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43807Y1 - 구근 채굴용 쟁기장치 - Google Patents

구근 채굴용 쟁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3807Y1
KR200443807Y1 KR2020070016622U KR20070016622U KR200443807Y1 KR 200443807 Y1 KR200443807 Y1 KR 200443807Y1 KR 2020070016622 U KR2020070016622 U KR 2020070016622U KR 20070016622 U KR20070016622 U KR 20070016622U KR 200443807 Y1 KR200443807 Y1 KR 2004438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ow
frame
plow blade
mining
dis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66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영환
Original Assignee
모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영환 filed Critical 모영환
Priority to KR20200700166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38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38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380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00Ploughs with fixed plough-shares
    • A01B3/36Ploughs mounted on tractors
    • A01B3/40Alternating ploughs
    • A01B3/44Alternating ploughs with parallel plough units used alternatel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5/00Elements, tools, or details of ploughs
    • A01B15/02Plough blades; Fixing the blad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5/00Elements, tools, or details of ploughs
    • A01B15/14Fram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5/00Elements, tools, or details of ploughs
    • A01B15/16Discs; Scrapers for cleaning discs; Sharpening attach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00Ploughs with rolling non-driven tools, e.g. discs
    • A01B5/10Ploughs with rolling non-driven tools, e.g. discs mounted or partly-mounted on tractors
    • A01B5/14Alternating plough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농업용 견인차량에 의해 견인 진행되면서 구근 수확물이 매설된 두둑을 갈아 엎어 구근을 채굴하는 구근 채굴용 쟁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땅속에 매설된 구근을 채굴하는 구근 채굴용 쟁기장치에 있어서, 견인차량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탈착 연결부; 상기 탈착 연결부를 장착하는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에 결합되는 쟁기날 프레임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토양을 갈아 엎는 쟁기날; 원판 프레임의 하단부에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토양에 일부 삽입된 상태로 굴러 가는 원판 디스크; 및 상기 본체 프레임에 대한 상기 쟁기날 프레임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위치가변 구동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위치가변 구동수단은, 모든 쟁기날 프레임을 함께 위치 가변시키도록 일측에 구비되는 제1 위치가변 구동수단; 및 상기 쟁기날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도록 폭 방향으로 구비되어 인접된 쟁기날 프레임 간의 이격 거리를 가변시키는 제2 위치가변 구동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원판 디스크에 의해 쟁기날이 두둑 외측의 고랑 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어 일정하게 직선 진행할 수 있으므로, 두둑 상의 전 영역에 대해 구근을 남김없이 채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근, 채굴, 쟁기, 트랙터, 원판

Description

구근 채굴용 쟁기장치{PLOW APPARATUS FOR DIGGING BULBS}
본 고안은 농업용 견인차량에 의해 견인 진행되면서 구근 수확물이 매설된 두둑을 갈아 엎어 구근을 채굴하는 구근 채굴용 쟁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견인 진행 시에 쟁기날이 두둑을 벗어나 두둑 외측의 고랑 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일정하게 직선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두둑의 전 영역에 대해 구근을 남김없이 완전하게 수확할 수 있음과 아울러, 고속 진행이 가능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근 채굴용 쟁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에서 생육되는 구근(즉, 땅속 작물)으로는 감자, 고구마, 양파, 마늘, 당근 등이 있으며, 이러한 구근을 인력으로 수확하는 경우에는 일일이 호미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땅을 파헤치면서 채취해야 하므로, 시간과 경비의 소모가 커서, 최근에는 트랙터와 같은 농업용 견인차량의 후미에 연결되어 견인되면서 자동으로 땅을 갈아 엎어 작업자가 용이하게 구근을 수확할 수 있도록 하는 농기계인 쟁기장치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쟁기장치는 농업용 견인차량의 후미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사용되며, 구근이 매설된 두둑을 갈아 엎는 쟁기날(즉, 보습)을 구비하는데, 통상 한 번의 진행으로 다수 열의 두둑에 대해 작업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되는 다수개의 쟁기날을 구비한다.
관련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345438호의 "비닐하우스용 쟁기"가 있으며, 이를 도 1 및 도 2에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쟁기장치(10)는 견인차량(20)에 결합되는 쟁기틀(12)의 후방으로 수개의 쟁기 바(14)를 고정시키고, 이 쟁기 바(14)의 후단 하부에 쟁기날(16)을 고정시킨 구성을 갖는다.
