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2136Y1 - Inflatable structure - Google Patents
Inflatable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42136Y1 KR200442136Y1 KR2020070005728U KR20070005728U KR200442136Y1 KR 200442136 Y1 KR200442136 Y1 KR 200442136Y1 KR 2020070005728 U KR2020070005728 U KR 2020070005728U KR 20070005728 U KR20070005728 U KR 20070005728U KR 200442136 Y1 KR200442136 Y1 KR 20044213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latable
- bond line
- inflatable structure
- fabric
- hydrophilic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792 warm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759 woven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800 polyvinyl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0915 polyvinyl chl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433 Thermoplastic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803 thermoplastic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2979 Influenza in Bird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1100226116 Neurospora crassa (strain ATCC 24698 / 74-OR23-1A / CBS 708.71 / DSM 1257 / FGSC 987) esa-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77 Ny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302 Nylon 6,6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06010057190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72 aller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0668 atopic ecze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4097 avian influenz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593 degra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013 dioxi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746 feath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43 sweat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2—Layered material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06—Thermally protective, e.g. insulating
- A41D31/065—Thermally protective, e.g. insulating using layered material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10—Heat retention or war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팽창 가능한 구조물은 공동 직물체 내부 표면에 차례로 적용된 세 친수성 기체투과성 플라스틱층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S-형상 결합선을 포함하는 데, 공동 직물체의 양 반대편에서 공동 직물체의 외부 표면상의 영역이 S-형상 결합선을 따라 함께 결합된다. 세 친수성 기체투과성 플라스틱층은 가볍고, 방수성이고, 기체투고성이고, 보온성이며; 그리고 S-형상 결합선은 좁은 너비를 가져서 공동 직물체 내의 팽창 가능한 공간이 증대될 수 있게 하여준다. 연속적 S-형상 결합선은 두 폐쇄 원형 결합선내로 형성된 두 끝단을 가져서 결합선에 집중되는 압력에 의하여 팽창 가능한 구조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하여준다.The inflatable structure comprises three layers of hydrophilic gas-permeable plastic applied in turn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llow fabric and includes at least one S-shaped bond line, in which region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llow fabric on opposite sides of the hollow fabric are Are joined together along an S-shaped bond line. The three hydrophilic gas permeable plastic layers are light, waterproof, gas permeable, and warm; And the S-shaped bond line has a narrow width, allowing the expandable space in the co-woven body to be increased. Continuous S-shaped bond lines have two ends formed into two closed circular bond lines to prevent damage to the inflatable structure by pressure concentrated on the bond lines.
팽창 가능, 구조물, 친수성, 기체투과성 Expandable, Structure, Hydrophilic, Gas Permeable
Description
상기의 그리고 다른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 고안에서 채택된 구조물과 기술적 수단들은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다.The structures and technical means employ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and other objects can be best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팽창 가능한 코트로 구현된 첫번째 종래 팽창 가능한 구조물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conventional inflatable structure implemented with an inflatable coat.
도 2는 팽창 가능한 코트로 구현된 두번째 종래 팽창 가능한 구조물의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conventional inflatable structure implemented with an inflatable coat.
도 3은 본원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팽창 가능한 구조물의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flatable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4-4 선을 따라 절개한 부분의 확대도이다.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cut along the line 4-4 of FIG. 3.
도 5는 본원 고안의 팽창 가능한 구조물의 몇가지 용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some applications of the inflatabl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원 고안의 팽창 가능한 구조물의 다른 용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application of the inflatabl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원 고안의 팽창 가능한 구조물의 또 다른 용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application of the inflatabl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원 고안은 팽창 가능한(inflatable) 구조물에 관한 것이고, 더 자세하게는 그 내부 표면 상에 차례로 적용된 세개의 친수성이며 기체투과성인(hydrophilic and vapor-transmissible) 플라스틱층을 가지고 있고, 적어도 하나의 연속적 S-형상 결합선(bonding line)을 포함하며, 연속적 S-형상 결합선 부분을 따라 공동(hollow) 직물체의 외부 표면상의 영역이 그 양 끝단에서 함께 결합하는 공동 직물체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n inflatable structure, more specifically, having three hydrophilic and vapor-transmissible plastic layers applied in turn on its inner surface and having at least one continuous S-shape. It includes a bonding line, and includes a hollow fabric in which the area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llow fabric along the continuous S-shaped bond line portion join together at their ends.
