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2154Y1 - 기름 및 슬러지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기름 및 슬러지 분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42154Y1 KR200442154Y1 KR2020070009826U KR20070009826U KR200442154Y1 KR 200442154 Y1 KR200442154 Y1 KR 200442154Y1 KR 2020070009826 U KR2020070009826 U KR 2020070009826U KR 20070009826 U KR20070009826 U KR 20070009826U KR 200442154 Y1 KR200442154 Y1 KR 20044215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sludge
- oil
- water tank
- waste wa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0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90 leftove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54 m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5 wastewater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208—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17/0211—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with baff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6—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xic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고안인 기름 및 슬러지 분리장치의 일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3a와 도 3b는 본 고안인 기름 및 슬러지 분리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기름 및 슬러지 분리장치 12,14: 탱크
18: 물 배출관 20: 슬러지 거름망
26a,26b,26c,30a,30b: 격판 34: 기름 배출밸브
36: 물 배출밸브
일반적으로 선박의 주방에서는 식사 후 그릇에 남아 있는 음식 슬러지나 잔반등을 따로 구비된 잔반통에 비운 다음 설겆이를 하게 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처 제거되지 못한 슬러지들이 그릇에 잔류하여 설겆이를 할 경우 물과 기름과 함께 하수관으로 흘러가 해양오염을 야기시키는 주범이 되고 있다.
한편,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미 다수의 오·폐수 처리 및 유수 분리장치가 나와 이러한 슬러지 및 기름을 제거 제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유수분리기는 고출력을 필요로 하는 펌핑장치 및 원심분리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소요동력이 많이 들고, 구조가 복잡하여 사용하기가 불편하고 조립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기름 및 슬러지 분리장치(10)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기름 및 슬러지 분리장치의 일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기름 및 슬러지 분리장치(10)는 크게 오·폐수 탱크(12)와, 상기 오·폐수 탱크(12)의 일측에 구획 설치되는 물탱크(14)로 구성된다. 상기 오·폐수 탱크(12)는 타측에 설치된 오·폐수 유입관(16)을 통해 흘러들어오는 슬러지(S)와 기름(G)을 물(W)에서 분리하는 곳으로 내부에는 슬러지 거름망(20)이 설치된다. 상기 슬러지 거름망(20)은 잔반 처리시 미처 제거되지 못하고 유입된 슬러지(S)들을 걸러주는 곳으로 사각형태의 그물망으로 제작되며 상단에는 상기 슬러지(S)지들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구멍(22a)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슬러지(S)가 걸러진 물(W)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구멍(22b)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오·폐수 탱크(12)의 내부 상단면에서 슬러지 거름망(20)의 상단면까지는 플레이트(24)가 설치된다. 상기 플레이트(24)는 오·폐수 유입관(16)에서 유입되는 슬러지(S)가 상기 슬러지 거름망(20)으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오·폐수 탱크(12)의 내부 바닥면에는 다수의 격판(26a,26b,26c)들이 서로 일정간격을 유지한 채로 설치되고, 상기 격판(26a,26b,26c)들의 사이에는 다른 격판(30a,30b)들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격판(30a,30b)들은 바닥면이 아닌 탱크(12)의 내부 양측면에 고정되며, 바닥면과 일정거리 이격된 채로 설치된다. 즉, 상기 격판(26a,26b,26c,30a,30b)들은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되는데, 이는 상기 슬러지 거름망(20)을 거쳐 슬러지(S)가 제거된 물(W)에서 기름(G)을 분리하기 위함이다. 좀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거름망(20)을 거친 물(W)에 포함되어 있는 기름(G)은 그 입자들이 완전히 뭉쳐지지 않고 물(W)에 포함된 채로 서로 나누어져 있다가 상기 격판(26a)에 부딪히면서 나누어져 있는 일정량의 기름(G) 입자들이 뭉쳐져 격판(26a)을 넘어간 다음, 상기 격판(26b,26c,30a,30b)들을 지그재그로 지나가면서 흩어진 기름(G) 입자들이 완전히 뭉쳐져 상기 물(W)과 분리되어 물(W)의 상단에 뜨게 된다. 이때, 상기 격판(26a,26b,26c)들의 하단과 상기 격판(30a,30b)들의 상단에는 각각의 구멍(28a,28b,28c,32a,32b)들이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탱크(12) 내부에 잔류하여 상기 격판(26b,26c,30a,30b)들을 통과하지 못하는 물(W)과 기름(G)이 통과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오·폐수 탱크(12)의 일측 하단에는 구멍(12a)이 형성된다. 상기 구멍(12a)은 기름(G)과 분리된 물을 상기 물탱크(14)로 유입시키기 위한 통로로 사용된다.
