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45577Y1 - 휴대용 랜턴 - Google Patents

휴대용 랜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5577Y1
KR200445577Y1 KR2020080017367U KR20080017367U KR200445577Y1 KR 200445577 Y1 KR200445577 Y1 KR 200445577Y1 KR 2020080017367 U KR2020080017367 U KR 2020080017367U KR 20080017367 U KR20080017367 U KR 20080017367U KR 200445577 Y1 KR200445577 Y1 KR 2004455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battery
mobile phone
lantern
pow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73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문성
Original Assignee
정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문성 filed Critical 정문성
Priority to KR20200800173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5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5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57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F21L4/085Pocket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21V21/084Head fit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40Hand grips
    • F21V21/406Hand grips for portable ligh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랜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램프와, 상기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삽입되게 상기 램프와 전선을 통하여 연결되는 배터리홈을 포함하는 휴대용 랜턴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상기 램프와 배터리를 연결하는 전선에는 상기 램프를 선택된 전원에 따라 작동시키는 스위치가 연결 구성되고, 상기 스위치에는 커넥터잭이 구비된 전원공급선이 연결되며, 상기 커넥터잭에는 핸드폰배터리가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스위치의 조절에 따라 상기 핸드폰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램프로 전달하는 핸드폰충전기가 연결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고안은 첫째, 공급되는 전원을 통하여 어두운 곳을 비추고자 할 때 사용하는 랜턴으로써 배터리부와 핸드폰충전기에 구비된 전원이 스위치를 통하여 램프에 선택적으로 공급되게 하여 별도의 배터리를 구비하지 않아도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둘째, 배터리부에 구비된 배터리가 방전되는 경우에는 핸드폰충전기를 연결하여 랜턴의 램프를 점등시킬 수 있으며, 핸드폰충전기에 구비된 핸드폰배터리가 방정되는 경우에는 충전된 핸드폰배터리를 핸드폰충전기에 결합하는 것 만으로도 랜턴의 램프를 점등시키게 되어 효율적으로 랜턴의 램프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셋째, 핸드폰의 분실 또는 고장에 의해 버려지거나 쓸모없게 된 핸드폰배터리를 통하여 랜턴의 램프를 점등시킬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사용하지 않는 핸드폰 배터리가 버려짐에 따른 자원손실을 절감할 수 있고, 핸드폰배터리의 수명에 따라 반 영구적으로 랜턴의 램프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어 편리함은 물론 비용 절감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넷째, 랜턴에 전원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핸드폰배터리를 분리한 후 핸드폰충전기에 결합하는 것 만으로도 랜턴의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여 램프를 점등시킴으로써 야외활동 중에 발생될 수 있는 긴급한 상황에서도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다섯째, 간단한 결합구조를 통하여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랜턴의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게 함으로써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이에 따른 제조효율을 높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랜턴, 핸드폰배터리, 핸드폰충전기

Description

휴대용 랜턴{A portable lantern}
본 고안은 휴대용 랜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버려지는 핸드폰배터리를 이용하여 휴대용 랜턴의 배터리가 방전되는 경우에도 램프를 점등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하지 않는 핸드폰배터리가 버려짐에 따른 자원손실을 절감할 수 있고, 배터리부에 구비된 배터리와 핸드폰충전기에 결합되는 핸드폰배터리의 전원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배터리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상 편리함은 물론 불필요한 비용 절감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휴대용 랜턴에 관한 것이다.
랜턴은 손에 들고 다니면서 주위를 밝히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이러한 랜턴은 빛을 방출하는 램프와, 상기 램프가 점등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로 구성된다.
