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45225Y1 - 화염 검출 센서 유니트 - Google Patents

화염 검출 센서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5225Y1
KR200445225Y1 KR2020070014315U KR20070014315U KR200445225Y1 KR 200445225 Y1 KR200445225 Y1 KR 200445225Y1 KR 2020070014315 U KR2020070014315 U KR 2020070014315U KR 20070014315 U KR20070014315 U KR 20070014315U KR 200445225 Y1 KR200445225 Y1 KR 2004452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ensor
sensor
flame detection
visible light
detection sens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43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2071U (ko
Inventor
오희범
Original Assignee
오희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희범 filed Critical 오희범
Priority to KR20200700143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225Y1/ko
Publication of KR200900020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0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2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225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 Photometry And Measurement Of Optical Pulse Characteris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일러나 화학 공장을 비롯한 대형 플랜트 등 건물 내부에서 화염 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화염 검출 센서 유니트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화염 검출 센서를 가시광 감지센서와 자외선 감지센서로 이원화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화염 검출 센서의 고장시에 다른 화염 검출 센서에 의하여 착화 상태 또는 소화 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화염 검출 센서를 가시광 감지센서와 자외선 감지센서로 이원화하여 구성하고, 가시광 감지센서와 신호 검출/판별부 그리고 출력부, 제 1릴레이를 순차 접속하며, 자외선 감지센서를 자외선센서 전원공급부, 신호 검출/판별부 그리고 출력부, 제 2릴레이를 순차 접속하고, 이들 제 1, 2릴레이 접점을 터미널에 연결하여서 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보일러나 착화 및 소화, 발화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어서, 보일러의 안전한 운전을 가능하게 하고,
화학 공장을 비롯한 대형 플랜트 등 건물 내부에서 화염 발생을 정확하게 감지하여 화재경보 및 자동진화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되어 화재의 초기진압이 가능하므로, 귀중한 인명을 보호하고 대형 피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화염 검출 센서 유니트의 출력 접점을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연결하여 줌으로써, 상태를 분석하여 착화 및 소화, 발화 상태를 매우 정확하게 판단함으로써 더욱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Figure R2020070014315
가시광 감지센서, 자외선 감지센서, CdS

Description

화염 검출 센서 유니트{Flame Detection Sensor Unit}
본 고안은 화염 검출 센서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일러나 화학 공장을 비롯한 대형 플랜트 등 건물 내부에서 화염 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화염 검출 센서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종래에는 보일러의 착화 또는 실화 여부를 검출하기 위하여 CdS로 대표되는 가시광 감지센서나 자외선 감지센서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CdS는 파장 380∼780nm의 가시광선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화염의 발생시나 소화시에 저항값이 감소하거나 증가하므로, 착화 또는 실화 여부를 판정할 수 있는 신호를 출력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자외선 감지센서는 화염 발생시 발생하는 파장 0.185 ~ 0.245nm 정도의 자외선을 감지함에 의하여 보일러 버너의 착화나 각종 건물 내부의 발화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신호를 출력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가시광 감지센서 또는 자외선 감지센서(이하 '화염 