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43398Y1 - 듀얼체크밸브 타입 일자형 역류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듀얼체크밸브 타입 일자형 역류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3398Y1
KR200443398Y1 KR2020070015954U KR20070015954U KR200443398Y1 KR 200443398 Y1 KR200443398 Y1 KR 200443398Y1 KR 2020070015954 U KR2020070015954 U KR 2020070015954U KR 20070015954 U KR20070015954 U KR 20070015954U KR 200443398 Y1 KR200443398 Y1 KR 2004433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ppet
socket
check valve
outlet
inl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59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균
Original Assignee
영동금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64838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43398(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영동금속(주) filed Critical 영동금속(주)
Priority to KR20200700159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33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33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3398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77Arrangement of backflow preven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6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guided stems
    • F16K15/06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guided stem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도 계량기 출수측 내지는 입수측에 인접 설치되는 듀얼 체크밸브 타입 일자형 역류방지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일자형 역류방지장치는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입구와 출구를 가지며 속이 빈 중공의 일자형 소켓과, 소켓의 입구측 외연에 결합되는 체결구와, 상기 출구에서 입구측으로 역류하는 유체의 흐름을 저지하기 위해 소켓 내에 일정 이격간격을 두고 직렬배치되는 제1, 제2 체크밸브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서, 기존 수도 계량부에 역류방지기능 부가를 위해 기존 설비를 개량하는 경우, 수도 계량기 출수구와 엘보를 연결하는 수평상의 기존 유니온 소켓을 제거하고 그 자리에 대체시공이 가능하여 작업 및 시공이 매우 용이하며, 연속배치된 체크밸브에 의해 유체가 역류하는 것을 다단에 걸쳐 보다 확실하게 차단하므로, 역류에 의한 수질 오염을 보다 완벽하게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수도 계량부, 역류방지, 체크밸브, 소켓