이러한 랜턴은 배터리의 수명에 따라 램프를 점등시킬 수 있는 사용시간이 정해지는 것으로써 랜턴을 사용하는 중에 배터리가 방전되는 경우에는 램프에 전원 을 공급할 수 있는 배터리를 재 구입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컨대, 랜턴을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에는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의 지속적인 소모에 따라 배터리가 방전되어 램프를 점등시키기가 어려운 문제로 인하여 배터리의 방전유무를 미리 체크한 후 별도의 배터리를 휴대하여 사용해야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랜턴은 배터리의 방전유무에 따라 랜턴의 사용 여부가 결정되는 것으로써 야외활동 중에 랜턴을 휴대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배터리를 구비하지 않으면 배터리가 방전되는 경우에는 램프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랜턴을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최근에는 위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랜턴의 내측에 전원을 저장할 수 있는 전원저장수단이 구비된 랜턴을 제공하고 있지만, 이러한 랜턴 또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전원저장수단에 저장된 전원이 소모되게 되는 문제로 상기 전원저장수단을 충전시키거나 별도의 배터리를 휴대하여야만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된 종개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원공급선을 통하여 랜턴의 램프와 핸드폰충전기를 연결하는 간단한 결합만으로도 핸드폰의 분실 또는 고장으로 인하여 버려지게 되는 핸드폰배터리를 이용하여 휴대용 랜턴의 램프를 효율적으로 점등시켜 자원손실을 절감할 수 있고, 핸드폰배 터리의 수명에 따라 반 영구적으로 램프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어 배터리의 재 구입에 따른 비용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랜턴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간단한 결합구조를 통하여 배터리와 핸드폰배터리의 전원을 랜턴의 램프로 공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복잡한 결합구조로 인한 고장을 방지하면서도 효율적인 랜턴 사용을 이룰 수 있음은 물론이고, 랜턴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핸드폰배터리와 핸드폰충전기를 탄성밴드에 구비된 배터리보관함에 삽입한 상태로 랜턴을 사용할 수 있어 핸드폰배터리와 핸드폰충전기가 분실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랜턴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램프와, 상기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삽입되게 상기 램프와 전선을 통하여 연결되는 배터리홈을 포함하는 휴대용 랜턴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상기 램프와 배터리를 연결하는 전선에는 상기 램프를 선택된 전원에 따라 작동시키는 스위치가 연결 구성되고, 상기 스위치에는 커넥터잭이 구비된 전원공급선이 연결되며, 상기 커넥터잭에는 핸드폰배터리가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스위치의 조절에 따라 상기 핸드폰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램프로 전달하는 핸드폰충전기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위치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사용자의 파지가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위치손잡이가 구비되어 상기 스위치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상기 램프와 상 기 배터리부 및 핸드폰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접점 및 분리되게 구성되되, 상기 배터리부의 배터리 전원을 통한 상기 램프의 점등시, 상기 스위치손잡이를 제1점등으로 위치하도록 조절하여 상기 배터리부에 삽입된 배터리의 전원을 통하여 상기 램프가 점등되고, 상기 핸드폰충전기의 핸드폰배터리를 통한 상기 램프의 점등시, 상기 스위치손잡이를 제2점등으로 위치하도록 조절하여 상기 핸드폰충전기에 결합된 핸드폰배터리의 전원을 통하여 상기 램프가 점등되며, 상기 스위치손잡이를 소등으로 위치하도록 조절하여 상기 램프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이 가능하게 탄성밴드가 연결되고, 상기 탄성밴드에는 상기 핸드폰충전기가 삽입되어 보관되는 배터리보관함이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공급되는 전원을 통하여 어두운 곳을 비추고자 할 때 사용하는 랜턴으로써 배터리부와 핸드폰충전기에 구비된 전원이 스위치를 통하여 램프에 선택적으로 공급되게 하여 별도의 배터리를 구비하지 않아도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둘째, 배터리부에 구비된 배터리가 방전되는 경우에는 핸드폰충전기를 연결하여 랜턴의 램프를 점등시킬 수 있으며, 핸드폰충전기에 구비된 핸드폰배터리가 방정되는 경우에는 충전된 핸드폰배터리를 핸드폰충전기에 결합하는 것 만으로도 랜턴의 램프를 점등시키게 되어 효율적으로 랜턴의 램프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셋째, 핸드폰의 분실 또는 고장에 의해 버려지거나 쓸모없게 된 핸드폰배터리를 통하여 랜턴의 램프를 점등시킬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사용하지 않는 핸드폰배터리가 버려짐에 따른 자원손실을 절감할 수 있고, 핸드폰배터리의 수명에 따라 반 영구적으로 랜턴의 램프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어 편리함은 물론 비용 절감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넷째, 랜턴에 전원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핸드폰배터리를 분리한 후 핸드폰충전기에 결합하는 것 만으로도 랜턴의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여 램프를 점등시킴으로써 야외활동 중에 발생될 수 있는 긴급한 상황에서도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다섯째, 간단한 결합구조를 통하여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랜턴의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게 함으로써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이에 따른 제조효율을 높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과 다른 이점들은 이하의 도면을 