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42835Y1 - 안전 주사기 - Google Patents

안전 주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2835Y1
KR200442835Y1 KR20080005937U KR20080005937U KR200442835Y1 KR 200442835 Y1 KR200442835 Y1 KR 200442835Y1 KR 20080005937 U KR20080005937 U KR 20080005937U KR 20080005937 U KR20080005937 U KR 20080005937U KR 200442835 Y1 KR200442835 Y1 KR 2004428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needle
needle fixing
locking
syr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059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숙녀
Original Assignee
최숙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숙녀 filed Critical 최숙녀
Priority to KR200800059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28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28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2835Y1/ko
Priority to PCT/KR2009/000208 priority patent/WO2009136687A1/ko
Priority to US12/991,428 priority patent/US8936570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2Retractable needles, i.e. disconnected from and withdrawn into the syringe barrel by the pist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4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2Retractable needles, i.e. disconnected from and withdrawn into the syringe barrel by the piston
    • A61M5/3221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e.g. to improve manipulation or functioning
    • A61M2005/3223Means impeding or disabling repositioning of used needles at the syringe nozzle
    • A61M2005/3224Means to disalign the needle tip and syringe nozz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2Retractable needles, i.e. disconnected from and withdrawn into the syringe barrel by the piston
    • A61M5/3221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e.g. to improve manipulation or functioning
    • A61M2005/3231Proximal end of needle captured or embedded inside piston head, e.g. by friction or hoo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5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re-use, or for indicating if defective, used, tampered with or unsterile
    • A61M5/5066Means for preventing re-use by disconnection of piston and piston-rod
    • A61M2005/5073Means for preventing re-use by disconnection of piston and piston-rod by breaking or rupturing the connection pa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전 주사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기술에서 사출성형의 한계로 주사바늘고정부가 밀대측에 정확히 결합되지 못하던 문제점을 보완한 안전 주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내부가 공간부로 형성되어 주사액을 저장할 수 있으며 일측은 주사액배출부를 형성하고 있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측에 삽입되어 종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하는 밀대와, 상기 밀대가 실린더와 기밀접촉 하도록 밀대의 상부에 결합된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의 상부에 장착되어 주사바늘을 고정하고 있는 주사바늘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주사기에 있어서, 주사기의 사용 후 상기 주사바늘고정부는 실린더 내부로 인입 수용한 후 폐기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주사바늘고정부에는 제1걸림돌기 및 제2걸림돌기를 구비한 다수의 걸림다리가 하부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밀대의 상부에는 주사바늘고정부의 걸림다리가 인입된 후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다리인입부가 형성되는 것으로, 밀대의 후진시 주사바늘고정부가 함께 후진하여 실린더 내측으로 수용되는 것이며, 상기의 걸림다리인입부는 링 형태의 걸림링이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링을 연결 지지하는 다수의 걸림링지지대가 수직으로 형성된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안전 주사기, 주사바늘고정부, 걸림다리인입부, 걸림링, 편심결합

Description

안전 주사기 {A safe syringe}
본 고안은 안전 주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사바늘을 실린더 안으로 인입하여 폐기시키는 종래의 안전 주사기에서 사출성형의 한계로 주사바늘고정부가 밀대측에 정확히 결합되지 못하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고안된 안전 주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회용 주사기는 2차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재사용을 금지하고 한 번 사용한 주사기는 폐기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이러한 일회용 주사기는 안전을 위해 사용 후 주사바늘에 캡을 씌워서 폐기하도록 이루어진 것이었다.
그러나, 사용한 주사바늘에 다시 캡을 씌우는 과정에서 취급자가 주사바늘에 찔리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었으며, 또한 주사기를 폐기하는 과정에서도 주사바늘에 씌워진 캡이 분리되어 폐기물 처리자가 주사바늘에 찔리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한 번 사용된 주사기에 의료진 또는 주사기 폐기물 처리자가 찔려서 환자의 혈흔에 의한 환자의 질병이 감염될 우려가 있으며 또한 이러한 사례가 실제로 보고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사용한 주사기의 주사바늘을 실린더 안으로 인입하여 폐기시키는 기술내용으로 국내실용신안등록 제0391370호 및 국내실용신안등록 제0423645호를 통해 선출원한 바 있었다.
