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40090Y1 - 농수산물 건조기 - Google Patents

농수산물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0090Y1
KR200440090Y1 KR2020060031851U KR20060031851U KR200440090Y1 KR 200440090 Y1 KR200440090 Y1 KR 200440090Y1 KR 2020060031851 U KR2020060031851 U KR 2020060031851U KR 20060031851 U KR20060031851 U KR 20060031851U KR 200440090 Y1 KR200440090 Y1 KR 2004400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chamber
warm air
chamber
hot air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18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명
Original Assignee
(주)한국기술이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기술이앤지 filed Critical (주)한국기술이앤지
Priority to KR20200600318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00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00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00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0Preservation of fruit or vegetabl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2/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B2/9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4/00Preservation of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05Preserving by heating
    • A23B4/01Preserving by heating by irradiation or electric treatment with or without shaping, e.g. in form of powder, granules or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4/00Preservation of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3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0Preservation of fruit or vegetabl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05Preserving by heating
    • A23B7/01Preserving by heating by irradiation or electric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농수산물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온풍실의 히터와 고온의 열매체가 저장된 물탱크에 의해 이중으로 온풍 전환되어 상기 온풍분배실을 걷쳐 건조실에 형성된 다수개의 온풍유입홀을 통해 채반에 올려진 농수산물을 건조함으로써, 종래의 건조기보다 농수산물의 균일한 건조와 신속한 건조가 가능하며 그에 따라 건조실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균일하게 하고, 제어기에 의해 히터 및 물탱크의 열교환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어 전력감소에 따른 경제성을 제고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농,수산물을 건조하는 건조기에 있어서, 내부공간의 활용성을 위해 내부가 중공된 다수개의 칸막이에 의해 공간이 일정간격으로 나누어지며, 상기 나누어진 공간의 양측면과 칸막이의 양단면에 상,하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대응되도록 채반받침대가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채반받침대와 채반받침대 사이의 일측면에 온풍이 유입되도록 온풍유입홀이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온풍유입홀을 통해 유입된 온풍의 일부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부면 일측에 연통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건조실과;
상기 건조실의 측면부에 형성되어 접촉되는 면의 상측부가 연통되어 일부의 온풍이 유입되고, 상기 온풍과 열교환되도록 외부 공기의 유입을 개폐하는 댐퍼가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댐퍼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건조실로 이송시키는 송풍팬이 형성되며, 상기 송풍팬에 의해 발생되는 바람을 1차적으로 열을 가하여 온풍으로 전환되도록 히터가 형성되고, 상기 히터를 통해 전환된 온풍을 접촉에 의해 2차적으로 열을 가하도록 고온의 열매체가 저장된 물탱크가 형성되고, 상기 물탱크의 일측에 형성되어 외부에서 유체를 공급받아 고온의 열매체로 전환시켜 물탱크로 공급하도록 전기보일러가 형성되어 구성되는 온풍실과;
상기 온풍실의 하단부에 연통되어 건조실에 온풍을 이송하도록 건조실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온풍유입홀을 통해 온풍이 건조실에 유입되도록 칸막이의 중공된 내부와 건조실의 양측면 내부가 연통되도록 형성된 온풍분배실과;
상기 건조실과 물탱크 내부에 온도센서가 설치되어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건조실 내부온도 10~80℃, 물탱크 내부온도 20~60℃의 설정온도에 맞춰 송풍기와 히터 및 전기보일러를 제어하도록 형성된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농수산물, 건조기, 히터, 송풍팬, 전기보일러

Description

농수산물 건조기{Drying machine for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수산물 건조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수산물 건조기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수산물 건조기의 내부를 나타낸 부분 사시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 2 : 도어
10 : 건조실 11 : 칸막이
12 : 채반받침대 13 : 온풍유입홀
20 : 온풍실 21 : 댐퍼
22 : 송풍팬 23 : 히터
24 : 물탱크 25 : 전기보일러
30 : 온풍분배실 40 : 제어기
본 고안은 농수산물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온풍실의 히터와 고온의 열매체가 저장된 물탱크에 의해 이중으로 온풍 전환되어 상기 온풍분배실을 걷쳐 건조실에 형성된 다수개의 온풍유입홀을 통해 채반에 올려진 농수산물을 건조함으로써, 종래의 건조기보다 농수산물의 균일한 건조와 신속한 건조가 가능하며 그에 따라 건조실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균일하게 하고, 제어기에 의해 히터 및 물탱크의 열교환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어 전력감소에 따른 경제성을 제고할 수 있는 농수산물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추, 고가약재, 약초 등과 같은 농작물 또는 건어물, 생선, 미역 등과 같은 수산물은 자연풍과 태양열에 의해 건조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날씨의 영향을 많이 받고 대량으로 건조시키기에는 부적합하므로 통상 건조기를 사용하여 한정된 공간에서 농작물을 대량으로 건조시키고 있다.
