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41783Y1 - 보강토 옹벽 및 사면시공을 위한 지지틀 - Google Patents

보강토 옹벽 및 사면시공을 위한 지지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1783Y1
KR200441783Y1 KR2020070002522U KR20070002522U KR200441783Y1 KR 200441783 Y1 KR200441783 Y1 KR 200441783Y1 KR 2020070002522 U KR2020070002522 U KR 2020070002522U KR 20070002522 U KR20070002522 U KR 20070002522U KR 200441783 Y1 KR200441783 Y1 KR 2004417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frame
rod
retaining wall
front 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25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3351U (ko
Inventor
홍창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에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에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에스지
Priority to KR20200700025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783Y1/ko
Publication of KR200800033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33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7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783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1Height being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녹화가 이루어지는 보강토 옹벽 및 사면의 시공에 사용되는 지지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지면과 접하여 바닥면을 지지하는 하부프레임(20a)과; 상기 하부프레임(20a)의 선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하부프레임(20a)에 대하여 소정의 각을 갖도록 구비되는 전면프레임(20b)과; 상기 전면프레임(20b)의 상단과 상기 하부프레임(20a)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프레임(20c)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20c)은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하면, 성토층의 경사각에 따라 지지틀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성토층의 경사가 다른 시공현장에서도 상기 지지틀을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기지지틀의 호완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사면, 녹화, 지지틀, 토목섬유

Description

보강토 옹벽 및 사면시공을 위한 지지틀{Upholder for constructing of reinforced soil wall and slope}
도 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지지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지지틀이 설치 각도를 달리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지지틀을 도시한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지지틀이 설치 각도를 달리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을 이용한 시공의 순서를 도시한 블럭도.
도 6는 본 고안을 이용한 다른 시공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블럭도.
도 7a 내지 도 7k는 본 고안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 및 사면의 시공단계를 도시한 순차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초지반 20 : 지지틀
20a : 하부프레임 20b : 전면프레임
20c : 지지프레임 21 : 전면힌지
22 : 상단힌지 23 : 하부힌지
24 : 상단봉 25 : 하단봉
26 : 높이조절레버 27 : 상부봉
28 : 하부봉 29 : 고정레버
30 : 보강재 40 : 격자틀
42 : 격자플레이트 44 : 배면플레이트
50 : 지지매트 60 : 성토층
본 고안은 절개지 사면을 녹화 사면으로 보강하는 사면의 보강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지지틀에 관한 것이다.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하여, 산을 굴착하는 경우 절개면은 경사가 급하여 붕괴의 위험성이 높다. 따라서, 절개지 사면의 경우 옹벽이나 보강토 공법을 이용하여 보강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친환경적인 시공이 크게 요구되고 있고 따라서, 붕괴의 위험성이 매우 큰 경우가 아니면, 보강토 공법을 이용하여 사면을 안정화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더욱이 보강토 공법을 이용하는 경우, 보강된 사면의 전면을 녹화시켜 친환경적인 시공을 강조하고, 미관을 중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사회적 요구를 충족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토목섬유를 이용하여 성토층 간의 전단력을 높이는 시공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이때, 상기 성토층을 시공하기 위하여 상기 성토층을 지지하는 지지틀을 사용한다. 상기 지지틀은 "L"자 형태로 형성되고, 성토층의 경사각에 따라 수직재의 경사가 다르게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성토층의 경사는 시공현장의 조건에 따라 다르고, 동일한 시공 현장에서 조차 높이에 따라 그 경사각이 달라진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의한 지지틀을 사용할 경우에는 성토층의 경사각에 따라 각각 다른 형태의 지지틀이 준비되어야 하고, 따라서 시공시 많은 종류의 지지틀이 준비되어야 하므로 시공단가가 높아지고 시공이 번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지지틀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동일한 지지틀을 다양한 경사의 성토시공현장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보강토 옹벽 및 사면 시공에 사용되는 지지틀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지면과 접하여 바닥면을 