그러나, 상기의 국내실용신안등록 제0391370호 및 국내실용신안등록 제0423645호의 기술에 의하면 주사바늘을 실린더 안으로 인입시키는 과정에서 주사바늘고정부가 밀대측에 정확히 결합되지 못하여 주사바늘이 실린더 안으로 인입되지 않는 문제점이 종종 발생하였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안전 주사기를 도시한 전체 단면도이며,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안전 주사기에서 주사바늘고정부가 밀대측에 걸린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안전 주사기는 주사바늘(4)을 고정 지지하는 주사바늘고정부(5)가 형성되되 주사바늘고정부(5)는 하부측에 다수의 걸림다리(50)를 형성하고 상기의 걸림다리(50)는 그 하단에 제1걸림돌기(51) 및 제2걸림돌기(52)가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 상기의 제1걸림돌기(51)는 주사기의 사용중 주사바늘고정부(5)가 실린더(1) 내측으로 밀려들어가지 않도록 실린더(1) 상부의 제1걸림턱(14)과 맞닿아 고정되는 것이며, 제2걸림돌기(52)는 주사기의 사용후 이를 폐기하고자 할 때 주사바늘(4)을 실린더(1) 내측에 인입 수용할 수 있도록 밀대(2) 상부의 걸림다리인입부(24)측에 서로 걸려 고정되기 위한 걸림수단이다.
즉, 밀대(2) 상부에는 걸림다리(50)가 인입될 수 있도록 걸림다리인입부(24) 가 형성되고 주사바늘고정부(5)의 걸림다리(50)가 이에 수용될 수 있는 것으로, 걸림다리인입부(24) 내측에는 제2걸림턱(24a)이 형성되어 걸림다리(50) 하단의 제2걸림돌기(52)와 맞물려 고정되는 것이며 밀대(2)의 후진시 제2걸림돌기(52)와 제2걸림턱(24a)이 맞물린 결합에 의해 주사바늘고정부(5)가 함께 당겨져 실린더 내측으로 인입되는 구성을 갖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안전 주사기는 걸림다리인입부(24) 내측에 형성된 제2걸림턱(24a)이 정교하게 가공되지 못하고 뭉뚝하게 형성됨으로 인해 주사바늘고정부(5)에 형성된 제2걸림돌기(52)와의 안정된 걸림상태를 형성하지 못하고 걸림상태가 풀려서 주사바늘고정부(5)를 실린더 내부로 인입할 수 없던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걸림다리인입부(24) 내측에 형성된 제2걸림턱(24a)이 정교한 각을 형성하지 못하고 뭉뚝하게 가공되는 것은 사출가공의 한계로 인해 발생된 문제인 것이다.
도 3은 종래의 안전 주사기를 성형하던 사출성형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4는 종래의 안전 주사기에서 제2걸림턱이 뭉뚝하게 가공되는 문제점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안전 주사기는 사출성형 과정에 있어서 금형틀(A) 내에 플라스틱 용액을 주입한 후 응고시키고, 후에 금형틀(A)을 분리하는 것이나, 종래의 안전 주사기 구성에 의하면 금형틀(A)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걸림다리인입부(24) 내측의 제2걸림턱(24a)이 파손 또는 마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파손 또는 마모된 상태의 제2걸림턱(24a)은 제2걸림돌기(52)와 안정된 결합구조를 형성하지 못하므로 주사바늘고정부(5)를 실린더 내부로 인입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주사바늘고정부의 걸림다리가 수용 결합되는 걸림다리인입부의 측면이 오픈된 형태를 갖는 것으로 사출성형시 금형틀이 양측방향으로 분리되어 걸림다리인입부의 걸림수단이 마모 및 파손되지 않는 안전 주사기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 본 고안은 내부가 공간부로 형성되어 주사액을 저장할 수 있으며 일측은 주사액배출부를 형성하고 있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내측에 삽입되어 종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하는 밀대와, 상기 밀대가 실린더와 기밀접촉 하도록 밀대의 상부에 결합된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의 상부에 장착되어 주사바늘을 고정하고 있는 주사바늘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주사기에 있어서, 주사기의 사용 후 상기 주사바늘고정부는 실린더 내부로 인입 수용한 후 폐기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주사바늘고정부에는 제1걸림돌기 및 제2걸림돌기를 구비한 다수의 걸림다리가 하부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밀대의 상부에는 주사바늘고정부의 걸림다리가 인입된 후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다리인입부가 형성되는 것으로, 밀대의 후진시 주사바늘고정부가 함께 후진하여 실린더 내측으로 수용되는 것이며, 상기의 걸림다리인입부는 링 형태의 걸림링이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 링을 연결 지지하는 다수의 걸림링지지대가 수직으로 형성된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걸림다리인입부의 측면은 오픈된 형태를 갖는 것으로, 다수의 걸림링지지대 사이에는 사출성형시 금형틀이 빠져나오기 위한 사출통공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걸림링은 주사바늘고정부의 걸림다리가 내측으로 수월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방향을 유도하기 위한 형상을 갖는 것으로, 걸림링의 내주연은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그 직경이 점차 좁아지는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안전 주사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주사기의 재사용을 방지함으로 2차감염을 방지한 효과가 있다.