그리고, 다양한 형태의 농산물 건조기가 안출되어 있는데 온풍을 사용하는 건조기는 대부분 온풍을 강제 순환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온풍 순환식 건조기에는 한국 실용신안출원 제20-2006-0000503호, "농수산물 건조기"(2006. 01. 06.출원) 등이 있다.
상기 온풍 순환식 건조기는 제습수단이 구비되어야 원활한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는데 종래에는 제습수단의 설치로 인한 비용의 상승과 부피의 증가 등을 이유로 온풍을 순환시키면서도 제습수단을 설치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소형 건조기에는 제습 수단이 설치된 경우가 없었다.
이로 인하여 신속한 건조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건조 상태가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온풍을 순환시키지 않고 자연배출시키는 건조기는 온풍이 약화되어 열기가 되고 온도로 인해 열기가 상승되면서 다수 개의 채반을 순차적으로 관통 후 연통으로 자연 배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물론, 온풍을 강제 순환시키는 구조에서도 온풍이 열기가 되어 상승되면서 채반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후 송풍팬에 의해 다시 공급되도록 된 경우도 상당수 있다.
그런데, 온풍이 열기가 되어 상승되면서 다수 개의 채반을 연속으로 관통하도록 된 구조에서는 건조대상물의 고른 건조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건조공간의 상부에 위치된 건조대상물은 빠르게 건조되고 건조공간의 하부에 위치된 건조대상물은 상대적으로 건조속도가 느린 현상이 발생된다. 이러한 현상은 제습수단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 더욱 크게 발생되었다.
한편, 종래의 건조기는 농작물을 건조시키는 밀폐공간에서 농작물로부터 증발된 수분과 함께 공기를 단순히 고온으로 가열함으로써 습도가 높은 상태에서 온도만을 상승시키게 되므로 건조효율이 높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건조기는 고온의 기체열을 농작물에 가함으로써 농작물이 손상될 우려가 있고, 농작물로부터 증발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고 순환시킴으로써 건조시간이 장시간 소요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온풍실의 히터와 고온의 열매체가 저장된 물탱크에 의해 이중으로 온풍 전환되어 상기 온풍분배실을 걷쳐 건조실에 형성된 다수개의 온풍유입홀을 통해 채반에 올려진 농수산물을 건조함으로써, 종래의 건조기보다 농수산물의 균일한 건조와 신속한 건조가 가능하며 그에 따라 건조실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균일하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제어기에 의해 히터 및 물탱크의 열교환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어 전력감소에 따른 경제성을 제고할 수 있는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고안은 농,수산물을 건조하는 건조기에 있어서, 내부공간의 활용성을 위해 내부가 중공된 칸막이에 의해 공간이 일정간격으로 나누어지며, 상기 나누어진 공간의 양측면과 칸막이의 양단면에 상,하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대응되도록 채반받침대가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채반받침대와 채반받침대 사이의 일측면에 온풍 이 유입되도록 온풍유입홀이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온풍유입홀을 통해 유입된 온풍의 일부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부면 일측에 연통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건조실과; 상기 건조실의 측면부에 형성되어 접촉되는 면의 상측부가 연통되어 일부의 온풍이 유입되고, 상기 온풍과 열교환되도록 외부 공기의 유입을 개폐하는 댐퍼가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댐퍼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건조실로 이송시키는 송풍팬이 형성되며, 상기 송풍팬에 의해 발생되는 바람을 1차적으로 열을 가하여 온풍으로 전환되도록 주열원인 히터가 형성되고, 상기 히터를 통해 전환된 온풍을 접촉에 의해 2차적으로 열을 가하도록 고온의 열매체가 저장된 보조열원인 물탱크가 형성되고, 상기 물탱크의 일측에 형성되어 외부에서 