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42816Y1 -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2816Y1
KR200442816Y1 KR2020070004809U KR20070004809U KR200442816Y1 KR 200442816 Y1 KR200442816 Y1 KR 200442816Y1 KR 2020070004809 U KR2020070004809 U KR 2020070004809U KR 20070004809 U KR20070004809 U KR 20070004809U KR 200442816 Y1 KR200442816 Y1 KR 2004428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filter
dust
air
cage
compressed ai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48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4180U (ko
Inventor
한형수
Original Assignee
한스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스엔지니어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스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048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2816Y1/ko
Publication of KR200800041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1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28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2816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81Venturi's or systems showing a venturi effe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백필터가 사용되는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틀체가 되는 케이지(4) 외부에 씌워진 상태로 설치되는 백필터(2,bag filter), 백필터(2)에 점착되는 분진을 탈거하기 위한 소제용 분사수단(8)을 포함하는 집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사수단(8)은, 상기 케이지(4)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분사공(14)이 마련되는 기다란 관형상의 몸체(10); 상기 몸체(10)의 상부에 일체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관(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노즐, 백필터, 공기정화, 여과, 케이지, 분진, 집진

Description

집진장치{dust collector}
도 1은 백필터 케이지와 압축공기 분배관의 측면구조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분사수단의 설치상태를 도시하는 백필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백필터가 결합된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백필터가 설치되는 집진기의 개략적 정면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백필터(bag filter) 4 ; 케이지(cage)
8 ; 분사수단 10 ; 몸체
12 ; 유입관 14 ; 분사공
18 ; 브래킷 100 ; 분배관
본 고안은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산업용 집진장치에 공기의 여과를 위해 설치되는 백필터에 점착된 분진 등을 제거하기 위한 분사수단을 가지는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의 플랜트, 지하철 등에서 공기중 포함되어 있는 분진 등을 제거하여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산업용 집진장치가 사용된다. 집진장치의 기본적 구조는 오염공기 유입부와, 정화부 및 정화공기 배출부로 구성된다. 정화부는 오염된 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한 미세분진을 물리적, 화학적 또는 전기적 방법에 의해 제거 내지 수거하는 기능을 위한 것이다. 물리적 정화방법의 대표적인 것은 백필터(bag filter)를 이용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직포 또는 부직포로 된 백필터에 오염공기를 통과시켜 분진 등이 백필터에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보통의 산업용 집진장치는 대용량이며 오염정도가 심한 공기를 정화하기 때문에 많은 수의 백필터가 하나의 집진장치에 카트리지 형태로 설치된다.
산업용 집진장치에서 백필터에 많은 양의 분진이 점착되기 때문에 백필터를 주기적으로 소제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많은 수의 백필터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소제하기는 무리가 있기 때문에 통상은 기계적 수단에 의해 자동으로 소제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환경에 있는 백필터를 효과적으로 소제하기 위한 소제수단을 가지는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백필터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백필터 케이지와 압축공기 분배관의 측면구조를 도시한다.
백필터(2)는 직포 또는 부직포로 되어 있기 때문에 부정형성을 가지기 때문 에 틀체인 케이지(4) 외부에 씌워진 상태로 설치된다. 오염공기는 화살표방향과 같이, 백필터(2)의 외부로부터 인입되어 정화된후 상방향으로 빠져 나가도록 되어 있다. 백필터(2)를 소제할 경우에는 그와 역방향으로 백필터(2) 내부에서 외부를 향하여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외면에 점착되는 분진을 떨어내게끔 되어 있다. 