둘째, 한 번 사용한 주사바늘을 실린더 안으로 인입시킨 후 주사기를 폐기처리 하므로 안전하게 폐기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셋째, 주사기의 폐기처리시 밀대를 분리하여 폐기함으로써 폐기물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넷째, 종래기술에서 사출성형의 한계로 주사바늘고정부가 밀대측에 정확히 결합되지 못하던 문제점을 보완함으로, 안전 주사기의 신뢰성을 향상시킨 효과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안전 주사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안전 주사기의 분해 정단면도이며, 도 7은 안전 주사기의 조립상태 정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안전 주사기는 내부에 공간부를 갖는 원통형상의 실린더(1)와, 상기 실린더(1)의 내측에 삽입되어 실린더(1)의 종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밀대(2)와, 상기 밀대(2)의 상부에 장착되어 실린더(1)와의 기밀접촉된 상태를 형성하는 피스톤(3)과, 주사바늘(4)을 고정하며 다수의 걸림다리(50)를 형성하고 있는 주사바늘고정부(5)와, 상기의 주사바늘고정부(5)가 실린더(1)에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수단을 제공하는 주사바늘고정캡(6)과, 주사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주사바늘(4)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안전하게 덮어 보호하는 바늘보호캡(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실린더(1)는 내부에 공간부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일측에는 주사액이 이동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주사액배출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 다른 일측은 밀대(2)가 실린더(1) 내측에 삽입되어 종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밀대(2)를 밀고 당길 수 있는 조작이 가능하도록 개방되어 있는 개구부(15)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에서의 주사액배출부(11)는 실린더(1) 내측에 충진된 주사액이 배출되는 부위로 실린더(1)의 외경보다 직경이 작고 실린더(1) 상부측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의 주사액배출부(11) 주위에는 주사바늘고정캡(6)이 결합될 수 있도록 돌기와 홈으로 이루어진 제1결합부(12)가 원주면 주위에 형성된다. 도 1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와 주사바늘고정캡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또한, 상기의 제1결합부(12)와 주사바늘고정캡(6)이 결합된 후 주사바늘고정캡(6)이 움직이지 않도록 결합된 주사바늘고정캡(6) 주위에는 실린더(1)의 외경으로부터 동일한 직경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된 흔들림방지부(13)가 형성된다.
실린더(1)의 상부측에 형성된 주사액배출부(11) 내측 소정의 위치에는 주사바늘고정부(5)가 실린더(1)의 상부에 위치함에 있어서 실린더(1) 안으로 주사바늘고정부(5)가 인입되지 않도록 주사바늘고정부(5)의 제1걸림돌기(51)와 맞닿도록 제1걸림턱(14)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실린더(1)의 개구부(15) 둘레에는 손가락을 걸 수 있도록 플렌지(16)가 돌출되어 있으며 주사액을 주입시 엄지손가락으로는 밀대(2)의 하단판(21)을 밀고, 한편 검지와 중지손가락으로는 실린더(1)의 플렌지(12)에 걸어서 주사액 주입시 실린더(1)가 밀리지 않도록 하였다.
상기의 실린더(1)에 주사액 또는 혈액등 액체를 흡입하는 과정에서는 실린더(1) 내에 삽입된 밀대(2)를 당기는 동작이 필요하다. 이때, 밀대(2)가 실린더(1)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실린더(1)의 내측 개구부(15)에 가까운 위치에 이탈방지턱(17)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의 이탈방지턱(17)은 밀대(2)를 당기는 동작에서 밀대(2)의 상단부에 구비된 상단판(22)과 걸리도록 구성된다.
밀대(2)는 실린더(1) 내의 공간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주사액을 실린더(1) 내의 공간부에 채워 저장하거나, 저장된 주사액(1)을 실린더(1) 밖으로 배출시키는 역할 수행을 담당한다. 상기에서 주사액을 실린더(1) 내부로 흡입하거나 배출하는 과정에서 흡입력 또는 압축력이 발생하도록 상기 밀대(2)의 상부에는 실린더(1)와의 기밀접촉된 상태를 형성하는 피스톤(3)이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밀대(2)에 결합된 피스톤(3)이 잘 분리되지 않도록 밀대(2)에 피스톤(3)이 결합되는 부위에는 피스톤고정돌기(23)를 구비하고 있다.
