 배출막(14)은 상측으로 개폐되게 상기 흡입막(15)은 하측으로만 개폐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The
그리고, 상기 이분막(12)에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직교봉(13)의 끝단이 상기 몸체(11)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end of the
상기 배출막(14)은 상기 이분막(12)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배출공간측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11)가 보통 원기둥 형상일때 상기 몸체(11)의 원형 단면의 일측면을 덮기 위해 반원형상이 일반적이다. 특히, 상기 흡입공간측에 형성된 상기 직교봉(13) 상부면과 밀착 또는 상기 이분막(12)에 결합한 부분을 축으로 상부방향으로 일정각도 이동이 가능하다.The
상기 흡입막(15)은 상기 이분막(12)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흡입공간측에 형성되며, 그 형상은 상기 배출막(14)의 형상과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배출공간측에 형성된 상기 직교봉(13) 하부면과 밀착 또는 상기 이분막(12)에 결합한 부분을 축으로 하부방향으로 일정각도 이동이 가능하다.The
단, 상기 배출막(14)과 상기 흡입막(15)이 상기 직교봉(13)의 상하부면에 밀착했을 때 상기 몸체(11)의 상하로 공기이동이 발생되지 않게 제작됨이 바람직하며, 연성이 좋고 가벼운 알루미늄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However, when the
상기 상탄성돌출구(16)는 상기 몸체(11)의 직경에 1/5~1/4정도 길이로, 상기 몸체(11)의 내주면에 부착되며 상기 배출막(14) 상부방향에 형성된다. 상기 상탄성돌출구(16)는 상기 배출막(14)이 회전할 때 회전각도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상탄성돌출구(16)가 상기 몸체(11)에 부착되는 위치가 달라진다. 가령, 회전각도가 적을수록 상기 직교봉(13)에 가깝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각도가 클수록 상기 직교봉(13)에 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탄성돌출구(16)는 상기 몸체의 내주면에 쌍으로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pper
상기 하탄성돌출구(17)는 상기 상탄성돌출구(16)와 동일하나 단, 흡입막(15) 하부방향에 형성되는 점이 다르다.The lower
특히, 상기 상탄성돌출구와 상기 하탄성돌출구(17)는 상기 배출막(14)과 상기 흡입막(15)이 상하 회전시, 상기 이분막(12)에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더욱 용이함을 위해 상기 상탄성돌출구(16)와 상기 하탄성돌출구(17)의 일측에 탄성부재(18)를 더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18)는 스프링이면 적당하다.In particular, the upper elastic projection and the lower
또는 상기 상탄성돌출구(16)와 상기 하탄성돌출구(17)에 자석을 부착하되, 상기 배출막(14)과 상기 흡입막(15)에도 같은 극성의 자석을 부착하여 탄성복원이 용이하게 한다. 일예로 일측에 N극의 자석을 부착한 상기 흡입막(15)이 하측으로 개폐되더라도 N극을 부착한 상기 하탄성돌출구(17)에 의해 본 위치로 복원되는게 쉽다.Alternatively, magnets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상기 공기관(30)은 2개의 중공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내주면에 장착되되, 각각 상기 배출공간과 상기 흡입공간으로 나뉘어서 장착된다. 즉, 상기 배출공간에 형성된 공기는 상기 배출공간에 형성된 상기 공기관(30)으로 배출되고, 상 기 흡입공간에 형성된 공기는 상기 흡입공간에 형성된 상기 공기관(30)으로 흡입되므로 서로 이동이 불가능하다.The
상기 마우스피스(20)는 종래의 마우스피스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본 고안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스노클링을 즐기기 위해 먼저 본 고안의 착용전 밸브(10) 단면은 도 2 및 도 3의 A와 같다. In order to enjoy snorkeling, the cross section of the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막(14)은 상기 이분막(12)의 측면에 부착되되 상기 직교봉(13) 상부면에 위치하고, 상기 흡입막(15)은 상기 이분막(12)의 측면에 부착되되 상기 직교봉(13) 하부면에 위치한다. 그래서, 이 상태에서는 상기 밸브(10)의 상하로 공기 이동이 불가능하다.As shown, the
다음은 본 고안의 착용한 밸브 단면은 도 2 및 도 3의 B,C와 같다.Next, the worn valve cross 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B and C of FIGS. 2 and 3.
