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42197Y1 - 디스플레이패널의 기울기 조절용 마운팅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패널의 기울기 조절용 마운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2197Y1
KR200442197Y1 KR2020080006395U KR20080006395U KR200442197Y1 KR 200442197 Y1 KR200442197 Y1 KR 200442197Y1 KR 2020080006395 U KR2020080006395 U KR 2020080006395U KR 20080006395 U KR20080006395 U KR 20080006395U KR 200442197 Y1 KR200442197 Y1 KR 2004421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display panel
mounting
pivotally coupled
actua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63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석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보멕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보멕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보멕스
Priority to KR20200800063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21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21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2197Y1/ko
Priority to PCT/KR2008/006207 priority patent/WO2009139526A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디스플레이패널의 기울기 조절용 마운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벽면에 체결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수직하게 교차 배치되며 측벽에 피벗결합공을 갖는 베이스브래킷과; 상기 베이스브래킷에 피벗 결합되며 탑재측벽에 가이드장공을 갖는 패널탑재브래킷과; 상기 베이스브래킷 상에 배치되며, 디스플레이패널의 기울기 조절용 액추에이터 및 상기 액추에이터에 연결된 구동모터를 포함하되; 상기 액추에이터는 제1링크 및 제2링크의 일측이 피벗 결합되는 제1링크부와 제3링크 및 제4링크의 일측이 피벗 결합되는 제2링크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링크 및 제3링크의 타측은 패널탑재브래킷의 하측부에 피벗 결합된 연결구에 각각 피벗 결합되고 상기 제2링크 및 제4링크의 타측은 베이스브래킷 상에 체결 고정된 고정구에 각각 피벗 결합되며, 상기 제1링크부와 제2링크부의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배치하되 지지슬리브 및 너트 체결을 통해 제1링크부 및 제2링크부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는 스크류로 이루어지는 기술구성이 개시된다.
디스플레이패널, 시야각, 기울기, 지렛대원리, 액추에이터, 잭타입

Description

디스플레이패널의 기울기 조절용 마운팅 장치{MOUNTING EQUIPMENT FOR ADJUSTING TILT OF DISPLAY PANEL}
본 고안은 기준면에 대해 디스플레이패널을 장착함과 아울러 장착된 상태의 디스플레이패널에 대해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마운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마운팅 장치의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면서도 화면의 기울기 조절에 대해 보다 안정된 동작특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패널의 기울기 조절용 마운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평판 컴퓨터모니터, LCD, PDP 등과 같은 평면 디스플레이패널이 최근 디스플레이장치의 주기종을 이루고 있으며, 공간 절약 및 장식성을 고려하여 벽면에 탑재할 수 있는 등의 부가적인 유용성을 가지고 있는 이유로 대중화되고 있다.
특히, LCD나 PDP의 디스플레이패널은 미적으로도 좋은 외관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벽면에 장착하여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LCD나 PDP 등의 디스플레이패널을 벽면에 설치함에 있어서는 종래 대 부분이 기계적 지지암이나 브래킷에 의해 고정된 채로 장착된다.
이렇게, 종래 대부분의 디스플레이패널은 벽면에 설치시 화면에 대한 시야각이 고정된 상태를 이루게 되는데, 이는 화면에 대한 시야각(기울기)을 조절할 수 없는 단점으로 인하여 오히려 시청자의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벽면 등의 기준면 상에 탑재되는 디스플레이패널에 대한 시야각을 자동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시야각 조절용 마운팅(mounting) 장치의 기술이 본 출원인을 비롯하여 제안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 제안되고 있는 디스플레이패널의 시야각 조절용 마운팅 장치는 시야각의 자동 조절을 위한 구동모터 및 이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따라 작동되는 액추에이터가 구비됨과 더불어 벽면 탑재용 브래킷 및 패널 탑재용 브래킷이 각각 구비되고 이들이 디스플레이패널의 시야각(기울기) 조절을 위한 상호 유기적인 결합관계를 형성하게 되는 것으로서, 구조적인 측면에서 복잡하므로 설치공간에 제약이 뒤따르는 문제점 및 탑재되는 디스플레이패널이 벽면의 기준면에 대해 너무 멀리 떨어져 배치되는 공간상의 문제점이 있었고, 액추에이터의 작동 견인을 시도하는 구동모터가 부하하중을 견디지 못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기구학적으로 디스플레이패널을 탑재 지지하는 지지력이 떨어지고 안정된 동작특성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은 물론 제조단가가 비싼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로의 개선을 행하고 마운팅 장치의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어 공간제약에 따른 한계를 극복할 수 있도록 하며 이와 더불어 화면의 기울기 조절에 대해 보다 안정된 동작특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기존에 비해 적은 구동력으로도 기울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구동모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패널의 기울기 조절용 