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4532Y1 - 휜 Exercise equipment for leg correction - Google Patents
휜 Exercise equipment for leg corre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44532Y1 KR200444532Y1 KR2020080013111U KR20080013111U KR200444532Y1 KR 200444532 Y1 KR200444532 Y1 KR 200444532Y1 KR 2020080013111 U KR2020080013111 U KR 2020080013111U KR 20080013111 U KR20080013111 U KR 20080013111U KR 200444532 Y1 KR200444532 Y1 KR 20044453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g
- correction
- lower body
- legs
- kne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4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10000000689 upper leg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10000004197 pelvis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10000000629 knee joint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10000000544 articulatio talocruralis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8
- 241000489861 Maxim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4936 stimul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7
- 210000002683 foot Anatomy 0.000 claims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10000003489 abdominal muscle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abstract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10000004705 lumbosacral region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10000001624 hip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10000004394 hip joint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423 ankl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44000309466 calf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041 ligament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08000004067 Flatfoo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7366 Genu Valgu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0300 Genu Varu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2061 Knee deform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94 Reinforcing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1591 Spinal osteoarthr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3246 arthr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217 buttock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06 childbir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439 collateral ligamen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786 degenerative change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12 degene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5475 disord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03 join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41 lower extremit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40 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036 nerv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335 physic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21 preser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5801 spondyl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1580 syndrom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8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primarily by articulating the hip joints
- A63B23/048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primarily by articulating the hip joints by spreading the leg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3—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the user operating the resistance directly, without additional interface
- A63B21/4025—Resistance devices worn on the user's body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stretching exercis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휜 다리 교정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의된 교정동작의 반복 실시를 통하여 "O"자형 다리와 같이 비정상적으로 양 무릎이 벌어진 변형된 신체의 정상회복 및 하체근력을 강화시키도록 하는 휜 다리 교정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exercise device for the correction of the leg, more specifically through the repeated repetition of the defined corrective action to strengthen the normal recovery and lower body strength of the deformed body with abnormally open knees, such as "O" shaped legs 휜 leg correction exercise equipment to be made.
본 고안에 따르면, 골반의 후방 변위로 인해 대퇴골이 내회전하면서 무릎이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된 "O"자형 다리와 같은 휜 다리 교정용 운동기구에 있어서, 사용자의 양다리에 착용 이후 정해진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대퇴부의 외전근과 골반의 대둔근을 강화시켜주도록 된 하체교정수단과; 상기 하체교정수단 일측의 지지결합을 통해 전술한 휜 다리 교정동작의 실시를 가능케 하기 위한 지주대와; 사용자의 대퇴부 위치에 따라 상기 지주대의 일측 단부로부터 상기한 하체교정수단을 승강 이동시켜 알맞게 조절하는 한편, 그 조절위치에 고정토록 한 높낮이조절수단과; 그리고, 상술한 교정동작을 실시하는 도중, 체중의 영향으로 무릎관절이나 발목관절 또는 발바닥에 전해지는 피로도의 감쇄를 위한 탄력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eg leg correction exercise equipment, such as "O" shaped legs that the knee is opened outward as the femur rotates inward due to the rear displacement of the pelvis, the femoral part by repeating the predetermined motion after wearing on both legs of the user Lower body correction means to strengthen the abdominal muscles of the abdomen and pelvis; A supporter for enabling the above-described leg correction operation through the support coupling of the lower body correction means; A height adjusting means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lower body straightening means from one end of the stru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thigh of the user and adjusting the lower body correcting means to be fixed at the adjusting position; And, during the above-described correction operation, the elastic board for reducing the fatigue transmitted to the knee joint, ankle joint or the sole under the influence of the weigh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휜 다리, 교정, 운동, 오다리, "O"자형 다리, 골반, 대퇴골, 무릎 휜 leg, correction, exercise, legs, "O" leg, pelvis, femur, knee
Description
본 고안은 휜 다리 교정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의된 교정동작의 반복 실시를 통하여 "O"자형 다리와 같이 비정상적으로 양 무릎이 벌어진 변형된 신체의 정상회복 및 하체근력을 강화시키도록 하는 휜 다리 교정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exercise device for the correction of the leg, more specifically through the repeated repetition of the defined corrective action to strengthen the normal recovery and lower body strength of the deformed body with abnormally open knees, such as "O" shaped legs 휜 leg correction exercise equipment to be made.