지지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선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하부프레임에 대하여 소정의 각을 갖도록 구비되는 전면프레임과; 상기 전면프레임의 상단과 상기 하부프레임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길이가 조절된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를 구성하는 원통형의 하단봉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를 구성하고 상기 하단봉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 가 능한 상단봉; 그리고 상기 하단봉에 구비되어 상기 상단봉을 고정하는 높이조절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는,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를 구성하는 원통형의 상단봉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를 구성하고 상기 상단봉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 가능한 하단봉; 그리고 상기 상단봉에 구비되어 상기 하단봉을 고정하는 높이조절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전면프레임의 상단을 따라 다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전면프레임은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전면프레임은 상기 전면프레임의 하부를 구성하는 원통형의 하부봉과; 상기 전면프레임의 상부를 구성하고 상기 하부봉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 가능한 상부봉; 그리고 상기 하부봉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봉의 높이를 고정하는 고정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전면프레임은 상기 전면프레임의 상부를 구성하는 원통형의 상부봉과; 상기 전면프레임의 하부를 구성하고 상기 상부봉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 가능한 하부봉; 그리고 상기 상부봉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봉의 높이를 고정하는 고정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시공되는 사면의 경사각에 따라 지지틀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각도의 성토층을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시공하면서 전면에 식생토 층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보강토 옹벽 및 사면 시공용 지지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지지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지지틀이 설치 각도를 달리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지지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지지틀이 설치 각도를 달리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을 이용한 시공의 순서를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6는 본 고안을 이용한 다른 시공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블럭도이며, 도 7a 내지 도 7k는 본 고안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 및 사면의 시공단계를 도시한 순차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보강토 옹벽 및 사면 시공용 지지틀은 지면에 접하는 하부프레임(20a)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프레임(20a)은 원형 봉의 형태로, 바람직하게는 "ㄷ"자 형태로 형성된다. 즉, 전면의 긴 봉과, 상기 봉의 양단이 수직으로 꺽여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프레임(20a)은 옹벽의 바닥판과 같이, 성토층의 전도나 슬라이딩을 방지하는 부분이다.
상기 하부프레임(20a)의 전단에는 상기 하부프레임(20a)에 대하여 회동 가능한 전면프레임(20b)이 구비된다. 상기 전면프레임(20b)은 장방형의 원형봉으로 역시 "ㄷ"형태로 형성되고 그 말단이 상기 하부프레임(20a)의 전단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상기 하부플레임(20a)과 전면프레임(20b)은 도 1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힌지(21)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면프레임(20b)의 상단과 상기 하부프레임(20a) 사이에는 양단이 힌지 연결되는 지지프레임(20c)이 구비된다. 더욱 자세하게는, 도 1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20c)의 상단은 상단힌지(22)에 의해 상기 전면프레임(20b)과 연결되고, 상기 지지프레임(20c)의 하단은 하부힌지(23)에 의해 상기 하부프레임(20a)과 연결된다.
상기 지지프레임(20c)은 후술할 성토층의 전면을 지지하는 부분으로, 도 1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그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프레임(20c)은, 상기 지지프레임(20c)의 상부를 구성하는 상단봉(24)과 상기 상단봉(24)이 삽입되어 이동가능한 원통형의 하단봉(25)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하단봉(25)의 일 측에는 상기 하단봉(25)에 삽입되어 이동되는 상단봉(24)을 고정하는 높이조절레버(26)가 구비된다.
예를 들면, 상기 하단봉(25) 일측에 나사형태로 형성된 높이조절레버(26)가 구비되어, 상기 높이조절레버(26)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높리조절레버(26)가 상기 상단봉(24)과 하단봉(25)을 고정한다. 물론, 상기 높이조절레버(26)는 상기 상단봉(24)을 고정할 수 있는 형태이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프레임(20c)은, 상술한 바와 다르게, 하단봉(25)이 상단봉(24)에 삽입되어, 상기 상단봉(24) 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높이조절레버(26)는 상단봉(24)에 구비된다.
상기 지지프레임(20c)은 상기 전면프레임(20b)을 지지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틀의 양 측에 구비될 수도 있지만, 상기 지지틀(20)이 지지할 성토층(60)의 하중에 따라 다양한 개수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a 및 도 2b 에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설치각이 각각 다른 지지틀의 모습이 도시되고 있다.