검출 센서'라 함) 의 출력 신호는 보일러의 인터록의 작동을 결정짓는 것이어서, 화염 검출 센서의 고장은 소화된 상태에서 가스 등 연료가 계속 주입되는 등 안전에 관련된 각종 사고를 발생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아울러, 이들 화염 검출 센서들은 화학 공장을 비롯한 대형 플랜트 등 건물 내부에서 화염을 감지하여 화재경보설비를 통해 화재경보 및 자동진화작업을 실시하게 되어 화재의 초기진압을 유도하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하게 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화염 검출 센서가 오염 물질이나 고열 등으로 인하여 작동 불능 상태로 되는 경우에 화재의 초기 진압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대형 피해를 유발시키게 될 가능성이 높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어느 하나의 화염 검출 센서가 작동 불능 상태로 되더라도 다른 화염 검출 센서에 의하여 착화, 소화 또는 발화 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한 화염 검출 센서 유니트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화염 검출 센서를 가시광 감지센서와 자외선 감지센서로 이원화하여 구성하고, 가시광 감지센서와 신호 검출/판별부 그리고 출력부, 제 1릴레이를 순차 접속하며, 자외선 감지센서를 자외선센서 전 원공급부, 신호 검출/판별부 그리고 출력부, 제 2릴레이를 순차 접속하고, 이들 제 1, 2릴레이 접점을 터미널에 연결하여서 된 화염 검출 센서 유니트를 제안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고안은 보일러나 산업 시설에서 화염 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개소에 설치된 화염 검출 센서 유니트가 착화 및 소화, 발화를 감지함에 있어서, 가시광 감지센서나 자외선 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가 고장을 일으키는 경우에도 다른 하나에 의하여 착화 및 소화, 발화를 감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어서, 보일러의 안전한 운전을 가능하게 하고,
화학 공장을 비롯한 대형 플랜트 등 건물 내부에서 화염 발생을 정확하게 감지하여 화재경보 및 자동진화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되어 화재의 초기진압이 가능하므로, 귀중한 인명을 보호하고 대형 피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화염 검출 센서 유니트의 출력 접점을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연결하여 줌으로써, 상태를 분석하여 착화 및 소화, 발화 상태를 매우 정확하게 판단함으로써 더욱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본 고안에 의한 화염 검출 센서 유니트의 외관을 보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케이싱(100) 전방으로 CdS로 대표되는 가시광 감지센서(101)와, 자외선 감지센서(102)가 설치되어 있으며, 아울러, 이들의 작동을 표시하기 위한 제 1, 2작동표시LED(201, 202)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100) 내부에는 도 2, 3으로 도시한 바와 같은 전기적 구성 요소가 내장되어 있고, 케이싱(100) 후방에는 전원공급선(200)과 가시광 감지센서(101)의 출력인 제 1릴레이 접점(300), 자외선 감지센서(102)의 출력인 제 2릴레이 접점(301)이 설치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한 전기적 구성을 도 2, 3에 의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본 고안의 개략적인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CdS로 대표되는 가시광 감지센서(101)와, 자외선 감지센서(102)를 각각의 검출/판별부(400, 40)를 연결하고, 이들의 출력과 각각의 제 1, 2릴레이(600, 601) 구동을 위한 출력부(500, 50) 및 각각의 제 1, 2릴레이 접점(300, 301)과 연결된 터미널(700)로 구성된 것이다.
아울러, 이들의 동작을 위한 전원 공급을 위하여 전원부(800)가 설치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전기적 구성을 도 3으로 예시하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원공급선(200)과 연결된 트랜스(801) 및 다이오드(802), 콘덴서(803)로 구성된 정류 및 평활회로(804) 그리고 정전압회로(805)로 구성된 전원부(800)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전원부(800)에 의하여 공급되는 전원 전압은 가시광 감지센서(101)와 트랜지스터(401)의 베이스가 연결되고, 이러한 전압은 다이오드(402) 및 콘덴서(403) 그리고 가변저항(404)으로 구성된 검출/판별부(400)를 거쳐서 제 1릴레이(600) 코일과 트랜지스터(501)로 구성된 출력부(500)가 구비되고, 제 1릴레이(600)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절환되는 제 1릴레이 접점(300)이 터미널(700)과 연결된 것이다. 아울러, 필요한 경우 출력부(500)의 트랜지스터(501)와 전원 사이에 제 1작동표시LED(201)가 연결된다.