휜 다리(Bow-legs, Knock-knees)라 함은, 오다리("O"자형 다리) 또는 안장다리로 흔히 알려져 있으며 무릎 사이가 벌어져 보이는 것을 일컫는다. 이러한 신체적 변형은 무릎에서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고 무릎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엉덩이관절(Coxa, 고관절)을 비롯하여 골반(骨盤, Pelvis)과 발목관절에서도 변형이 나타나게 된다.Bow-legs (Knock-knees), commonly known as "O" legs or saddles, refers to the gap between knees. These physical deformations do not appear only on the knees, but also on the hip joints (Coxa, hip joint) that are closely connected to the knees, as well as the pelvis (骨 盤, Pelvis) and ankle joints.
다시 말하자면, 골반과 하체를 연결해 주고 있는 고관절이 정상적인 위치에서 벗어나면, 허벅지를 이루고 있는 대퇴골(大腿骨, Femur)이 틀어지는 원래의 정렬상태가 깨지게 되어 이와 연결된 무릎관절(Knee joint, 슬관절)에도 변화가 일어 나 결국에는 두 슬관절이 활처럼 휘어 다리가 벌어져 보이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발목에도 영향을 주어 발끝이 안쪽을 향해 틀어져 안장걸음을 걷게 된다.In other words, if the hip joint connecting the pelvis and lower body is out of the normal position, the original alignment of the femur, which is the thigh, is broken, and the knee joint (knee joint) connected to it is also broken. In the end, the two knee joints bend like a bow, and the legs appear wide open. Furthermore, it affects the ankle, causing the toe to twist inwards, thus walking the saddle.
참고로, 출산 직후의 신생아들은 모두 "O"자형 다리를 가진다. 그러나, 2세 정도로 신체가 성장하면 곧은 다리가 되었다가, 2세부터 6세까지는 약간의 "X"자형 다리를 가지게 되고, 대략 4세에서 6세 정도부터 곧은 다리를 회복한다. 이러한 양다리의 형태변화는, 아래의 그림 [나이에 따라 변화하는 다리의 일직선 모습]을 참조하기로 한다.For reference, newborns immediately after childbirth all have "O" shaped legs. However, when the body grows to about 2 years old, it becomes a straight leg, and from 2 to 6 years, it has some "X" legs, and recovers straight legs from about 4 to 6 years old. For the shape change of both legs, refer to the following figure [the straight shape of the legs changing with age].
[나이에 따라 변화하는 다리의 일직선 모습][Straight line of legs changing with age]
허나, 휜 다리가 나타날 나이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그 휜 다리가 지속되는 경우에는, 우리 몸이 정상적이지 못한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몸 스스로가 휜 다리를 만들었다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우리 몸의 정상적이지 못한 변화를 고쳐주기만 한다면 자연스럽게 정상적인 다리 형태를 회복할 수 있다.However, if the legs continue even though they are not the age at which they appear, it is possible that the body itself has made the legs to adapt to abnormal changes. Therefore, if you fix the abnormal changes in your body, you can naturally restore the normal leg shape.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휜 다리가 단순히 신체적인 변형 정도로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신체의 올바르지 못한 정렬은 "부정렬증후군"이라 하여 두발로 섰을 때 체중부하가 한쪽으로 치우치는 현상으로 더 많은 부하를 받는 해당 관절이 빠른 퇴행성 변화와 함께 통증을 함께 유발한다. 또한, 척추의 만곡에도 영향을 주어 "척추후만증(脊椎後彎症)"이 나타날 수 있으며 평발의 원인이 될 수 있다.The problem here is that the leg does not end just with physical deformation, but the incorrect alignment of the body is called "misalignment syndrome", which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weight load is biased to one side when standing on the head, and the joints are subjected to more load. Along with this rapid degenerative change induces pain. In addition, it affects the curvature of the spine, "spondylosis (脊椎 後 彎 症)" may appear and may cause flat foot.
더불어, 신체적인 질병유발의 문제로써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여성들에게 있어 간과할 수 없는 외모적 콤플렉스(Complex)와 같은 정신적 스트레스로 이어진다.In addition, it is not only a problem of physical illness, but also leads to mental stresses such as appearance complex which cannot be overlooked in women.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10-20대 여성들 10명 중 절반 이상은 "O"자형 다리를 가지고 있으나, 만만치 않은 치료비용 및 치료시간 등등의 여건 때문에 상당수가 교정을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 to statistics, more than half of 10 Korean women in their 10s and 20s have "O" shaped legs, but many of them are not corrected due to severe treatment costs and treatment time.
