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2720Y1 - Flooring material with adhesive part which can adjust construction position - Google Patents
Flooring material with adhesive part which can adjust construction posi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42720Y1 KR200442720Y1 KR2020070015009U KR20070015009U KR200442720Y1 KR 200442720 Y1 KR200442720 Y1 KR 200442720Y1 KR 2020070015009 U KR2020070015009 U KR 2020070015009U KR 20070015009 U KR20070015009 U KR 20070015009U KR 200442720 Y1 KR200442720 Y1 KR 20044272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dhesive
- flooring
- pressure
- adhesive portion
-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4—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7/00—Walls, pane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7—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with connections using a special adhesive materia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3/00—Specially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03/06—Specially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two layers fixedly secured to one another, in offset relationship in order to form a reb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닥재 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판과 하판으로 이루어진 바닥재 시트를 연결함에 있어서, 점착제가 도포된 점착부 일부에 비점착처리부를 형성하여, 바닥재 시트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시공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바닥재 시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ring sheet, and more specifically, in connecting the flooring sheet consisting of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by forming a non-adhesive treatment portion on a por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applied,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flooring sheet, the construction position It relates to a flooring sheet that can be adjusted.
본 고안은 구체적으로 비점착처리부를 갖는 이중층 구조의 바닥재로서, 상기 바닥재는 바닥에 접하는 하판 및 상기 하판 위에 적층되는 상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판은 상판의 하면과 하판의 상면이 단차를 형성하며 접하도록 상기 하판의 상면에 적층되어, 점착제가 도포된 상판의 하면과 하판의 상면에는 점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판 점착부의 일부에 점착제가 노출되지 않은 비점착처리부가 구비되는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부를 갖는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specifically a double-layered flooring having a non-adhesive treatment, wherein the flooring is made of a lower plate in contact with the bottom and the upper plate laminated on the lower plate, the upper plate is formed by contacting the low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to form a step The adhesive part is l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so that an adhesive part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on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applied, and a non-adhesive treatment part in which the adhesive is not exposed is provided on a part of the lower plate adhesive part. It relates to a flooring having.
바닥재, 점착부, 비점착처리부 Flooring, Adhesive, Non-Adhesive Treatment
Description
본 고안은 바닥재 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판과 하판으로 이루어진 바닥재 시트를 연결함에 있어서, 점착제가 도포된 점착부 일부에 비점착처리부를 형성하여, 바닥재 시트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시공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바닥재 시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ring sheet, and more specifically, in connecting the flooring sheet consisting of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by forming a non-adhesive treatment portion on a por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applied,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flooring sheet, the construction position It relates to a flooring sheet that can be adjusted.
종래에는 건물의 실내 바닥에 일체형 장판지를 깔아서 사용하였으나, 최근에는 일정 크기의 블록형 바닥재를 연결하여 실내 바닥을 장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In the past, an integrated floorboard was used on the indoor floor of a building, but recently, it is common to decorate an indoor floor by connecting a block-type flooring of a predetermined size.
블록형 바닥재를 이용하여 바닥을 시공함에 있어서, 실내 바닥 구조 상면에 점착제를 도포한 후, 블록형 바닥재를 붙이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는데, 이때 사용되는 다량의 점착제가 거주자로 하여금 새집증후군(Sick House Syndrome)을 유발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In the construction of the floor using the block-type flooring, a method of apply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door floor structure and then attaching the block-type flooring was mainly used. At this time, a large amount of the adhesive was used to induce the sick house syndrome (Sick House Syndrome). ) Was causing problem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이중층 구조를 갖는 블록형 바닥재(1)가 사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재(1)는 상판(10)과 하판(20)이 적층된 이중층 구조를 갖는데, 상판(10)이 하판(20) 상면에 단차를 두고 적층되며, 점착제가 도포된 채 노출된 상판(10)의 하면과, 하판(20)의 상면을 이용하여 바닥재(1) 사이를 연결한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block
이와 같은 이중층 구조의 블록형 바닥재(1)를 사용하는 경우, 상판(10)의 단부를 하판(20)의 상면에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도 1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판(10)의 단부 모서리가 하판(20)의 상면에 도포된 점착제를 한 방향으로 밀어내며, 점착제가 하판(20) 상면에 골고루 도포되지 못한 경우, 상판(10)과 하판(20)의 점착면이 울퉁불퉁하게 될 우려가 있다.In the case of using the block-
또한, 점착 초기 잘못된 위치에 바닥재(1)가 시공될 경우, 미리 도포된 점착제에 의하여 탈착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도 1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시공 후 블록형 바닥재(1) 간의 모서리가 맞닿지 않는 등 시공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본 고안은 바닥재가 잘못된 위치에 시공되지 않도록, 시공과정에서 바닥재의 시공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바닥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ooring material that can adjust the construction position of the flooring in the construction process, so that the flooring is not installed in the wrong position.