또한, 자외선 감지센서(102)는 자외선센서 전원공급부(900)와 직렬로 접속되며, 이의 출력은 평활용 콘덴서(41) 및 가변저항(42)을 거쳐서 다이오드(43), 콘덴서(44)로 구성되는 평활회로(45) 그리고 가변저항(46)으로 구성된 검출/판별부(40)를 거쳐서 제 2릴레이(601) 코일, 트랜지스터(51)와 연결된 출력부(50)가 구비되며, 제 2릴레이(601)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절환되는 제 2릴레이 접점(301)이 터미널(700)과 연결된 것이다. 아울러, 필요한 경우 출력부(50)의 트랜지스터(51)와 전원 사이에 제 2작동표시LED(202)가 연결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작용을 도 2,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시광 감지센서(101)는 보일러에서 착화시나 각종 시설물에서 발화되는 경우 발생하는 빛의 세기에 따라 내부 저항이 감소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저항의 감소는 트랜지스터(401)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량을 증가시키고, 이에 따라 콜렉터와 접지간의 전압이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상승된 전압은 다이오드(402)를 거쳐서 콘덴서(403)를 충전시키게 되며, 아울러 가변저항(404)을 거쳐서 출력된다.
이러한 검출/판별부(400)의 출력은 가변저항(404)을 조정함으로써 그 레벨이 최적화될 수 있는 것이며, 이는 출력부(500)의 트랜지스터(501) 베이스에 인가된다.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501)는 제 1릴레이(600) 코일에 전류를 흘려주게 되어 제 1릴레이 접점(300)은 상태가 반전되는 것이다. 또한, 이때 전류가 제 1작동표시LED(201)를 거쳐서 트랜지스터(501)로 흐르므로 제 1작동표시LED(201)가 점등되어 가시광 감지센서(101)에 의하여 화염이 감지되었음을 표시하는 것이다.
아울러, 보일러나 시설물에 착화 또는 발화 시에 자외선이 발생되며, 이러한 자외선은 자외선 감지센서(102)에 조사되는 경우 자외선센서 전원공급부(900)에 의하여 상당한 전압이 자외선 감지센서(102)에 이미 인가되어 있어서, 전자가 여기 되어 전류의 흐름이 발생된다. 이러한 자외선 조사에 상응하는 전류의 흐름은 평활용 콘덴서(42)를 충전시키게 되고, 이러한 출력은 가변저항(42)을 거쳐서 최적화된 레벨로 다이오드(43)를 통과하여 콘덴서(44)를 충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전압은 가변저항(46)에 의하여 다시 한번 레벨이 조정되어 출력되며, 이러한 검출/판별부(40)의 출력은 출력부(50)의 트랜지스터(51)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그러므로, 트랜지스터(51)가 턴온되면서 제 2릴레이(601) 코일에 전류를 흘려주게 되고, 이에 따라 제 2릴레이 접점(301)의 상태가 절환 되는 것이다.
또한, 이때 전류가 제 2작동표시LED(202)를 거쳐서 트랜지스터(51)로 흐르므로 제 2작동표시LED(202)가 점등되어 자외선 감지센서(102)에 의하여 화염이 감지되었음을 표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 1, 2릴레이 접점(300, 301)은 터미널을 통하여 부하에 직접 연 결되거나 마이크로프로세서가 구비된 제어회로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인바,
이때, 제 1릴레이 접점(300)과 제 2릴레이 접점(301)을 직, 병렬로 조합함으로써 용도에 따라 신뢰도 높은 동작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즉, 착화되었는지 또는 소화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실하게 감지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 보일러의 인터록 등에서는 이들 제 1, 2릴레이 접점(300, 301)을 직렬로 하여 일정 밝기 이상의 가시광이 발생되고 동시에 자외선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확실한 착화로 간주하고, 가시광이 소실됨과 동시에 자외선이 발생되지 않는 경우에 한하여 이를 소화상태로 간주하여 소화 출력신호를 얻게 할 수 있는 것이어서 보일러의 인터록 등에 신뢰도 높은 동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한 화염 검출 센서 유니트는 화염의 발생을 예민하게 감지하여야 하는 시설물의 감시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가시광 감지센서(101)나 자외선 감지센서(102) 중 어느 하나만 작동되더라도 화염 발생의 징후로 판정하여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으므로, 대형 피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가시광 