이러한 제반문제점을 다소나마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249433호를 통해, 양다리를 모은 상태에서 양다리에 공기압으로써 압박을 가하여 굽은 다리를 곧은 상태로 교정시키도록 한 다리 교정기가 개시된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o some extent, a leg straightener has been disclosed in Korea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249433, in which a leg is straightened by applying pressure by using pneumatic pressure to both legs while collecting both legs. .
도 1a는 종래 고안에 따른 다리 교정기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b는 종래 고안에 따른 다리 교정기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Figure 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leg straighten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design, Figure 1b is a state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leg straighten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design.
종래의 다리 교정기(900)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중간부위와 이 중간부위의 양측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장공(911, 912)이 형성된 판부재(910)와, 상기 판부재(910)를 덮어씌우되 상기한 장공(911, 912)들이 외부로 드러나도록 일측의 일면 부위에 개구부가 형성된 덮개(920)와, 상기 판부재(910)의 장공(911, 912)들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다리부위를 감싸 고정하는 고정대(930)와, 상기 판부재(910)에서 고정대(930)가 착설된 부위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고정설치되 어 사용자의 종아리 사이에 끼워지게 되는 쿠션부(940)로 구성된다.The
종래 고안에 따르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부재(910)의 일측면에 설치된 쿠션부(940)를 종아리 사이에 끼운 후, 고정대(930)로써 양다리를 고정시킨다.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design, as shown in FIG. 1B, after the
이 경우, 상기 고정대(930)로 최대한 양다리를 조인 후, 부직포(931)를 부착하여 고정시키며, 이와 같이 상기 다리 교정기(900)를 양다리 사이에 개재시킨 상태에서 이 양다리의 외곽측으로 일정길이를 갖는 튜브(950)를 씌우고, 이 튜브(950)에 공기를 불어넣는다.In this case, after tightening both legs as much as possible with the
따라서, 공기압에 의해 상기 튜브(950)가 팽창하면서 양다리를 압박하게 되는바, 결국 양다리가 오므려지게 되므로 굽은 다리가 점차적으로 곧은 다리로 교정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하지만, 양다리를 압박고정한 시간 동안에는 양다리가 부자연스럽게 되어 보행활동을 어렵게 할 수밖에 없으며, 압박고정에 의한 통증의 유발 및 혈액순환을 장애에 따른 하체 신경의 감각저하와 같은 또 다른 신체장애를 일으키는 등의 폐단이 있어 왔다.However, during the time that the legs are pressed and fixed, both legs become unnatural, which makes walking activity difficult, and causes other physical disorders such as pain in the compression fixation and blood circulation, which causes the lower limb nerves to decrease due to the disorder. There have been closures.
이와 더불어, 상기와 같이 양다리를 압박고정한 상태에서는 아무런 행동도 취할 수 없음에 따라 그 착용시간이 더욱 지루하게 느껴질 수 있으며, 특히 참을성이 없는 어린아이들에게는 무리한 행위로써만이 인식되어 차후에는 사용하지 않은 채 그대로 방치하고 사용치 아니한 쓸모없는 장비로써 전락하는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In addition, the wearing time can be felt more boring as no action can be taken in the state of pressing and holding both legs as described above. It has been pointed out as a problem of falling into useless equipment that is left unused and unused.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양 무릎을 내측으로 끌어당기는 힘을 발휘하는 하체교정수단을 착용한 상태로 정의된 교정동작을 반복 실시함을 통해, 외전근 및 외회전근의 외회전 유도를 통한 골반과 대퇴골의 정상각도 회복과 더불어 요추의 전만 회복이 가능하도록 하는 휜 다리 교정용 운동기구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by repeatedly performing a correction operation defined in the state wearing a lower body correction means for exerting a force to pull both knees inward, abduction and external In addition to restoring the normal angles of the pelvis and femur through the external rotation of the rotator muscle, it is to provide an exercise device for correcting the leg to allow the restoration of the lumbar spine.