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40566Y1 - 표시부가 구비된 앨범 - Google Patents

표시부가 구비된 앨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0566Y1
KR200440566Y1 KR2020070001402U KR20070001402U KR200440566Y1 KR 200440566 Y1 KR200440566 Y1 KR 200440566Y1 KR 2020070001402 U KR2020070001402 U KR 2020070001402U KR 20070001402 U KR20070001402 U KR 20070001402U KR 200440566 Y1 KR200440566 Y1 KR 2004405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edge
hole
album
co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14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일
Original Assignee
드림산업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드림산업 (주) filed Critical 드림산업 (주)
Priority to KR20200700014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05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05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05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8Alb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12Book cover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18Othe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5/00Sheets and objec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Means therefor; Alb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PINDEXING SCHEME RELATING TO BOOKS, FILING APPLIANCES OR THE LIKE
    • B42P2241/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books or filing appliances
    • B42P2241/20Protecting; Reinforcing; Preventing deform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진이 보관되는 다수개의 대지를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사진이 수납되는 표시부가 구비된 앨범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커버에 다각으로 형성된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의 모서리부에 접착되는 모서리마감재와, 상기 모서리마감재 및 상기 관통홀의 내측에 고정되는 테두리부재, 및 일측 방향이 개방된 형태로 상기 커버의 이면에 부착되고 상기 사진이 삽입되어 위치되는 수용체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커버에 형성된 관통홀의 모서리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표시부의 미관이 수려하게 된다. 즉, 상기 관통홀의 모서리에 모서리마감재를 부착시켜 테두리부재의 내측면 모서리가 절개된 영역으로 상기 모서리마감재가 노출되는 것이다.
Figure R2020070001402
앨범, 표시부, 테두리부재, 사진, 커버

Description

표시부가 구비된 앨범{Album with an indicating part}
도 1은 본 고안의 표시부가 구비된 앨범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표시부가 구비된 앨범의 커버 및 표시부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표시부가 구비된 앨범의 테두리부재를 펼쳐진 상태로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표시부가 구비된 앨범의 모서리마감재를 펼쳐진 상태로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표시부가 구비된 앨범의 커버 및 표시부의 결합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표시부가 구비된 앨범의 도 5에 도시된 A-A부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앨범 110 : 커버
111 : 관통홀 200 : 표시부
210 : 테두리부재 211 : 중공부
212a,212b,212c,212d : 제1절단선 213a,213b,213c,213d : 제2절단선
214a,214b,214c,214d : 제1절곡부 215a,215b,215c,215d : 제2절곡부
220 : 모서리마감재 221 : 제1접힘부
222 : 제2접힘부 223 : 절개선
230 : 수용체 240 : 접착부재
250 : 보호필름지 300 : 사진
본 고안은 사진이 보관되는 대지를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커버에 사진이 수납되는 표시부가 구비된 앨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앨범은 사진을 보관하는 용도로서, 상기 사진이 수납되는 대지와, 상기 대지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커버, 그리고 상기 대지를 상기 커버의 내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로 구성된다.
상기 대지는 좌측부에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내부에 구비된 고정부에 상기 관통홀을 삽입시켜 상기 대지를 상기 커버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 고정부는 링 바인더, 또는 체결볼트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대지는 투명한 소재의 필름지가 구비되어 상기 대지와 상기 필름지 사이에 사진이 보관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대지는 상기 사진 및 상기 필름지가 부착되는 접착식과, 상기 대지와 상기 필름지 사이에 삽입시키는 삽입식으로 구성된다.