감지센서(101)는 일정 레벨 이상의 밝기를 가진 빛을 발생되거나 화염 발생 초기에 발생되는 자외선 중 어느 한 가지 이상의 징후가 발생되는 경우 전술한 바의 과정으로 제 1릴레이 접점(300) 또는 제 2릴레이 접점(301)을 동작시키게 되고, 이는 화재 진압을 위한 설치를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시설물의 화재 감지를 위하여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서는 검출/판별부(400)의 가변저항(404)을 조절함으로써, 빛의 밝기가 어느 레벨에 도달하였을 때 화염의 발생으로 판정하는 지를 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검출/판별부(40)의 가변저항(42,46)을 조절함으로써, 자외선의 밝기가 어느 레벨에 도달하였을 때 화염의 발생으로 판정하는 지를 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터미널(700)에는 제 1, 2릴레이 접점(300, 301)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에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연결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미리 탑재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제 1, 2릴레이 접점(300, 301)의 상태에 따라 착화, 소화 또는 발화 여부를 판정하고 보일러의 인터록을 제어하도록 하거나, 시설물에 설치된 경보 사이렌, 경광등을 제어하며 관제 센터로의 통신을 실시하도록 하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기타, 본 고안에서 가시광 감지센서(101)로서 CdS를 사용한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아몰퍼스 실리콘 광감지 소자, 포토트랜지스터, 포토 IC, CdS 셀, 태양 전지, CCD 이미지 센서 등을 활용할 수 있으며, 기타 균등 수단을 사용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유지하면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도 1로 보인 바와 같이, 본 고안을 시설물의 발화 감시를 위한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LED를 두 종류의 센서와 함께 전방으로 노출시킬 수도 있으나, 보일러 등에 장착하여 착화, 소화를 감지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도 4 또는 도 5로 보인 바와 같이, 금속관체 내부에 두 종류의 센서가 모두 내장되도록 하고, LED는 별도로 설치하거나 후방에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화염 검출 센서 유니트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화염 검출 센서 유니트의 전기적 구성을 보인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화염 검출 센서 유니트의 전기적 구성을 보인 회로도.
도 4, 5는 본 고안에 의한 화염 검출 센서 유니트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케이싱 101: 가시광감지센서
102: 자외선감지센서 200: 전원공급선
201, 202: 제 1, 2작동표시LED 300, 301: 제 1, 2릴레이 접점
400, 40: 검출/판별부 401, 501, 51: 트랜지스터
402, 43, 802: 다이오드 403, 41, 44, 803: 콘덴서
404, 42, 46: 가변저항 45: 평활회로
500, 50: 출력부 600, 601: 릴레이
700: 터미널 800: 전원부
801: 트랜스 804: 정류 및 평활회로
805: 정전압회로 900: 자외선센서 전원공급부

Claims (3)

  1. 화염 검출 센서를 가시광 감지센서와 자외선 감지센서로 이원화하여 구성하고, 가시광 감지센서와 검출/판별부 그리고 출력부, 제 1릴레이를 순차 접속하며, 자외선 감지센서를 자외선센서 전원공급부, 검출/판별부 그리고 출력부, 제 2릴레이를 순차 접속하고, 이들 제 1, 2릴레이의 접점을 직, 병렬로 조합하여 터미널에 연결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염 검출 센서 유니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술한 검출/판별부는 가시광 감지센서와 트랜지스터의 베이스가 연결되고, 이러한 전압은 다이오드 및 콘덴서 그리고 가변저항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염 검출 센서 유니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술한 검출/판별부는 평활용 콘덴서 및 가변저항을 거쳐서 다이오드, 콘덴서로 구성되는 평활회로 그리고 가변저항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염 검출 센서 유니트.