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술한 교정동작의 반복적 실시를 통하여, 대퇴골의 내회전으로 단축되었던 내전근의 스트레칭과 아울러 대퇴부의 대둔근(大臀筋, Musculus glutaeus maximus) 등 하체의 근력강화 트레이닝용 운동기구와 같은 다목적 용도로써의 사용성도 함께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휜 다리 교정용 운동기구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repeated implementation of the above-described correction operation, exercise equipment f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f the lower body such as the stretching of the adductor muscle shortened by the internal rotation of the femur and the gluteus maximus (大 부의, Musculus glutaeus maximus) It is to provide a leg leg exercise device that can also be used as a multi-purpose us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휜 다리 교정용 운동기구는, 골반의 후방 변위로 인해 대퇴골이 내회전하면서 무릎이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된 "O"자형 다리와 같은 휜 다리 교정용 운동기구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leg leg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leg leg correction device such as an "O" shaped leg is opened to the outside while the femur rotates inward due to the rear displacement of the pelvis. In
사용자의 양다리에 착용 이후 정해진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대퇴부의 외전근과 골반의 대둔근을 강화시켜주도록 된 하체교정수단과; 상기 하체교정수단 일측의 지지결합을 통해 전술한 휜 다리 교정동작의 실시를 가능케 하기 위한 지주대와; 사용자의 대퇴부 위치에 따라 상기 지주대의 일측 단부로부터 상기한 하체교정수단을 승강 이동시켜 알맞게 조절하는 한편, 그 조절위치에 고정토록 한 높낮이조절수단과; 그리고, 상술한 교정동작을 실시하는 도중, 체중의 영향으로 무릎관절이나 발목관절 또는 발바닥에 전해지는 피로도의 감쇄를 위한 탄력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Lower body correction means for strengthening the abdominal muscles of the thigh and gluteus maximus of the pelvis by repeating a predetermined motion after wearing on both legs of the user; A supporter for enabling the above-described leg correction operation through the support coupling of the lower body correction means; A height adjusting means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lower body straightening means from one end of the stru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thigh of the user and adjusting the lower body correcting means to be fixed at the adjusting position; And, during the above-described correction operation, the elastic board for reducing the fatigue transmitted to the knee joint, ankle joint or the sole under the influence of the weigh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의 휜 다리 교정용 운동기구는, 하체교정수단을 양다리의 대퇴부에 착용한 상태로 정의된 교정동작을 반복 실시하여, 정상적인 각도를 벗어난 골반의 후방 변위로 인해 대퇴골이 내회전(Hip internal rotation)하면서 무릎이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된 "O"자형 다리와 같은 휜 다리 교정을 위한 고관절과 골반 및 요추의 정상각도 회복과 아울러 대둔근 등과 같은 대퇴부의 근력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As can be clearly seen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exercise device for correcting the leg le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by repeatedly performing the corrective action defined with the lower body straightening means worn on the thighs of the legs, due to the rearward displacement of the pelvis outside the normal angle. The effect of strengthening the femoral muscles, such as the gluteus maximus, as well as restoring the normal angles of the hips, pelvis and lumbar spine for the correction of the hip joints, such as the "O" leg, which causes the hips to rotate internally. To provide.
