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45964Y1 - 판안경의 디자인 장식구조 - Google Patents

판안경의 디자인 장식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5964Y1
KR200445964Y1 KR2020090008689U KR20090008689U KR200445964Y1 KR 200445964 Y1 KR200445964 Y1 KR 200445964Y1 KR 2020090008689 U KR2020090008689 U KR 2020090008689U KR 20090008689 U KR20090008689 U KR 20090008689U KR 200445964 Y1 KR200445964 Y1 KR 2004459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es
design
leg
plate
patter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86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기봉
Original Assignee
정기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기봉 filed Critical 정기봉
Priority to KR20200900086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9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9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964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02Ornaments, e.g. exchangeabl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46Side-members having special front en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균일한 두께의 철판을 가공하여 다리를 포함한 안경테를 만드는 판안경에 시각적인 디자인을 좋게 하는 장식을 가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안경다리를 형성할 때 문양이나 문자 등으로 된 디자인부를 형성한 다음 이러한 디자인부를 접어 안경다리나 안경본체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마치 디자인부가 안경다리나 안경본체에 양각된 것과 같은 형태의 장식이 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안경테, 판안경, 안경다리, 안경본체, 디자인 장식, 양각문양

Description

판안경의 디자인 장식구조{Design decoration structure of plate glasses}
본 고안은 균일한 두께의 철판을 가공하여 다리를 포함한 안경테를 만드는 판안경에 관한 것이며, 이러한 판안경에 시각적인 디자인을 매우 다양하고 새로운 형태로 가할 수 있게 하는 장식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금속제로 된 안경테는 안경의 각 부위(안경본체, 안경다리, 중앙을 연결하는 코다리 등)를 따로 제작하여 용접 등의 방법으로 연결하여 안경테를 제조하는 일반적인 것이었으나, 근래에는 얇은 판 형태의 금속판을 안경테의 형상으로 가공하여 제조하는 판안경의 수요가 많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판안경은 통상 두께가 0.5 내지 1mm 정도의 얇은 판체를 가공하여 제조되는데, 안경테의 무게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런데 이러한 판안경의 경우에는 얇은 철판을 가공하여 제조되므로 디자인을 다양화할 여건이 많지 않다는 것인데, 통상적으로 판안경에 장식을 가하는 수단으로는 안경다리와 안경본체 외면부에 색상이나 문양을 칠하는 방법과, 다른 재질을 접합하는 방법, 문양이나 문자형태로 구멍을 가공하여 디자인화하는 방법 외에는 별다른 수단이 제시되지 못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패션의 한 분야로 자리 잡은 안경산업에서 안경의 디자인의 개선에 대한 소요를 충족하지 못하였고, 항상 변화를 요구하는 젊은 세대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부족하였다 할 것이다.
상기한 문제점과 필요성에 의해 안출된 본 고안은 얇고 두께가 일정한 철판을 가공하여 형성되는 판안경에 있어서, 새롭고도 외관상 매우 미려하고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을 가할 수 있는 장식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경다리와 안경본체를 형성할 때 그 자체 또는 일측으로 돌출되는 문양이나 문자 등으로 된 디자인부를 일체로 형성한 다음 이러한 디자인부를 접어 안경다리나 안경본체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마치 안경다리나 렌즈테에 문양이나 문자가 양각된 것과 같은 새로운 형태의 장식이 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기존의 판안경에서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형태의 안경테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게 된 것으로서, 판안경의 디자인을 다양화하는 효과와 함께 새로운 형태의 디자인 방식을 제공함으로써 패션의 일부로 자리 잡고 있는 안경의 기능을 더욱 강화하고 침체된 안경업계의 활성화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등 유용한 효과를 가진 고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성 실시 예를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본 고안의 한 실시 예에 의한 안경다리의 가공공정도, 도 1b는 도 1a의 A-A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1b와 같이 안경의 제조를 위하여 소재로부터 안경테를 구성하는 안경다리(3; 렌즈를 결합하는 안경테를 포함하여 칭함)를 획득하는 블랭킹작업을 실시할 때, 도 1과 같이 안경다리(3)에 문양이나 문자 형태의 디자인부(10)를 컷팅하되 일부분은 컷팅을 완성하지 않은 연결부(11)를 남겨 구성한 다음, 이러한 연결부(11)를 기준으로 디자인부(10)를 내측 또는 외측으로 접어 안경다리(3) 자체에 밀착되도록 한 것이다.