Description

듀얼체크밸브 타입 일자형 역류방지장치{Dual check-valve type flowing backward prevention device}
본 고안은 수도관 공사를 위해 단수를 실시할 경우에 수용가의 급수관측에서 메인 수도관측으로의 유체(수돗물) 역류를 제한할 목적으로 수용가의 수도 계량기 출수측 내지는 입수측에 인접 설치되는 역류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복수의 체크밸브를 내부에 가진 듀얼체크밸브 타입 일자형 역류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하에 매설된 메인 수도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은 수용가측에 설치된 계량기를 거쳐 수용대상자 예컨데, 일반 가정이나 기타 업소 등에 제공된다. 이때 상기 수돗물은 공급원으로부터 일정한 수압을 가지도록 제공되어 메인 수도관에서 각 수용가의 급수관측으로 일방향으로 공급되지만 수도관 공사 등의 이유로 단수가 될 경우에는 수돗물 공급이 차단되어 수압이 작용하지 않는 관계로 수용가 급수관에 잔류한 수돗물이 상기 메인 수도관측으로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되게 된다.
수돗물 역류 현상으로 역류된 수돗물은 메인 수도관을 흐르는 깨끗한 수돗물과 다시 합류하여 이를 오염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역류로 인한 수돗물의 위생상 안전을 확보할 목적으로 각 수용가의 상기 계량기 설치 부위에 일반적으로 역류방지밸브를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수돗물 수용가에 일반적으로 설치되는 수도 계량부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지하에 매설되고 지표면을 향해 개방된 개구부를 가진 함체(1) 내부에 사용자에 의해 식별가능한 계기판을 가진 수도 계량기(2)가 위치하며, 상기 수도 계량기(2) 입수구측에는 입수관(5)과 연결되고 사용자 조작에 따라 수돗물 공급을 차단하는 기능을 가진 앵글밸브(3)가, 출수구측에는 유니온 소켓(도면부호 생략)과 엘보(4)를 매개로 급수관(6)이 연결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을 가진 수도 계량부는 함체(1) 내부의 공간이 매우 협소한 관계로 역류방지를 위한 통상적인 체크밸브를 임의로 부가 설치하는 것이 곤란하며, 따라서 종래에는 도면에서와 같이 엘보(4) 한 쪽 끝에 역류방지 기능을 가진 체크밸브(7)가 하나의 조립체 형태로 구비된 연결밸브(8)를 이용해 기존 단순 엘보(4)를 대체함으로써 수돗물에 대한 역류 방지 기능이 구현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위와 같이 기존 설치된 엘보(4)를 역류방지 기능을 가진 연결밸브(8)로 대체하는 경우, 한정된 공간내에서의 작업을 통해 기존 엘보(4)를 제거하고 그 제거된 부위에 엘보와 체크밸브 기능을 동시에 가진 상기 연결밸브(8)를 연결 설치하는 것은 엘보 형상을 가진 연결밸브(8)의 형상적인 특성상 교체 작업 시 상당한 공간적 제약이 따르며, 따라서 교체 작업이 매우 곤란하다는 시공상 단점이 있었 다.
더욱이, 종래의 연결밸브(8)에 구비된 체크밸브(7)의 경우 잦은 개폐로 인한 내부 탄성체의 탄성 저하 또는 유로를 개폐시키는 포펫의 마모 시 이를 대체 내지는 보완할 수 있는 별도의 대안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탄성체의 탄성이 저하되거나 포펫이 마모된 경우 유체의 역류를 제대로 제어하지 못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밸브의 잦은 교체가 요구되어야만 하는 문제 또한 있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존 수도 계량부에 역류방지 기능을 부가하는 경우에 한정된 공간을 가진 함체 내에서 보다 용이한 시공성을 가지는 듀얼체크밸브 타입 일자형 역류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유체가 역류하는 것을 다단에 걸쳐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밸브의 잦은 교체가 요구되지 않는 듀얼체크밸브 타입 일자형 역류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고안은, 수돗물의 역류방지를 목적으로 수도 계량기 출수측 내지는 입수측에 인접 설치되는 역류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장치는,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입구(102)와 출구(104)를 가지며 출구(104)측 외연에 나사산(106)을 가진 속이 빈 중공의 일자형 소켓(100); 상기 소켓(100) 입구측 외연에 설치되며 나사산(106)을 내연에 가진 체결구(110); 상기 출구(104)에서 입구(102)측으로 역류하는 유체의 흐름을 저지하기 위해 소켓(100)의 입구(102)에 배치되는 제1 체크밸브(120-1); 상기 제1 체크밸브(120-1)와 직렬배치되고, 상기 소켓(100) 중앙부 내경에 압입 설치되는 스냅링(117); 및 상기 스냅링(117)과 직렬배치되며, 개구단된 일측은 상기 스냅링(117)에 지지고정되고 타측은 소켓(100)의 출구측 내경 단차(108)에 지지 고정되는 제2 체크밸브(120-2);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제2 체크밸브(120-1)(120-2)는 각각, 중앙에 개방된 유로(123)를 가진 밸브시트(122)와; 상기 밸브시트(122)가 그 일측 개구단에 밀착 연결되고 상기 소켓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을 정도의 외경을 가진 포펫홀더(124)와; 상기 포펫홀더(124)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유체의 흐름에 따라 상기 밸브시트(122)에 밀착하거나 밸브시트(122)로부터 이격되어 유로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포펫(126); 및 상기 포펫(126)과 포펫홀더(124) 사이에 개입되어 상기 포펫홀더(124)의 개구단을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포펫(126)에 탄성을 부여하는 코일 스프링(128);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체크밸브 