참조한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 설명에 앞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 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랜턴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2 및 도 3,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의 접점 및 분리에 의한 램프의 점등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랜턴에 탄성밴드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실시예의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5에 따라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고안은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 설치되는 램프(110)와, 상기 램프(11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B)가 삽입되게 상기 램프(110)와 전선(L)을 통하여 연결되는 배터리홈(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용 랜턴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상기 램프(110)와 배터리(B)를 연결하는 전선(L)에는 스위치(300)를 연결 구성하고, 상기 스위치(300)에는 전원공급선(400)을 연결 구성하며, 상기 전원공급선(400)의 연장단부에는 핸드폰충전기(50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스위치(300)는 상기 램프(110)와 배터리(B)를 연결하는 전선(L)에 개재되도록 설치 구성되어 상기 램프(110)와 배터리(B)의 전원 흐름을 차단 또는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 체결부 재(미도시)를 통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배터리홈(120)은 1.5V 배터리(B) 2개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램프(110)는 상기 배터리홈(120)에 삽입된 1.5V 배터리(B) 2개를 통하여 점등될 수 있는 램프(11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위치(300)에 연결되는 전원공급선(400)은 상기 스위치(300)의 일단에 결합되어 타단이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 구성하고,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전원공급선(400)의 연장 단부에는 커넥터잭(410)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커넥터잭(410)은 핸드폰충전기(500)의 연결부(510)에 결합하여 상기 핸드폰충전기(500)에 결합된 핸드폰배터리(B2)의 전원을 상기 램프(110)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커넥터잭(410)의 구성은 종래의 핸드폰충전기(500)와 결합되는 커넥터잭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잭(410)이 구비된 전원공급선(400)을 상기 핸드폰충전기(500)와 연결하여 상기 핸드폰충전기(500)에 결합된 핸드폰배터리(B2)의 전원을 통하여 상기 램프(110)를 점등시킬 수 있게 된다.
이는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홈(120)에 삽입된 배터리(B)가 3V의 전압으로 상기 램프(110)를 점등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핸드폰충전기(500)에 결합된 핸드폰배터리(B2)가 충전된 경우에 3.5~4.5V의 전압을 유지하는 점을 토대로 상기 핸드폰배터리(B2)의 전원을 상기 램프(110)로 전달하는 경우에도 상기 램프(110)가 원활하게 점등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일반적인 핸드폰배터리(B2)는 충전된 경우 3.5~4.5의 전압을 유지하는 것이 보통으로 이러한 핸드폰배터리(B2)를 통하여 상기 램프(110)로 전원을 공급하여 점등시킬 수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은 원리는 전압이 높은곳에서 낮은 곳으로 공급되는 것을 적용한 것으로써 상기 램프(110)가 1.5V의 전압을 이루는 배터리(B) 2개가 배터리홈(120)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홈(120)의 전원을 통하여 점등되기 때문에 상기 핸드폰배터리(B2)와 연결된 상태에서도 원활히 점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상기 핸드폰충전기(500)에 핸드폰배터리(B)를 결합하여 휴대용 랜턴의 램프(110)를 점등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상기 핸드폰충전기(500)에 결합된 핸드폰배터리(B2)가 소모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핸드폰(미도시)의 핸드폰배터리(B2)를 상기 핸드폰충전기(500)와 결합한 후 사용하여 휴대용 랜턴의 램프(110)를 점등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미리 충전시킨 핸드폰배터리(B2)를 구비하여 핸드폰과 휴대용 랜턴에 겸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핸드폰충전기(500)에 결합되는 핸드폰배터리(B2)를 재 충전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반 영구적으로 휴대용 랜턴의 램프(110)를 점등시킬 수 있는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휴대용 랜턴의 램프(100)를 점등시키기 위하여 배터리(B)를 재 구입하지 않아도 됨으로 배터리(B) 재 구입에 따른 비용손실을 방지하며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스위치(300)는 상술한 핸드폰충전기(500)의 핸드폰배터리(B2) 전원과 상기 배터리홈(120)에 삽입된 배터리(B)의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램프(110)를 점등 시키는 경우 선택된 전원에 따라 상기 램프(110)가 점등되게 하고, 휴대용 랜턴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램프(11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기 위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를 이루기 위하여 상기 스위치(300)는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으로 사용자의 파지가 가능하게 설치된 스위치손잡이(310)가 구비되어 상기 스위치손잡이(310)의 조절에 따라 상기 핸드폰충전기(500)에 결합된 핸드폰배터리(B2)의 전원 또는 상기 배터리홈(120)에 삽입된 배터리(B)의 전원을 통하여 상기 램프(110)를 점등시키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램프(110)를 소등 시키는 것이다.