사람들은 겨울의 추운날씨를 피하기 위하여 다운 코트(down coat) 같이 따뜻한 옷을 입는다. 다운 코트는 피복자(wearer)의 피부로부터 외부 냉기를 격리시켜주는 공기를 보유한 루스 다운(loose down)으로 단열되어 있다. 그러나 다운(down)에 외부 압력이 가하여져서 그 내부에 보유하고 있던 공기가 빠져나가면 보온 유지 효과가 떨어지게 된다. 더욱이, 다운은 새의 제일 부드러운 깃털이기 때문에 악취와 조류독감(Avian Influenza)이라는 문제점을 필연적으로 가지고 있다. 그리고 다운에 알레르기를 가지는 사람도 있을 수 있다.People wear warm clothes like down coats to avoid the cold weather in winter. The down coat is insulated with a loose down which holds air to isolate external cold air from the skin of the wearer. However, when the external pressure is applied to the down and the air retained therein is released, the heat retention effect is lowered. Furthermore, down is the bird's softest feather, and therefore inevitably has the problem of odor and Avian Influenza. And some people may be allergic to down.
몇몇 팽창 가능한 구조물들, 가령 팽창 가능한 의류는 다운 코트를 대체하기 위하여 개발되어졌다. 팽창 가능한 의류는 통상 그 내부의 폐쇄된 팽창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여러가지 접착 방법들에 의하여 내부와 외부의 면이 부분적으 로 접착되어졌다. 보온 유지를 위한 피복자의 필요와 선호에 따라서, 피복자의 몸을 외부 냉기로부터 격리시키기 위하여, 적절한 공기양이 편리하게 팽창 가능한 공간으로 공급되거나 팽창 가능한 공간으로부터 배출되기도 한다.Several inflatable structures, such as inflatable clothing, have been developed to replace down coats. Inflatable garments are usually partially bonded to the inside and outside surfaces by a variety of bonding methods to form a closed inflatable space therein. Depending on the sheath's need and preference for keeping warm, an appropriate amount of air may be conveniently supplied to or expelled from the inflatable space to isolate the body of the sheath from external cold air.
종래의 팽창 가능한 구조물은 통상 여러가지 플라스틱 물질들을 함유하고 있으며, 플라스틱 물질들은 보통 세 가지 타입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첫번째 타입은 PVC(폴리비닐 클로라이드(Polyvinyl chloride)) 물질이며, 상대적으로 약한 결합력을 가지므로 충분한 결합력을 확보하기 위하여서는 최소한 0.15 내지 0.20mm의 두께를 필요로 한다. 충분한 너비의 두께로 제작되면, PVC로 제조된 팽창 가능한 구조물은 매우 무겁다. 또한 PVC 물질은 통기성이 없으며, 연소될 때 다이옥신을 배출함으로써 환경을 오염시킨다는 단점을 가진다. 그러므로 PVC로 제조된 팽창 가능한 구조물은 점점 시장에서 그 지위를 잃어가고 있다. 두번째 타입은 TPU(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물질이며, 이는 두껍고 무거우며 비-기체투과성이고 촉감이 뻣뻣하며 생산단가가 높다. 세번째 타입은 통기성(brethable) TPU 물질이며, 이는 상대적으로 약한 결합력과 낮은 공기보유력을 가지며, 이것의 수율의 불량률이 매우 높은데 반하여 생산 단가는 매우 높다.Conventional inflatable structures typically contain a variety of plastic materials, which can usually be divided into three types. The first type is PVC (Polyvinyl chloride) material, and has a relatively weak bonding force, so a thickness of at least 0.15 to 0.20 mm is required to secure sufficient bonding force. When constructed to a thickness of sufficient width, inflatable structures made of PVC are very heavy. PVC materials also have the disadvantage of being non-breathable and polluting the environment by releasing dioxins when burned. Therefore, inflatable structures made of PVC are increasingly losing their place in the market. The second type is a TPU (thermoplastic polyurethane) material, which is thick and heavy, non-gas permeable, stiff to the touch and high in cost of production. The third type is a breathable TPU material, which has a relatively weak bonding force and low air holding capacity, and its yield is very high, while the production cost is very high.