또한, 본 고안은 바닥재의 모서리가 미리 도포된 점착제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하여, 점착제가 한 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edge of the flooring material from directly contacting the adhesive applied in advance, thereby preventing the adhesive from being pushed in one direction.
본 고안에서는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비점착처리부를 갖는 이중층 구조의 바닥재로서, 상기 바닥재는 바닥에 접하는 하판 및 상기 하판 위에 적층되는 상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판은 상판의 하면과 하판의 상면이 단차를 형성하며 접하도록 상기 하판의 상면에 적층되어, 점착제가 도포된 상판의 하면과 하판의 상면에는 점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판 점착부의 일부에 점착제가 노출되지 않은 비점착처리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부를 갖는 바닥재를 제공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s a double-layered flooring having a non-adhesive treatment, the flooring is made of a bottom plate in contact with the bottom and the top plate laminated on the bottom plate, the top plate is a lower surface of the top plate and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plate It is l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so as to form this step, the adhesive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applied, the non-adhesive treatment portion is provided with a portion of the lower plate adhesive portion is not exposed to the adhesive It provides a flooring having an adhesive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또한, 상기 비점착처리부는 상기 바닥재 하판 점착부의 한 방향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부를 갖는 바닥재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non-adhesive treatment provides a flooring material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only one direction of the bottom plate pressure-sensitive adhesive portion.
이외에도, 상기 비점착처리부는 상기 하판의 점착부 상에 상기 점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점착제를 도포하지 않음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부를 갖는 바닥재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non-adhesive treatment provides a flooring material having an adhesive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adhesive is formed on the adhesive portion of the lower plate by not applying the adhesi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dhesive portion.
특히, 상기 점착제가 도포되지 않은 비점착처리부는 상기 점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단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부를 갖는 바닥재를 제공한다.In particular, the non-adhesive treatment portion is not applied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o provide a flooring having an adhesive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termittent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dhesive portion.
또한, 상기 비점착처리부는 상기 하판의 점착부 상에 상기 점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홈이 시공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부를 갖는 바닥재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non-adhesive treatment provides a flooring material having an adhesive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dhesive portion on the adhesive portion of the lower plate.
특히, 상기 홈은 상기 점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단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부를 갖는 바닥재를 제공한다.In particular, the groove provides a flooring having an adhesive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termittent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dhesive portion.
또한, 상기 비점착처리부는 상기 하판의 점착부 상에 비점착재를 부착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부를 갖는 바닥재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non-adhesion treatment unit provides a flooring material having an adhesive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attaching a non-adhesive material on the adhesive portion of the lower plate.
이외에도, 상기 비점착재는 종이, 직물 또는 특수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부를 갖는 바닥재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non-adhesive material provides a flooring having an adhesive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paper, fabric or special sheet.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 상판 점착부의 일부에 점착제가 노출되지 않은 비점착처리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부를 갖는 바닥재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looring material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non-adhesive treatment portion is not exposed to a portion of the upp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portion.