예컨대,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손잡이(310)를 제1점등으로 위치하도록 조절하면 상기 배터리홈(120)에 삽입된 배터리(B)의 전원이 전선(L)을 통하여 상기 램프(110)로 전달되어 램프(110)가 점등되게 되고, 상기 스위치손잡이(310)를 제2점등으로 위치하도록 조절하면 상기 핸드폰충전기(500)에 삽입된 핸드폰배터리(B2)의 전원이 상기 전원공급선(400)을 통하여 상기 스위치(300)와 연결된 전선(L)을 통하여 상기 램프(110)로 전달되어 램프(110)가 점등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위치손잡이(310)를 도 2에서와 같이, 소등으로 위치하도록 조절하면 상기 램프(1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상기 배터리홈(120)과 연결된 전선(L) 및 상기 핸드폰충전기(500)와 연결된 상기 전원연결선(400)이 상기 램프(110)와 연결된 전선(L)과 분리되게 되어 상기 램프(110)가 점등된 상태에서 꺼지거나, 꺼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하여, 상기 스위치(300)의 스위치손잡이(310)는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한 바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버튼식으로 구성하는 것도 무방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홈(120), 핸드폰충전기(500), 램프(110)를 연결하는 전선(L) 및 전원연결선(400) 각각의 접점 및 분리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에는 사용자의 머리에 휴대용 랜턴을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탄성밴드(600)가 연결 구성된다.
상기 탄성밴드(600)는 플라스틱 및 천과 같이, 탄성력이 있는 재질이라면 어떠한 재질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상기 탄성밴드(600)에는 도 6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머리에 탄성밴드(600)를 이용하여 휴대용 랜턴을 착용하게 되는 경우, 상기 핸드폰충전기(500) 및 핸드폰배터리(B2)를 삽입하여 보관할 수 있는 배터리보관함(610)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에 따라, 휴대용 랜턴을 휴대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핸드폰충전기(500)는 물론이고, 상기 핸드폰충전기(500)에 결합된 핸드폰배터리(B2)가 분실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핸드폰의 분실 또는 고장으로 인하여 버려지게 되는 핸드폰배터리(B2)를 이용하여 휴대용 랜턴의 램프(110)를 효율적으로 점등시킬 수 있고, 핸드폰배터리(B2)의 수명에 따라 반 영구적으로 램프(1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어 배터리(B)의 재 구입에 따른 비용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휴대용 랜턴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핸드폰배터리(B2)와 핸드폰충전기(500)를 탄성밴 드(600)에 구비된 배터리보관함(610)에 삽입한 상태로 휴대용 랜턴을 사용할 수 있어 핸드폰배터리(B2)와 핸드폰충전기(500)가 분실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고안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랜턴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2 및 도 3,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의 접점 및 분리에 의한 램프의 점등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랜턴에 탄성밴드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실시예의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하우징 110: 램프
120: 배터리홈 300: 스위치
310: 스위치손잡이 400: 전원공급선
410: 커넥터잭 500: 핸드폰충전기
510: 연결부 600: 탄성밴드
610: 배터리보관함 B: 배터리
B2: 핸드폰배터리 L: 전선

Claims (3)

  1.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 설치되는 램프(110)와, 상기 램프(11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B)가 삽입되게 상기 램프(110)와 전선(L)을 통하여 연결되는 배터리홈(120)을 포함하는 휴대용 랜턴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상기 램프(110)와 배터리(B)를 연결하는 전선(L)에는 상기 램프(110)를 선택된 전원에 따라 작동시키는 스위치(300)가 연결 구성되고,
    상기 스위치(300)에는 커넥터잭(410)이 구비된 전원공급선(400)이 연결되며,
    상기 커넥터잭(410)에는 핸드폰배터리(B2)가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스위치(300)의 조절에 따라 상기 핸드폰배터리(B2)의 전원을 상기 램프(110)로 전달하는 핸드폰충전기(500)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랜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300)는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으로 사용자의 파지가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위치손잡이(310)가 구비되어 상기 스위치손잡이(3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램프(110)와 상기 배터리홈(120) 및 핸드폰충전기(500)가 전기적으로 접점 및 분리되게 구성되되,