종래의 팽창 가능한 구조물은 또한 그 결합에 문제점이 있다. 도 1은 팽창 가능한 코트로 구현된 첫번째 종래 팽창 가능한 구조물(1)을 보여준다. 보이는 바와 같이, 종래의 구조물(1)은 개별적으로 넓고 곧게 뻗은 결합 스트립(11)을 여러개 가져야만 하는 데, 이는 그것의 플라스틱 물질의 결합력이 약하기 때문이다. 피복자의 몸을 둘러싸는 따뜻한 공기는 넓은 결합 스트립(11)을 통하여 누출되는 경 향이 있고, 외부 냉기는 넓은 결합 스트립(11)을 통하여 쉽게 팽창 가능한 구조물로 침투할 수 있어서 팽창 가능한 구조물(1)의 보온 능력을 떨어뜨린다. 게다가, 압력이 곧게 뻗은 결합 스트립(11)의 양 끝단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어서, 팽창 가능한 구조물(1)이 상대적으로 큰 압축에 노출될 때 양 끝단의 손상과 손상된 부분에서의 공기 누출이 유발된다. Conventional inflatable structures also have problems with their coupling. 1 shows a first conventional
도 2도 팽창 가능한 코트로 구현된 두번째 종래 팽창 가능한 구조물(2)를 보여준다. 팽창 가능한 구조물(2)는 압력 집중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복수개의 원형 결합부(21)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팽창 가능한 구조물(2)의 플라스틱 물질의 약한 결합력으로 인하여, 원형 결합부(21)은 상대적으로 큰 반경을 가져야 한다. 여기에서도 피복자의 몸을 둘러싼 따뜻한 공기는 큰 원형 결합부(21)을 통하여 누출되는 경향이 있으며, 외부 냉기가 큰 원형 결합부(11)을 통하여 쉽게 팽창 가능한 구조물로 침투할 수 있어 팽창 가능한 구조물(2)의 보온 능력을 떨어뜨린다. 게다가, 큰 원형 결합부(21)은 필연적으로 팽창 가능한 구조물(2) 내부에 유지될 수 있는 공기 체적을 줄어들게 하므로, 팽창 가능한 구조물(2)의 보온 능력을 더욱 떨어뜨리게 된다.2 also shows a second conventional
이에 본원 고안의 고안자는 가볍고, 방수성이며, 기체투과성이며, 내구성이 있고 따뜻한 개선된 팽창 가능한 구조물을 개발하게 되었다.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refore developed an improved expandable structure that is light, waterproof, gas permeable, durable and warm.
본원고안의 요약Summary of the proposal
본원고안의 주된 목적은 가볍고 방수성이며 기체투과성이며 더 크고 내구성이 있는 팽창 가능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필요한 강화된 결합선을 가지고 있음 으로써, 가볍고 방수성이며 기체투과성이고 보온성이 있는 여러가지 품목을 제조하는 데 적합한 팽창 가능한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main objectiv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have an expanded bond line necessary to secure an expandable space that is light, waterproof, gas permeable, and larger and more durable, so that it is suitable for making a variety of items that are light, waterproof, gas permeable, and warm. It is to provide a possible structure.