유체를 공급받아 고온의 열매체로 전환시켜 물탱크로 공급하도록 전기보일러가 형성되고, 상기 물탱크에는 히터에 의해 전환된 온풍과 접촉되는 부위가 온풍분배실로 온풍이 유도되도록 오목한 곡선면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일측에 고온의 열매체가 순환되도록 열매체관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온풍실과; 상기 온풍실의 하단부에 연통되어 건조실에 온풍을 이송하도록 건조실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온풍유입홀을 통해 온풍이 건조실에 유입되도록 칸막이의 중공된 내부와 건조실의 양측면 내부가 연통되도록 형성된 온풍분배실과; 상기 건조실과 물탱크 내부에 온도센서가 설치되어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신호를 전달받으며, 상기 건조실의 내부설정온도 10~80℃보다 낮아지면 보조열원인 물탱크를 작동시키기 위해 전기보일러에 신호를 보내고, 상기 건조실의 설정온도보다 내부온도가 높으면 주열원인 히터를 제어하도록 신호를 보내며, 상기 물탱크도 내부설정온도를 20~60℃로 설정하여 설정온도의 이상이나 이 하일때 신호를 보내어 제어하도록 형성된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더불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수산물 건조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수산물 건조기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수산물 건조기의 내부를 나타낸 부분 사시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농수산물 건조기는 몸체(1)와, 상기 몸체(1) 내부에 형성되는 건조실(10), 온풍실(20), 온풍분배실(30)로 나누어져 구성된다.
상기 몸체(1)는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건조실 내부에 농수산물을 넣을 수 있도록 힌지에 의해 개폐되는 도어(2)가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2)는 양방향으로 상호 대응되어 개폐되도록 다수개 설치되고, 상기 몸체(1)의 상측부에는 건조실(10)의 온풍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연통(3)이 관통 설치되며, 일측면에 건조기를 ON/OFF 및 온도제어 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컨트롤판넬로 형성된 제어기(4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도어(2)에는 건조실(10) 내부에서 건조되고 있는 농수산물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건조실(10) 내부가 보이는 유리창이 일측에 형성되고, 상 기 유리창은 덮개에 의해 평소에는 가려지고 확인 시에만 열어서 볼 수 있게 형성된다.
상기 건조실(10)은 몸체(1) 내부의 일측부에 해당하며, 공간의 활용을 위해 칸막이(11)가 중앙부에 설치되어 상기 건조실(10)의 내부를 일정간격의 다수개의 내부공간으로 나누며, 상기 칸막이(11)는 내부가 중공되어 온풍실(20)에서 전달되는 온풍이 칸막이(11) 내부에 유입되고, 상기 건조실(10)의 상부면과 접합되는 칸막이(11) 상부는 건조실(10) 내부로 온풍이 유동되도록 관통되어 있고, 상기 건조실(10)의 양단면 내부도 일정간격으로 중공되어 온풍이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건조실(10)의 양단면과 칸막이(11)의 양단면에는 상호 대응되도록 채반받침대(12)가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채반받침대(12)는 면에 부착이 되면서 채반이 결합되도록 단면상 "L" 형태를 취하여 수직부는 면에 부착되고, 수평부는 채반이 삽입되어 걸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상,하로 형성된 채반받침대(12)와 채반받침대(12)의 사이 면(건조실의 양단면과 칸막이의 양단면)에는 온풍실(20)에서 발생한 온풍이 건조실(10) 내부에 유입되도록 온풍유입홀(13)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온풍유입홀(13)은 건조실(10) 양단면의 중공된 내부와 칸막이(11) 양단면의 중공된 내부와 연통되어 상기 온풍유입홀(13)을 통해 온풍이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칸막이(11)에 의해 내부가 나누어진 건조실(10)의 내주면 상부에는 몸체(1)의 상부면에 형성된 연통(3)과 연통되도록 온풍배출홀(14)이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건조실(10)의 측면부에는 온풍실(20)이 형성되어 온풍을 발생시킨 다.