타입 일자형 역류방지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그리고 상기 포펫홀더는 그 일측 개구단과 일정거리 이격되는 타측 중앙에 축공이 형성된 슬리브를 일체로 가지도록 하고, 상기 포펫은 상기 슬릿브의 축공에 끼워져 축공 길이방향에 대해 움직임을 가질 수 있을 정도의 연장된 길이를 가진 포핏축을 그 후방에 일체로 가지도록 함으로써, 포펫홀더 내에서 상기 포펫이 유체흐름방향에 대해 움직임을 가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삭제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기존 수도 계량부에 역류방지기능 부가를 위해 기존 설비를 개량하는 경우, 수도 계량기 출수구와 엘보를 연결하는 수평상의 기존 유니온 소켓을 제거하고 그 자리에 대체시공이 가능한 형태의 일자형 구조를 가짐에 따라, 기존의 협소한 내부면적을 가지는 수도 계량부 함체에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하며, 결과적으로 개량 시공 시 작업성 및 시공성이 매우 우수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고안은 장치 내부에 유체에 대한 역류 방지기능을 가진 체크밸브가 다단 설치됨으로써, 유체가 역류하는 것을 다단에 걸쳐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서 역류에 의한 수질 오염을 보다 완벽하게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체크밸브에 의해 역류방지 기능이 수행됨에 따라, 종래 하나의 체크밸브에 의해 역류방지 기능을 수행하는 것과 비교하여 장기적으로는 구성부품의 마모율이 현저히 저하되므로 교쳬 타이밍이 그만큼 늘어나 장치의 잦은 교체가 요구되지 않으며, 따라서 장기적으로는 부품 교체에 따른 제반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이점 또한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전술한 종래 기술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도면참조부호를 부여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자형 역류방지장치의 전체적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나타난 체크밸브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은 도 3에 따른 체크밸브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일자형 역류방지장치는 종래 수도 계량기 출수구와 엘보를 연결하는 수평상의 기존 유니온 소켓을 제거하고 그 자리에 대체시공이 가능한 일자형 구조를 가지며, 따라서 기존의 협소한 내부면적을 가지는 수도 계량부 함체에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일자형 역류방지장치(10)는 소켓(100) 및 소켓(100) 내에 설치되며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제1, 제2 체크밸브(120-1)(120-2)를 포함한다. 상기 소켓(100)은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입구(102)와 출구(104)를 가진 속이 빈 중공의 일자형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 제2 체크밸브(120-1)(120-2)는 소켓(100) 내에 일정 이격간격을 두고 직렬배치되어 상기 소켓(100)의 출구(104)에서 입구(102)측으로 역류하는 유체의 흐름을 저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일자형 소켓(100)은 수도 계량기와 수용가측 급수관을 연결하는 연결구로서, 종래 수도 계량기 출수구와 엘보를 연결하는 유니온 소켓을 제거한 뒤 그 자리에 대체시공이 가능할 정도의 축방향 길이를 가지며, 그 출구(104)측 외연에는 수도 계량부 내에서 이에 인접배치되는 니플(nipple)과 같은 기타 체결구와의 연결을 위한 나사산(106)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소켓(100)은 내부식성 및 수압을 견딜 수 있을 정도의 내구성을 가진 금속내지는 합성수지 재질이면 특정 소재에 한정되지 않으며, 외연에 나사산(106)을 가진 출구(104)측 직경은 기존 체결구와의 호환성을 감안했을 때 KS 규격을 만족할 정도의 직경이면 적당하다.
상기한 소켓(100)의 입구(102)측 외연에는 수도 계량기 출수구와의 나사 체결을 위해 나사산을 그 내연에 가진 체결구(CM 너트, 110)가 결합되는 데, 상기 소 켓(100) 외경과 체결구(110) 내경 사이에는 오링(O-Ring, 115)과 같은 씰링부재가 개입되어 그 틈새를 통한 누수를 원천 차단한다. 상기 체결구(110)는 육각 내지는 다각 형태의 외형을 가져 스패너와 같은 공구등을 통해 체결 대상물과의 체결력을 간단히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소켓(100)의 입구측 외연에 오링을 매개로 밀착한 상태에서 독립적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도 계량기 입수구 내지는 출수구와의 연결이 매우 용이하다.
역류하는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상기 제1, 제2 체크밸브(120-1)(120-2)는 소켓(100) 내에 일정 이격간격을 두고 직렬배치되어 소켓(100)의 출구(104)에서 입구(102)측으로 역류하는 유체흐름을 다단에 걸쳐 차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제2 체크밸브(120-1)(120-2)는, 중앙에 개방된 유로(123)를 갖는 밸브시트(122)가 그 일측 개구단에 밀착 연결되고 상기 소켓(100)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을 정도의 외경을 가진 포펫홀더(124) 및 상기 포펫홀더(124)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유체의 흐름에 따라 상기 밸브시트(122)와 밀착되거나 이격되어 유로(123)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포펫(126)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포펫(126)과 포펫홀더(124) 사이에는 탄성부재 예로서,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은 코일 스프링(128)이 개입되어 포펫홀더(124)의 개구단측 개방부를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포펫(126)에 탄성을 부여하며, 상기 포펫홀더(124)는 그 일측 개구단과 복수의 리브(124a)를 통해 일정거리 이격되는 타측 중앙에 축공(124c)이 형성된 슬리브(124b)를 일체로 가지는 한편, 상기 포펫(126)은 상기 슬리브(124b)의 축공(124c)에 끼워져 축공 길이방향에 대해 움직임을 가질 수 있을 정도의 연장된 길이를 가진 포펫축(126a)을 그 후방에 일체로 가짐으로써, 포펫축(126a)과 슬리브(124b)의 결합으로 상기 포펫(126)은 포펫홀더(124) 내에서 좌,우방으로 슬라이딩 하면서 포펫홀더(124)의 일측 개구단을 개방 또는 폐쇄한다.
