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41250Y1 - 다목적 필기구 - Google Patents

다목적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1250Y1
KR200441250Y1 KR2020060029595U KR20060029595U KR200441250Y1 KR 200441250 Y1 KR200441250 Y1 KR 200441250Y1 KR 2020060029595 U KR2020060029595 U KR 2020060029595U KR 20060029595 U KR20060029595 U KR 20060029595U KR 200441250 Y1 KR200441250 Y1 KR 2004412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ting
writing instrument
sharp
eras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95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1148U (ko
Inventor
김국진
Original Assignee
김국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국진 filed Critical 김국진
Priority to KR20200600295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250Y1/ko
Publication of KR200800011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11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2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2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43K29/004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more than one obj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43K29/001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compa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43K29/02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rub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43K29/08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measuring, computing or indic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43K29/18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hand tools, e.g. erasing kn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Kni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목적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샤프 등의 필기구 외에도, 제도·교정·측정·절단기능을 갖는 각종 도구를 함께 일체로 구비하여, 기록 및 편집과 같은 다양한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 다목적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기록 및 편집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갖는 통상의 다목적 필기구에 있어서, 메모지 등과 같은 용지에 기록사항을 필기 또는 기재하기 위한 필기수단과; 상기 필기수단의 상단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되어 각종 물품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측정수단과; 상기 측정수단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어 메모지 등을 절단할 수 있도록 하는 절단수단과; 상기 절단수단의 상측에 더 구비되어, 필기 및 기재된 기록사항을 수정할 수 있는 교정수단; 그리고, 상기 필기수단의 상측에 회동가능케 결합되어 원 또는 호를 작도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필기구, 샤프, 콤파스, 커터칼, 줄자, 지우개

Description

다목적 필기구{COMBINATION OF WRITING IMPLEMENTS WITH CASE}
도 1은 종래 고안에 따른 다목적 필기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필기구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필기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필기구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필기구에 있어서, 제도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6a 내지 도 6e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필기구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다목적 필기구, a-1 : 고정패킹, a-2 : 뚜껑
100 : 필기수단, 110 : 샤프본체, 110a : 조립부
111 : 클립, 120 : 펜소켓, 121 : 샤프심
130 : 누름쇠, 200 : 측정수단, 210 : 줄자
220 : 줄자본체, 221 : 하부체결나사, 222 : 상부체결나사
300 : 절단수단, 310 : 커터칼, 320 : 칼덮개
400 : 교정수단, 410 : 지우개, 420 : 지우개덮개
430 : 제1힌지부재, 500 : 제도수단, 510 : 콤파스축대
511 : 수용홀, 520 : 축심, 530 : 제2힌지부재
본 고안은 다목적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샤프와 같은 필기구 외에도, 제도·교정·측정·절단기능을 갖는 각종 도구를 함께 일체로 구비하여, 기록 및 편집과 같은 다양한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 다목적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필기구(筆記具)의 사전적 의미는, "필기하는데에 쓰는 여러 종류의 물건"을 말하는 것으로, 기존의 필기구는 단순히 샤프와 지우개가 겸용된 것 이외에는 대부분이 단일기능만을 갖는 단독형 도구로 구성된다.
따라서, 외출 및 출장시 또는 공사현장 방문시에 다양한 용도의 도구를 각각 별도로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공고실용신안 제 1988-3334호에서는, 콤파스에 볼펜과 샤프를 결합한 다목적 필기구(이하 다목적 필기구라 함)가 개시된바 있다.
도 1은 종래 고안에 따른 다목적 필기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로써,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고안에 따른 다목적 필기구는, 클립(2)이 부착된 콤파스 본체(1)에 반원형의 삽입구(3)(3')를 결합하고, 이에 반원형의 샤프(4) 와 볼펜(5)의 양단에 형성된 삽입턱(6)(6')(7)(7')이 삽탈되게 하,일축의 삽입턱(6)(7)에는 돌침(8)(8')이 형성되게 하고, 타측의 삽입턱(6')(7')에는 샤프심(9)과 볼펜심(10)이 돌출되게 하여 뚜껑(11)(11')이 삽입되는 구성이다.