도 2a 에는 상기 지지프레임(20c)이 상기 하부프레임(20a)에 대하여 예각을 갖도록 설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높이조절레버(26)를 풀어 상기 상단봉(24)을 이동시키고, 상기 높이조절레버(26)를 다시 조이게 되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20b)의 각이 변화된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면프레임(20b)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면프레임(20b)의 측면봉이 상기 지지프레임과 대응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전면프레임(20b)의 측면은, 상기 전면프레임(20b)의 상부를 구성하는 상부봉(27)과 상기 상부봉(27)이 삽입되어 이동가능한 원통형의 하부봉(28)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하부봉(28)의 일 측에는 상기 하부봉(28)에 삽입되어 이동되는 상부봉(27)을 고정하는 고정레버(29)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전면프레임(20b)은, 상술한 바와 다르게, 하부봉(28)이 상부봉(27)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봉(24) 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 다.
이 경우, 고정레버(29)는 상부봉(27)에 구비된다.
한편, 도 4a 및 도 4b 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의 설치각이 각각 다른 지지틀의 모습이 도시되고 있다.
도 2a 에는 상기 지지프레임(20c)이 상기 하부프레임(20a)에 대하여 예각을 갖도록 설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높이조절레버(26) 및 고정레버(29)를 풀어 상기 상단봉(24) 및 상부봉(27)을 이동시키고, 상기 높이조절레버(26) 및 고정레버(29)를 다시 조이게 되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20b)의 각이 변화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하부프레임(20a), 전면프레임(20b) 및 지지프레임(20c)이 원형 봉의 형태로 구성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하부프레임(20a), 전면프레임(20b) 및 지지프레임(20c)은 다양한 형태의 봉 또는 철근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작용을 본 고안에 의한 지지틀을 이용하여 보강토 옹벽 및 사면을 시공하는 방법에 따라 살펴보기로 한다.
도 5 및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먼저, 녹화 사면이 시공될 기초지반(10)을 다지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S10). 이때, 다짐의 정도는 성토될 성토층(60)의 무게 및 원지반의 지반 강도 등을 고려하려 소정의 지지력이 발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반을 다진 이후에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짐 된 지반 상에 지지 틀(20)을 설치한다(S20). 상기 지지틀(20)은 성토층(60)을 형성하는 동안 상기 성토층(6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틀(20)은 상기 지반에 지지되는 하부프레임(20a)과 상기 하부프레임(20a)으로부터 소정의 각을 갖도록 구비되는 지지프레임(20c) 그리고 상기 하부프레임(20a)과 지지프레임(20b)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전면프레임(20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프레임(20a)과 상기 지지프레임(20b)의 각은 완성된 녹화사면의 경사각을 결정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50°내지 80°가 되도록 한다. 이때, 시공자는 먼저, 상기 지지프레임(20c)에 구비된 높이조절레버(26)를 풀고, 상기 지지프레임(20c)의 길이를 적당한 길이로 조절한 다음, 상기 높이조절레버(26)를 조여 상기 지지프레임(20c)을 고정시킨 이후에 상기 지지틀을 기초 지면에 설치한다.
상기 지지틀(20)이 기초지면에 설치된 이후에는,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프레임(20a) 및 기초지면의 상면에 보강재(30)를 설치한다(S30). 상기 보강재(30)는 시공되는 성토층(60) 간의 전단 저항력을 증가시키고, 주동토압에 의해 사면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보강재(30)는 마찰력이 크고 인장 강도가 큰 부재가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부직포 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직조된 토목 섬유(Geo Grid)가 사용된다.