상기 제1, 제2 체크밸브(120-1)(120-2)가 소켓(100) 내부에서 일정 거리를 유지하도록 이격 설치됨에 있어서는, 소켓(100)의 출구(104)측 내경에 다른 부분에 비해 축소된 직경을 가진 축경부를 형성하여 그 경계부분에 단차(108)가 형성되도록 한 상태에서 제2 체크밸브(120-2)를 소켓(100)의 입구(102)를 통해 출구(104)측으로 밀어넣어 제2 체크밸브(120-2) 한 쪽 끝이 지지되도록 하고, 밸브시트(122)가 형성된 제2 체크밸브(120-2)의 다른 쪽 끝은 제2 체크밸브(120-2) 삽입 후 소켓(100) 중앙부 내경에 압입 설치되는 스냅링(117)에 지지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소켓(100) 내부에서 소켓(100) 입구측에 삽입 설치되는 제1 체크밸브(120-1)와 상기 제2 체크밸브(120-2)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체크밸브(120-1)와 제2 체크밸브(120-2)가 이격되는 간격은 종래의 유니온 소켓에 상응하는 축방향 길이를 가지는 상기한 소켓의 길이를 고려했을 때, 상기 제1 체크밸브(120-1)를 통과한 유체가 제2 체크밸브(120-2)로 유입되기 직전 제2 체크밸브(120-2)의 밸브시트(122)와 충돌하여 와류가 형성되지 않을 정도의 이격 거리이면 충분하므로 특정 수치범위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은 수돗물을 제공받는 각 수용가측 지하 매립된 수도 계량부에 설치되어 수도관 공사 등의 이유로 단수가 시행되는 경우 수용가측 급수관에서 메인 수도관측으로 수돗물이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인 역류방지장치의 적용해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일자형 역류방지장치가 수도 계량부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본 고안인 역류방지장치가 설치되는 수도 계량부는 지하에 매설되고 지표면을 향해 개방된 개구부를 가진 함체(1) 내부에 사용자에 의해 식별가능한 계기판을 가진 수도 계량기(2)가 위치하며, 상기 수도 계량기(2) 입수구측에는 입수관(5)과 연결되고 사용자 조작에 따라 수돗물 공급을 차단하는 기능을 가진 앵글밸브(3)가, 출수구측에는 종래 유니온 소켓을 대체하는 본 고안의 역류방지장치가 엘보(4)를 매개로 급수관(6)과 연결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본 고안에 적용된 역류방지장치(10)는 급수관(6)을 향하는 유체의 흐름에 의해서는 유로를 개방하고 이와는 반대방향으로 역류하는 유체의 흐름에 의해서는 유로를 폐쇄하는 방향에 대해 제1, 제2 체크밸브(120-1)(120-2)가 방향성을 가지도록 입구(102)측은 수도 계량기(2) 출수구와 연결되고 출구(104)측은 엘보(4) 입구와 연결되는 데, 유체 흐름에 의한 상기 제1, 제2 체크밸브(120-1)(120-2)의 개폐 동작은 이미 공지된 여러 형태의 체크밸브와 비교하여 그 동작상 큰 차이가 없으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위와 같이 수도 계량부의 기존 유니온 소켓을 대체하여 설치되는 본 고안에 의하면, 기존 수도 계량부에 역류방지기능 부가를 위해 기존 설비를 개량하는 경우, 수도 계량기 출수구와 엘보를 연결하는 수평상의 기존 유니온 소켓을 제거하고 그 자리에 대체시공이 가능해짐에 따라, 엘보에 체크밸브가 조합된 형태의 종래 역 류방지밸브를 시공할 때와 비교하여 협소한 내부면적을 가지는 수도 계량부 함체에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장치 내부에 유체에 대한 역류 방지기능을 가진 체크밸브가 다단 설치됨에 따라, 유체가 역류하는 것을 다단에 걸쳐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므로 역류에 의한 수질 오염을 보다 완벽하게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복수의 체크밸브에 의해 역류방지 기능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종래 하나의 체크밸브에 의해 역류방지 기능을 수행하는 것과 비교하여 장기적으로는 구성부품의 마모율이 현저히 저하되므로 교체 타이밍이 그만큼 늘어나므로 기존 1개 체크밸브를 내설한 것과 비교하여 장치의 잦은 교체가 요구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장기적으로 봤을 때 부품 교체에 따른 제반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수도 계량부의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자형 역류방지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난 체크밸브의 분해 사시도.
도 4은 도 3에 따른 체크밸브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일자형 역류방지장치의 설치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역류방지장치 100...소켓
102...입구 104...출구
106...나사산 108...단차
110...체결구 115...오링
117...스냅링 120-1...제1 체크밸브
120-2...제2 체크밸브 122...밸브시트
123...유로 124...포펫홀더
124a...리브 124b...슬리브
124c...축공 126...포펫
126a...포펫축 128...코일 스프링