    상기 배터리홈(120)의 배터리(B) 전원을 통한 상기 램프(110)의 점등시, 상기 스위치손잡이(310)를 제1점등으로 위치하도록 조절하여 상기 배터리홈(120)에 삽입된 배터리(B)의 전원을 통하여 상기 램프(110)가 점등되고,
    상기 핸드폰충전기(500)의 핸드폰배터리(B2)를 통한 상기 램프(110)의 점등시, 상기 스위치손잡이(310)를 제2점등으로 위치하도록 조절하여 상기 핸드폰충전기(500)에 결합된 핸드폰배터리(B2)의 전원을 통하여 상기 램프(110)가 점등되며,
    상기 스위치손잡이(310)를 소등으로 위치하도록 조절하여 상기 램프(11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랜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에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이 가능하게 탄성밴드(600)가 연결되고,
    상기 탄성밴드(600)에는 상기 핸드폰충전기(500)가 삽입되어 보관되는 배터리보관함(610)이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랜턴.
KR2020080017367U 2008-12-30 2008-12-30 휴대용 랜턴 Expired - Fee Related KR2004455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7367U KR200445577Y1 (ko) 2008-12-30 2008-12-30 휴대용 랜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7367U KR200445577Y1 (ko) 2008-12-30 2008-12-30 휴대용 랜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5577Y1 true KR200445577Y1 (ko) 2009-08-14

Family

ID=41352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7367U Expired - Fee Related KR200445577Y1 (ko) 2008-12-30 2008-12-30 휴대용 랜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577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6461A (ko) * 2003-04-23 2003-09-26 주식회사 하이테크종합기술단 자가발전식 전원장치를 겸비한 벨트
KR20070101084A (ko) * 2006-04-11 2007-10-16 모던 센스 엘티디. 범용 배터리 충전기 및/또는 전원 어댑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6461A (ko) * 2003-04-23 2003-09-26 주식회사 하이테크종합기술단 자가발전식 전원장치를 겸비한 벨트
KR20070101084A (ko) * 2006-04-11 2007-10-16 모던 센스 엘티디. 범용 배터리 충전기 및/또는 전원 어댑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57401B2 (en) LED rechargeable headlamp
KR101120947B1 (ko) 충전 가능한 휴대폰용 케이스
US20080231225A1 (en) Power supply device capable of collecting solar power, and clothing assembly having the same
JP2014029660A (ja) 背負式電源
KR101693760B1 (ko) 헤드 랜턴
KR101064204B1 (ko) 조명 및 랜턴 겸용 엘이디 램프
US7059742B2 (en) Flashlight with power supply adapter
EP2610991B1 (en) Electromagnetic induction device and applied electronic devices thereof
KR200484281Y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충전 패키지
JP6296132B2 (ja) 背負式電源
JP2009039841A (ja) 充電式電動工具の電気接続装置
KR200445577Y1 (ko) 휴대용 랜턴
CN202143118U (zh) 一种设有外接电池的手机
JP2009177996A (ja) ストラップ型携帯端末用充電器
KR200461556Y1 (ko) 광섬유 발광수단을 구비한 가방
WO2010130153A1 (zh) 一种自备充电结构的电池
CN201568746U (zh) 一种使用扁平方块电池的可充电手电筒
CN204328499U (zh) 一种头灯
CN201100100Y (zh) 一种可更换钥匙坯的带灯钥匙
TW202426340A (zh) 具有雙向充/放電之usb c供電(pd)轉換器的自行車變速器電池充電盒
CN210601132U (zh) 一种可更换电池的手提灯
KR20140043566A (ko) 스마트폰 거치대
KR20120007003U (ko) 휴대폰 충전용 보조 배터리팩
CN201312573Y (zh) 安全帽
JP3111377U (ja) 緊急災害時用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81230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107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30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9031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2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80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9080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6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6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6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6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80517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