상기 보강재(30)의 설치이후에는, 도 7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생토가 충진 된 격자틀(40)을 상기 지지틀(20) 배면에 설치한다(S40). 그리고 상기 격자틀(40)의 전단부는 상기 지지틀(20)의 상단과 고정시켜 움직임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 직하다. 이때, 상기 고정은 철사 또는 고리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격자틀(40)의 설치 방법을 자세히 살펴보면, 먼저, 격자 형태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격자플레이트(42)에, 상기 격자틀(40)의 배면을 형성하는 배면플레이트(44)를 결합한다(S41). 그리고 상기 격자틀(40)의 내부공간에 식물의 종자가 포함된 식생토를 채워 넣는다(S43). 그리고 그 이후에 상기 식생토가 충진된 격자틀(40)을 상기 지지틀(20) 배면에 설치하고, 상기 격자틀(40)을 상기 지지틀(20)에 고정한다(S45).
상기 격자틀(40)을 설치한 이후에는 도 7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매트(50)를 설치한다(S50). 상기 지지 매트(50)는 성토층(60)의 토사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은 상기 보강재(30) 상면에 위치시키고, 타 측은 상기 지지틀(20)을 넘겨 상기 지지틀(20)의 전면에 늘어뜨린다. 이때, 상기 지지 매트(50)는 토목 섬유(Geo Textile) 또는 타공된 부직포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 매트(50)를 설치한 이후에 도 2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틀(20) 배면을 성토하고 다짐하여 성토층(60)을 형성한다(S60).
상기 성토층(60)을 형성한 이후에, 도 2g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틀(20) 전면에 늘어뜨렸던 지지매트(50)를 접어 상기 성토층(60) 상면에 고정시킨다(S70). 이때, 상기 고정은 앵커, 핀, 갈고리 철근 등 다양한 고정수단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현장에서 직접 제작하기 용이한 갈고리 형태로 구부린 이 형철근(70)이 사용된다.
이후에, 도 2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자틀(40)의 배면을 형성하는 배면 플레이트(44)를 제거한다(S80). 이때는, 상기 격자틀(40)의 배면이 지지매트(50) 및 성토층(60)에 의해 지지되므로, 상기 격자틀(40) 내부의 식생토가 유실될 우려가 없다.
한편, 상기 배면 플레이트(44)를 제거한 이후에는, 도 7i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재(30)의 단부를 접어 상기 성토층(60) 상면에 고정한다(S90). 이때에도 고정은 상술한바와 같은 방법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재(30)를 고정하면, 도 7j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틀(20)을 전면으로 당겨 제거한다(S90).
이후, 도 2k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토층(60) 상면에 지지틀(20)을 재설치하고 상기 단계(S20 내지 S100)들을 반복 시공하여 원하는 높이까지 성토층(60)을 형성한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매트(50)를 설치하지 않고 본 고안에 의한 시공을 하게 된다.
즉, 격자틀(40)을 설치한 이후(S40)에, 바로 성토층을 형성한다(S60). 그리고, 상기 배면플레이트(44)를 제거한다(S80).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즉, 본 고안은 시공될 지반, 성토층(60)의 높이, 절개지면에 시공될 구조물의 종류에 따라 요구되는 안전성 정도 등의 시공조건에 따라 시공방법이 달라질 수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녹화 보강토 옹벽 및 사면 시공용 지지틀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지지틀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경사의 성토층에 상기 지지틀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하나의 지지틀을 가지고 다양한 성토층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시공이 간단해지고, 시공 단가가 절감되며, 상기 지지틀의 호완성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지면과 접하여 바닥면을 지지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선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하부프레임에 대하여 소정의 각을 갖도록 구비되는 전면프레임과;
    상기 전면프레임의 상단과 상기 하부프레임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배면의 성토층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길이가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및 사면시공을 위한 지지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를 구성하는 원통형의 하단봉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를 구성하고 상기 하단봉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 가능한 상단봉; 그리고
    상기 하단봉에 구비되어 상기 상단봉을 고정하는 높이조절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및 사면시공을 위한 지지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를 구성하는 원통형의 상단봉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를 구성하고 상기 상단봉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 가능한 하단봉; 그리고
    상기 상단봉에 구비되어 상기 하단봉을 고정하는 높이조절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및 사면시공을 위한 지지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전면프레임의 상단을 따라 다수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및 사면시공을 위한 지지틀.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프레임은,
    길이가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및 사면시공을 위한 지지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프레임은,
    상기 전면프레임의 하부를 구성하는 원통형의 하부봉과;
    상기 전면프레임의 상부를 구성하고 상기 하부봉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 가능한 상부봉; 그리고
    상기 하부봉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봉의 높이를 고정하는 고정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및 사면시공을 위한 지지틀.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프레임은,
    상기 전면프레임의 상부를 구성하는 원통형의 상부봉과;
    상기 전면프레임의 하부를 구성하고 상기 상부봉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 가능한 하부봉; 그리고
    상기 상부봉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봉의 높이를 고정하는 고정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및 사면시공을 위한 지지틀.