상기 온풍실(20)은 몸체(1) 내부의 일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건조실(10)과 온풍실(20)은 벽(건조기의 몸체 내부에 건조실과 온풍실을 구분하도록 형성된 벽체) 하나를 사이에 두고 형성되며, 상기 벽의 상부는 건조실 내부의 온풍 일부가 온풍실(20)로 유입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 되도록 벽을 관통한 유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외부에서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부 일측에 댐퍼(2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댐퍼(21)는 몸체(1)의 외주면과 온풍실(20)의 내주면에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일단부에 형성된 레버를 통해 외부 공기의 유입에 대한 개폐를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댐퍼(21)를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건조실(10)로 이송시키도록 송풍팬(22)이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송풍팬(22)을 통해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는 송풍팬(22)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히터(23)의 열에 의해 1차적으로 열교환되어 온풍으로 전환된다. 이때, 상기 히터(23)는 건조기의 주열원으로써, 온풍을 발생시키는 메인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히터(23)에서 1차적으로 전환된 온풍은 건조실(10)에 유입되기 전에 히터(23)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고온의 열매체가 저장된 물탱크(24)에 접촉되어 2차적으로 열교환되며, 상기 물탱크(24)는 히터(23)의 보조열원으로 내부에 고온의 열매체가 저장되는데 상기 고온의 열매체는 물탱크(24)의 일단부에 형성된 전기보일러(25)에 의해 발생되고, 상기 전기보일러(25)는 순환펌프에 의해 외부의 유체를 이송받아 고온으로 형성하여 물탱크(24) 내부에 유입시킨다. 이때, 상기 외부 의 유체는 전기보일러(25)를 통해 고온의 열매체로 전환시키는데 소요되는 전력을 줄이기 위해서 일정한 온도로 형성된 유체를 사용하며 그 중에서 지하수도 사용이 된다. 상기 지하수는 그 온도가 10~15℃로 형성되어 있어 전기보일러(25)에서 적은 전력으로 원하는 온도까지 형성하므로 경제성에 효과가 있다.
여기서, 상기 물탱크(24)는 히터(23)에 의해 전환된 온풍과 접촉되는 부위가 온풍분배실(30)로 온풍이 유도되도록 오목한 곡선면(24a)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물탱크(24)의 일측에는 고온의 열매체가 순환되도록 열매체관(26)이 형성되며, 상기 열매체관(26)은 일단부가 물탱크(24)의 일측에서 형성되어 건조실(10)과 온풍분배실(30)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삽입된 열매체관(26)은 건조실(10)의 하단부에 지그재그로 설치되어 고온의 열매체에서 발생하는 열이 상기 건조실(10)의 바닥면을 통해 복사열로 방출되어 농수산물을 건조시킨다.