마운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벽면에 체결 고정되어 수평 배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좌우에 위치하되 수직하게 교차 배치되어 결합되며 측벽에 피벗결합공을 갖는 베이스브래킷과; 상기 베이스브래킷에 선회 가능하도록 피벗 결합되고 디스플레이패널이 탑재되며 탑재측벽에 만곡형상의 가이드장공을 갖는 패널탑재브래킷과; 상기 베이스브래킷 상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액추에이터 및 상기 액추에이터의 동작제어를 위한 구동모터를 포함하되; 상기 액추에이터는 제1링크 및 제2링크의 일측이 선회 가능하도록 피벗 결합되는 제1링크부와 상기 제1링크부에 마주하도록 대향 배치되고 제3링크 및 제4링크의 일측이 선회 가능하도록 피벗 결합되는 제2링크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링크 및 제3링크의 타측은 패널탑재브래킷의 하측부에 피벗 결합된 연결구에 각각 피벗 결합되고 상기 제2링크 및 제4링크의 타측은 베이스브래킷 상에 체결 고정된 고정구에 각각 피벗 결합되며, 상기 제1링크부와 제2링크부의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배치하되 지지슬리브 및 너트 체결을 통해 제1링크부 및 제2링크부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는 스크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설계를 가지며 확장과 축소되는 잭타입의 액추에이터를 제공하므로 마운팅 장치의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어 공간제약에 따른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음은 물론 벽면과 디스플레이패널의 배치간격을 줄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패널의 하측방향에서의 푸시압력(확장동작) 또는 당김압력(축소동작)의 제공으로 기존에 비해 동일조건대비 적은 구동력으로도 화면 기울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구동모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면의 기울기 조절에 대해 보다 안정된 동작특성을 발휘할 수 있으며,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패널의 기울기 조절용 마운팅 장치(100)는 벽면 등 기준면(1)에 체결 고정되어 수평 배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110)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좌우에 위치하되 수직하게 교차 배치되어 결합되는 베이스브래킷(120)이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브래킷(120)에 상하방향으로 선회 가능하도록 피벗(pivot) 결합되고 디스플레이패널(2)을 탑재하기 위한 패널탑재브래킷(13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브래킷(120)은 베이스플레이트(110) 상에서 좌우 배치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장방형의 베이스(121) 및 상기 베이스(121)의 좌우측단에 형성되고 피벗결합공이 형성된 측벽(122)으로 구성된다.
상기 패널탑재브래킷(130)은 디스플레이패널(2)이 탑재되는 장방형의 탑재베이스(131) 및 상기 탑재베이스(131)의 좌우측단에 형성되고 만곡(彎曲)형상의 가이드장공(132a)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장공(132a)을 통해 상기 베이스브래킷(120)의 측벽(122)에 피벗 결합되는 탑재측벽(13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브래킷(120)의 측벽(122)과 상기 패널탑재브래킷(130)의 탑재측벽(132)은 피벗결합공 및 가이드장공(132a)에 부시(101)를 체결함에 의해 패널탑재브래킷(130)이 선회 가능하도록 피벗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브래킷(120)의 베이스(121) 상에는 상기 패널탑재브래킷(130)에 탑재되는 디스플레이패널(2)의 기울기 조절을 위한 링크구조의 잭(jack)타입 액추에이터(140)가 체결 고정되고 상기 액추에이터(140)의 동작제어를 위한 구동모터(150)가 연결 구비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150)는 베이스브래킷(120)의 베이스(121) 상에 지지 고정되게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링크구조를 갖는 잭타입의 액추에이터(140)는 제1링크(141a) 및 제2링크(141b)의 일측이 선회(旋回) 가능하도록 피벗(pivot) 결합되는 제1링크부(141)와 상기 제1링크부(141)에 마주하도록 대향 배치되며 제3링크(142a) 및 제4링크(142b)의 일측이 선회 가능하도록 피봇 결합되는 제2링크부(142)를 구비하되, 상기 제1링크(141a) 및 제3링크(142a)의 타측은 패널탑재브래킷(130)의 탑재베이스(131)의 하측부에 피벗 결합된 연결구(102)에 각각 피벗 결합되고 상기 제2링크(141b) 및 제4링크(142b)의 타측은 베이스브래킷(120)의 베이스(121) 상에 체결 고정된 고정구(103)에 각각 피벗 결합되며; 상기 제1링크부(141)와 제2링크부(142)의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배치하되 지지슬리브(143) 및 너트(144) 체결을 통해 제1링크부(110) 및 제2링크부(120)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모터(150)에 연결되는 스크류(1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150)의 정/역회전에 대한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컨트롤러 등의 프로세서장치(미 도시됨)가 연결 구비되며, 상기 프로세서장치에 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설계된 원격제어기(미 도시됨)가 구비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한 디스플레이패널의 기울기 조절용 마운팅 장치(100)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마운팅 장치(100)를 통하여 기준면(1)인 벽면에 대해 디스플레이패널(2)을 장착한 상태, 즉 벽면에 베이스플레이트(110)가 체결 고정되고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좌우에 위치하여 베이스브래킷(120)이 결합되며 이 베이스브래킷(120)에 선회 가능하도록 결합된 패널탑재브래킷(130)의 탑재베이스(131)의 평면에 디스플레이패널(2)이 탑재되면, 도 1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140)는 미동작 상태이고 디스플레이패널(2)의 중량에 의해 벽면의 기준면(1)에 대해서 패널탑재브래킷(130)이 15~20도 각도로 선회된 상태를 이루게 되며, 디스플레이패널(2)이 기울여진 상태로 초기 설치된다.