또한, 상기 비점착처리부는 상기 바닥재 상판 점착부의 한 방향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부를 갖는 바닥재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non-adhesive treatment provides a flooring material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only one direction of the bottom plate adhesive portion.
또한, 상기 비점착처리부는 상기 상판의 점착부 상에 상기 점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점착제를 도포하지 않음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부를 갖는 바닥재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non-adhesive treatment provides a flooring material having an adhesive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adhesive is formed on the adhesive portion of the upper plate by not applying the adhesi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dhesive portion.
특히, 상기 점착제가 도포되지 않은 비점착처리부는 상기 점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단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부를 갖는 바닥재를 제공한다.In particular, the non-adhesive treatment portion is not applied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o provide a flooring having an adhesive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termittent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dhesive portion.
또한, 상기 비점착처리부는 상기 상판 하면의 점착부와 상판 측면이 만나는 모서리가 C면 처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부를 갖는 바닥재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non-adhesive treatment provides a flooring material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rner portion where the adhesive side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side surface is formed by C surface treatment.
특히, 상기 C면은 상기 상판 하면의 점착부와 상판 측면이 만나는 모서리 상에 단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부를 갖는 바닥재를 제공한다.In particular, the C surface provides a flooring material having an adhesive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termittently on the corner where the adhesive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upper side surface meet.
이외에도, 상기 비점착처리부는 상기 상판의 점착부 상에 비점착재를 부착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부를 갖는 바닥재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non-adhesive treatment provides a flooring material having an adhesive portion, which is formed by attaching a non-adhesive material on the adhesive portion of the upper plate.
특히, 상기 비점착재는 종이, 직물 또는 특수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부를 갖는 바닥재를 제공한다.In particular, the non-adhesive material provides a flooring having an adhesive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paper, fabric or special sheet.
나아가, 본 고안에서는 상기 바닥재의 상판은 원목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부를 갖는 바닥재를 제공한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op plate of the flooring provides a flooring having an adhesive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solid wood.
본 고안에서는, 바닥재의 점착부 일부에 형성된 비점착처리부를 구비함으로써, 바닥재의 시공과정에서 바닥재의 시공 위치를 조정할 수 있어, 바닥재가 잘못된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non-adhesive treatment portion formed on a part of the adhesive portion of the flooring material, the construction position of the flooring material can be adjusted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flooring material, thereby preventing the flooring from being fixed at the wrong position.