KR2020070002522U 2007-02-12 2007-02-12 보강토 옹벽 및 사면시공을 위한 지지틀 Expired - Fee Related KR2004417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2522U KR200441783Y1 (ko) 2007-02-12 2007-02-12 보강토 옹벽 및 사면시공을 위한 지지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2522U KR200441783Y1 (ko) 2007-02-12 2007-02-12 보강토 옹벽 및 사면시공을 위한 지지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351U KR20080003351U (ko) 2008-08-18
KR200441783Y1 true KR200441783Y1 (ko) 2008-09-08

Family

ID=41491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2522U Expired - Fee Related KR200441783Y1 (ko) 2007-02-12 2007-02-12 보강토 옹벽 및 사면시공을 위한 지지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78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567B1 (ko) * 2010-06-11 2013-06-18 윤성호 사면보강용 식생옹벽
CN117347595B (zh) * 2023-11-14 2024-05-28 长安大学 一种边坡与地层模型的综合测试试验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828176B1 (ko) * 2024-11-11 2025-07-09 엔지니어스 주식회사 배면성토체와 동일한 원지반토를 친 환경 개량재로 개량한 전면부와 배면성토체를 보강재로 함께 감싼 일체식 감싸기형 보강토체에 전면부 직접식생이 가능한 보강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351U (ko) 2008-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3754B1 (ko) 보강토 옹벽 및 사면 시공을 위한 지지틀
KR100981258B1 (ko) 옹벽 시공을 위한 옹벽블록과 이 옹벽블록과 지오그리드를 이용한 옹벽의 시공 방법
KR100746730B1 (ko) 보강토 옹벽 및 사면의 시공방법
CA2532647C (en) Composite form for stabilizing earthen embankments
HU226387B1 (en) An element for forming ground covering, restraining and reinforcing structures, particularly for forming retaining walls
KR200441783Y1 (ko) 보강토 옹벽 및 사면시공을 위한 지지틀
KR100679873B1 (ko) 녹화 옹벽의 시공방법
KR101231123B1 (ko) 본체 지지형 식생철망바구니를 이용한 생태블록 시공방법 및 본체 지지형 식생철망바구니
KR100641815B1 (ko) 보강토목섬유매트 및 이를 사용한 성토시공법
KR101250304B1 (ko) 본체 지지형 식생철망바구니
KR101383624B1 (ko) 자연석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966512B1 (ko) 식생토류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0874961B1 (ko) 보강토 옹벽용 철망
KR100774610B1 (ko) 보강토 옹벽 및 사면의 녹화용 토낭
KR100889257B1 (ko) 옹벽 전면의 녹화를 이용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
KR20130037781A (ko) 법면보호망을 이용한 토류옹벽 설치구조
KR101235826B1 (ko) 보강토 옹벽블록 시공방법
JP7109840B1 (ja) 盛土補強壁及び盛土補強壁の構築方法
KR101125072B1 (ko) 경관을 고려한 보강토 옹벽공법
KR20130003452U (ko) 법면보호망을 이용한 토류옹벽 설치구조
KR100419883B1 (ko) 사면 녹화 보강토 공법
KR100847022B1 (ko) 보강토 옹벽용 와이어 매트
KR200440824Y1 (ko) 보강토 옹벽 및 사면시공을 위한 격자틀
KR102214088B1 (ko) 가변형 식생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옹벽의 시공방법
KR100794669B1 (ko) 보강토 옹벽용 철망 및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70212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71214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90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8090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5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608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