상기의 목적과 기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 고안에 의한 팽창 가능한 구조물은 내부 표면과 외부 표면을 가진 공동(hollow) 직물체; 상기 공동(hollow) 직물체의 내부 표면에 적용된, 용매-기반(solvent-vased)의 친수성이며 기체투과성인 플라스틱층; 상기 용매-기반의 친수성이며 기체투과성인 플라스틱층 위에 제공된, 낮은 친수성 계수(low-modulus bydrophilic)와 기체투과성인 플라스틱층; 그 내부의 팽창 가능한 공간을 싸기 위하여, 상기 낮은 친수성 계수와 기체투과성인 플라스틱층 위에 제공된, 낮은 용융점의 친수성과 기체투과성인 플라스틱층; 상기 공동 직물체의 팽창된 총 두께를 제한하도록, 외부 표면 영역들이 그를 따라 함께 결합하는, 양 끝단에 각각 폐쇄된 원형 결합선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연속적 S-형상 결합선; 그리고 상기 팽창 가능한 공간과 소통하기 위하여 상기 공동(hollow) 직물체 상에 팽창 밸브가 제공됨으로써, 공기가 팽창 밸브를 통하여 팽창 가능한 공간으로 공급되거나 팽창 가능한 밸브로부터 방출될 수 있게 한 팽창 밸브를 포함한다. 본원 고안의 팽창 가능한 구조물은 여러가지 가볍고 방수성이며 기체투과성이고 내구성이 있으며 따뜻한 의복을 만드는 데 적합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and other objects, the inflatab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ollow fabric having an inner surface and an outer surface; A solvent-vased hydrophilic, gas-permeable plastic layer applied to the interior surface of the hollow fabric; A low-modulus bydrophilic and gas-permeable plastic layer provided on the solvent-based hydrophilic, gas-permeable plastic layer; A low melting point hydrophilic and gas permeable plastic layer provided on the low hydrophilicity coefficient and gas permeable plastic layer to encase an expandable space therein; At least one continuous S-shaped bond line, each having a closed circular bond line formed at each end, the outer surface regions joining together along to limit the expanded total thickness of the cavity fabric; And an expansion valve provided on the hollow fabric to communicate with the inflatable space, such that air can be supplied to or expelled from the inflatable valve through the expansion valve. . The inflatabl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itable for making various light, waterproof, gas permeable, durable and warm garments
도 3이 본원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팽창 가능한 구조물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4-4 선을 따라 절개한 부분의 확대도인 것을 참조하라.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flatable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 cut along the line 4-4 of FIG.
보여지는 바와 같이, 팽창 가능한 구조물(3)은 내부 표면(311)과 외부 표 면(312)를 가지는 공동(hollow) 직물체(31)을 포함하고, 나일론(Nylon), 나일론66(Nylon 66), 테토론(Tetoron)(폴리에스터 섬유)를 구성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고; 용매-기반의 친수성이며 기체투과성인 플라스틱층(32)와 공동(hollow) 직물체(31)의 내부 표면(311)사이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투과성(permeability)을 가지면서, 상기 공동 직물체(31)의 내부 표면(311)상에 적용되는, 용매-기반인 친수성이며 기체투과성인 플라스틱 층(32); 상기 공동 직물체(31)에 부드럽고 풍부한 감촉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용매-기반인 친수성이며 기체투과성인 플라스틱층(32)상에 제공되는, 낮은 친수성 계수(low-modulus bydrophilic)와 기체투과성인 플라스틱층(33); 그 내부의 팽창 가능한 공간(36)을 감싸도록, 상기 낮은 친수성 계수와 기체투과성인 플라스틱층(33) 위에 제공되는, 낮은 용융점의 친수성과 기체투과성인 플라스틱층(34); 적어도 하나의 연속적 S-형상 결합선(35); 그리고 팽창 밸브(37)을 포함한다.As can be seen, the
상기 낮은 용융점의 친수성과 기체투과성인 플라스틱층(34)는 낮은 용융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결합부(bonded area)에서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공정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세 친수성이며 기체투과성인 플라스틱층(32,33,34)는 총 0.03mm 에서 0.05mm 범위의 두께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세 친수성이며 기체투과성인 플라스틱층(32,33,34)는 총 0.05mm의 두께를 가진다. 얇은 두께로 인하여, 세 플라스틱층(32,33,34)는 모두 개별적으로 약 60-70g/m2이라는 가벼운 무게를 가진다.Since the low melting point hydrophilic and gas permeable