이때, 패널탑재브래킷(130)은 탑재측벽(132)에 형성된 가이드장공(132a)의 하측끝단이 베이스브래킷(120)의 측벽에 형성된 피벗결합공에 결합된 상태의 부시(101)에 걸림 지지되면서 위치이동이 제한되어 디스플레이패널(2)의 탑재에 의한 초기 설치시 15~20도의 선회각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초기 설치상태에서 원격제어기를 통해 시야각 조절, 특히 기울기 축소에 대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면 이 제어신호는 프로세서장치로 전달되고 구동모터(150)를 구동시킴에 의해 액추에이터(140)의 확장동작을 유도하게 된다.
이때, 디스플레이패널(2)의 기울기가 초기 확장된 상태에 있으므로 시야각 조절을 위한 기울기 축소를 위해 구동모터(150)를 구동시키면, 도 2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구동모터(150)에 연결된 액추에이터(140)의 스크류(145)가 회전되고 제2링크부(142) 상에 체결된 너트(144)와의 상호 작용으로 스크류(145) 상에서 너트(144)의 위치 이동이 수행됨에 의해 서로 마주한 위치에서 링크구조를 갖는 제1링크부(141)와 제2링크부(142)의 동시 확장을 유도하게 되며, 동시 확장되는 제1링크부(141)와 제2링크부(142)의 동작에 의해 초기 기울여져있는 상태의 패널탑재브래킷(130)의 하측부에 푸시(push)압력을 제공함으로써 초기 설치상태에 기울여진 선회각을 축소 조정함에 의해 디스플레이패널(2)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시야각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반대로, 원격제어기를 통해 시야각 조절, 특히 기울기 확장에 대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면 이 제어신호는 프로세서장치로 전달되고 구동모터(150)를 역회전시키게 되며, 액추에이터(140)의 제1링크부(141)와 제2링크부(142)의 동시 수축동작에 의해 패널탑재브래킷(130)의 하측부에 당김(pull)압력을 제공함으로써 선회각을 확대 조정함에 의해 디스플레이패널(2)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부연하면, 링크구조를 갖는 잭타입의 액추에이터(140)를 확장동작 또는 축소동작 시킴에 따라 디스플레이패널(2)이 탑재되는 패널탑재브래킷(130)의 하측부에 푸시압력 또는 당김압력을 제공함으로써 디스플레이패널(2)에 대한 기울기의 축소 또는 확장을 제어하여 기준면에 대하여 화면 기울기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마운팅 장치(100)는 간단한 구조설계임에도 불구하고 지렛대원리가 적용되는 것으로 기존에 비해 적은 구동력으로도 작용되는 힘을 크게 할 수 있어 구동모터의 파손 방지는 물론 기울기 조절에 따른 보다 안정된 동작특성을 발휘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디스플레이패널의 기울기 조절용 마운팅 장치의 초기 설치상태를 보인 측면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디스플레이패널의 기울기 조절용 마운팅 장치에 있어 액추에이터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디스플레이패널의 기울기 조절용 마운팅 장치를 나타낸 평면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있어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 고안 마운팅 장치 110: 베이스플레이트
120: 베이스브래킷 130: 패널탑재브래킷
132a: 가이드장공 140: 액추에이터
141: 제1링크부 142: 제2링크부
143: 지지슬리브 144: 너트
145: 스크류 150: 구동모터

Claims (2)

  1. 디스플레이패널을 탑재하고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마운팅 장치에 있어서,
    벽면에 체결 고정되어 수평 배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좌우에 위치하되 수직하게 교차 배치되어 체결되며 측벽에 피벗결합공을 갖는 베이스브래킷과;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이 탑재되며, 탑재측벽에 만곡형상의 가이드장공을 형성하고 이 가이드장공 및 베이스브래킷의 피벗결합공에 부시를 체결함에 의해 베이스브래킷에 선회 가능하도록 피벗 결합되는 패널탑재브래킷과;
    상기 베이스브래킷 상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액추에이터 및 상기 액추에이터의 동작제어를 위한 구동모터를 포함하되;
    상기 액추에이터는 제1링크 및 제2링크의 일측이 선회 가능하도록 피벗 결합되는 제1링크부와 상기 제1링크부에 마주하도록 대향 배치되고 제3링크 및 제4링크의 일측이 선회 가능하도록 피벗 결합되는 제2링크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링크 및 제3링크의 타측은 패널탑재브래킷의 하측부에 피벗 결합된 연결구에 각각 피벗 결합되고 상기 제2링크 및 제4링크의 타측은 베이스브래킷 상에 체결 고정된 고정구에 각각 피벗 결합되며, 상기 제1링크부와 제2링크부의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배치하되 지지슬리브 및 너트 체결을 통해 제1링크부 및 제2링크부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는 스크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패널의 기울기 조절용 마운팅 장치.