이 경우 압축공기가 분사되는 분배관(100)의 분사구가 도시된 것처럼 백필터 상부에만 위치됨으로써 압축공기가 백필터(2)의 하부까지 미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백필터(2)의 전체에 걸쳐 만족스럽게 소제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고안의 목적은 산업용 집진장치에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백필터로부터 분진을 탈거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백필터의 전체를 효과적으로 소제할 수 있게 하는 백필터 소제장치 내지 그를 위한 분사수단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구체적으로는 백필터 전체에 세정용 압축공기가 미치도록 함으로써 소제의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은, 분진을 포함하는 오염공기를 유입하는 오염공기 유입부, 틀체가 되는 케이지 외부에 씌워진 상태로 설치되는 기다란 백필터를 이용하여 분진을 수거하기 위한 정화부 및 정화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정화공기배출부; 오염공기 유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정화과정에서 상기 백필터에 점착되는 분진을 탈거하기 위한 소제용 분사수단을 포함하는 집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사수단은, 공압발생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상기 백필터의 전체면에 걸쳐 이르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케이지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분사공이 마련되며, 상기 백필터의 길이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지는 관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에 일체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분사수단의 설치상태를 도시하는 백필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백필터가 결합된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전술한 것처럼 백필터(2) 자체는 직포 또는 부직포에 의한 것으로서 비정형성을 가진다. 따라서 백필터(2)는 납작한 육각면통 형상의 케이지(4) 외부에 씌워진 상태로 설치된다. 케이지(4)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서 정형성을 가지며 그의 전후면에는 다수의 공기유통공(6)이 펀칭에 의해 타공된다.
케이지(4) 내부에는 그의 길이방향으로 본 고안에 의한 분사수단(8)이 삽입된다. 분사수단(8)은 기다란 관형상의 몸체(10)와 그의 상부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유입관(12)으로 구성된다. 유입관(12)은 몸체(10)와 동일한 직경 및 재질의 파이프가 될 수 있다. 몸체(10)는 백필터(2)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짐으로써 설치시 백필터(2)의 하단부까지 연장된다. 유입관(12)은 도시된 것처엄 깔때기와 같이 위가 넓고 아래가 좁은 형태로서 유입되는 공기를 수집 내지 유도하여 몸체(10)로 투입할 수 있도록 한다.
몸체(10)에는 그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 길이에 걸쳐 다수의 분사공(14)이 타공되어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분사공(14)은 장방형의 타원 형태이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을 것이다. 분사공(14)은 몸체(10)의 일방향 또는 그와 대향되는 반대방향에도 구비될 수 있다.
공압발생수단(compressor, 미도시됨)로부터 발생된 압축공기는 분배관(100)을 통해 유입관(12)과 몸체(10)로 유입된다. 참고적으로 통상의 펄스밸브가 분배관의 공압분사를 제어하게 된다.
몸체(10)로 유입되는 공기는 분사공(14)을 통해 케이지(4) 내면 및 백필터(2) 내면을 향해 분사된다. 화살표로 표시된 압축공기의 분사방향은 정화시에 있어서의 오염공기의 유입방향과 반대방향이다.
몸체(10)의 상단에는 브래킷(18)이 용접 등으로 부착된다. 브래킷(18)에 의해 분사수단(8)을 케이지(4) 내부에 걸쳐 놓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몸체(10)가 케이지(4) 내부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분사수단 고정수단(미도시됨)이 더 마련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몸체(10)의 상단에 일체형으로 또는 조립형으로 결합되는 유입관(12)과 관련된다. 유입관(12)은 벤츄리관으로 되어 있다. 나아가 유입관(12)은 도시된 것처럼 이중 벤츄리관(venturi tube)으로 될 수 있다. 유체의 기본적 이론인 베르누이 정리에 따르면 벤츄리관을 통과하는 유체는 압력은 낮아지고 속도는 높아진다. 즉, 압축공기는 속도가 증가된 상태에서 분사수단(8)으로부터 백필터(2)를 향해 분사된다. 이는 백필터(2)에 부착된 분진을 강력한 분사력을 이용하여 탈거시키기 위한 유용한 수단이 된다.
본 고안에 의한 분사수단(8)은 하나의 케이지(4) 내에 다수개가 일렬로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케이지(4)의 크기에 종속되는 사항이므로 설치되는 분사수단의 개수는 본 고안의 핵심사항과는 관계가 없다.
본 고안의 개념은 도시된 바와 같은 케이싱 형태(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는 형태)의 백필터 뿐만 아니라 유입공기의 유입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판형태(또는 스크린 형태)의 백필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위와 같은 분사수단의 설치상태를 도 4는 본 고안의 백필터가 설치되는 집진기의 개략적 정면 구성도를 통해 간단히 살펴본다.
다수의 백필터 케이지(4)가 설치되는 여과실(20) 내부로 오염공기가 유입되며 정화공기는 굴뚝(2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여과실(20) 내부에는 분진의 수거를 위한 포집실(24)이 설치된다. 오염공기는 여과실(20) 후방에 설치되는 송풍기(26)에 의해 유입된다. 포집실(24)에 의해 포집된 분진은 이송스크류 등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백필터에 점착되는 분진을 효과적으로 탈거시킬 수 있는 백필터 소제용 분사수단을 구비하는 집진장치가 제공된다. 구체적으로는 필터의 전체면에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게 되어 백필터를 더욱 깨끗하게 소제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백필터의 수명과 여과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집진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유입관을 벤츄리관으로 하는 실시예에 의하면, 필터에 분사되는 공기의 속도를 높일 수 있어 분진을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제거 또는 수거할 수 있게 하는 집진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2)