밀대(2)의 상부에는 피스톤(3)이 결합되고 그 중심부에는 주사바늘고정부(5)를 실린더(1) 내부로 인입하기 위한 걸림다리인입부(24)를 형성한다. 이는 사용한 주사바늘(4)과 이를 고정하는 주사바늘고정부(5)를 실린더(1) 안으로 인입시켜 폐기함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인 2차감염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의 걸림다리인입부(24)는 주사바늘고정부(5)의 걸림다리(50)가 인입된 후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수단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부에는 걸림다리(50)의 제2걸림돌기(52)가 걸려 맞물릴 수 있도록 링 타입의 걸림링(25)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링(25)을 지지하기 위해 밀대(2) 상부측과 상기 걸림링(25)을 연결하는 한 쌍의 걸림링지지대(28)가 수직으로 형성된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주사기의 걸림다리인입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즉, 걸림다리인입부(24)는 측면이 오픈된 채 마주보는 한 쌍의 걸림링지지 대(28)가 입설된 것으로 걸림링지지대(28)의 상부에는 걸림링(25)이 연결되는 형상을 갖는 것이다. 이와 같이, 걸림다리인입부(24)의 오픈된 측면은 사출성형시 금형틀(A)이 빠져나오기 위한 사출통공(29)에 해당하는 것으로, 금형틀(A)이 측면에서 분리되는 사출방법에 의해 걸림링(25)의 하단면이 손상되지 않고 성형되어 제2걸림돌기(52)와의 확실한 걸림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주사기의 사출성형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금형틀(A)이 양측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으로, 걸림링(25)의 하단부가 정교한 각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며, 이는 종래의 사출과정에서 걸림다리인입부(24)를 수직방향으로 강제로 잡아 뽑으면서 발생할 수 있던 걸림수단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에서 걸림링(25)의 확대도면과 같이, 주사바늘고정부(5)의 걸림다리(50)가 내측으로 수월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방향을 유도하기 위한 형상을 갖는 것으로, 걸림링(25)의 내주연은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그 직경이 점차 좁아지는 형태를 갖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걸림링(25)의 단면은 내측으로 경사진 삼각형 형태를 갖거나, 또는 내측으로 굴곡된 부채꼴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걸림링(25)의 하단면은 수평한 형태를 갖으며, 하단면과 내측면이 만나는 모서리부위는 뭉뚝하지 않고 정교한 각을 형성함으로 걸림다리(50)의 제2걸림돌기(52)와 걸림링(25) 상호간의 걸림 구조가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걸림다리인입부(24) 중심에는 소정의 길이로 원뿔형상의 중심핀(26)이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의 중심핀(24)은 주사바늘고정부(5)와 밀대(2)의 결합시 주사바늘고정부(5)에 구비된 중심핀결합홈(56)에 인입되고, 이때, 중심핀결합홈(56)의 내측에 구비된 편심유도돌기(55)에 의해 주사바늘고정부(5)의 중심에서 편심되는 결합을 갖는다. 이로인해 주사바늘고정부(5)는 중심이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형상을 갖게되며, 상기와 같이 주사바늘고정부(5)의 중심이 한쪽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주사바늘(4)이 실린더(1) 안으로 인입되면 실린더(1)의 벽면으로 주사바늘(4)의 방향이 꺾여 다시 주사액배출부(10) 밖으로 주사바늘(4)이 나올 수 없도록 구성된다. 상기에서 중심핀(26)이 주사바늘고정부(5)와 편심 결합되는 과정은 동작 설명을 통해 다시 한 번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밀대(2)는 실린더(1) 내의 공간부에 채워진 주사액을 밖으로 배출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밀대(2)에 힘을 인가하여 밀어넣는 동작이 유용하도록 밀대(2)의 하단부에는 하단판(21)을 형성하고 있으며, 주사액을 흡입하는등 실린더(1) 내에 삽입된 밀대(2)를 당기는 동작에서 실린더(1)와 밀대(2)가 분리되지 않도록 밀대(2)의 상부에는 상단판(22)을 구비하여 실린더(1)의 이탈방지턱(17)에 상단판(22)이 걸려 실린더(1)와 밀대(2)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였다.