종래의 다목적 필기구의 구체적인 작용관계를 살펴보면, 상기 삽입구(3)(3')로 샤프(4)와 볼펜(5)의 양 선단에 각각 형성된 삽입턱(6)(6')(7)(7')을 끼워 결합시켜 샤프심(9)과 볼펜심(10) 중 사용자가 용도에 맞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별도의 샤프(4)이나 볼펜(5)을 준비할 필요가 없도록 하고, 콤파스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샤프(4)나 볼펜(5) 중 한가지를 거꾸로 삽입하여 돌침(8)(8')이 회전축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어 대향측의 샤프심(9)이나 볼펜심(10)으로 원을 그릴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샤프(4)와 볼펜(5)을 모두 거꾸로 삽입하면 하부로 돌침(8)(8')이 모두 돌출되어 디바이더로써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상술한 종래의 다목적 필기구는, 샤프(4)와 볼펜(5) 그리고 콤파스 및 디바이더의 기능을 갖는 도구들을 하나로 조합하여 다양한 작업을 실시함에는 용이하나, 각각의 도구들을 사용키 위해 그들을 분리한 후 거꾸로 삽입하는 등의 별도과정을 수시로 실시함에 따라 사용상 번거로움이 있고, 바닥에 떨어뜨림과 같은 충격발생시에 쉽게 분해 및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어왔으며, 그와 같은 도구들 각각의 분리현상으로 분실의 우려가 발생되는 폐단이 있어왔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필기 및 제도 또는 편집 등의 상반된 고유기능을 갖는 각각의 도구들을 힌지부재 또는 체결나사 등으로 일체로 조립구성하면서도 그들의 조합형태를 일반적인 필기구의 형태와 흡사하게 형상화하여, 필기구의 주 사용성과 다양한 기능성을 함께 발휘할 수 있도록 한 다목적 필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다목적 필기구는, 기록 및 편집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갖는 통상의 다목적 필기구에 있어서, 메모지 등과 같은 용지에 기록사항을 필기 또는 기재하기 위한 필기수단과; 상기 필기수단의 상단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되어 각종 물품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측정수단과; 상기 측정수단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어 메모지 등을 절단할 수 있도록 하는 절단수단과; 상기 절단수단의 상측에 더 구비되어, 필기 및 기재된 기록사항을 수정할 수 있는 교정수단; 그리고, 상기 필기수단의 상측에 회동가능케 결합되어 원 또는 호를 작도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중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필기구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필기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필기구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필기구에 있어서, 제도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며, 도 6a 내지 도 6e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필기구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예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필기구(A)는, 메모지 등에 기록사항을 필기하기 위한 필기수단(100)과, 상기 필기수단(100)의 상단부에 체결되어 각종 물품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측정수단(200)과, 상기 측정수단(200)의 상측에 체결되어 종이 등을 절단할 수 있도록 된 절단수단(300)과, 상기 절단수단(300)의 상측에 더 구비되어 기재된 기록사항을 수정할 수 있는 교정수단(400)과, 상기 필기수단의 상측에 회동가능케 결합되어 원이나 호를 작도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신축성을 발휘하는 고무재이고, 회동될 수 있는 상기 제도수단(500)이 필기수단(100)과 상호 이격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그들의 일 외주연을 감싸도록 끼워지는 고정패킹(a-1)과, 후술될 샤프심(121) 및 축심(520)(520')을 덮어 보호하기 위한 뚜껑(a-2)이 더 결합 구비된다.
필기수단(100)은, 메모지 등과 같은 용지에 기록사항을 필기/기재하는데 사용되는 통상의 샤프로, 후술될 누름쇠의 가압작동에 불편함을 끼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측정수단(200)의 결합을 위해 일측방으로 다소 확장된 부피의 지름을 갖는 조립부(110a)가 상측부에 형성된 샤프본체(110)와, 상기 샤프본체(110)의 하측 선단에 체결되어 통상의 샤프심(121)을 노출시킬 수 있도록 안내하는 펜소켓(120)과, 상기 샤프심(121)이 펜소켓(120)으로부터 일정길이만큼 전진을 이루도 록 하는 "ㄱ"자형의 누름쇠(130)가 조립부(110a)의 그 상단 일측에 결합된 구성이다.