상기 온풍분배실(30)은 온풍실(20)의 하단부에 연통되어 건조실(10)에 온풍을 이송하도록 건조실(10)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온풍유입홀(13)을 통해 온풍이 건조실(10)에 유입되도록 칸막이(11)의 중공된 내부가 온풍분배실(30)과 연통되고, 상기 건조실(10)의 양측면 내부도 온풍분배실(30)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어기(40)는 건조기 몸체(1)의 외주면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건조실(10)과 물탱크(24) 내부에 온도센서가 설치되어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신호를 전달받으며, 상기 건조실(10)의 내부설정온도 10~80℃보다 낮아지면 보조열원인 물탱크(24)를 작동시키기 위해 전기보일러(25)에 신호를 보내고, 상기 건조실(10)의 설정온도보다 내부온도가 높으면 주열원인 히터(23)를 제어 하도록 신호를 보내며, 상기 물탱크(24)도 내부설정온도를 20~60℃로 설정하여 설정온도의 이상이나 이하일 때 신호를 보내어 제어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농수산물 건조기는 온풍실의 히터와 고온의 열매체가 저장된 물탱크에 의해 이중으로 온풍 전환되어 상기 온풍분배실을 걷쳐 건조실에 형성된 다수개의 온풍유입홀을 통해 채반에 올려진 농수산물을 건조함으로써, 종래의 건조기보다 농수산물의 균일한 건조와 신속한 건조가 가능하며 그에 따라 건조실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균일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제어기에 의해 히터 및 물탱크의 열교환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어 전력감소에 따른 경제성을 제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농,수산물을 건조하는 건조기에 있어서,
    내부공간의 활용성을 위해 내부가 중공된 칸막이(11)에 의해 공간이 일정간격으로 나누어지며, 상기 나누어진 공간의 양측면과 칸막이(11)의 양단면에 상,하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대응되도록 채반받침대(12)가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채반받침대(12)와 채반받침대(12) 사이의 일측면에 온풍이 유입되도록 온풍유입홀(13)이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온풍유입홀(13)을 통해 유입된 온풍의 일부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부면 일측에 연통(3)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건조실(10)과;
    상기 건조실(10)의 측면부에 형성되어 접촉되는 면의 상측부가 연통되어 일부의 온풍이 유입되고, 상기 온풍과 열교환 되도록 외부 공기의 유입을 개폐하는 댐퍼(21)가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댐퍼(21)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건조실(10)로 이송시키는 송풍팬(22)이 형성되며, 상기 송풍팬(22)에 의해 발생되는 바람을 1차적으로 열을 가하여 온풍으로 전환되도록 주열원인 히터(23)가 형성되고, 상기 히터(23)를 통해 전환된 온풍을 접촉에 의해 2차적으로 열을 가하도록 고온의 열매체가 저장된 보조열원인 물탱크(24)가 형성되고, 상기 물탱크(24)의 일측에 형성되어 외부에서 유체를 공급받아 고온의 열매체로 전환시켜 물탱크(24)로 공급하도록 전기보일러(25)가 형성되고, 상기 물탱크(24)에는 히터(23)에 의해 전환된 온풍과 접촉되는 부위가 온풍분배실(30)로 온풍이 유도되도록 오목한 곡선면(24a)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일측에 고온의 열매체가 순환되도록 열매체관(26)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온풍실(20)과;
    상기 온풍실(20)의 하단부에 연통되어 건조실(10)에 온풍을 이송하도록 건조실(10)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온풍유입홀(13)을 통해 온풍이 건조실(10)에 유입되도록 칸막이(11)의 중공된 내부와 건조실(10)의 양측면 내부가 연통되도록 형성된 온풍분배실(30)과;
    상기 건조실(10)과 물탱크(24) 내부에 온도센서가 설치되어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신호를 전달받으며, 상기 건조실(10)의 내부설정온도 10~80℃보다 낮아지면 보조열원인 물탱크(24)를 작동시키기 위해 전기보일러(25)에 신호를 보내고, 상기 건조실(10)의 설정온도보다 내부온도가 높으면 주열원인 히터(23)를 제어하도록 신호를 보내며, 상기 물탱크(24)도 내부설정온도를 20~60℃로 설정하여 설정온도의 이상이나 이하일 때 신호를 보내어 제어하도록 형성된 제어기(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24)에 형성된 열매체관(26)은 건조실(10)과 온풍분배실(30) 사이에 지그재그로 설치되어 고온의 열매체에서 발생하는 복사열에 의해 농산물을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기.