그러나, 종래의 쟁기장치(10)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견인차량(20)의 바퀴(22)는 두둑(34) 외측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고랑(32)에 위치되어 굴러 가고, 각 쟁기날(16)은 상방 돌출되는 형태로 구근이 매설된 두둑(34)에 위치되어 진행되는데, 쟁기날(16)은 전방 하단부에 형성되는 첨예부(16a)와 이 첨예부(16a)로부터 연장되어 만곡되는 형태를 갖는 만곡면부(16b)로 이루어져 있음과 아울러, 다수개의 쟁기날(16)이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구비되므로, 견인차량에 의한 견인 진행시에 두둑(34) 위치에서 땅속으로 깊숙이 삽입되어 진행 저항을 심하게 받게 되는 쟁기날(16)의 첨예부(16a) 쪽이 진행 저항을 줄이고자 외측으로 자꾸 이동되어, 결과적으로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첨예부(16a) 쪽이 두둑(34) 외측의 고랑(32)에 위치되어 진행되게 된다.
이에 따라, 두둑(34)의 전 영역을 쟁기날(16)이 갈지 못하게 됨으로써 불완전한 채굴이 실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쟁기날(16)이 직선 진행되지 못함에 따라 견인차량(20)이 고속으로 진행될 수 없음으로써, 신속 작업이 불가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한편, 작업자가 작업 도중에 두둑(34) 폭에 대응되도록 쟁기날(16)의 폭을 직접 수작업으로 가변시킴에 따라, 불편성을 야기하고, 작업 중단이 발생되어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쟁기날이 외측으로 이동될려는 것을 차단하여 일정하게 직선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두둑 상의 전 영역에 대해 완전한 채굴을 실시할 수 있고, 고속 주행이 가능함에 따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근 채굴용 쟁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다수개 쟁기날의 위치를 자동으로 가변시킬 수 있어 편리성을 제공하고 작업 중단을 방지시킬 수 있는 구근 채굴용 쟁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근 채굴용 쟁기장치는, 땅속에 매설된 구근을 채굴하는 구근 채굴용 쟁기장치에 있어서, 견인차량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탈착 연결부; 상기 탈착 연결부를 장착하는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에 결합되는 쟁기날 프레임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토양을 갈아 엎는 쟁기날; 원판 프레임의 하단부에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토양에 일부 삽입된 상태로 굴러 가는 원판 디스크; 및 상기 본체 프레임에 대한 상기 쟁기날 프레임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위치가변 구동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위치가변 구동수단은, 모든 쟁기날 프레임을 함께 위치 가변시키도록 일측에 구비되는 제1 위치가변 구동수단; 및 상기 쟁기날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도록 폭 방향으로 구비되어 인접된 쟁기날 프레임 간의 이격 거리를 가변시키는 제2 위치가변 구동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쟁기날은, 일측에 형성되는 첨예부; 및 상기 첨예부로부터 연장되는 만곡면부;로 구성되며, 상기 원판 디스크는 상기 쟁기날의 첨예부 외측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원판 프레임은 상기 쟁기날 프레임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쟁기날 프레임에 대해 폭 방향으로 위치 조정된 후 고정될 수 있다.
삭제
상기 본체 프레임은 폭 방향으로 수평되게 구비되는 폭방향 수평바;를 포함하며, 상기 쟁기날 프레임은 상기 폭방향 수평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부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가변 구동수단은, 상기 견인차량으로부터 유압력을 제공받는 유압 실린더일 수 있다.
상기 본체 프레임은 폭 방향으로 수평되게 구비되는 폭방향 수평바;를 포함하며, 상기 원판 프레임은 상기 폭방향 수평바에 대해 슬라이딩되어 위치 조정된 후 고정되는 고정부쉬; 및 승강 위치가 조정된 후 상기 고정 부쉬에 고정되고 하단부에는 상기 원판 디스크가 구비되는 제2 수직바;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본 고안에 따르면, 원판 디스크에 의해 쟁기날이 두둑 외측의 고랑 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어 일정하게 직선 진행할 수 있으므로, 두둑 상의 전 영역에 대해 구근을 남김없이 채굴할 수 있는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쟁기날이 직선 진행할 수 있음에 따라 고속 주행이 가능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저마력의 견인차량을 이용할 수도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다수개 쟁기날의 폭 방향 위치를 견인차량의 운전석에서 간단히 조작하여 조정할 수 있으므로, 편리성을 제공하고, 작업 중단을 방지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구근 채굴용 쟁기장치에 대한 전면측 사시도이고, 도 5는 그에 대한 후면측 사시도이며, 도 6은 그에 대한 작용 설명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구근 채굴용 쟁기장치(100)는, 전방 본체프레임(110)과, 전방 본체프레임(110)의 전면 상에 구비되어 농업용 견인차량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탈착 연결부(112)와, 전방 본체프레임(110)의 후방 측에 결합 구비되는 후방 본체프레임(120)과, 후방 본체프레임(120)에 일단부가 폭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쟁기날 프레임(130)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토양을 갈아 엎는 쟁기날(140)과, 쟁기날 프레임(130)에 결합되는 원판 프레임(150)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토양에 일부 삽입된 상태로 굴러 가는 원판 디스 크(160)와, 후방 본체프레임(120)에 대해 쟁기날 프레임(130)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위치가변 구동수단(170)을 포함한다.