또한, 밀대(2)의 걸림부(23)를 통해 주사바늘 고정부(5)를 실린더(1) 안으로 인입시킨 후 폐기물 주사기의 부피를 줄이고 밀대(2)를 다시 실린더(1) 안으로 밀어 넣지 못하도록 밀대(2)는 밀대절단홈(27)을 형성하여 밀대(2)를 부러뜨려 폐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주사바늘고정부(5)는 주사바늘(4)을 고정하는 것으로, 도 11은 본 고안에 의 한 안전 주사기에서 주사바늘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주사바늘고정부(5)의 중심에는 종방향으로 바늘결합홈(53)을 구비하여 주사바늘(4)이 결합 고정되도록 구성한다. 주사바늘고정부(5)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걸림다리(5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의 걸림다리(50)는 제1걸림돌기(51)와 제2걸림돌기(52)가 형성되어 있다. 제1걸림돌기(51)는 안전 주사기의 조립시 실린더(1)의 제1걸림턱(14)에 맞닿아 실린더(1) 상부에 고정되기 위한 구성이며, 제2걸림돌기(52)는 사용한 주사기를 폐기하고자 주사바늘고정부(5)를 실린더(1) 내부로 인입시 밀대(2)측 걸림다리인입부(24)의 걸림링(25)에 걸리기 위해 구성된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걸림다리(50)의 갯수는 네 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주사바늘고정부(5)에서 주사바늘(4)과 걸림다리(50)를 잇는 몸통부(54)는 단차진 상태로 형성되며, 상기 몸통부(54)의 저면에는 중심핀(26)과 결합될 수 있도록 중심핀결합홈(56)을 형성하며 상기의 중심핀결합홈(56)에는 마주보는 두 개의 편심유도돌기(5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에서 마주보는 편심유도돌기(55) 사이의 간격은 밀대(2)측에 구비된 원뿔 형상의 중심핀(26) 하부의 직경보다 작도록 형성된다. 즉, 원뿔 형상의 중심핀(26)이 중심핀결합홈(56)에 인입되는 과정에서 편심유도돌기(55)에 의해 정확히 중심에 결합되지 않고 편심유도돌기(55)가 없는 어느 일측으로 미끄러지며 편심된 결합을 한다.
주사바늘고정캡(6)은 주사바늘고정부(5)를 실린더(1)의 상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안정된 고정을 위하여 실린더(1)의 상부를 분리한 개념이다.
즉, 주사바늘고정캡(6) 내측에 주사바늘고정부(5)를 장착한 후 실린더(1) 본체에 주사바늘고정캡(6)을 결합하는 것으로, 상기의 주사바늘고정캡(6)은 내측에 돌기와 홈으로 이루어진 제2결합부(61)가 형성되어 있으며 실린더(1) 측의 제1결합부(12)에 형성된 돌기와 홈에 서로 끼워맞춤 형식으로 조립된다. 도 1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와 주사바늘고정캡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또한, 주사바늘고정캡(6)의 내측에는 밀폐기능의 오링(O-ring) 소재를 적용하지 않기 위해 이를 대신하는 다수개의 오링돌기(6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의 오링돌기(62)는 주사바늘고정부(5)와 밀착되어 밀폐기능을 대신한다.
바늘보호캡(7)은 주사바늘(4)이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바늘에 찔리는 사고를 방지하며, 주사바늘(4)의 휘어짐 및 이물질에 묻지 않도록 캡을 씌워 주사바늘(4)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주사기의 사용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주사바늘(4)을 보호하기 위해 덮여진 주사바늘 보호캡(6)을 분리한 후 주사바늘(4)을 주사액에 담궈 주사액을 실린더(1) 내부로 흡입 충진한다. 이때, 실린더(1) 내에 삽입되어 있는 밀대(2)를 개구부(15) 방향으로 당김으로 실린더(1)와 기밀접촉된 상태를 형성하는 피스톤(3)에 의해 흡입력이 발생한다. 내부에 주사액이 충진된 주사기의 주사바늘(4)을 환자의 피부에 꽂아 투약과정이 이루어지며 이때 주사기의 밀대(2)를 주사액배출부(11) 방향으로 밀면 실린더(1) 내부에 압력이 높아지고 주사액은 주사바늘(4)을 통해 배출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주사기의 사용과정은 종래의 주사기와 그 과정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주사바늘고정부와 걸림다리인입부가 결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 14는 주사바늘고정부의 중심핀결합홈에 중심핀이 결합된 모습 저면도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 15는 주사바늘고정부의 일부 단면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주사기의 실린더(1) 내부에 충진된 주사액을 밖으로 배출하는 과정에서 밀대(2)가 실린더(1)의 주사액배출부(11)에 닿기 전에 밀대(2)의 상부에 구비된 걸림다리인입부(24)와 주사바늘고정부(5)에 구비된 다수의 고정다리(50)와 맞닿게 된다. 이때, 밀대(2)를 더 밀어넣으면 플라스틱 소재로 제조된 다수의 걸림다리(50)는 걸림다리인입부(24) 안으로 오무려드는 수축력이 작용하며 삽입되며, 이때 걸림다리(50) 하부에 구성된 제2걸림돌기(52)는 걸림다리인입부(24) 측의 걸림링(25)에 걸려서 이탈할 수 없도록 결합 된다. 상기에서 걸림다리(50)가 걸림다리인입부(24) 안으로 휘어지는 과정에서 걸림다리(50) 상부에 구비된 제1걸림돌기(51)는 실린더(1)측의 제1걸림턱(14)에서 분리된다. 바람직하게, 상기에서 걸림다리(50)가 걸림다리인입부(24) 측으로 삽입시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걸림다리(50) 하부에 구성된 제2걸림돌기(52)는 하향으로 좁혀지는 경사진 모양으로 형성된다.