도시된 B는 호흡의 배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공기가 상기 마우스피스(20)에서 상기 공기관(30)으로 이동시, 상기 흡입막(15)은 상기 직교봉(13) 아래에 위치하고 있어 상기 흡입공간을 밀폐시키고, 상기 배출막(14)은 공기에 의해 개폐되되 상기 상탄성돌출구(16)가 부착된 곳까지 개폐된다. 그리고 상기 상탄성돌출구(16)에 의해 다시 직교봉(13)쪽으로 밀착하게 된다.B shows the exhaust of the breath, when air moves from the
도시된 C는 호흡의 흡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공기가 상기 공기관(30)에서 상기 마우스피스(20)로 이동시, 상기 배출막(14)은 상기 직교봉(13) 위에 위치하고 있어 상기 배출공간을 밀폐시키고, 상기 흡입막(15)은 공기에 의해 개폐되되 상기 하탄성돌출구(17)가 부착된 곳까지 개폐된다. 그리고 상기 하탄성돌출구(17)에 의해 다시 직교봉(13)쪽으로 밀착하게 된다. 또한 다시 호흡의 배기로 전환되기 때문에 상기 흡입막(15)이 직교봉(13)쪽으로 밀착하기 용이하다.C shows the intake of the breath, when the air moves from the
만약, 상기 상탄성돌출구(16) 및 상기 하탄성돌출구(17)가 없다면 상기 배출막(14)과 상기 흡입막(15)이 공기에 의해 상기 이분막(12)으로 밀착하여 다시 원위치로 복원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f the upper
이와같이, 상기 밸브(10)를 배출공간 흡입공간으로 나누는 이유는 상기 배출공간으로 배기된 이산화탄소를 다시 흡입하지 않고 신선한 산소를 상기 흡입공간에서 흡입하기 위함이다.As such, the reason for dividing the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배출공간과 흡입공간으로 나누어지는 몸체에 흡입막과 배출막을 장착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며,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인바,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한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asic technical idea that the suction membrane and the discharge membrane are mounted on the body divided into the discharge space and the suction space, which is merely an exampl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vary from thi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and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종래의 스노클의 도시하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norkel;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노클을 도시하는 사시도 및 스노클 밸브를 도시하는 단면도.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norkel and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nork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노클 밸브를 도시하는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norkel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스노클 2,20: 마우스피스1: snorkel 2,20: mouthpiece
3: 호스 10: 밸브3: hose 10: valve
11: 몸체 12: 이분막11: body 12: dichotomy
13: 직교봉 14: 배출막13: cross rod 14: discharge film
15: 흡입막 16: 상탄성돌출구15: suction membrane 16: upper elastic projection
17: 하탄성돌출구 18: 탄성부재17: lower elastic projection 18: elastic member
30: 공기관30: air pipe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15953U KR200446286Y1 (en) | 2007-09-28 | 2007-09-28 | snorke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15953U KR200446286Y1 (en) | 2007-09-28 | 2007-09-28 | snorke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03136U KR20090003136U (en) | 2009-04-01 |
KR200446286Y1 true KR200446286Y1 (en) | 2009-10-14 |
Family
ID=41562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70015953U Expired - Fee Related KR200446286Y1 (en) | 2007-09-28 | 2007-09-28 | snorke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46286Y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3200Y1 (en) | 2011-01-21 | 2012-10-29 | 유근황 | Snorkel |
KR200483351Y1 (en) * | 2016-10-25 | 2017-05-02 | 박효군 | Snorkeling Mask |
KR102037784B1 (en) | 2018-05-10 | 2019-10-29 | (주)예진스포츠 | Snorkel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95829B1 (en) * | 2021-03-03 | 2023-02-06 | 송인규 | Breathing apparatus for snorkeling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071024A (en) | 1976-07-30 | 1978-01-31 | Max A. Blanc | Snorkel |
KR880017850U (en) * | 1987-03-27 | 1988-10-27 | 유근황 | Diving snorkel |
WO1991009772A1 (en) | 1990-01-05 | 1991-07-11 | Ernst Johnny Svelund | Fresh air snorkel for divers |
US20060102176A1 (en) | 2004-11-15 | 2006-05-18 | Junck Anthony D | Low physiological deadspace snorkel |
-
2007
- 2007-09-28 KR KR2020070015953U patent/KR200446286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071024A (en) | 1976-07-30 | 1978-01-31 | Max A. Blanc | Snorkel |
KR880017850U (en) * | 1987-03-27 | 1988-10-27 | 유근황 | Diving snorkel |
WO1991009772A1 (en) | 1990-01-05 | 1991-07-11 | Ernst Johnny Svelund | Fresh air snorkel for divers |
US20060102176A1 (en) | 2004-11-15 | 2006-05-18 | Junck Anthony D | Low physiological deadspace snorkel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3200Y1 (en) | 2011-01-21 | 2012-10-29 | 유근황 | Snorkel |
KR200483351Y1 (en) * | 2016-10-25 | 2017-05-02 | 박효군 | Snorkeling Mask |
KR102037784B1 (en) | 2018-05-10 | 2019-10-29 | (주)예진스포츠 | Snorke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03136U (en) | 2009-04-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117817A (en) | Vertical co-axial multi-tubular diving snorkel | |
US11208185B2 (en) | Snorkeling breathing apparatus | |
US5893362A (en) | Snorkelling device | |
KR200446286Y1 (en) | snorkel | |
US4061140A (en) | Underwater breathing device | |
US6478024B1 (en) | Snorkeling equipment | |
US7621268B2 (en) | Low physiological deadspace snorkel | |
CN209051570U (en) | A kind of respirator that snorkels can be realized quick expiration function | |
CN211139624U (en) | Diving full face mask | |
CN109110089B (en) | snorkeling respirator | |
CN208882082U (en) | The mask that snorkels of air intake duct adjustable in length | |
TWI852299B (en) | Breathable mask | |
US20020166555A1 (en) | Underwater breathing apparatus | |
US20050145244A1 (en) | Inlet valve apparatus and valve system | |
CN208882084U (en) | The mask that snorkels with rotary type air intake duct | |
CN208882085U (en) | Snorkel respirator | |
WO2020078162A1 (en) | Breathing device for snorkeling | |
CN209142360U (en) | A kind of underwater free respiratory system | |
KR20220131592A (en) | snorkeling gear | |
US20190016423A1 (en) | Fresh-Aire Safety Snorkel | |
US7909030B2 (en) | Elliptical purge valve for snorkels | |
CN104859818A (en) | Underwater natural breathing device | |
JP3009410U (en) | Snorkel structure for skin diving | |
CN2200588Y (en) | Snorkeling rebreather device | |
GB2246075A (en) | Diving snorke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70928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90223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09080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9100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91007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06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0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07 Year of fee payment: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0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1509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