상기 접착식은 상기 대지의 전면과 이면에 각각 접착물질이 도포되고, 그 양면에 각각 투명한 필름지가 부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필름지를 일 시적으로 분리시킨 후, 상기 점착물질이 구비된 대지에 상기 사진을 접착시키고 상기 필름지를 원상태로 부착시켜 상기 사진을 보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삽입식은 상기 대지의 양면에 구비된 필름지의 전면과 이면 일부분이 대지에 열 접합되어 다수개의 삽입부가 구비되고, 상기 삽입부에 상기 사진을 삽입시켜 상기 사진을 보관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커버는 두꺼운 재질의 종이 및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다. 이 커버는 전면커버와 후면커버가 각각 분리된 상태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하나의 커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상기 커버의 전면에 표시부가 구비되어 사진을 삽입시킬 수 있는 앨범에 제공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 표시부는 특별한 구조 없이 상기 커버에 관통홀을 형성시켜 사진을 부착시키는 단순한 방법으로 제공되었다. 이후, 개선된 표시부는 금속재를 상기 관통홀 내부에 부착시켜 미관을 수려하게 하였으나, 상기 관통홀이 사각의 형상과 같이 다각으로 구비될 경우, 그 모서리가 금속재의 절개된 부분으로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앨범의 커버에 별도의 사진을 수납시킬 수 있는 표시부가 구비된 앨범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커버에 형성된 관통홀에 부착되는 모서리가 금속재의 절개된 부분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미관을 수려하게 할 수 있는 표시부가 구비된 앨범을 제공하 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표시부가 구비된 앨범은, 사진이 보관되는 다수개의 대지를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사진이 수납되는 표시부가 구비된 앨범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커버에 다각으로 형성된 관통홀; 상기 관통홀의 모서리부에 접착되는 모서리마감재; 상기 모서리마감재 및 상기 관통홀의 내측에 고정되는 테두리부재; 및 일측 방향이 개방된 형태로 상기 커버의 이면에 부착되고, 상기 사진이 삽입되어 위치되는 수용체;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의 표시부가 구비된 앨범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재는, 내주면 모서리에서 외주면 모서리 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절단선; 및 상기 절단선의 길이만큼 상기 테두리부재의 내측부가 절곡되어진 절곡부;를 포함하되, 상기 절곡부에 의해 절곡된 상기 테두리부재의 내측면이 상기 관통홀의 내측에 접착된다.
본 고안의 표시부가 구비된 앨범에 있어서, 상기 절단선은, 상기 커버의 두께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다.
본 고안의 표시부가 구비된 앨범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재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표시부가 구비된 앨범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와 상기 커버 사이에는 투명한 소재의 보호필름지;가 더 구비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표시부가 구비된 앨범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도 1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가 구비된 앨범(100)은 커버(110)에 구비된 표시부(200)가 관통홀(111), 테두리부재(210), 모서리마감재(220), 수용체(230)로 크게 구성된다.
먼저, 앨범(100)의 기본적인 구성인 대지(접착식, 삽입식)의 형태 및 커버(110)에 구비되어 상기 대지를 고정시키는 링 바인더 또는 체결볼트의 구성은 종래에 기재된 설명을 참조하도록 하고, 이하에서는 앨범(100)의 커버(110)에 구비된 표시부(200)에 대한 설명을 하도록 한다.
상기 관통홀(111)은 상기 커버(110)의 전면 일부분에 형성된다. 즉, 상기 관통홀(111)은 상기 앨범의 전면에만 형성되는 것이다. 이 관통홀(111)의 형상은 원형 및 다각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첨부된 도면에서는 상기 관통홀(111)을 직사각형상으로 도시 하였다.
상기 테두리부재(210)는 얇은 두께를 갖는 금속의 평판 플레이트로 구비된다. 상기 테두리부재(210)의 두께는 "mm" 단위로 구비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mm의 두께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금속의 종류는 스테인리스, 또는 구리합금, 알루미늄과 같이 가공이 용이하며 녹이 발생되지 않고 가벼운 특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테두리부재(210)는 합성수지로 사출되어 성형될 수도 있다.