또한, 상기와 같은 교정동작을 통해 슬관절(무릎관절)과 발목관절 및 그 밖의 측부인대(側副靭帶) 그리고 관절강 안에 있는 슬십자인대(膝十字靭帶) 등을 비롯한 수많은 인대를 강화시켜줌으로써, 퇴행성 관절염 등과 같은 인체 골격 노쇠화의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아주 유용한 고안이다.In addition, through the corrective action as described above, by strengthening a number of ligaments including knee joints (knee joints), ankle joints and other collateral ligaments and the cruciate ligaments (膝 十字 靭帶) in the joint cavity, degenerative It is a very useful design showing the inhibitory effect of skeletal deterioration of human body such as arthritis.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uch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도면 중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휜 다리 교정용 운동기구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휜 다리 교정용 운동기구에 있어서, 하체교정수단과 높낮이조절수단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휜 다리 교정용 운동기구에 있어서, 하체교정수단의 착용밸트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와 전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휜 다리 교정용 운동기구에 있어서, 지주대와 높낮이조절수단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요부확대평면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휜 다리 교정용 운동기구의 실시관계를 나타낸 사용예시도이다.Figure 2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leg leg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leg leg correction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lower body correction means and the height adjustment means 4A and 4B are exploded views showing the wearing belt of the lower body straightening means in the exercise apparatus for correcting the le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the corrective leg correcting exerci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echanism, it is an enlarged plan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trut and the height adjustment means, Figures 6a and 6b is an exemplary use example showing the relationship of the exercise device for the leg leg corr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휜 다리 교정용 운동기구(A)는, 사용자의 양다리에 착용 이후 정해진 동작(운동)을 반복함으로써 대퇴부의 외전근(外轉筋)과 골반의 대둔근(大臀筋)을 강화시켜주도록 된 하체교정수단(1)과, 상기 하체교정수단(1) 일측의 지지결합을 통해 전술한 휜 다리 교정동작의 실시를 가능케 하기 위한 지주대(2)와, 사용자의 대퇴부 위치에 따라 상기 지주대(2)의 일측 단부로부터 상기한 하체교정수단(1)을 승강(昇降) 이동시켜 알맞게 조절하는 한편 그 조절위치에 고정토록 한 높낮이조절수단(3)과, 상술한 교정동작을 실시하는 도중 체중의 영향으로 무릎관절이나 발목관절 또는 발바닥에 전해지는 피로도의 감쇄를 위한 탄력보드(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2, the exercise device A for correcting the le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bdominal muscle of the thigh and the gluteus pelvis of the pelvis by repeating a predetermined motion (exercise) after wearing on both legs of the user. A lower body straightening means (1) for strengthening (大 臀 筋), a support stand (2) for enabling the above-described leg leg straightening operation to be carried out through the support coupling of one side of the lower body straightening means (1), Height adjustment means (3) to move the lower body correction means (1) from the one end of the support stand (2)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user's thigh and to adjust appropriately while being fixed at the adjustment position, It comprises an elastic board (4) for reducing the fatigue transmitted to the knee joint, ankle joint or the sole under the influence of the weight during the correction operation described above.