상기 물탱크(14)는 오·폐수 탱크(12)에서 슬러지(S)와 기름(G)이 분리되어 상기 구멍(12a)을 통해 들어오는 물(W)이 저장되며, 일측에 형성된 물 배출관(18)을 통해서 상기 물(W)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때, 상기 물 배출관(18)으로 물(W)이 배출될 수 있는 이유는 상기 물탱크(14)의 내부에 슬러지(S)와 기름(G)이 제거된 물(W)이 계속적으로 공급되어 차오르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오·폐수 탱크(12)의 일측 상단에는 기름 배출밸브(34)가 설치되고 하단에는 물 배출밸브(36)가 설치된다. 상기 기름 배출밸브(34)는 물(W)에서 분리된 기름(G)이 배출된다.
상기 물 배출밸브(36)는 상기 오·폐수 탱크(12)의 내부를 청소한 물을 배출시키는데 사용된다.
이하, 상기 구성들로 이루어진 기름 및 슬러지 분리장치(10)의 작용을 도 3a와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오·폐수 유입관(16)을 통하여 슬러지(S)와 기름(G)이 포함된 물(W)이 오·폐수 탱크(12)로 유입되면, 상기 오·폐수 탱크(12)의 내부에 설치된 프레임(24)에 부딪혀 아래로 떨어진다.
이후, 물(W)은 상기 플레이트(24)의 하단에 설치된 슬러지 거름망(20)을 거쳐 상기 탱크(12)의 내부로 유입되는데 이때, 물(W)속에 포함된 슬러지(S)는 상기 슬러지 거름망(20)을 통과하지 못하고 거름망(20)의 내부에 남게 된다.
이후, 상기 거름망(20)을 통과한 다음 슬러지(S)는 분리되고 기름(G)만 포함된 물(W)은 구멍(22b)을 통해서 흘러가 상기 탱크(12)의 내부에 설치된 격판(26a)에 부딪혀 넘어가게 된다. 이때, 물(W)에 포함된 채 완전히 뭉쳐지지 않은 기름(G) 입자들이 상기 격판(26a)에 부딪히면서 조금씩 뭉쳐져 덩어리를 이루게 된다.
이후, 물(W)에 포함된 기름(G)은 상기 격판(26a)의 후방에 지그재그형태로 설치된 다수의 격판(26b,26c,30a,30b)들을 부딪혀 지나가면서 뭉쳐지게 되고, 이에 따라 뭉쳐진 기름(G)들은 특성상 물(W)의 상단에 부상하여 물(W)과 분리된다.
이후, 기름(G)과 분리된 물(W)은 상기 탱크(12)의 하단에 형성된 구멍(12a)을 통해서 물탱크(14)로 흘러간 다음 상기 물탱크(14) 내부에서 계속적으로 차오르며 저장되다가 상기 물탱크(14)의 일측에 설치된 물 배출관(18)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물(W)과 분리된 기름(G)은 오·폐수 탱크(12)의 일측 상단에 설치된 기름 배출밸브(34)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배출된다.