또한, 테두리부재(210)는 첨부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공부(211)가 형성되어 내주면을 갖고, 상기 내주면에서 동일한 너비를 갖는 외주면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중공부(211)는 전술된 커버(110)에 형성된 관통홀(111)의 크기보다 작으며, 상기 외주면은 상기 관통홀(111)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테두리부재(210)의 내ㆍ외주면 형상은 상기 관통홀(111)의 형상에 따라 다르게 구비된다. 즉, 상기 관통홀(111)이 사각의 형상을 가질 경우 상기 테두리부재(210)의 내ㆍ외주면의 형상이 상기 관통홀(111)과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테두리부재(210)는 절단선과 절곡부가 각각 형성된다. 이 절단선은 상기 테두리부재(210)의 내측 모서리에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절단선은 상기 내주면 모서리에서 외주면 모서리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절단선의 시작점은 상기 내주면 모서리이고, 끝점은 상기 테두리부재(210)의 내주면과 외주면의 중간 정도 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절단선의 길이는 상기 관통홀(111)의 두께만큼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절곡부는 상기 절단선의 끝점에서 하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절곡부가 하측 방향으로 절곡된 길이는 상기 관통홀(111)의 두께만큼 절곡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에서 설명된 절단선은 첨부된 도면에서 제1절단선(212a,212b,212c,212d)으로 부호를 도시하였으며, 이하 설명에서는 상기한 구성의 절단선을 제1절단선(212a,212b,212c,212d)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절곡부는 첨부된 도면에서 제1절곡부(214a,214b,214c,214d)로 부호를 도시하였으며, 이하 설명에서는 상기한 구성의 절곡부를 제1절곡부(214a,214b,214c,214d) 로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테두리부재(210)는 제2절단선(213a,213b,213c,213d)과 제2절곡부(215a,215b,215c,215d)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2절단선(213a,213b,213c,213d)은 상기 외주면의 모서리에서 내주면의 모서리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도록 구비된다. 이 제2절단선(213a,213b,213c,213d)은 앞서 언급한 제1절단선(212a,212b,212c,212d)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절곡부(215a,215b,215c,215d)는 상기 제2절단선(213a,213b,213c,213d)의 끝점에서 하측 방향으로 절곡된다.
여기서, 상기 제2절단선(213a,213b,213c,213d)의 길이와 상기 제2절곡부(215a,215b,215c,215d)가 하측 방향으로 절곡된 길이는 상기 테두리부재(210), 또는 후술되는 모서리마감재(220)의 두께만큼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모서리마감재(220)는 전술되어진 관통홀(111)의 모서리부에 각각 구비된다. 즉, 상기 관통홀(111)의 형상이 사각일 경우 상기 모서리마감재(220)는 4개로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모서리마감재(220)는 펼쳐진 상태가 직사각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모서리마감재(220)의 가로 길이는 세로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갖도록 구비된다. 만약, 상기 모서리마감재(220)의 세로 길이가 10mm라고 가정할 경우 상기 모서리마감재(220)의 가로 길이는 20 내지 50mm의 길이를 갖도록 구비된다.
또한, 첨부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모서리마감재(220)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세로 길이의 중간 부분에 횡 방향으로 제1접힘부(221)가 형성되고, 상기 제1접힘부(221)의 중간에서 하측 방향으로 제2접힘부(22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접힘부(221)의 중간에서 상측 방향, 즉 상기 제1접힘부(221)와 대향된 위치에 절개선(223)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접힘부(221)로 인해서 상기 모서리마감재(220)의 절반 영역이 하측 방향으로 절곡된 후, 상기 제2접힘부(222)로 인해서 횡 방향으로 2차 절곡된다. 그러므로, 상기 모서리마감재(220)는 전체적인 형상이 "ㄴ"의 형상을 갖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수용체(230)는 전술된 커버(110)의 이면에 부착되어 사진(300)을 수용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사진(3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 방향이 개방된다. 이 수용체(230)의 형상은 전체적으로 사각의 형상으로 구비되고, 또한 상기 수용체(230)의 테두리 중 세 방향의 테두리부에 접착물질이 도포되어 상기 커버(110)의 이면에 부착된다. 그러나, 도시된 도면에서는 별도의 접착부재(240)의 상면이 상기 커버(110)의 이면에 부착되고, 상기 수용체(230)가 상기 접착부재(240)의 하면에 부착되도록 도시하였다.
상기 수용체(230)만 구비된 경우에는 상기 사진(300)과 후술되는 보호필름지(250)의 두께로 인해서 커버(110)와의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접착부재(240)를 상기 수용체(230)의 테두리에 부착한 상태로 상기 커버(110)에 부착하게 되면, 상기 접착부재(240)의 두께만큼 상기 사진(300)과 상기 보호필름지(250)가 위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접착부재(240)의 형상은 "ㄷ"의 형상을 가지며 세 방향의 테두리와 상기 수용체(230)의 테두리는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접착부재(240)의 두께를 달리하여 한 장 이상의 사진(300)을 겹쳐진 상태로 상기 수용체(230)에 수용시킬 수가 있다.