  1. 분진을 포함하는 오염공기를 유입하는 오염공기 유입부, 틀체가 되는 케이지(4) 외부에 씌워진 상태로 설치되는 기다란 백필터(2)를 이용하여 상기 분진을 수거하기 위한 정화부 및 정화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정화공기배출부; 오염공기의 유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정화과정에서 상기 백필터(2)에 점착되는 분진을 탈거하기 위한 소제용 분사수단(8)을 포함하는 집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사수단(8)은, 공압발생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상기 백필터(2)의 전체면에 걸쳐 이르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케이지(4)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분사공(14)이 마련되며, 상기 백필터(2)의 길이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지는 관형상의 몸체(10); 상기 몸체(10)의 상부에 일체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관(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12)은 벤츄리관(venturi tube)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KR2020070004809U 2007-03-23 2007-03-23 집진장치 Expired - Lifetime KR2004428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4809U KR200442816Y1 (ko) 2007-03-23 2007-03-23 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4809U KR200442816Y1 (ko) 2007-03-23 2007-03-23 집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180U KR20080004180U (ko) 2008-09-26
KR200442816Y1 true KR200442816Y1 (ko) 2008-12-11

Family

ID=41325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4809U Expired - Lifetime KR200442816Y1 (ko) 2007-03-23 2007-03-23 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281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115B1 (ko) * 2012-05-08 2014-04-1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고성능 탈진장치를 구비한 여과집진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KR102587692B1 (ko) * 2023-02-09 2023-10-11 한철윤 규조토 분말 살포 유닛을 장착한 집진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432B1 (ko) * 2009-02-24 2009-04-06 (주) 동문테크 백휠터의 바이브로스타백과 케이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115B1 (ko) * 2012-05-08 2014-04-1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고성능 탈진장치를 구비한 여과집진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KR102587692B1 (ko) * 2023-02-09 2023-10-11 한철윤 규조토 분말 살포 유닛을 장착한 집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180U (ko) 2008-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9242B1 (ko) 집진기용 백필터의 분진 탈진장치
KR101309025B1 (ko) 집진기용 벤츄리
KR101044658B1 (ko) 필터의 분진제거가 용이한 집진기
CN105477944B (zh) 一种可方便处理积尘的空气净化装置
JP4329657B2 (ja) ガス清浄装置
KR20140032245A (ko) 필터의 분진제거가 용이한 집진기
KR200442816Y1 (ko) 집진장치
KR200321528Y1 (ko) 집진기 백필터용 이젝터
KR20240068892A (ko) 자가 밀폐형 탈진 장치
WO2011119475A1 (en) Filter assembly
KR20150015194A (ko) 디퓨져가 내장된 백필터
CN113713550A (zh) 一种纺织定型机废气处理设备的过滤箱
JP2007090222A (ja) バグフィルタ集塵装置
KR101863676B1 (ko) 전기 집진장치
KR100845958B1 (ko) 집진기의 필터고정구조
KR20090016184A (ko) 탈진장치가 구비된 여과집진기
CN115608074B (zh) 工业废气除尘絮装置
CN216023937U (zh) 一种纺织定型机废气处理设备的过滤箱
CN104645738B (zh) 湿式静电油烟净化器中的除纤维装置
JP2024079040A (ja) 逆気流脱塵方式の集塵装置、振動型脱塵方式の集塵装置または電気集塵装置を改造してなる衝撃気流脱塵方式の集塵装置
CN209286862U (zh) 一种片剂药品车间除尘设备
WO2006003365A1 (en) Filter apparatus
KR100545265B1 (ko) 여과집진장치
JP2003107190A (ja) 核燃料物質含有ダスト捕集装置
CN221085196U (zh) 一种废气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70323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80527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2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120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81205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1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7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