또한, 상기 조립부(110)의 일 외주면에는, 사용자의 주머니 또는 수첩 등에 본 고안의 다목적 필기구(A)를 끼워 용이하게 보관하도록 한 클립(11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측정수단(200)은, 상기 필기수단(100)의 상측 일단에 일체로 체결조립되어 물품의 길이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소형크기의 물품만을 한정적으로 측정할 수밖에 없었던 기존의 소형자와 달리, 내부에 원형으로 말려 수용됨으로 보다 확장된 범위를 측정할 수 있으면서도 조립공간의 최소화가 가능한 줄자(210)와, 상기 줄자(210)를 말아 수용보관할 수 있고 상기 필기수단(100)의 상단 일면에 체결되는 하부체결나사(221)가 형성된 줄자본체(220)로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줄자본체(220)의 상단부에는, 상기 절단수단(300)의 체결을 가능케 하기 위한 상부체결나사(222)가 소정크기로 상향 돌출형성되어 있다.
절단수단(300)은, 상기 측정수단(200)의 상측에 결합되어 메모지와 같은 용지를 적정크기 및 원하는 모양으로 절단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측정수단(200)의 상단면에 일체로 결합된 커터칼(310)과, 상기 커터칼(310)의 안전한 보관을 위해 그를 내부에 수용토록 하단이 개방되고 개방된 내주면 하단이 상기 상부체결나사(222)에 체결되는 칼덮개(320)로 구성된다.
교정수단(400)은, 상기 필기수단(100)을 통해 기재(필기)된 기록사항을 필요시 수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칼덮개(320)의 상단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통상의 지우개(410)와, 상기 지우개(410)를 덮어 수용하도록 하고 일측이 회동되어 지우개(410)의 외부노출을 이루도록 한 지우개덮개(420)와, 상기 지우개덮개(420)의 회동을 위하여 칼덮개(320)의 상단 일면 및 그와 대응되는 지우개덮개(420)의 하단 일면에 힌지결합되어 그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경첩 등의 제1힌지부재(430)로 구성된다.
제도수단(500)은, 상기 샤프본체(110)의 조립부(110a) 하면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정의된 지름을 갖는 원이나 호를 그리기 위한 것으로, 원(또는 호)의 중심점을 지정하고 그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필기수단(100)을 일정각으로 벌려 작도할 수 있도록 하는 콤파스축대(510)와, 상기 콤파스축대(510)의 하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원,호의 중심점을 기준하기 위한 축심(520)과, 상기 조립부(110a) 일 하면과 상기 콤파스축대(510)의 상단면에 힌지결합되는 제2힌지부재(53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콤파스축대(510)의 하측에는, 그 내면으로 소정공간을 이루는 수용홀(511)이 더 형성되어 있어, 상기 축심(520)의 수용을 가능토록 한다.
도 5는 상기 콤파스축대(510)에 결합되는 다른 축심(520')을 도시한 것으로써, 상기 수용홀(511) 내부에 축심(520')의 수용을 생략하고도 필기수단(100)을 통한 필기/기재작업을 방해하거나 피부의 손상을 초래하는 등과 같은 안전사고의 유발을 방지하도록 그의 뾰족한 끝부분이 상기 펜소켓(120) 측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한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필기구의 작용을 구체적 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기수단(100)의 샤프본체(110)의 조립부(110a) 상단 일면으로 상기 측정수단(200)의 하부체결나사(221)가 결합되고, 상기 측정수단(200)의 상단부에 형성된 상부체결나사(222)에 상기 절단수단(300)이 결합되며, 상기 절단수단(300)의 상단 일면에 제1힌지부재(430)를 통해 교정수단(400)이 일체로 결합되고, 샤프본체(110)의 조립부(110a) 하단면 일측에 상기 제2힌지부재(530)로 제도수단(500)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됨으로 각각의 도구들이 일체로 구성된다.