한편, 상기 커버(110)와 상기 수용체(230), 또는 상기 접착부재(240)와 상기 수용체(230) 사이에는 보호필름지(250)가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사진(300)은 상기 보호필름지(250)와 상기 수용체(230)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다.
상기 보호필름지(250)는 투명한 소재의 보호필름지(250)로 구비되어 상기 사진(300)이 외부로 표시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 보호필름지(250)의 두께는 상기 사진(300)과 비슷한 두께를 갖는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표시부가 구비된 앨범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앨범(100)에 구비된 커버(110)를 제작할 때, 프레스 기기를 이용하여 상기 커버(110)에 관통홀(111)을 형성시킨다. 이 관통홀(111)의 크기는 사진(300)의 크기와 유사하게 3×5, 4×6, 5×7, 6×8 등의 인치(inch)로 형성시킨다. 그러나, 상기 관통홀(111)의 크기는 상기 사진(300)의 크기보다 약간 작은 영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상기 관통홀(111)이 상기 사진(300)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면 상기 사진(300)의 테두리부가 여백을 갖기 때문이다.
그리고, 테두리부재(210)는 평판의 플레이트를 프레스 기기로 가압하고 절단하여 제작한다. 즉, 상기 테두리부재(210)에 중공부(211)를 형성시켜 내주면을 갖도록 하고, 상기 내주면에서 동일한 너비를 갖도록 외주면을 형성시키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내주면 모서리에서 외주면 모서리 방향으로 제1절단선(212a,212b,212c,212d)을, 상기 외주면의 모서리에서 상기 내주면의 모서리 방향으로 제2절단선(213a,213b,213c,213d)을 각각 형성시킨다. 이때, 상기 중공부(211)와 상기 제1절단선(212a,212b,212c,212d) 및 제2절단선(213a,213b,213c,213d)은 한 번의 프레스 공정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테두리부재(210)는 제1절곡부(214a,214b,214c,214d)와 제2절곡부(215a,215b,215c,215d)를 형성시키게 각각 되는데, 상기 제1절곡부(214a,214b,214c,214d)는 상기 제1절단선(212a,212b,212c,212d)의 끝점에서 하측 방향으로 90°절곡시키고, 상기 제2절곡부(215a,215b,215c,215d)는 상기 제2절단선(213a,213b,213c,213d)의 끝점에서 하측 방향으로 90°절곡시키게 된다.
한편, 모서리마감재(220)는 일정한 너비를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평판의 플레이트에 제1접힘부(221)와 제2접힘부(222), 그리고 절개선(223)을 형성시킨다. 여기서, 상기 모서리마감재(220)의 재질은 상기 테두리부재(210)와 동일한 소재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서로 상이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먼저, 상기 절개선(223)은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 상기 모서리마감재(220)의 중심부에서 상측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접힘부(221)는 상기 모서리마감재(220)의 중심부를 하측 방향으로 절곡시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2접힘 부(222)는 상기 절개선(223)의 하측부에서 양측 방향으로 절곡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모서리마감재(220)는 상기 제1접힘부(221)로 인해서 그 측면의 형상이 "ㄱ"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접힘부(222)로 인해서 그 평면의 형상이 "ㄴ"의 형상을 갖는 것이다.
이렇게 이루어진 상기 모서리마감재(220)를 전술된 커버(110)에 구비된 관통홀(111)의 모서리에 각각 접착시킨다. 이때, 본드와 같은 접착물질을 이용하여 상기 모서리마감재(220)를 상기 관통홀(111)의 내측면 모서리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테두리부재(210)의 내측면에 접착물질을 도포하여 상기 관통홀(111) 내에 삽입시킨다. 이때, 상기 테두리부재(210)의 내측면 모서리가 상기 모서리마감재(220)의 외측면 모서리에 밀착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테두리부재(210)의 모서리에 절개된 영역에 상기 모서리마감재(220)가 위치되어 첨부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110)의 관통홀(111) 내측면 모서리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커버(110)의 이면에 접착부재(24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접착물질을 도포시킨 후, 상기 접착부재(240)의 상면은 상기 커버(110)의 이면에 부착시키고, 상기 접착부재(240)의 하면에 수용체(230)의 상면을 접착시키게 된다.