또한, 본 고안에서는 바닥재의 모서리가 점착제를 밀어내어, 바닥재 간의 연 결면이 고르게 못하게 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problem that the edge of the flooring material pushes out the adhesive, the connection surface between the flooring becomes even.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닥재(1)의 구체적인 구성과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specific configuration and effect of the flooring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닥재(1)의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재(1)는 서로 측면이 접하도록 연결되어 바닥을 형성하는데, 미리 시공된 바닥재(1)의 측면에 다른 바닥재(1)의 측면을 맞추어 고정한다. 이때, 도면과 같이, 상기 이웃하여 연결되는 바닥재(1)를 비스듬히 기울여 측면의 위치를 먼저 조정한 후, 바닥재(1)를 고정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2a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the floorin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도 2b 및 도 2c에는 각각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닥재(1)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 및 연결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b에 도시된 것처럼, 본 고안의 바닥재(1)는 상판(10)과 하판(20)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판(10)이 하판(20)과 단차를 형성하도록 적층되어 있다. 상기 상판(10)의 하면과 하판(20)의 상면이 서로 겹치지 않는 부분, 즉 단차에 의해 형성된 점착부(11, 21)에는 점착제(30)가 미리 도포되어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재(1)의 하판(20) 점착부(21)에 이웃하여 연결되는 바닥재(1)의 상판(10) 점착부(11)가 얹혀 고정되는 방법으로 양 바닥재(1)가 점착되며, 상기 점착부(21)의 일부에는 비점착처리부가 형성되어 있다. 2b and 2c show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and a connecting side view showing a
상기 상판(10)과 하판(20)에 형성된 점착부(11, 21)는 상기 바닥재(1)와 이를 이루는 상판(10) 및 하판(20)이 사각형일 경우, L 자 형태로 연장되는데, L 자를 이루는 이웃하는 양 측면이 각 방향으로 동일한 길이만큼 연장되도록 상판(10)을 하판(20)에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도 2c에서 보듯이 상기 상판(10)의 하면과 하판(20)의 상면에는 점착제(30)가 도포되어 상기 상판(10)과 하판(20)을 고정하는데, 이웃하여 연결되는 바닥재(1)의 상판(10) 점착부(11)가 먼저 시공된 바닥재(1)의 하판(20) 점착부(21)에 안착되어 양 바닥재(1)가 연결된다. 연결되는 바닥재(1)의 상판(10) 측면은 상기 먼저 시공된 바닥재(1)의 상판(10) 측면에 접하도록 비스듬히 안착되고, 상기 하판(20) 점착부(21)의 일부에는 비점착처리부가 형성되어, 바닥재(1)의 시공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점착처리부를 구비하면, 상기 연결되는 바닥재(1)의 상판(10) 점착부(11)와 미리 시공된 바닥재(1)의 하판(20) 점착부(21)가 붙어 양 바닥재(1)의 위치가 고정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하고, 상판(10) 점착부(11)와 상판(10) 측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이 상기 미리 시공된 바닥재(1)의 하판(20)과 만나는 위치를 조정하여, 정확한 위치에 바닥재(1)를 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2C, a pressure-
구체적으로, 상기 비점착처리부는 상기 점착부(21) 상에 한 곳 또는 그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한 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거나, 단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비점착처리부가 단속적으로 형성되더라도, 상기 이웃하는 바닥재(1)의 점착부(11, 21)가 완전히 점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바닥재(1)의 시공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재(1) 하 판(20)의 점착부(21) 상에 형성되는 비점착처리부의 경우는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웃하여 연결되는 바닥재(1)의 상판(10) 점착부(11)와 상판(10) 측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이 직접 닿게 되는 위치 즉, 먼저 시공된 바닥재(1)의 상판(10)과 하판(20)이 만나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Specifically, the non-adhesive treatment portion may be formed at one or more places on the
도면에서 상기 비점착처리부는 홈(22)으로 표현되어 있는데, 상기 홈(22)은 점착제(30) 도포 전에 미리 형성되며, 상기 홈(22)에는 점착제(30)가 묻어있지 않거나 미량만 묻게 되므로, 상기 이웃하는 바닥재(1)의 상판(10) 점착부(11)와 먼저 시공된 바닥재(1)의 하판(20) 점착부(21)가 한 번의 접촉으로 완전 점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비점착처리부인 홈(22)은 하판(20) 점착부(21)의 일부에만 형성되므로, 이웃하는 바닥재(1) 간의 전체적인 점착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홈(22)에는 점착제(30)가 거의 도포되지 않으므로, 이웃하는 바닥재(1)의 상판(10) 측면과 하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의하여 먼저 설치된 바닥재(1)의 하판(20) 점착부(21)에 도포되어 있는 점착제(30)가 밀리는 문제가 없어, 양 바닥재(1)의 점착면이 깔끔하게 정리된다. In the drawing, the non-adhesive treatment part is represented by the
상기 비점착처리부는 바닥재(1)의 하판(20) 뿐 아니라 상판(10)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판(10)이나 하판(20) 중 하나에만 형성되어도 초기 안착시 양 바닥재(1)가 완전 점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나, 서로 접하는 상판(10)과 하판(20)의 점착부(11, 21) 양쪽에 형성되면 더욱 용이하게 바닥재(1)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The non-adhesive treatment part may be formed on the