KR2020070014315U 2007-08-29 2007-08-29 화염 검출 센서 유니트 Expired - Fee Related KR2004452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4315U KR200445225Y1 (ko) 2007-08-29 2007-08-29 화염 검출 센서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4315U KR200445225Y1 (ko) 2007-08-29 2007-08-29 화염 검출 센서 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071U KR20090002071U (ko) 2009-03-04
KR200445225Y1 true KR200445225Y1 (ko) 2009-07-08

Family

ID=41350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4315U Expired - Fee Related KR200445225Y1 (ko) 2007-08-29 2007-08-29 화염 검출 센서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22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1101B1 (ko) * 2020-09-01 2022-10-05 김해일 아크 플래시 감지 시스템 및 방법
CN115407741A (zh) * 2021-05-28 2022-11-29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 蒸汽锅炉安全联锁检测装置及检测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0733B1 (ko) 2000-01-28 2002-08-30 (주)아이앤디솔루션즈 화염감지 센서를 이용한 경보장치
JP2003323681A (ja) 2002-04-30 2003-11-14 Nippon Hakuyo Electronics Kk 炎探知器
JP2006338419A (ja) 2005-06-03 2006-12-14 Tcm Corp 炎検知器
KR100671045B1 (ko) * 2005-07-22 2007-01-17 주식회사 금륜방재산업 금속화재와 일반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불꽃감지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0733B1 (ko) 2000-01-28 2002-08-30 (주)아이앤디솔루션즈 화염감지 센서를 이용한 경보장치
JP2003323681A (ja) 2002-04-30 2003-11-14 Nippon Hakuyo Electronics Kk 炎探知器
JP2006338419A (ja) 2005-06-03 2006-12-14 Tcm Corp 炎検知器
KR100671045B1 (ko) * 2005-07-22 2007-01-17 주식회사 금륜방재산업 금속화재와 일반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불꽃감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071U (ko) 200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40514A1 (en) Flame sensor for a burner
KR200445225Y1 (ko) 화염 검출 센서 유니트
CN204242337U (zh) 智能化火焰传感器
US5245196A (en) Infrared flame sensor responsive to infrared radiation
ES2511067T3 (es) Vigilancia de la presencia de dos llamas en un dispositivo de combustión de combustible
KR200481203Y1 (ko) 보일러 화염 감시시스템
CN112736836A (zh) 一种电器设备的防火控制装置、方法和电器设备
US20220082362A1 (en) Method of validating a shock tube event
KR100927385B1 (ko) 파장대역 감지를 이용한 자체점검기능을 갖는 차량용 화재감지기
KR101573236B1 (ko) 화재 검출 시스템
CA2512498C (en) Hazard detector
KR100419911B1 (ko) 과열로 인한 화재의 징후가 있을 시 누전차단기가 작동하도록 하는 누전차단기 보조장치
JP2014199575A (ja) 火災感知器
JP4917444B2 (ja) ガス警報器の点検方法及びガス警報器
KR200215803Y1 (ko) 테스트기능을 가지는 화재감지기
EP2952792A1 (en) Electronic gas safety control means
KR200493219Y1 (ko) 친환경적인 화염 감지센서
CA2483367C (en) Improved flame sensor for a burner
US20230160571A1 (en) Control unit for detecting a flame in operation using flame monitors suitable for burners and flame monitoring system
KR100492012B1 (ko) 자가 진단 기능을 갖는 연기감지 시스템
KR102743869B1 (ko) 보일러 화염 감시시스템
RU2553826C2 (ru) Датчик погасания пламени
CN209879302U (zh) 一种具有检测点火器状态的控制电路
US20040178914A1 (en) Flame sensor and method of using same
KR200300954Y1 (ko) 자가 진단 기능을 갖는 연기감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70829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81216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2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70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9070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2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606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