하체교정수단(1)은, 신체의 양다리 각 무릎과 근접한 대퇴부(허벅지)에 착용 후 최초 무릎을 모으고 곧게 선 상태에서 다리를 구부림과 동시에 양 무릎을 서서히 외측으로 벌린 다음 다시 무릎을 곧게 펴면서 재차 무릎을 모으는 식의 동작을 일정시간 동안 반복 실시하여 휜 다리를 교정하는 하체근력 강화를 위한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다리 각 대퇴부에 둘러매도록 된 복수의 착용밸트(11)와, 전술한 교정동작의 실시에 의해 상기 지주대(2)로부터 간격이 멀어진 상기 착용밸트(11)를 탄력적으로 끌어당겨 대퇴부 외전근의 외회전 및 골반의 대둔근 근력을 강화시켜주도록 하는 신축밴드(12)와, 상기 착용밸트(11)를 사용자의 대퇴부에 둘러 착용함을 간편히 하기 위한 수버클(131)과 암버클(132)이 한 쌍으로 이루어진 띠쇠(13)로 구성된다.The lower body correction means (1) is worn on the thighs (thighs) close to each knee of the body, the first knees are gathered, and the legs are bent in a straight state, and both knees are gradually spread outwards, and then the knees are straightened again. It is to reinforce the lower body muscles to correct the leg by repeating the operation of a formula for a predetermined time, as shown in Figure 3, a plurality of wearing
한편, 상기 하체교정수단(1)을 하체에 착용할 경우, 상기 신축밴드(12)의 일측 선단이 양다리 각각의 외측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착용밸트(11)에 재봉결합된다. 따라서, 교정동작 실시의 경우 양 무릎이 상호 맞닿게 내향방으로 끌어당기는 작용특성의 발휘로 내회전된 대퇴골을 원상태로 외회전시킬 수 있고 비정상적으로 전만된 요추의 각도를 정상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lower body correction means (1) is worn on the lower body, one end of the
상기 착용밸트(11)는, 도 4a 및 도 4b에서와 같이, 다리를 구부리는 교정동작시 상기 신축밴드(12)로부터 가해지는 당김작용의 지속으로 인해 최초의 그 착용위치가 틀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무릎패드(111)와, 상기 무릎패드(111)를 사용자 대퇴부 두께에 알맞게 조임착용토록 된 길이조절밴드(112)와, 교정동작 중 무릎을 굽힐 경우 밴드 사이에 살갖이 끼이지 않게 예방하기 위한 살끼임방지패드(113)의 조합으로 구성된다.The wearing
이에 더하여, 상기 길이조절밴드(112)에는, 사용자의 대퇴부 두께에 알맞게 상기 착용밸트(11)의 전체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한 벨크로파스너(Velcro fastener, 112-1)가 더 구비결합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지주대(2)는, 상기 하체교정수단(1)을 이용한 휜 다리 교정동작시 상기 신축밴드(12)의 일측을 지지해줌으로써 다리를 굽히거나 무릎을 양측으로 벌리 때의 간격 벌어짐시 탄력적으로 끌어당기는 상기 신축밴드(12)의 작용을 위하면서도 상기 하체교정수단(1)의 높낮이 조절을 통해 신장크기에 상관없이 각 사용자의 무릎 위 인접 대퇴부에 착용이 용이케 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력에 의한 휨 변형을 일으키지 않으면서도 경량화된 알루미늄 소재의 막대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각 단부의 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내향됨으로써 상기 높낮이조절수단(3)의 상,하 슬라이딩 이동결합을 가능토록 하기 위한 가이드홈(2a)이 형성되어 있다.The
또한, 상기 지주대(2)의 말단에는, 도 2 및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의 바닥면이 상기 탄력보드(4)의 일측부 상면과의 일체 결합을 위한 지주조립체(21)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at the end of the
높낮이조절수단(3)은, 상기 지주대(2)로부터 상기한 하체교정수단(1)이 자유롭게 승강 이동하는 상태로 조립결합되게 하면서도 교정동작시 상기 신축밴드(12)가 하체교정수단(1)을 끌어당기는 탄력 발휘를 위한 것으로, 상기 지주대(2)의 가이드홈(2a) 내에 끼움된 채로 상,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 승강편(31)과, 상기 하체교정수단(1)의 신축밴드(12) 일측을 묶음결합시킬 수 있게 된 홀을 갖는 복 수의 결합링(32)과, 상기 승강편(31)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결합링(32)이 소정거리 돌출 위치토록 하기 위한 가로봉(33)으로 구성된다.Height adjustment means (3), while the lower body correction means (1) is assembled and assembled to move freely from the support stand (2) while the
더하여, 상기 승강편(31)의 상측부에는, 사용자의 신장크기를 감안한 상기 하체교정수단(1)의 조정시, 그 조정된 위치에서 견고히 고정토록 하기 위한 하나 이상 한 쌍의 고정볼트(311) 및 나비너트(312)가 더 체결되어 있다.In addition, at the upper side of the
탄력보드(4)는, 교정동작의 반복시 발목의 부담을 최소화하고 골반을 앞으로 쏠리게 하여 요추의 전만 회복을 위한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딛고 올라서기에 적당한 폭과 너비를 갖는 판형이고, 교정동작시 발바닥에 쏠리게 되는 체중의 부하를 감쇄시킬 수 있는 연질의 합성수지 소재로 된 쿠션발판(41)과, 상기 쿠션발판(41)의 충격흡수력 극대화를 위해 바닥면과 지면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다수의 지지다리(42)와, 상기 지지다리(42)를 떠받치는 경질의 베이스하판(43)으로 구성된다.Elastic board (4), to minimize the burden of the ankle when the repetition of the corrective action to lean the pelvis forward for recovery of the lumbar spine, as shown in Figure 2, having a suitable width and width for the user to step up
이와 함께, 상기 쿠션발판(41)의 내부에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의 기본형상 보존을 위한 보강철판(411)이 내재되어 있다.In addition, inside the