상기 연속적 S-형상 결합선(35)는 폐쇄된 원형 결합선(351)내에 각각 형성된 두 끝단을 가지며, 고주파 밀봉(high-frequency sealing), 초음파 용접(supersonic welding) 또는 열결합(heat bonding)에 의하여 형성되므로, 공동 직물체(31)의 양 반대편의 외부 표면(312)상의 영역이 S-형상 결합선(35)를 따라 결합되어 공동 직물체(31)의 팽창된 총 두께를 제한하게 된다. S-형상 결합선(35)는 바람직하게는 고주파 밀봉에 의하여 형성되어 150N/5cm에 달하는 결합력을 갖게 된다. S-형상 결합선(35)의 두 끝단에 형성된, 폐쇄된 원형 결합선(351)은 일정한 압력 배분을 촉진시킨다. 그것은, 두 폐쇄된 원형 결합선(351)에 의하여, 본 고안의 팽창 가능한 구조물이 비교적 큰 압축에 노출되었을 때, 압력이 어떤 특정한 부분에 집중되지 않게 하여 본 고안의 팽창 가능한 구조물(3)이 손상되지 않게 하는 것이다. 게다가, S-형상 결합선(35)는 1 내지 2mm, 바람직하게는 2mm의 너비를 가진다. S-형상 결합선(35)의 너비가 좁기 때문에, 팽창 가능한 공간(36)의 총 체적은 팽창 가능한 구조물(3)의 보온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 정도로 유리하게 증가된다.The continuous S-
팽창 밸브(37)은 공동 직물체(31)에 제공되어 팽창 가능한 공간(36)과 소통할 수 있다. 사용자가 보온을 위한 개인적 필요에 의하여, 적당한 공기 양을 팽창 밸브(37)을 통하여 팽창 가능한 공간(36)으로 공급하거나 팽창 가능한 공간(36)으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An
본 고안의 팽창 가능한 구조물(3)은 다양한 물품들을 생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데, 예를 들자면, 도 5에서 보여지는 팽창 가능한 모자(4), 팽창 가능한 귀마개(5), 팽창 가능한 코트(6), 팽창 가능한 장갑(7), 팽창 가능한 바지(8), 도 6에서 보여지는 팽창 가능한 침낭(9), 도 7에서 보여지는 팽창 가능한 누비이불(10)과 같은 것들이다. 본 고안의 팽창 가능한 구조물(3)으로 만든 팽창 가능한 코트(6)을 예로 들자면, 피복자의 몸에서 발산되는 습기가 공동 직물체(31)을 통과할 수 있고 용매-기반인 친수성이며 기체투과성인 플라스틱층(32)에 의하여 흡수될 수 있기 때문에, 낮은 친수성 계수와 기체투과성인 플라스틱층(33)과 낮은 용융점의 친수성이며 기체투과성인 플라스틱층(34)사이에서의 수분 운송 운동에 의하여, 용매-기반의 친수성이며 기체투과성인 플라스틱층(32)에 의하여 흡수된 습기는 최종적으로 외부 대기로 운송된다. 그러므로 피복자가 착용한 팽창 가능한 코트(6)내에 따뜻한 공기가 유지되더라도 피복자는 덥다고 느끼지 않을 것이다. 다른 한편, 외부 찬 바람과 빗물이 세 플라스틱층(32,33,34)를 통과하지 못함으로써 피복자의 몸이 팽창 가능한 코트(6)에 의하여 외부 찬 바람과 빗물로부터 격리된다. 그러므로 팽창 가능한 코트(6)은 방풍성, 방수성, 기체투과성, 내구성을 가지며 따뜻하다. 팽창 가능한 코트(6)은 양 겨드랑이 근처에 각각 세개의 통기구(61)가 제공되어, 겨드랑이 땀의 증발을 촉진시키게 돈다.The
본 고안의 팽창 가능한 구조물(3)은 용매-기반의 친수성이며 기체투과성인 플라스틱층(32)를 사용하는 데, 용매-기반의 친수성이며 기체투과성인 플라스틱층은 고주파 밀봉으로 결합되어 150N/5cm에 달하는 증가된 결합력을 제공하게 되어, 상기 팽창 가능한 구조물의 가용 연한을 연장시킬 수 있다. 더욱이, 세 친수성 플라스틱층(32,33,34)는 5000g/m2이상의 높은 기체투과성을 제공하고, 10000M/M이상의 높은 방수성을 가지며, 총 0.05mm이하의 두께를 가지고, 60-70g/m2의 가벼운 무게를 가진다. 또한 세 플라스틱층(32,33,34)는 본 고안의 팽창 가능한 구조물(3)을 사용에 편리한 직물로 만들어 주는 부드러운 감촉을 제공한다. 세 플라스틱층(32,33,34)은 종래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낮은 가격으로 공동 직물체(31)상에 적용될 수 있다. 게다가, S-형상 결합선의 양 끝단에 형성된 두 개의 폐쇄된 원형 결합선(351)을 가진 연속적 S-형상 결합선(35)은 어떤 특정한 위치에 압력을 집중시키지 않고 압력을 동일하게 분산하고, 팽창 가능한 구조물(3)이 비교적 큰 압축에 노출될 때 쉽게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2mm 이하의 좁은 너비를 가진 연속적 S-형상 결합선(35)은 공동 직물체(31)내에 증가된 팽창 가능한 공간(36)을 가능하게 하고, 그에 따라 증가된 보온 능력을 가지게 할 수 있다.The
간단하게 말해서, 본 고안의 팽창 가능한 구조물(3)은, 공동 직물체(31) 위에 적용된 세 개의 친수성이며 기체투과성인 플라스틱층을 가진 공동 직물체(31)을 포함하고, 양 끝단에 폐쇄된 원형 결합선(351)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좁으나 강한 연속적 S-형상 결합선(35)를 따라 양 반대 편에서 함께 결합되어서, 그에 따라 공동 직물체(31)은 가볍고, 사용 내구성이 있으며, 방수성이고, 기체투과성이며 양호한 보온력을 가능케 하는 가능한 최대 넓이의 팽창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여서, 본 고안의 팽창 가능한 구조물(3)이 산업상 가치와 시장수요에 적합하게 실용성을 갖추게 하여준다.In simple terms, the