  2. 삭제
KR2020080006395U 2008-05-16 2008-05-16 디스플레이패널의 기울기 조절용 마운팅 장치 Expired - Lifetime KR2004421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395U KR200442197Y1 (ko) 2008-05-16 2008-05-16 디스플레이패널의 기울기 조절용 마운팅 장치
PCT/KR2008/006207 WO2009139526A1 (en) 2008-05-16 2008-10-21 Mounting device for adjusting tilt of display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395U KR200442197Y1 (ko) 2008-05-16 2008-05-16 디스플레이패널의 기울기 조절용 마운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2197Y1 true KR200442197Y1 (ko) 2008-10-16

Family

ID=41318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6395U Expired - Lifetime KR200442197Y1 (ko) 2008-05-16 2008-05-16 디스플레이패널의 기울기 조절용 마운팅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42197Y1 (ko)
WO (1) WO200913952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112B1 (ko) * 2009-04-03 2009-12-07 신석호 디스플레이 장치용 기울기 조절 가능 마운팅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9665A (ja) * 1994-09-01 1996-03-22 Hitachi Ltd 表示装置の高さ可変、移動式架台
KR100797444B1 (ko) * 2006-03-27 2008-01-24 삼성전기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익스텐션 장치
KR100801251B1 (ko) * 2006-04-13 2008-02-04 삼성전기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익스텐션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112B1 (ko) * 2009-04-03 2009-12-07 신석호 디스플레이 장치용 기울기 조절 가능 마운팅 장치
WO2010114247A1 (ko) * 2009-04-03 2010-10-07 Shin Seok Ho 디스플레이 장치용 기울기 조절 가능 마운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39526A1 (en) 2009-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1782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벽걸이 거치 장치
CN105474629B (zh) 墙壁安装系统
KR100836966B1 (ko) 벽걸이 평판 디스플레이장치 위치조절장치
EP2503209B1 (en) Adjustable display mounting bracket assembly
US20090230271A1 (en) Automated tilt head for electronic display mount
KR20090113815A (ko) 모니터를 피봇하는 동력 마운트
KR200442197Y1 (ko) 디스플레이패널의 기울기 조절용 마운팅 장치
CN103336402B (zh) 一种可两维度调节位移的翻转机构
KR100643914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거치 구조
CN201090919Y (zh) 一种带助力器的倾角自锁型电视壁挂架
KR200441896Y1 (ko) 디스플레이장치의 기울기 조절용 마운팅 장치
KR20050080139A (ko) 텔레비젼 거치대의 원격 자동 각도 조절장치
CN110630879A (zh) 一种电视支撑架
KR20100072878A (ko) 평판형 모니터 벽걸이 지지장치
JP3067713B2 (ja) ルームエアコン室外機据付金具における杆体連結機構
CN212156526U (zh) 一种电视支撑架
KR100714232B1 (ko) 패널디스플레이 슬라이딩 월마운트
KR101416605B1 (ko) 유지보수가 편리한 디스플레이 패널용 설치구조
KR100916639B1 (ko) 디스플레이패널 탑재 및 회전조정장치
KR100798612B1 (ko) 벽걸이 평판 디스플레이장치 위치조절장치
KR20050093367A (ko) 디스플레이 패널 장치의 승강 구조
CN222937540U (zh) 一种电视支架
CN218543821U (zh) 显示器安装设备
KR100666329B1 (ko) 벽걸이형 텔레비젼의 시청각 조절장치
JP2001152586A (ja) 壁パネル固定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80516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16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8071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91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100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8101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1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1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