상기에서 걸림다리인입부(24)의 중심에는 소정의 길이에 해당하는 원뿔 모양 의 중심핀(26)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의 중심핀(26)은 주사바늘고정부(5)의 저면부에 구비된 중심핀결합홈(56)과 결합된다. 그러나, 상기의 중심핀결합홈(56)에는 두 개의 편심유도돌기(55)가 마주보고 있어 중심핀(26)이 중심핀결합홈(56)의 중심에 결합할 수 없고 편심유도돌기(55)가 없는 어느 일측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의 편심유도돌기(55) 사이의 간격은 원뿔 모양의 중심핀(26) 하부 직경보다 작아서 중심핀(26)이 중심핀결합홈(56)에 삽입시 점점 넓어지는 원뿔 모양의 직경이 편심유도돌기(55)에 걸리며 편심유도돌기(55)가 없는 다른 일측으로 중심핀(26)이 미끄러지고 중심핀결합홈(56)에 편심되어 결합된다. 상기에서 주사바늘고정부(5)는 중심핀(26)이 삽입된 반대 방향으로 꺾이게 되나, 밀대(2)를 개구부(15) 방향으로 당기지 않는 한 주사바늘고정부(5)는 꺾이고자 하는 힘만 작용할 뿐 실린더(1)의 주사바늘고정캡(6)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다.
도 1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주사바늘고정부를 실린더 내부로 인입시키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동작 상태도이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에서 밀대(2)를 개구부(15)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걸림다리인입부(24)의 걸림링(25)과 걸림다리(50)의 제2걸림돌기(52)가 서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당기는 밀대(2)의 방향에 따라 주사바늘고정부(5)도 실린더(1)의 내측으로 인입된다.
상기에서 실린더(1) 내측으로 인입된 주사바늘고정부(5)는 밀대(2)의 중심핀(26)이 중심핀결합홈(56)에 결합시 편심유도돌기(55)에 의해 중심에서 어긋난 편심상태로 결합되어 주사바늘(4)을 포함하는 주사바늘고정부(5)는 실린더(1) 내측의 벽면으로 꺾이게 된다. 즉, 밀대(2)를 다시 밀어 넣는다 하더라도 주사바늘(4)이 외부로 나올 수 없도록 하였다.
도 1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안전 주사기의 폐기시 밀대를 절단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동작 상태도이다.
상기에서 실린더(1) 내부로 주사바늘고정부(5)를 인입한 후 주사기를 폐기시 부피를 줄이며, 다시 밀대(2)를 안으로 밀어넣지 못 하도록 밀대(2)에 구비된 밀대절단홈(27)에 의해 밀대(2)를 절단한 후 폐기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안전 주사기를 도시한 전체 단면도이며,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안전 주사기에서 주사바늘고정부가 밀대측에 걸린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며,
도 3은 종래의 안전 주사기를 성형하던 사출성형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4는 종래의 안전 주사기에서 제2걸림턱이 뭉뚝하게 가공되는 문제점을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주사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주사기의 분해 정단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주사기의 조립상태 정단면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주사기의 걸림다리인입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주사기의 사출성형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1은 본 고안에 의한 안전 주사기에서 주사바늘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와 주사바늘고정캡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며,
도 13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주사바늘고정부와 걸림다리인입부가 결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 1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주사바늘고정부의 중심핀결합홈에 중심핀이 결합된 모습 저면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 1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주사바늘고정부의 일부 단면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주사바늘고정부를 실린더 내부로 인입시키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동작 상태도이며,
도 1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주사기의 폐기시 밀대를 절단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동작 상태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실린더 2 : 밀대
3 : 피스톤 4 : 주사바늘
5 : 주사바늘고정부 6 : 주사바늘고정캡
7 : 바늘보호캡 A : 금형틀
11 : 주사액배출부 12 : 제1결합부
13 : 흔들림방지부 14 : 제1걸림턱
15 : 개구부 16 : 플랜지
17 : 이탈방지턱 21 : 하단판
22 : 상단판 23 : 피스톤고정돌기
24 : 걸림다리인입부 24a : 제2걸림턱
25 : 걸림링 26 : 중심핀
27 : 밀대절단홈 28 : 걸림링지지대
29 : 사출통공 50 : 걸림다리
51 : 제1걸림돌기 52 : 제2걸림돌기
53 : 바늘결합홈 54 : 몸통부
55 : 편심유도돌기 56 : 중심핀결합홈
61 : 제2결합부 62 : 오링돌기

Claims (4)

  1. 내부가 공간부로 형성되어 주사액을 저장할 수 있으며 일측은 주사액배출부(11)를 형성하고 있는 실린더(1)와, 상기 실린더(1)의 내측에 삽입되어 종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하는 밀대(2)와, 상기 밀대(2)가 실린더(1)와 기밀접촉 하도록 밀대(2)의 상부에 결합된 피스톤(3)과, 상기 실린더(1)의 상부에 장착되어 주사바늘(4)을 고정하고 있는 주사바늘고정부(5)를 포함하여 구성된 주사기에 있어서,