본 고안의 팽창 가능한 구조물은 가볍고, 사용 내구성이 있으며, 방수성이고, 기체투과성이며 양호한 보온력을 가능케 하는 가능한 최대 넓이의 팽창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여서, 본 고안의 팽창 가능한 구조물이 산업상 가치와 시장수요에 적합하게 실용성을 갖추게 하여준다.The inflatabl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ght, durable, waterproof, gas permeable, and provides the largest possible expandable space to allow good thermal insulation, so that the inflatabl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eet the industrial value and market demand. It makes it practically suitable.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05728U KR200442136Y1 (en) | 2007-04-06 | 2007-04-06 | Inflatable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70005728U KR200442136Y1 (en) | 2007-04-06 | 2007-04-06 | Inflatable structur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04531U KR20080004531U (en) | 2008-10-09 |
KR200442136Y1 true KR200442136Y1 (en) | 2008-10-10 |
Family
ID=41326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70005728U Expired - Fee Related KR200442136Y1 (en) | 2007-04-06 | 2007-04-06 | Inflatable struc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42136Y1 (en) |
-
2007
- 2007-04-06 KR KR2020070005728U patent/KR200442136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04531U (en) | 2008-10-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S2385334T3 (en) | Breathable, waterproof and windproof sewn items | |
ES2398306T3 (en) | Breathable stitched items, waterproof and windproof | |
JP4554928B2 (en) | Inflatable insulator including pressure discharge means | |
KR100920430B1 (en) | Adjustably insulative construct | |
EP3194158B1 (en) | Thermally insulated personal articles | |
US20100015373A1 (en) | Inflatable structure | |
US20100138977A1 (en) | Clothing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 |
US20100083417A1 (en) | Thin insulative material with layered gas-filled cellular structure | |
KR101589573B1 (en) | Intermediate membranes for putting toghter moisture permeable and waterproof membrane directly onto outer shell and inner lining, gloves using i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WO2018102053A1 (en) | Thermal insulation packages | |
JP2019536959A5 (en) | ||
KR200442136Y1 (en) | Inflatable structure | |
GB2447950A (en) | Inflatable breathable structure | |
US20080233321A1 (en) | Inflatable structure | |
CN201005090Y (en) | Inflatable body structure for hollow fabric | |
US20240308172A1 (en) | Thermally protective composite material | |
RU66273U1 (en) | INFLATABLE DESIGN | |
KR101611607B1 (en) | Thermo windproof fabric using Gas insulated compartment insulation sheet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20130142043A (en) | Bonding member for garments and the preparing method thereof | |
KR200376103Y1 (en) | Air injection type waterproof suit | |
TWM409023U (en) | Improved structure of covering object to keep warm | |
TWM317176U (en) | Improved structure of inflation body | |
TWM528883U (en) | Bonding structure of warm-keeping and air-permeable waterproof fabric | |
HK1103689B (en) | Windproof waterproof breathable seamed articl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70406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80226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08082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8100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81002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312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3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1309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