특히, 상기 상판(10)의 경우, 원목을 이용하여 바닥재(1)를 제작하게 되면, 바닥재(1)시공 과정에서 바닥과의 접착 및 이웃하는 바닥재(1) 사이의 연결이 어려웠던 종래 기술과는 달리 용이하게 원목 바닥재(1) 시공 작업을 마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도 2a 내지 도 2c에서는 상기 비점착처리부의 일례로 홈(22)을 들어 설명하였으나, 비점착처리부는 양 바닥재(1)에 도포된 점착제(30)에 의하여 처음 안착된 채로 영구 점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하는 것이므로, 점착을 막을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처리할 수 있다. 특히, 바닥재(1)의 상판(10) 하면과 하판(20) 상면에 점착제(30)를 도포하는 과정에서, 일부 면에 점착제(30)를 도포하지 않음으로써 이와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도 있다. 상기 점착제(30)가 도포되지 않은 부분은 점착부(11, 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FIG. 2A to FIG. 2C, the
도 3a 내지 도 3c는 각각 점착부(11, 21) 상에 비점착재(13, 23)가 부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 연결 측면도 및 저면 사시도이다. 상기 비점착재(13, 23)는 점착제(30) 도포 후에, 점착부(21) 상면에 부착되는데, 종이나 직물 또는 특수처리된 시트 등을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점착면의 높이를 일정하게 맞추기 위하여 얇은 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c에는 바닥재(1) 상판(10)의 하면에 형성된 점착부(11)에 비점착재(13)가 구비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저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3A to 3C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connecting side views, and bottom perspective views showing a state where the
상기 비점착재(13, 23)는 점착부(11, 21) 상면에 부착되어, 상기 점착제(30)가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양 바닥재(1)의 점착부(11, 21)가 완전히 붙지 않도록 한다.The
도 4a 및 도 4b에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판(10)의 점착부(11)와 상판(10) 측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이 C면(모따기)(14) 처리된 바닥재(1)의 개략적인 사시도 및 연결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상판(10) 점착부(11)의 단부는 연결되는 바닥재(1)의 하판(20) 점착부(21)와 직접 맞닿게 되므로, 상기 점착부(11)의 단부 하면을 C면(14) 처리함으로써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바닥재(1)의 위치가 조절될 때, 하판(20) 점착부(21) 상의 점착제(30)가 밀리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2b, 도 3b에서도, 상기 이웃하는 바닥재(1)의 상판(10) 측면이 먼저 설치된 바닥재(1)의 하판(20)에 얹힐 때, 상기 이웃하는 바닥재(1)의 상판(10) 측면과 하면 사이의 모서리 부분이 비점착처리부에 의하여 점착부(21) 상에 도포된 점착제(30)에 직접 닿지 않게 되므로, 잘못된 초기 시공으로 바닥재(1)의 위치가 영구 고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점착제(30)가 밀려 시공 점착면에 틈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도 방지할 수 있다. 4A and 4B,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dge portion where the
도 5a 및 도 5b에는 바닥재(1a)의 형상을 달리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길이가 긴 직사각형 형상의 바닥재(1a)의 경우, 도면에서 보듯이 길이 방향과 이에 수직한 방향 모두 비점착처리부를 둘 수도 있고, 길이방향으로만 비점착처리부를 둘 수도 있다. Figures 5a and 5b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different shape of the flooring (1a), in the case of such a long rectangular shape flooring (1a), as shown in the drawing Bo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hereto may have a non-adhesive treatment portion, or may have a non-adhesive treatment portion on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와 같이 바닥재(1)의 점착부(11, 21) 전체가 아닌 바닥재(1)의 일측면 상에 형성된 점착부(11, 21)에만 비점착처리부를 형성하는 구성은 상기 바닥재(1)가 직사각형 형상이 아닌 정사각형 형상인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As such, the non-tacky treatment part is formed only on the
도 1a 내지 도 1d는 각각 종래 기술에 따른 바닥재의 결합 사시도, 사시도, 연결측면도 및 평면도이다.1a to 1d are respectively a perspective view, a perspective view, a connection side view and a plan view of a flooring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a 내지 도 2c는 각각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닥재의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결합 사시도, 사시도 및 연결 측면도이다.2a to 2c is a schematic coupling perspective view, a perspective view and a connection side view respectively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the floo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내지 도 3c는 각각 비점착처리부의 형태가 다른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 연결 측면도 및 저면 사시도이다.3a to 3c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a connecting side view and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having a different non-adhesive treatment.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저면 사시도 및 연결 측면도이다. 4A and 4B are schematic bottom perspective and connection side views showing ye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및 도 5b는 바닥재의 형상을 달리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5a and 5b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different shape of the floorin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바닥재 1a 직사각형 바닥재 1