상술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필기수단(A)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도수단(500)의 콤파스축대(510) 및 필기수단(100)의 샤프본체(110) 선단에 결합된 뚜껑(a-1)을 분리시켜 샤프을 이용한 필기/기재를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본체(110) 조립부(110a)의 하면 일측 및 콤파스축대(510)의 상측에 힌지결합된 제2힌지부재(530)를 회동시켜줌으로, 상기 콤파스축대(510)와 샤프본체(110)가 이격되도록 하여 정의된 지름의 원이나 호를 작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콤파스축대(510)의 말단에 구비되는 축심(520)(520')을 이용하여 원 또는 호의 기준점(중심점)을 설정하는 것이다.
더불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칼덮개(320)의 일 상단과 지우개덮개(420)의 일 하단에 힌지결합된 제1힌지부재(430)를 회동시켜 상기 지우개덮개(420)를 개방함으로 노출된 지우개(410)를 이용하여 상기 필기수단(100)으로 필 기(또는 기재)된 기록사항을 수정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줄자본체(220)의 상부체결나사(222)에 결합된 상기 칼덮개(320)를 분리시켜 커터칼(310)의 외부노출을 이루도록 하여 절단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정수단(200)의 줄자본체(220) 내에 말려져 수용된 줄자(210) 선단을 손으로 일정길이만큼 잡아당겨 물품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측정이 완료된 이후에는 줄자(210)를 파지한 손을 놓음으로 줄자본체(220) 내로 줄자(210)가 탄력적으로 말려져 수용되는 것이다.
즉, 사무출장시나 공사현장에서 다양한 기능성을 발휘할 수 있는 본 고안의 다목적 필기구(A)를 이용하여 기록 및 편집 등의 다양한 작업을 간편하면서도 용이하게 실시함이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의 다목적 필기구는, 통상의 샤프 등과 같은 필기구의 그 형상모양과 유사하면서도 기록 및 편집 등과 같은 각종 기능을 갖는 단일의 도구들을 일체로 조합한 구성으로, 각각의 도구들을 분리시 키지 않고도 그들의 다양한 기능성을 극대화시켜 발휘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일체의 구성으로도 다양한 작업을 수행함이 가능함에 따라, 보관의 편리성과 구성부재들의 분실우려를 완전히 해소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0)

  1. 기록 및 편집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갖는 통상의 다목적 필기구에 있어서,
    메모지 등과 같은 용지에 기록사항을 필기 또는 기재하기 위한 필기수단과;
    상기 필기수단의 상단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되어 각종 물품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측정수단과;
    상기 측정수단의 상측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어 메모지 등을 절단할 수 있도록 하는 절단수단과;
    상기 절단수단의 상측에 더 구비되어, 필기 및 기재된 기록사항을 수정할 수 있는 교정수단;
    상기 필기수단의 상측에 회동가능케 결합되어 원 또는 호를 작도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수단; 그리고
    상기 제도수단과 필기수단의 선단 외주연부를 함께 감싸도록 끼워지는 고무재로 된 고정패킹;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필기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수단은, 내부에 샤프심이 저장되고 상단에는 상기 측정수단이 체결 되는 원형드럼형태로 된 샤프본체와, 상기 샤프본체의 말단에 체결되어 샤프심을 노출되게 안내하는 펜소켓과, 상기 샤프심이 펜소켓으로부터 일정길이만큼 외부로 전진시키기 위한 "ㄱ"자형의 누름쇠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필기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본체는, 일측으로 다소 확장된 부피의 지름을 갖는 조립부가 상부에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필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수단은, 내부에 원형으로 말려 수용되고 물품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된 줄자와, 상기 줄자를 말아 수용보관할 수 있고 상기 필기수단의 상단 일면에 체결되는 하부체결나사가 더 형성된 줄자본체와, 상기 줄자본체의 그 상단으로 상기 절단수단을 체결하도록 하는 상부체결나사가 더 돌출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필기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수단은, 상기 측정수단의 상단면에 일체로 결합된 커터칼과, 상기 커터칼을 덮어 내부에 수용토록 하단이 개방되고 그 개방된 내주면의 하단이 상기 상부체결나사에 체결되는 칼덮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필기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수단은, 상기 칼덮개의 상단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지우개와, 상기 지우개를 덮어 수용하도록 하고 일측이 회동되어 지우개의 외부노출을 이루도록 한 지우개덮개와, 상기 지우개덮개의 회동을 위해 칼덮개의 상단 일면 및 그와 대응되는 지우개덮개의 하단 일면에 힌지결합되는 제1힌지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필기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도수단은, 상기 필기수단을 일정각으로 벌려 원이나 호를 작도할 수 있도록 하는 콤파스축대와, 상기 콤파스축대의 하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원 또는 호의 중심점을 기준하기 위한 축심과, 상기 샤프본체의 상부 일측과 상기 콤파스축대의 상단면에 힌지결합되는 제2힌지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필기구.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콤파스축대의 하측 그 내면으로, 상기 축심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 소정공간의 수용홀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필기구.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축심의 그 뾰족한 끝부분의 진행방향이 상기 펜소켓 측방을 향하도록 일정각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필기구.