또한, 상기 쿠션발판(41) 상면 전체에는, 교정동작 실시의 경우 사용자 발바닥 전체를 자극함으로 인한 마사지효과 및 혈액순환에 도움을 주도록 된 다수개의 지압돌기(412)가 균일간격마다 돌출형성된다.In addition,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미설명부호, (311-1)은 상기 고정볼트를 통해 상기 승강편이 상기한 지주대의 일면에 압착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볼트머리이다.Unexplained reference numeral 311-1 is a bolt head for pressing the lifting piece to one side of the support post through the fixing bolt.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고안에 따른 휜 다리 교정용 운동기구(A)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leg leg exercise device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먼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력보드(4)의 쿠션발판(41) 위로 휜 다리 교정동작의 실시를 위한 사용자가 오르되, 상기 지주대(2) 측으로 사용자 둔부가 향하도록 딛고 올라선다.First, as shown in Figure 6a, the user to perform the leg correction operation on the
그런 후, 상기 하체교정수단(1)이 사용자의 무릎 위 대퇴부와 평행하도록 상기 높낮이조절수단(3)의 그 위치를 조정하는바, 상기 승강편(31)을 이용하여 상,하로 이동시킨다. Then, the lower body straightening means 1 adjusts the position of the height adjusting means 3 so as to be parallel to the thigh on the user's knee, and moves up and down using the
그 다음으로, 상기 나비너트(312)를 조임하여 상기 고정볼트(311)의 볼트머리(311-1)가 상기 가이드홈(2a)의 내면을 가압하는 상기 승강편(31)과 지주대(2)의 밀착작용으로써, 상기 하체교정수단(1)이 조정된 위치에서 더 이상 상,하로 유동되지 않고 견고히 고정되게 한다.Next, the lifting
계속해서, 상기 교정수단(1)의 착용밸트(11)를 허벅지(대퇴부)에 착용하게 되는데, 상기 수버클(111-1)과 암버클(111-2)를 이용하여 대퇴부에 용이하게 둘러 착용하며, 상기 길이조절밴드(112)를 통해 자신의 신체(하체)에 알맞게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다.Subsequently, the wearing
이렇게, 본 고안에 따른 휜 다리 교정용 운동기구(A)를 착용한 사용자는, 최초 무릎을 붙이고 선 상태에서 서서히 다리를 반쯤 구부리는 동작을 취함과 동시에 양 무릎을 각각 외측으로 벌린 다음, 도 6b에서와 같이, 다리를 다시 곧추 세워 일어서면서 재차 무릎을 모으는 식으로 교정동작을 끝마친다.In this way, the user wearing the 휜 leg correction exercise device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bending the legs halfway in the state of attaching the first knee, while spreading both knees to the outside, respectively, Figure 6b As in, the legs are upright again, standing up again to collect the knees to finish the corrective action.
상기와 같은 교정동작은, 무릎을 굽히거나 세움과 동시에 양 무릎을 모았다 가 벌리는 연계동작으로써 대략 하트모양과 유사한 궤도를 그려 달성할 수 있다. 더욱이, 위와 같은 교정동작을 일정시간 동안 계속적으로 반복 실시함을 통한 대퇴골의 정상회복 및 골반의 대둔근 근력강화를 이뤄 벌어진 무릎이 점차적으로 모이게 되는 휜 다리의 교정효과를 거둘 수 있다.The correction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achieved by drawing an orbit similar to the shape of a heart as a linking operation in which both knees are bent or raised and the knees are collected and separated. Furthermore, by repeatedly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correction operation for a certain time,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corrective effect of the leg where the knees are gradually collected by the normal recovery of the femur and the strengthening of the gluteus maximus of the pelvis.
또한, 상기 쿠션발판(41) 상에서 허리를 곧추세운 자세를 유지한 상태로써 교정동작을 실시하게 됨에 따라, 정상각도보다 앞으로 수그러진 요추를 정상각도로 회복시켜 척추전만증의 치료효과도 함께 누릴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the corrective operation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waist is upright on the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using the preferred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appended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In addi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는 종래 고안에 따른 다리 교정기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사시도.Figure 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leg straighten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design.