시간이 경과되어 상기 접착물질들이 경화되면 보호필름지(250)를 상기 수용체(230) 내부에 수용시킨다. 이렇게 유통되는 앨범을 구매하여 앨범 내에 보관되는 사진(300)의 종류에 따라, 즉 본인, 가족, 애인 등의 사진(300)을 다양한 앨범마다 각각 수용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사진(300)은 상기 보호필름지(250)와 상 기 수용체(230) 사이로 삽입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표시부가 구비된 앨범은 커버에 형성된 관통홀의 모서리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표시부의 미관이 수려하게 된다. 즉, 상기 관통홀의 모서리에 모서리마감재를 부착시켜 테두리부재의 내측면 모서리가 절개된 영역으로 상기 모서리마감재가 노출되는 것이다.

Claims (5)

  1. 사진이 보관되는 다수개의 대지를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사진이 수납되는 표시부가 구비된 앨범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커버에 다각으로 형성된 관통홀;
    상기 관통홀의 모서리부에 접착되는 모서리마감재;
    상기 모서리마감재 및 상기 관통홀의 내측에 고정되는 테두리부재; 및
    일측 방향이 개방된 형태로 상기 커버의 이면에 부착되고, 상기 사진이 삽입되어 위치되는 수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부가 구비된 앨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재는,
    내주면 모서리에서 외주면 모서리 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절단선; 및
    상기 절단선의 길이만큼 상기 테두리부재의 내측부가 절곡되어진 절곡부;를 포함하되,
    상기 절곡부에 의해 절곡된 상기 테두리부재의 내측면이 상기 관통홀의 내측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표시부가 구비된 앨범.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선은,
    상기 커버의 두께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표시부가 구비된 앨범.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재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표시부가 구비된 앨범.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와 상기 커버 사이에는 투명한 소재의 보호필름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표시부가 구비된 앨범.
KR2020070001402U 2007-01-25 2007-01-25 표시부가 구비된 앨범 KR2004405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1402U KR200440566Y1 (ko) 2007-01-25 2007-01-25 표시부가 구비된 앨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1402U KR200440566Y1 (ko) 2007-01-25 2007-01-25 표시부가 구비된 앨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0566Y1 true KR200440566Y1 (ko) 2008-06-20

Family

ID=43658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1402U KR200440566Y1 (ko) 2007-01-25 2007-01-25 표시부가 구비된 앨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056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056Y1 (ko) * 2017-07-31 2018-07-31 메이비원(주) 사진 보관 및 전시용 틀 및 이를 구비한 앨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056Y1 (ko) * 2017-07-31 2018-07-31 메이비원(주) 사진 보관 및 전시용 틀 및 이를 구비한 앨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51968S1 (en) Carton
EP2603116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image display apparatus
US4782611A (en) One-piece foldable frame assembly
KR200440566Y1 (ko) 표시부가 구비된 앨범
US20130067785A1 (en) Picture frame with removable mounting system
JP2007518472A (ja) 円筒状の物体に設置するための写真フレームアセンブリ
US20060022450A1 (en) Album page for displaying planar articles
US20100186275A1 (en) Framing and matting kit
JP2011056781A (ja) 冊子、及びその表紙
KR100479562B1 (ko) 창을 갖는 앨범표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앨범표지
USD551547S1 (en) Carton
CA2548047A1 (en) Display device
KR200477945Y1 (ko) 퍼즐 전용 액자
KR101334906B1 (ko) 보강부재가 구비된 액자
US20050011096A1 (en) Structure of decorative panel for inserted-in photographs (pictures)
JP3110286U (ja) アルバム
JP3034054U (ja) 簡易額縁
JP3676293B2 (ja) 写真アルバム台紙
US20060021273A1 (en) Picture frame
KR200334882Y1 (ko) 종이액자
JP3207800U (ja) 写真立て及び写真立て用シート
KR101788125B1 (ko) 액자 겸용 책자
KR20170001048U (ko) 장식틀이 구비된 삽입식 액자앨범
KR900006755Y1 (ko) 앨범
JP2024115841A (ja) 冊子展示用額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70125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32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61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8061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1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6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505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