KR2020060029595U 2006-11-14 2006-11-14 다목적 필기구 KR2004412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9595U KR200441250Y1 (ko) 2006-11-14 2006-11-14 다목적 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9595U KR200441250Y1 (ko) 2006-11-14 2006-11-14 다목적 필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148U KR20080001148U (ko) 2008-05-19
KR200441250Y1 true KR200441250Y1 (ko) 2008-08-01

Family

ID=41324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9595U KR200441250Y1 (ko) 2006-11-14 2006-11-14 다목적 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25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790Y1 (ko) * 2015-02-23 2015-07-28 박유리 길이 측정 수단을 구비한 필기도구
WO2016209050A1 (ko) * 2015-06-25 2016-12-29 주식회사 서준 다기능 필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801B1 (ko) * 2013-04-18 2014-05-29 평 임 다기능 계측용 공구
CN106739665A (zh) * 2017-03-13 2017-05-31 恭城瑶族自治县恭城中学 多功能实用笔
CN107901677A (zh) * 2017-12-20 2018-04-13 亚泰克文化用品(昆山)有限公司 一种圆规手柄及圆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790Y1 (ko) * 2015-02-23 2015-07-28 박유리 길이 측정 수단을 구비한 필기도구
WO2016209050A1 (ko) * 2015-06-25 2016-12-29 주식회사 서준 다기능 필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148U (ko) 2008-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1250Y1 (ko) 다목적 필기구
JP2020062884A (ja) 多目的複合筆記具
US20090142127A1 (en) Writing instrument with rotatable handles
KR200441249Y1 (ko) 다목적 필기구
CN209644164U (zh) 一种基于卷轴结构的多功能随行笔袋
JP5143487B2 (ja) 折り畳み式複合筆記具
KR101146256B1 (ko) 다기능 자
TWM553270U (zh) 一種書寫工具
CN112406373B (zh) 圆规
CN203860636U (zh) 方形文具盒
KR200397228Y1 (ko) 접착식 메모지를 내장하는 필기구
KR102652148B1 (ko) 펜형 컴퍼스
KR102127338B1 (ko) 다용도 기능을 갖는 필통
CN210047248U (zh) 笔筒
KR102725715B1 (ko) 일체형 컴퍼스
JP3160448U (ja) 二色ボールペン
KR200322517Y1 (ko) 연필용 기능성 뚜껑
US12185807B1 (en) Stationery system
US6658702B1 (en) Writing implement holder with clip
JP3140803U (ja) 筆入れ
KR200313259Y1 (ko) 휴대용 색연필꽂이 겸용 색연필 케이스
KR200413923Y1 (ko) 연필용 기능성 뚜껑
JPH0424978Y2 (ko)
CN203860637U (zh) 三角形文具盒
JP3214804U (ja) バタフライロック機能つき後付けペンホルダ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1114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70917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72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8072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2092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