이후, 상기 오·폐수 탱크(12)를 사용한 다음 내부를 청소하고 청소에 사용된 물은 물 배출밸브(36)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로 설치되는 오·폐수 탱크를 사용하여 슬러지와 기름 및 물을 분리할 수 있게 됨으로서 비용절감과 작업의 편리함을 가져다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 선박 내부에 설치되어 선박의 주방에서 사용한 물(W)속에 포함된 기름(G)과 슬러지(S)를 분리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기름 및 슬러지 분리장치에 있어서,오·폐수 유입관(16)을 통해 유입되는 물(W)을 저장하는 오·폐수 탱크(12)와;상기 오·폐수 탱크(12)의 내부에는 상기 물(W)속에 포함된 슬러지(S)를 걸러주는 슬러지 거름망(20)이 설치되고, 상기 슬러지 거름망(20)의 일측면에는 슬러지(S)가 제거된 물(W)이 배출되는 복수의 구멍(22b)이 형성되며;상기 오·폐수 탱크(12)의 바닥면 및 벽면에는 상기 물(W) 속에 함유된 기름(G)을 분리하기 위한 복수의 격판(26a,26b,26c,30a,30b)이 지그재그로 설치되며, 상기 격판(30a,30b)에는 상기 기름(G)이 통과하는 구멍(32a,32b)이 형성되고, 상기 격판(26a,26b,26c)에는 상기 물(W)이 통과하는 구멍(28a,28b,28c)이 형성되며;상기 오·폐수 탱크(12)의 일측면에는 슬러지(S)와 기름(G)이 분리된 물(W)이 저장되는 물탱크(14)가 구획 설치되고, 상기 오·폐수 탱크(12)의 일측 하단에는 상기 물탱크(14)와 연결하며 통하는 구멍(12a)이 형성되며;상기 물탱크(14)에는 상기 물(W)을 배출시키는 물 배출관(18)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 및 슬러지 분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오·폐수 탱크(12)의 외측면에는 상기 물(W)에서 분리된 기름(G)을 배출시키는 기름 배출밸브(34) 및 상기 오ㆍ폐수 탱크(12)의 내부를 청소한 물을 배출시키는 물 배출밸브(36)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 및 슬러지 분리장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슬러지 거름망(20)의 상단부에는 상기 오·폐수 유입관(16)을 통해서 유입되는 물(W)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플레이트(24)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름 및 슬러지 분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09826U KR200442154Y1 (ko) | 2007-06-15 | 2007-06-15 | 기름 및 슬러지 분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09826U KR200442154Y1 (ko) | 2007-06-15 | 2007-06-15 | 기름 및 슬러지 분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42154Y1 true KR200442154Y1 (ko) | 2008-10-15 |
Family
ID=41649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70009826U Expired - Lifetime KR200442154Y1 (ko) | 2007-06-15 | 2007-06-15 | 기름 및 슬러지 분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42154Y1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98650B1 (ko) * | 2009-07-28 | 2011-12-26 | 이규상 | 유수분리장치 |
CN102430278A (zh) * | 2011-10-26 | 2012-05-02 |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 一种具有翅网结构的桶式过滤器 |
KR20170006876A (ko) * | 2015-07-10 | 2017-01-18 | 삼건세기(주) | 선박용 기름 및 슬러지 분리 배출장치 |
KR101806409B1 (ko) * | 2015-11-06 | 2017-12-08 | 주식회사 한성Gt | 유수 분리장치 |
KR101847639B1 (ko) * | 2017-06-05 | 2018-04-10 | 노창식 | 폐유 분리장치 |
KR20200136793A (ko) * | 2019-05-28 | 2020-12-08 | 남은태 | 4대 강 녹조제거 및 해양 선박사고나 침수로 누출된 기름 제거선박 |
WO2022107903A1 (ko) * | 2020-11-18 | 2022-05-27 | 남은태 | 4대 강 녹조제거 및 해양 선박사고나 침수로 누출된 기름 제거선박 |
KR20240117403A (ko) | 2023-01-25 | 2024-08-01 | 삼건세기(주) | 선박용 기름 및 슬러지 분리용 그리스 트랩을 포함하는 배출장치 |
-
2007
- 2007-06-15 KR KR2020070009826U patent/KR200442154Y1/ko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98650B1 (ko) * | 2009-07-28 | 2011-12-26 | 이규상 | 유수분리장치 |