10 상판 11, 21 점착부 10
13, 23 비점착재 14 C면 13, 23 non-adhesive 14 C side
20 하판 22 홈 30 점착제 20
Claims (17)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15009U KR200442720Y1 (en) | 2007-09-07 | 2007-09-07 | Flooring material with adhesive part which can adjust construction position |
PCT/KR2008/000829 WO2009031735A1 (en) | 2007-09-07 | 2008-02-13 | Floor plank with adhesive portion able to adjust the posi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15009U KR200442720Y1 (en) | 2007-09-07 | 2007-09-07 | Flooring material with adhesive part which can adjust construction posi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42720Y1 true KR200442720Y1 (en) | 2008-12-05 |
Family
ID=40429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70015009U KR200442720Y1 (en) | 2007-09-07 | 2007-09-07 | Flooring material with adhesive part which can adjust construction position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0442720Y1 (en) |
WO (1) | WO2009031735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03213530U (en) * | 2013-05-17 | 2013-09-25 | 惠州市耐宝塑胶制品有限公司 | Self-adhesive plastic floor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SE526179C2 (en) * | 2003-12-02 | 2005-07-19 | Vaelinge Innovation Ab | Flooring and method of laying |
KR20070045393A (en) * | 2005-10-27 | 2007-05-02 | 최기석 | Induction Heating Adhesive Sheet for Building Interior |
US7155871B1 (en) * | 2005-12-29 | 2007-01-02 | Tru Woods Limited | Floor plank |
US7458191B2 (en) * | 2005-12-29 | 2008-12-02 | Tru Woods Limited | Floor tile |
-
2007
- 2007-09-07 KR KR2020070015009U patent/KR200442720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8
- 2008-02-13 WO PCT/KR2008/000829 patent/WO2009031735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09031735A1 (en) | 2009-03-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680881B2 (en) | Floor board | |
US20110030300A1 (en) | Floor And Tile With Padding | |
JP2007182751A (en) | Tile | |
WO2017211078A1 (en) | Joining mechanism for floor board | |
KR200442721Y1 (en) | Flooring material with adhesive part which can adjust construction position | |
KR200442720Y1 (en) | Flooring material with adhesive part which can adjust construction position | |
JP2009035934A (en) | Tile panel | |
US20100205889A1 (en) | Floor covering system | |
JP5431089B2 (en) | Laying rimless tatami mats | |
CN100572721C (en) | Floor tiles and packaging method thereof | |
JP2011001802A (en) | Floor til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floor tile | |
JP7281643B2 (en) | flooring | |
JP4629698B2 (en) | Waterproof unit, waterproof unit manufacturing method and waterproof construction method | |
JP2004060153A (en) | Curing board and curing method for floor surface | |
JP2007315165A (en) | Unit floor material | |
JP2009250019A (en) | Free access floor tiling construction method | |
JP2002356976A (en) | Flooring and floor structure | |
JP2003090122A (en) | Floor materials and the structure of laying the floor materials on the floor substrate | |
JP2003286769A (en) | Floor structure and execution method therefor | |
JP2000240259A (en) | Removal method for floor material | |
KR101536345B1 (en) | Korean room floor paper | |
JP2003138726A (en) | Sheet-applying tiles | |
JP6678329B2 (en) | Flooring | |
JPH0633099Y2 (en) | Floor material | |
JP2011074616A (en) | Washing place flo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70907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08082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8112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81128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1210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