전방 본체프레임(110)은 탈착 연결부(112)를 전면 상에 장착하며, 탈착 연결부(112)가 후방 본체프레임(120)의 전면 상에 결합 구비되는 경우에는 생략될 수 있다.
탈착 연결부(112)는 견인차량의 후미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견인이 가능하도록 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후방 본체프레임(120)은 전방 본체프레임(110)의 후방 측에 결합되어 구비되며, 폭 방향을 향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축(122)을 구비한다.
여기서, 후방 본체프레임(120)은 사각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그 내측에 하나 이상의 가이드축(122)이 수평되게 구비될 수 있다.
쟁기날 프레임(130)은 후방 본체프레임(120)에 일단부가 폭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부에는 쟁기날(140)이 결합 구비된다.
상세하게, 쟁기날 프레임(130)은, 후방 본체프레임(120)의 가이드축(122)에 폭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부쉬(130a)와, 이 가이드 부쉬(130a)에 결합되어 폭 방향으로 수평되게 구비되는 폭방향 수평바(130b)와, 이 폭방향 수평바(130b)의 소정 위치로부터 후방을 향해 수평되게 연장되는 후방 수평바(130c)와, 후방 수평바(130c)의 후단부에 상단부가 결합되어 수직되게 구비되고 하단부에는 쟁기날(140)이 결합되는 수직바(130d)로 일체화되게 이루어진다.
쟁기날(140)은 쟁기날 프레임(130)의 하단부에 결합 구비되는 것으로, 그 일 측 하단부에 형성되는 첨예부(140a)와, 이 첨예부(140a)로부터 연장되는 만곡진 형태의 만곡면부(140b)로 이루어진다.
원판 프레임(150)은 쟁기날 프레임(130)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하단부에는 원판 디스크(160)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원판 디스크(160)가 쟁기날(140)의 외측 전방에 위치되도록 한다.
상세하게, 원판 프레임(150)은, 쟁기날 프레임(130)의 폭방향 수평바(130b)에 대해 폭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위치 이동된 다음 특정 위치에 고정되는 고정 부쉬(150a)와, 고정 부쉬(150a)에 대해 승강 위치가 조절되어 고정되도록 수직되게 구비되고 하단부에는 원판 디스크(160)가 자유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수직바(150b)로 일체화되게 이루어진다.
원판 디스크(160)는 원판 프레임(150)의 하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 구비되는 것으로, 견인 진행시 땅속으로 일부 삽입된 상태로 자전되어 굴러 간다.
위치가변 구동수단(170)은 견인차량으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작동됨으로써 후방 본체프레임(120)에 대해 쟁기날 프레임(130)을 폭 방향으로 위치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위치가변 구동수단(170)은 바람직하게 유압 실린더로 구현될 수 있고, 해당 유압 실린더는 폭 방향으로 설치되되, 출몰되는 그 로드의 선단이 쟁기날 프레임(130)에 결합되며, 견인차량의 운전석에서 작업자가 조작하여 작동시킬 수 있도록 견인차량의 유압펌프에 대해 유압호스로 연결될 수 있다.