CN102430278A (zh) * | 2011-10-26 | 2012-05-02 |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 一种具有翅网结构的桶式过滤器 |
KR20170006876A (ko) * | 2015-07-10 | 2017-01-18 | 삼건세기(주) | 선박용 기름 및 슬러지 분리 배출장치 |
KR101726417B1 (ko) * | 2015-07-10 | 2017-04-13 | 삼건세기(주) | 선박용 기름 및 슬러지 분리 배출장치 |
KR101806409B1 (ko) * | 2015-11-06 | 2017-12-08 | 주식회사 한성Gt | 유수 분리장치 |
KR101847639B1 (ko) * | 2017-06-05 | 2018-04-10 | 노창식 | 폐유 분리장치 |
KR20200136793A (ko) * | 2019-05-28 | 2020-12-08 | 남은태 | 4대 강 녹조제거 및 해양 선박사고나 침수로 누출된 기름 제거선박 |
KR102192842B1 (ko) | 2019-05-28 | 2020-12-18 | 남은태 | 4대 강 녹조제거 및 해양 선박사고나 침수로 누출된 기름 제거선박 |
WO2022107903A1 (ko) * | 2020-11-18 | 2022-05-27 | 남은태 | 4대 강 녹조제거 및 해양 선박사고나 침수로 누출된 기름 제거선박 |
KR20240117403A (ko) | 2023-01-25 | 2024-08-01 | 삼건세기(주) | 선박용 기름 및 슬러지 분리용 그리스 트랩을 포함하는 배출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42154Y1 (ko) | 기름 및 슬러지 분리장치 | |
DK176468B1 (da) | Kombineret afgasnings- og flotationstank | |
JP2004321839A (ja) | 濾過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濾過方法 | |
JP2008000711A (ja) | 油水分離油脂回収システム | |
JP6316156B2 (ja) | 沈殿池 | |
US20030000895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waste water | |
JP2004050145A (ja) | 微細な浮遊物質を含むビルジ用油水分離装置 | |
CN202430064U (zh) | 免拆洗可连续分离油水渣装置 | |
CN102884009A (zh) | 用于净化原水的方法和设备 | |
JP2018134595A (ja) | 濾過装置および水処理設備 | |
JP4167864B2 (ja) | 油脂を含む廃液が主成分の食品残滓から固形食品残滓と油脂を回収する処理システム。 | |
CN208641865U (zh) | 初沉池 | |
KR101460958B1 (ko) | 화력발전소 회사장 폐수처리장치 | |
JP2004098044A (ja) | 油水分離装置 | |
CN108529822A (zh) | 压舱废水处理装置 | |
KR101777997B1 (ko) | 장방형 폭기 침사 및 유분 제거 시스템 | |
JP2003082755A (ja) | グリーストラップ | |
JP2016123900A (ja) | 水処理装置 | |
CN204897571U (zh) | 一种校园食堂污水隔油池 | |
CN104496056A (zh) | 一种处理高浊度水源水的方法及其装置 | |
CN106731208A (zh) | 家用废水处理装置及方法 | |
KR101586628B1 (ko) | 상·하수 슬러지 분리침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하수 처리 방법 | |
RU193380U1 (ru) | Отстойник для внутрипромысловой подготовки нефти | |
CN210974189U (zh) | 有机废水中固体杂质处理设备 | |
CN209423131U (zh) | 一种油水分离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70615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80328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08091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8100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81006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8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04 Year of fee payment: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0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9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7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0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9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9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