도 2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안경다리의 가공공정도, 도 2b는 도 2a의 B-B선 확대 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디자인부는 상기 실시 예와 같이 안경다리(2) 자체를 컷팅하여 이룩할 수도 있지만, 도 2a 및 도 2b의 실시 예와 같이 안경다리(3)의 측면에 일체로 돌출된 문양이나 문자 형태의 디자인부(10')를 돌출되도록 일체로 형성한 다음 이와 같이 형성된 디자인부(10')를 안경본체(2) 또는 안경다리(3)의 외면 쪽이나 내면 쪽으로 접어서 밀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에도 디자인부(10')를 접기 위한 연결부(11)가 필요함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디자인부(10)(10')를 안경본체(2)와 안경다리(3)에 밀착되도록 한 후 디자인부(10)(10')의 크기가 크면, 용접 등과 같은 공지된 수단으로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부(11)의 경우 디자인부(10)(10')를 완전하게 밀착시키고 접는 작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연결부(11)의 중간에 절삭 또는 부식 등의 수단으로 삭제부(11')를 구성하여 줄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한 것과 같은 돌출된 디자인 돌출부(10)(10')를 형성한 후 접어 일체화한 것에 더불어 관통되는 문양구멍(20)(20')을 추가로 형성할 수도 있는데, 도 1a에서 보듯이 넓은 공간형으로 문양구멍(20)을 형성하고 여기 디자인부(10)를 접었을 때 겹치도록 만들면 디자인부의 배경이 되면서 한층 뛰어난 디자인을 얻을 수 있을 것이고, 도 2a와 같이 디자인 돌출부(10)를 꽃 모양으로 하고 문양구멍(20')을 줄기 형태로 하여 디자인 돌출부(10)를 접었을 때 줄기에 꽃이 달린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문양구멍(20)에 색상을 가진 투명 또는 불투명 소재를 채워 굳히게 되면 더욱 효과적이고 독특하면서 특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형태로 된 안경테(1)에 의하면 안경본체(2)와 안경다리(3)에 디자인 돌출부(10)가 돌출된 형태로 일체화되어 마치 디자인 돌출부(10)와 같은 문양이 양각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디자인을 완성한 다음에는 연마, 광택, 도금 등의 일반적인 공정을 통하여 안경테를 완성하게 된다.
도 3a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안경다리의 가공공정도, 도 3b는 도 3a의 C-C선 확대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a 및 도 3b에 의하면 안경다리(3)에는 문양구멍(20)을 문양이나 문자 형태로 형성하고 디자인부(10") 전체를 안경다리(3)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하면서 안경다리(3)에 형성된 문양구멍(20) 전체를 감싸는 크기의 문양구멍(20")을 형성하면 디자인부(10')의 문양구멍(20)이 안경다리(3)에 형성된 문양구멍(20")을 감싸는 형태가 되어 새로운 디자인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안경본체(2)와 안경다리(3)를 와이어 컷팅 등의 공지된 공정을 이용하여 블랭킹하는 과정에서 디자인부(10)(10')를 동시에 가공하면 되므로 디자인을 위한 별도의 재료를 준비하거나 가공할 필요 없이 곧바로 디자인 장식을 위한 구성이 구비되므로 전체적으로 제조시간을 단축하는 작용과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안경본체(2)와 안경다리(3)를 만들면서 동시에 가공된 디자인부(10)(10')를 접어 고정시키는 공정만으로 디자인 장식을 위한 공정이 완료되므로 이 역시 제조에 소요되는 기간을 단축하는 효과가 있고, 마치 디자인부의 문양이 양각된 것과 같은 새롭고 독특한 디자인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여러 가지 다른 실시 예에 의하여 문양구멍(20)(20')에 합성수지 등과 같은 다른 재질을 채워 넣거나 디자인부(10') 가 안경다리를 크게 감싸면서 디자인부(10')에 다시 문양구멍(20")을 형성하는 등 매우 다양한 디자인 장식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디자인부(10)가 기존 안경본체와 안경다리를 보강하는 역할도 하므로 전체적으로 안경테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작용도 하게 된다.
도 1a는 본 고안의 한 실시 예에 의한 안경다리의 가공공정도
도 1b는 도 1a의 A-A선 확대 단면도
도 2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안경다리의 가공공정도
도 2b는 도 2a의 B-B선 확대 단면도]
도 3a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안경다리의 가공공정도
도 3b는 도 3a의 C-C선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안경다리
10, 10', 10": 디자인부
11: 연결부
11': 삭제부
20, 20', 20:: 문양구멍

Claims (2)