Claims (4)

  1. 수돗물의 역류방지를 목적으로 수도 계량기 출수측 내지는 입수측에 인접 설치되는 역류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장치는,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입구(102)와 출구(104)를 가지며 출구(104)측 외연에 나사산(106)을 가진 속이 빈 중공의 일자형 소켓(100);
    상기 소켓(100) 입구측 외연에 설치되며 나사산(106)을 내연에 가진 체결구(110);
    상기 출구(104)에서 입구(102)측으로 역류하는 유체의 흐름을 저지하기 위해 소켓(100)의 입구(102)에 배치되는 제1 체크밸브(120-1);
    상기 제1 체크밸브(120-1)와 직렬배치되고, 상기 소켓(100) 중앙부 내경에 압입 설치되는 스냅링(117); 및
    상기 스냅링(117)과 직렬배치되며, 개구단된 일측은 상기 스냅링(117)에 지지고정되고 타측은 소켓(100)의 출구측 내경 단차(108)에 지지 고정되는 제2 체크밸브(120-2);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제2 체크밸브(120-1)(120-2)는 각각,
    중앙에 개방된 유로(123)를 가진 밸브시트(122)와; 상기 밸브시트(122)가 그 일측 개구단에 밀착 연결되고 상기 소켓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을 정도의 외경을 가진 포펫홀더(124)와;
    상기 포펫홀더(124)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유체의 흐름에 따라 상기 밸브시트(122)에 밀착하거나 밸브시트(122)로부터 이격되어 유로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포펫(126); 및
    상기 포펫(126)과 포펫홀더(124) 사이에 개입되어 상기 포펫홀더(124)의 개구단을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포펫(126)에 탄성을 부여하는 코일 스프링(128);으로 구성되며,
    상기 포펫홀더(124)는 그 일측 개구단과 복수의 리브(124a)를 통해 일정거리 이격되는 타측 중앙에 축공(124c)이 형성된 슬리브(124b)를 일체로 가지며, 상기 포펫(126)은 상기 슬리브(124b) 축공(124c)에 끼워져 축공 길이방향에 대해 움직임을 가질 수 있을 정도의 연장된 길이를 가진 포펫축(126a)을 그 후방에 일체로 가져, 상기 포펫(126)은 포펫홀더(124) 내에서 좌,우방으로 슬라이딩 하면서 포펫홀더(124) 전방 밸브시트(122)에 형성된 유로(123)를 개방 또는 폐쇄함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체크밸브 타입 일자형 역류방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070015954U 2007-09-28 2007-09-28 듀얼체크밸브 타입 일자형 역류방지장치 Expired - Lifetime KR2004433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5954U KR200443398Y1 (ko) 2007-09-28 2007-09-28 듀얼체크밸브 타입 일자형 역류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5954U KR200443398Y1 (ko) 2007-09-28 2007-09-28 듀얼체크밸브 타입 일자형 역류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3398Y1 true KR200443398Y1 (ko) 2009-02-13