덧붙여, 다수 열의 두둑에 대한 작업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되어 평행되도록 다수개의 쟁기날 프레임(130)이 구비되며, 각 쟁기날 프레임(130)에 대해 쟁기날(140)이 각기 구비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상, 일측으로부터 제1, 제2 쟁기날 프레임(130)이라 하면, 후방 본체프레임(120)에 대해 결합되어 폭 방향을 향하게 구비되는 제1 위치가변 구동수단(170)은 제1 쟁기날 프레임(130)의 외측에 구비되고, 제2 쟁기날 프레임(130)에 대해 구비되는 제2 위치가변 구동수단(170)은 제1 쟁기날 프레임(130)에 대해 고정되어 제1 쟁기날 프레임(130)과 제2 쟁기날 프레임(130)의 사이에 폭 방향을 향하게 구비됨으로써, 제1 위치가변 구동수단(170)을 구동시키면 모든 쟁기날 프레임(130)을 동시에 함께 폭 방향으로 위치 이동시킬 수 있고, 제2 위치가변 구동수단(170)을 구동시키면 제1 쟁기날 프레임(130)에 대한 제2 쟁기날 프레임(130)의 위치를 폭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물론, 제3 위치가변 구동수단(170)은 제2 쟁기날 프레임(130)에 대해 고정되어 제2 쟁기날 프레임(130)과 제3 쟁기날 프레임(130)의 사이에 구비됨으로써, 그 구동에 따라 제2 쟁기날 프레임(130)에 대해 제3 쟁기날 프레임(13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작용에 따라 쟁기날(140)을 각기 대응하는 두둑(34) 위치로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덧붙여, 원판 디스크(160)는 바람직하게 각 쟁기날(140)에 대해 하나씩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나, 이와 다르게 모든 쟁기날(140)에 대해 구비되지 않고 일부 쟁기날(140)에 대해서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구근 채굴용 쟁기장치(100)의 작용에 대해 이하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견인차량의 후미에 탈착 연결부(112)를 연결함과 아울러, 위치가변 구동수단(170)이 유압 실린더인 경우 해당 유압 실린더를 견인차량의 유압펌프에 대해 유압호스를 이용하여 연결한다.
그리고, 쟁기날(140)에 대한 원판 디스크(160)의 이격 거리를 조정하기 위해 작업자는 쟁기날 프레임(130)의 폭방향 수평바(130b)에 대해 원판 프레임(150)의 고정 부쉬(140a)를 적정하게 폭 방향으로 위치 이동시킨 다음 고정시킨다.
또한, 작업자는 견인차량의 운전석에서 조작하는 것에 의해 각 위치가변 구동수단(170)을 적정히 구동시킴으로써 각 쟁기날 프레임(130)의 위치를 작업 대상의 두둑(34)에 대해 맞추며, 이때 쟁기날 프레임(130)에 대해 결합된 원판 프레임(150)도 함께 위치 이동된다.
그 후, 작업자는 견인차량을 전진 주행시키며, 그에 따라 쟁기장치(100)가 견인되면서 이동된다.
그에 따라, 얇은 두께를 갖는 원판 디스크(160)는 쟁기장치(100)의 자중 등에 의해 땅속으로 일부 삽입된 상태로 굴러 가게 된다.
그리고, 원판 디스크(160) 후방에 구비된 쟁기날(140)은 두둑(34) 위치에서 땅속으로 깊이 삽입되어 땅을 갈아 엎으면서 진행되어 구근을 채굴한다.
이 과정에서, 쟁기날(140)은 그 첨예부(140a) 쪽이 진행 저항을 줄이고자 외측으로 이동되려고 하는데, 원판 디스크(160)가 외측 전방에서 땅속으로 일부 삽입 되어 지지되고 있으므로, 외측으로 이동될려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쟁기날(16)은 두둑(34)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두둑(34)을 따라 그대로 직선 진행될 수 있다.
이로써, 두둑(34) 상의 전 영역에 대해 완전한 채굴을 실시할 수 있어 매설된 구근을 남김없이 채굴할 수 있으며, 직선 진행에 따라 고속으로 진행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적은 힘만으로 견인 가능할 수 있어 저마력의 견인차량을 이용할 수도 있게 된다.