  1. 안경의 제조를 위하여 안경다리를 획득하는 블랭킹작업을 실시할 때, 안경다리(3) 자체 또는 안경다리(3)의 측면에 문양이나 문자 형태의 디자인부(10)를 컷팅하되 일부분은 컷팅을 완성하지 않은 연결부(11)를 남겨 구성한 다음, 이러한 연결부(11)를 기준으로 디자인부(10)를 내측 또는 외측으로 접어 안경다리(3) 자체에 밀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안경의 디자인 장식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돌출된 디자인 돌출부(10)(10')를 형성한 후 접어 일체화한 것에 더불어 안경다리(3)에 관통되는 문양구멍(20)(20')을 추가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안경의 디자인 장식구조.
KR2020090008689U 2009-07-06 2009-07-06 판안경의 디자인 장식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2004459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689U KR200445964Y1 (ko) 2009-07-06 2009-07-06 판안경의 디자인 장식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689U KR200445964Y1 (ko) 2009-07-06 2009-07-06 판안경의 디자인 장식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5964Y1 true KR200445964Y1 (ko) 2009-09-11

Family

ID=43658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8689U Expired - Fee Related KR200445964Y1 (ko) 2009-07-06 2009-07-06 판안경의 디자인 장식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96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62899A1 (en) * 2011-10-24 2013-05-02 Diversified Products, Inc. Eyeglass frame having rotatable temple insert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00334A (ja) * 1989-01-27 1990-08-08 Hiroshima Alum Kogyo Kk 鍛造品の製造方法
JPH0365951U (ko) * 1989-10-30 1991-06-26
JPH10142559A (ja) 1996-11-05 1998-05-29 Nagai Shinbari Kogyosho:Kk 樹脂製眼鏡部材の製造方法
JP2007334129A (ja) 2006-06-16 2007-12-27 Owndays:Kk メガネの着脱式テンプ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00334A (ja) * 1989-01-27 1990-08-08 Hiroshima Alum Kogyo Kk 鍛造品の製造方法
JPH0365951U (ko) * 1989-10-30 1991-06-26
JPH10142559A (ja) 1996-11-05 1998-05-29 Nagai Shinbari Kogyosho:Kk 樹脂製眼鏡部材の製造方法
JP2007334129A (ja) 2006-06-16 2007-12-27 Owndays:Kk メガネの着脱式テンプ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62899A1 (en) * 2011-10-24 2013-05-02 Diversified Products, Inc. Eyeglass frame having rotatable temple inser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5964Y1 (ko) 판안경의 디자인 장식구조
EP3119719A1 (en) Manufacturing process of a leather eyeglass frame and eyeglass frame obtained with such a process
KR20100071574A (ko) 내, 외측이 이종색상을 갖는 연질합성수지재 안경다리의 내측 수지를 이용한 무늬형성방법 및 물건
CN103984116B (zh) 一种眼镜架的制作方法
KR101040092B1 (ko) 신규한 장식구조를 갖는 판안경 제조방법
KR20100071575A (ko) 금속장식면을 가진 합성수지안경다리의 제조방법 및 물건
KR20090106760A (ko) 안경다리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안경다리
JP2007156302A (ja) 装用感に優れたファッション眼鏡
CN209327711U (zh) 一种具有可拆装饰镜框的无框眼镜
KR20080110315A (ko) 다색상 안경다리의 제조방법
KR200490521Y1 (ko) 무용접 경첩을 갖는 안경다리
KR20100076432A (ko) 디자인이 개선된 안경다리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00971A (ko) 안경다리 및 그 제조방법
ITMO20130006U1 (it) Occhiale perfezionato
KR200391551Y1 (ko) 무테용 안경렌즈
KR101609722B1 (ko) 안경
KR20100020830A (ko) 한지(韓紙)를 활용한 안경다리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24165A (ko) 안경프레임 제조방법 및 안경프레임
CN202075512U (zh) 一种带插片的眼镜
CN205787443U (zh) 一种眼镜装饰结合结构
KR20150095433A (ko) 안경다리 및 그 제조방법
ITUD20090028A1 (it) Cerniera per occhiali ed elemento decorativo per una cerniera per occhiali
CN208339072U (zh) 一种珠宝装饰组件
HK1205272A1 (en) A kind of glasses and its production technology
ITPD20130267A1 (it) Procedimento per la realizzazione di un componente di montatura per occhiali e componente di montatura per occhiali realizzata con tale procediment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90706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714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706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3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90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9090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4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80614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