Family

ID=41648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5954U Expired - Lifetime KR200443398Y1 (ko) 2007-09-28 2007-09-28 듀얼체크밸브 타입 일자형 역류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3398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302B1 (ko) 2009-03-05 2011-02-15 방병민 역류 방지 이중 밸브를 설치한 수도미터기
KR101015360B1 (ko) 2009-03-05 2011-02-16 방병민 역류 방지 이중 밸브를 장착시킨 수도미터기
KR101098842B1 (ko) 2009-04-10 2011-12-30 박세웅 2단형 역류방지 밸브
KR101643719B1 (ko) * 2016-03-31 2016-08-12 김진호 환풍기용 차단기
KR101906257B1 (ko) * 2018-03-07 2018-10-10 성학제 체크밸브를 구비한 커플러
CN112628433A (zh) * 2020-12-23 2021-04-09 广东永泉阀门科技有限公司 一种倒流防止器的双止回阀组安装结构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302B1 (ko) 2009-03-05 2011-02-15 방병민 역류 방지 이중 밸브를 설치한 수도미터기
KR101015360B1 (ko) 2009-03-05 2011-02-16 방병민 역류 방지 이중 밸브를 장착시킨 수도미터기
KR101098842B1 (ko) 2009-04-10 2011-12-30 박세웅 2단형 역류방지 밸브
KR101643719B1 (ko) * 2016-03-31 2016-08-12 김진호 환풍기용 차단기
WO2017171253A3 (ko) * 2016-03-31 2018-09-07 김진호 환풍기용 차단기
CN108885024A (zh) * 2016-03-31 2018-11-23 金进虎 排风扇用切断器
CN108885024B (zh) * 2016-03-31 2020-11-17 金进虎 排风扇用切断器
KR101906257B1 (ko) * 2018-03-07 2018-10-10 성학제 체크밸브를 구비한 커플러
CN112628433A (zh) * 2020-12-23 2021-04-09 广东永泉阀门科技有限公司 一种倒流防止器的双止回阀组安装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3398Y1 (ko) 듀얼체크밸브 타입 일자형 역류방지장치
US8230875B2 (en) Check valve
US7644726B1 (en) Self-cleaning flow shut off valve
US9499960B2 (en) Fluid delivery system for use with water discharge fixture
US6089260A (en) Nested duckbill check valves
US8646486B2 (en) Elliptical chambered flow restrictor
WO2009002417A4 (en) Valves for use with tankless water heater
CN101551031B (zh) 防溢流设备
CN103403421A (zh) 带有优化的关闭元件的止回阀
WO2008083790A8 (de) Abgabevorrichtung für ein wasserabgabegerät und wasserabgabegerät mit einer abgabevorrichtung
US7152626B1 (en) Diverter valve
EP0874963A1 (en) Diverter valve
BRPI0409301B1 (pt) dispositivo para evitar refluxo
CA2289388C (en) Faucet side spray diverter
US7389791B2 (en) Backflow preventer
US20050092377A1 (en) Diverter valve assembly
GB2448461A (en) Valve in particular radiator valve and use of a valve of this type
US20140103234A1 (en) Airflow regulating valve assembly
KR200447182Y1 (ko) 소켓 분리형 역류방지 장치
KR20110088602A (ko) 수밀성과 유로 확장성이 우수한 2단형 역류방지 밸브
KR200438690Y1 (ko) 유니온 타입 역류방지용 연결밸브
EP2142829A1 (en) Tap
KR200198110Y1 (ko) 절수기능을 가진 밸브 유니온
KR200387266Y1 (ko) 역류방지용 연결밸브
KR100588318B1 (ko) 역류방지용 슬라이드식 수도미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70928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04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28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07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28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80617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081107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U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code: UJ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1208

Patent event code: UJ02011S01I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07

Appeal identifier: 2008101013048

Request date: 20081208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90116

AMND Amendment
U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UB09011R02I

Patent event date: 20081226

Comment text: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Patent event code: UB09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1208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UB09011R02I

Patent event date: 20080917

Comment text: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B701 Decision to grant
U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90116

Patent event code: UB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108

Patent event code: UB07011S01I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20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9020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UJ0204 Invalidation trial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UJ02042R01D

Patent event date: 20090306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code: UJ02041E01I

Patent event date: 20090204

Request date: 20090306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Decision date: 20091116

Appeal identifier: 2009100000531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UJ0206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Patent event code: UJ02062R01D

Patent event date: 20090327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UJ02061E01I

Patent event date: 20090204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quest date: 20090327

Appeal identifier: 2009100000727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Decision date: 20090722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90327

Effective date: 20090722

UJ1201 Withdrawal of trial

Patent event code: UJ12011R01D

Patent event date: 20090722

Comment text: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Appeal identifier: 2009100000727

Decision date: 20090722

Request date: 20090327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UJ0206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Patent event code: UJ02062R01D

Patent event date: 20090724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UJ02061E01I

Patent event date: 20090204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quest date: 20090724

Appeal identifier: 2009100001794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Decision date: 20091116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0306

Effective date: 20091116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90724

Effective date: 20091116

UJ1301 Trial decision

Appeal identifier: 2009100001794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Decision date: 20091116

Request date: 20090724

Patent event date: 20091116

Patent event code: UJ13011S05D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Patent event date: 20091116

Patent event code: UJ13011S02D

Commen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a Right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Appeal identifier: 2009100000531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Decision date: 20091116

Request date: 2009030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2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61102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U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U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61102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80328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