KR2020060031851U 2006-12-15 2006-12-15 농수산물 건조기 KR2004400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851U KR200440090Y1 (ko) 2006-12-15 2006-12-15 농수산물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851U KR200440090Y1 (ko) 2006-12-15 2006-12-15 농수산물 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0090Y1 true KR200440090Y1 (ko) 2008-05-23

Family

ID=41638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1851U KR200440090Y1 (ko) 2006-12-15 2006-12-15 농수산물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0090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4158B1 (ko) * 2012-12-18 2014-12-04 주식회사 이랩 농수산물 건조장치
KR101955393B1 (ko) 2018-11-15 2019-03-07 이창복 다기능 농수산물 건조기
KR20190104653A (ko) * 2018-03-02 2019-09-11 정진욱 농수산물 건조방법
KR20190104654A (ko) * 2018-03-02 2019-09-11 정진욱 농수산물 건조장치
KR102721253B1 (ko) * 2023-06-08 2024-10-25 (주) 동일우드 열을 토출하는 측면홀의 막힘이 방지되는 바이오매스 연료 건조 시스템
KR102721252B1 (ko) * 2023-06-08 2024-10-25 (주) 동일우드 수용 공간을 분리시키는 격벽을 구비한 바이오매스 연료 건조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4158B1 (ko) * 2012-12-18 2014-12-04 주식회사 이랩 농수산물 건조장치
KR20190104653A (ko) * 2018-03-02 2019-09-11 정진욱 농수산물 건조방법
KR20190104654A (ko) * 2018-03-02 2019-09-11 정진욱 농수산물 건조장치
KR102093012B1 (ko) 2018-03-02 2020-03-24 정진욱 농수산물 건조장치
KR102129659B1 (ko) 2018-03-02 2020-07-02 정진욱 농수산물 건조방법
KR101955393B1 (ko) 2018-11-15 2019-03-07 이창복 다기능 농수산물 건조기
KR102721253B1 (ko) * 2023-06-08 2024-10-25 (주) 동일우드 열을 토출하는 측면홀의 막힘이 방지되는 바이오매스 연료 건조 시스템
KR102721252B1 (ko) * 2023-06-08 2024-10-25 (주) 동일우드 수용 공간을 분리시키는 격벽을 구비한 바이오매스 연료 건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0090Y1 (ko) 농수산물 건조기
KR101834823B1 (ko) 폐열회수와 신선외기유입형 멀티존 온도균일제어타입 농산물 건조장치
KR102065995B1 (ko) 하이브리드 저온 제습 건조기
KR20080025025A (ko) 농수산물의 열풍순환식 건조시스템
KR20140007042A (ko) 동식물 생육 난방기
CN109520228A (zh) 一种智能烘干柔性设备一体机
KR200414339Y1 (ko) 농수산물 건조기
KR200412274Y1 (ko) 농수산물 건조기
KR200424159Y1 (ko) 농수산물 건조기
CN215289388U (zh) 干衣机
KR101741216B1 (ko) 건조기
KR101319145B1 (ko) 보조가열장치가 부착된 식품 건조기
KR20160117086A (ko) 4면 열풍 전기건조기
KR20060134294A (ko) 열풍건조기
KR100869578B1 (ko) 농산물건조장치
KR200444645Y1 (ko) 육묘 출아기 겸용 농수산물 건조기
KR200414627Y1 (ko) 건조공간의 조절이 가능한 건조기
KR101393540B1 (ko) 열풍 건조기
KR100668608B1 (ko) 냉,온풍 건조기
KR200427551Y1 (ko) 온풍 순환 건조 장치
KR100636892B1 (ko) 건조기
KR200214126Y1 (ko) 농산물 건조기
KR200422795Y1 (ko) 농수산물 건조기
CN207268562U (zh) 一种制备钛白粉用的烘干装置
CN204665849U (zh) 盲孔类零件烘干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1215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70919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1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51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8052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2092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