그리고, 필요 시점에서 쟁기날(140)의 폭 방향 위치를 가변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견인차량의 운전석에서 간단히 조작하여 자동으로 변경시킬 수 있으므로, 편리성을 제공하고, 작업 중단을 방지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상기 내용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당업자는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도 1과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쟁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3a와 도 3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쟁기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근 채굴용 쟁기장치에 대한 전면측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근 채굴용 쟁기장치에 대한 후면측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근 채굴용 쟁기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 : 견인차량 바퀴 32 : 고랑
34 : 두둑 100 : 쟁기장치
110 : 전방 본체프레임 112 : 탈착 연결부
120 : 후방 본체프레임 122 : 가이드축
130 : 쟁기날 프레임 130a : 가이드 부쉬
130b : 폭방향 수평바 130c : 후방 수평바
130d : 수직바 140 : 쟁기날
140a : 첨예부 140b : 만곡면부
150 : 원판 프레임 150a : 고정 부쉬
150b : 제2 수직바 160 : 원판 디스크
170 : 위치가변 구동수단

Claims (8)

  1. 땅속에 매설된 구근을 채굴하는 구근 채굴용 쟁기장치에 있어서,
    견인차량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탈착 연결부;
    상기 탈착 연결부를 장착하는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에 결합되는 쟁기날 프레임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토양을 갈아 엎는 쟁기날;
    원판 프레임의 하단부에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토양에 일부 삽입된 상태로 굴러 가는 원판 디스크; 및
    상기 본체 프레임에 대한 상기 쟁기날 프레임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위치가변 구동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위치가변 구동수단은,
    모든 쟁기날 프레임을 함께 위치 가변시키도록 일측에 구비되는 제1 위치가변 구동수단; 및
    상기 쟁기날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도록 폭 방향으로 구비되어 인접된 쟁기날 프레임 간의 이격 거리를 가변시키는 제2 위치가변 구동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 채굴용 쟁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쟁기날은,
    일측에 형성되는 첨예부; 및 상기 첨예부로부터 연장되는 만곡면부;로 구성되며,
    상기 원판 디스크는 상기 쟁기날의 첨예부 외측 전방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 채굴용 쟁기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 프레임은 상기 쟁기날 프레임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쟁기날 프레임에 대해 폭 방향으로 위치 조정된 후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 채굴용 쟁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은 폭 방향으로 수평되게 구비되는 폭방향 수평바;를 포함하며,
    상기 쟁기날 프레임은 상기 폭방향 수평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부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 채굴용 쟁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가변 구동수단은,
    상기 견인차량으로부터 유압력을 제공받는 유압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 채굴용 쟁기장치.
  7. 삭제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은 폭 방향으로 수평되게 구비되는 폭방향 수평바;를 포함하며,
    상기 원판 프레임은 상기 폭방향 수평바에 대해 슬라이딩되어 위치 조정된 후 고정되는 고정부쉬; 및 승강 위치가 조정된 후 상기 고정 부쉬에 고정되고 하단부에는 상기 원판 디스크가 구비되는 제2 수직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 채굴용 쟁기장치.
KR2020070016622U 2007-10-12 2007-10-12 구근 채굴용 쟁기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4438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6622U KR200443807Y1 (ko) 2007-10-12 2007-10-12 구근 채굴용 쟁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6622U KR200443807Y1 (ko) 2007-10-12 2007-10-12 구근 채굴용 쟁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3807Y1 true KR200443807Y1 (ko) 2009-03-23

Family

ID=41347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6622U Expired - Fee Related KR200443807Y1 (ko) 2007-10-12 2007-10-12 구근 채굴용 쟁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380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40734B2 (ja) 作業機
US9408339B2 (en) Earth working apparatus
JP5791689B2 (ja) 長いも収穫装置の掘り取り体の振動装置
KR101193401B1 (ko) 로터리용 배토기
JP2014212786A (ja) トラクタに連結する長いも収穫装置
CN105557084B (zh) 土壤旋耕深翻机
US3815266A (en) Stump pulling implement
JP6822688B2 (ja) トラクタに連結する長いも収穫機の機体保護装置
KR101066047B1 (ko) 농기계용 쟁기장치
KR200469752Y1 (ko) 커터가 장착된 쟁기
KR20140032592A (ko) 땅속작물 수확기
KR200443807Y1 (ko) 구근 채굴용 쟁기장치
JP3878031B2 (ja) ロータリ耕耘装置
JP2010172249A (ja) 土壌膨軟装置
US9451739B2 (en) Agricultural undercut implements and methods
JP6175412B2 (ja) 作業機
JP6131594B2 (ja) 農作業機
KR20100062348A (ko) 땅속작물 수확기
US2931444A (en) Curb edging plows
US5979567A (en) Front mounted mechanical row crop guidance system
JP6168848B2 (ja) ロータリ耕耘機のスキッド
JP6566475B2 (ja) 畦成形機
JP6441753B2 (ja) 畝裾耕起体、および除草装置
JP3770992B2 (ja) 移植機
JP4523872B2 (ja) 残幹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71012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8082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1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31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9031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302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