    주사기의 사용 후 상기 주사바늘고정부(5)는 실린더(1) 내부로 인입 수용한 후 폐기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주사바늘고정부(5)에는 제1걸림돌기(51) 및 제2걸림돌기(52)를 구비한 다수의 걸림다리(50)가 하부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밀대(2)의 상부에는 주사바늘고정부(5)의 걸림다리(50)가 인입된 후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다리인입부(24)가 형성되는 것으로, 밀대(2)의 후진시 주사바늘고정부(5)가 함께 후진하여 실린더(1) 내측으로 수용되며,
    상기의 걸림다리인입부(24)는 링 형태의 걸림링(25)이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링(25)을 연결 지지하는 다수의 걸림링지지대(28)가 수직으로 형성된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주사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의 걸림다리인입부(24)의 측면은 오픈된 형태를 갖는 것으로, 다수의 걸 림링지지대(28) 사이에는 사출성형시 금형틀(A)이 빠져나오기 위한 사출통공(29)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주사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의 걸림링(25) 내주연은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그 직경이 점차 좁아지는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주사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의 걸림다리인입부(24) 중심에는 원뿔 모양의 소정의 길이를 갖는 중심핀(26)이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의 주사바늘고정부(5)의 하부에는 중심핀결합홈(56)을 형성하되, 중심핀결합홈(56) 내측에는 두 개의 편심유도돌기(55)가 마주보도록 형성된 것으로,
    중심핀(26)이 중심핀결합홈(56)에 삽입시 편심유도돌기(55)에 의해 어느 한 방향으로 편심 결합되고, 걸림다리(50)의 제2걸림돌기(52)와 걸림다리인입부(24)의 걸림링(25)이 상호간 맞물린 결합에 의해 편심 결합된 상태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주사기.
KR20080005937U 2008-05-06 2008-05-06 안전 주사기 KR2004428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05937U KR200442835Y1 (ko) 2008-05-06 2008-05-06 안전 주사기
PCT/KR2009/000208 WO2009136687A1 (ko) 2008-05-06 2009-01-15 안전주사기
US12/991,428 US8936570B2 (en) 2008-05-06 2009-01-15 Safety syrin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05937U KR200442835Y1 (ko) 2008-05-06 2008-05-06 안전 주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2835Y1 true KR200442835Y1 (ko) 2008-12-17

Family

ID=41264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05937U KR200442835Y1 (ko) 2008-05-06 2008-05-06 안전 주사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936570B2 (ko)
KR (1) KR200442835Y1 (ko)
WO (1) WO200913668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698B1 (ko) 2013-05-31 2015-02-23 동국제약 주식회사 니들허브 이탈방지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Z305238B6 (cs) * 2014-04-09 2015-06-24 Jan KavalĂ­rek Spojovací ústrojí jehly s pístem pro bezpečnostní injekční stříkačku
CN112999468B (zh) * 2021-02-09 2023-07-04 上海康德莱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一种安全注射器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6489A (en) * 1988-01-14 1989-05-02 Habley Medical Technology Corporation Disposable safety syringe having means for retracting its needle cannula into its medication cartridge
US4986813A (en) * 1988-02-01 1991-01-22 The MadTech Group, Inc. Disposable hypodermic syringe
US5858000A (en) * 1988-12-14 1999-01-12 Inviro Medical Devices Ltd. Safety syringe needle device with interchangeable and retractable needle platform
US5462531A (en) * 1988-12-14 1995-10-31 Inviro Medical Devices Ltd. Safety syringe needle device with interchangeable and retractable needle platform
US5578015A (en) * 1989-09-18 1996-11-26 Robb Pascal Patent Limited Safety syringe incorporating automatic needle holder release
US5401246A (en) * 1991-06-13 1995-03-28 U.S. Medical Instruments, Inc. Retractable syringe with a closed barrel
US5205824A (en) * 1991-06-13 1993-04-27 Mazur Matthew S Retractable syringe with a closed barrel
US5267962A (en) * 1992-06-10 1993-12-07 Jenson Robert W Disposable hypodermic syringe with needle safe feature
EP0633036A1 (en) * 1993-06-29 1995-01-11 Yoshikuni Saito Retractable needle syringe
ATE156712T1 (de) * 1993-07-26 1997-08-15 Finestyle Properties Limited Wegwerfbare spritze mit einziehbarer nadel
US5405327A (en) * 1994-07-29 1995-04-11 Chen; Long-Hsiung Simplified safety syringe with retractable self-biased needle and minimized plunger
AUPN254195A0 (en) * 1995-04-20 1995-05-18 Curie, Napoleon Syringe with retractable needle mount