도 1b는 종래 고안에 따른 다리 교정기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Figure 1b is a state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leg straightener according to the prior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휜 다리 교정용 운동기구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leg leg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휜 다리 교정용 운동기구에 있어서, 하체교정수단과 높낮이조절수단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lower body correction means and the height adjustment means in the exercise leg for correcting le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휜 다리 교정용 운동기구에 있어서, 하체교정수단의 착용밸트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와 전개도.Figure 4a and Figure 4b is an exploded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the wearing belt of the lower body correction means in the exercise device for the leg corr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휜 다리 교정용 운동기구에 있어서, 지주대와 높낮이조절수단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요부확대평면도.Figure 5 is an enlarged plan view of the main part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trut and the height adjustment means in the jaw leg correction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휜 다리 교정용 운동기구의 실시관계를 나타낸 사용예시도.6a and 6b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exercise device for correction of leg le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A : 운동기구, 1 : 하체교정수단, 2 : 지주대A: exercise equipment, 1: lower body correction means, 2: holding strut
2a : 가이드홈, 3 : 높낮이조절수단, 4 : 탄력보드2a: guide groove, 3: height adjustment means, 4: elastic board
11 : 착용밸트, 12 : 신축밴드, 13 : 띠쇠11 wear belt, 12 elastic band, 13 strap
21 : 지주조립체, 31 : 승강편, 32 : 결합링21: holding assembly, 31: lifting piece, 32: coupling ring
33 : 가로봉, 41 : 쿠션발판, 42 : 지지다리33: horizontal bar, 41: cushion footrest, 42: support leg
42 : 베이스하판, 111 : 무릎패드, 112 : 길이조절밴드42: base lower plate, 111: knee pads, 112: length adjustment band
112-1 : 벨크로파스너, 113 : 살끼임방지패드, 131 : 수버클112-1: Velcro fasteners, 113: anti-fat pad, 131: buckle
132 : 암버클, 311 : 고정볼트, 311-1 : 볼트머리132: arm buckle, 311: fixing bolt, 311-1: bolt head
312 : 나비너트, 411 : 보강철판, 412 : 지압돌기312: butterfly nut, 411: reinforcing steel plate, 412: acupressure protrusion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13111U KR200444532Y1 (en) | 2008-09-30 | 2008-09-30 | 휜 Exercise equipment for leg corre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13111U KR200444532Y1 (en) | 2008-09-30 | 2008-09-30 | 휜 Exercise equipment for leg correc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44532Y1 true KR200444532Y1 (en) | 2009-05-18 |
Family
ID=41348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80013111U Expired - Fee Related KR200444532Y1 (en) | 2008-09-30 | 2008-09-30 | 휜 Exercise equipment for leg correc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44532Y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15740B1 (en) * | 2015-12-22 | 2018-01-11 | 이성완 | Angular deformity correcting apparatus |
KR20180130116A (en) * | 2017-05-29 | 2018-12-07 | 김용석 | Joint correction device |
-
2008
- 2008-09-30 KR KR2020080013111U patent/KR200444532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15740B1 (en) * | 2015-12-22 | 2018-01-11 | 이성완 | Angular deformity correcting apparatus |
KR20180130116A (en) * | 2017-05-29 | 2018-12-07 | 김용석 | Joint correction device |
KR101964790B1 (en) | 2017-05-29 | 2019-04-03 | 김용석 | Joint correction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744511B2 (en) | Suit for forcedly modifying a human posture and producing an increased load on a locomotion apparatus | |
KR100711104B1 (en) | Chiropractic Equipment | |
KR100712884B1 (en) | Devices for patients with sequelae of central nervous system disease and / or motor organ damage | |
US5588941A (en) | Spine theraphy and exercise device | |
US20070004570A1 (en) | Device for treatment of patients with disturbed posture and motor activity | |
JP2022518824A (en) | Chair, pressing device | |
US20200197743A1 (en) | Stretching apparatus and method of stretching | |
JP4131873B2 (en) | Body orthosis | |
CN107510530A (en) | Orthopaedics hunchback fixed orthodontic chair | |
KR102308837B1 (en) | back belt | |
CN111408105A (en) | Cervical curvature rehabilitation corrector | |
WO2000015307A1 (en) | Reflexive and load-application device for treating patients suffering from infantile cerebral paralysis as well as patients suffering from the after-effects of a craniocerebral trauma | |
US11701288B2 (en) | Pivoting lower limb therapy device | |
KR200444532Y1 (en) | 휜 Exercise equipment for leg correction | |
KR102190685B1 (en) | remedying belt for spine fixing and pulling | |
RU2266082C1 (en) | Device for carrying out neuro-orthopedic rehabilitation | |
CN103381112A (en) | Nerve orthopedic rehabilitation device | |
US12128268B1 (en) | Stretching apparatus and method of stretching | |
RU21511U1 (en) | SUIT FOR TREATMENT OF CHILDREN'S CEREBRAL PARALYSIS | |
JPH08126718A (en) | Treatment appliance for moving subwaist legs | |
CN211095040U (en) | Leg-shaped leg carving convenient to correct | |
TWM546829U (en) | Stretch exercise system | |
RU2268699C2 (en) | Method and device for treating patients for scoliotic posture and functional scoliosis | |
CN209075369U (en) | lower extremity exercise device | |
RU86458U1 (en) | DEVICE FOR TREATING MOTOR FUNCTIONAL DISORDER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80930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301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0930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90112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09031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9051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90511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1304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