JP2002500535A (ja) * 1997-05-26 2002-01-08 ソメール,ブリス 安全注射器
US6193695B1 (en) * 2000-01-14 2001-02-27 Wayland J. Rippstein, Jr. Disposable safety syringe having a retractable needle
US6530903B2 (en) * 2000-02-24 2003-03-11 Xiping Wang Safety syringe
EP1281410A1 (en) * 2001-08-03 2003-02-05 Sergio Restelli Automatic safety syringe
US6656165B2 (en) * 2001-10-26 2003-12-02 Hsin Cheng Chen Disposable safety syringe
US20030093038A1 (en) * 2001-11-15 2003-05-15 Kun-Feng Chiang Needle retraction type safety syringe
TW563555U (en) * 2002-02-08 2003-11-21 Jian-Wei Jung Injector capable of controlling the fastening of needle seat and easily retractable
US20030212371A1 (en) * 2002-05-10 2003-11-13 Martin E. Smith Disposable safety syringe
US6827704B1 (en) * 2003-05-15 2004-12-07 Ching Chao Hou Safety syringe
KR100566568B1 (ko) 2003-05-26 2006-04-04 백우인 일회용 안전주사기
US20060264840A1 (en) * 2005-05-09 2006-11-23 Daniel Thayer Syringe
KR200391370Y1 (ko) 2005-05-16 2005-08-01 최숙녀 안전 주사기
US7972301B2 (en) * 2006-04-03 2011-07-05 Safeshot Technologies, Llc Safety needle syringe braking system
KR200423645Y1 (ko) 2006-05-22 2006-08-09 최숙녀 안전 주사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698B1 (ko) 2013-05-31 2015-02-23 동국제약 주식회사 니들허브 이탈방지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66115A1 (en) 2011-03-17
WO2009136687A1 (ko) 2009-11-12
US8936570B2 (en) 2015-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8970B1 (ko) 인슐린 투약용 안전 주사기
KR101678074B1 (ko) 재사용 차단용 주사기
KR200442835Y1 (ko) 안전 주사기
KR200459032Y1 (ko) 일회용 안전 주사기
KR102224517B1 (ko) 재사용 방지를 위해 외부 하우징과 록킹 모듈 간의 록킹 구조를 개선한 일회용 주사 장치
JP2010517691A (ja) 再利用防止機構を有する注射器アセンブリ
KR950001770B1 (ko) 안티-스틱(anti-stick) 접촉 전염 방지 일회용 안전 피하 주사기
KR100629274B1 (ko) 안전 주사기
KR200423645Y1 (ko) 안전 주사기
KR101234057B1 (ko) 안전 주사기
KR20200069539A (ko) 이중격실 사전충진 안전주사기
KR20180044860A (ko) 주사기의 바늘찔림 방지방법
EP4011422B1 (en) Disposable injection device with locking structure to prevent reuse
KR20190002857U (ko) 인슐린 투약용 안전 펜 니들
KR102219038B1 (ko) 외부 하우징에 수용된 록킹 모듈과 주사액이 담긴 약액 카트리지 간의 결합구조를 개선한 일회용 주사 장치
KR20200059610A (ko) 안전 필터 주사기의 록킹구조
KR102277556B1 (ko) 재사용 방지용 주사장치
KR101097763B1 (ko) 일회용 주사기
KR20080091568A (ko) 개선된 치과용 주사기 및 주사 바늘
KR102032950B1 (ko) 스틱 인저리 방지기능을 갖는 주사기
KR102512519B1 (ko) 재사용 방지용 주사장치
KR102213863B1 (ko) 의약품 주입용 기구 재사용방지구의 록킹돌기 작동장치
KR20100079756A (ko) 일회용 주사기
KR20220002618U (ko) 컷오프 록킹구를 갖는 재사용이 방지되는 일회용 안전주사기
KR20200076862A (ko) 일회용 주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80506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0707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06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92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120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8120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7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5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40814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4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U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U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4081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6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70727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40814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7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U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U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7072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81106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727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4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