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439965Y1 - 열교환기 누수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열교환기 누수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9965Y1
KR200439965Y1 KR2020070006476U KR20070006476U KR200439965Y1 KR 200439965 Y1 KR200439965 Y1 KR 200439965Y1 KR 2020070006476 U KR2020070006476 U KR 2020070006476U KR 20070006476 U KR20070006476 U KR 20070006476U KR 200439965 Y1 KR200439965 Y1 KR 2004399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flange
test
gland
coupl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64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상현
Original Assignee
(주)일진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일진정공 filed Critical (주)일진정공
Priority to KR20200700064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99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99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9965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1/00Arrangements for sealing leaky tubes and conduits
    • F28F11/02Arrangements for sealing leaky tubes and conduits using obturating elements, e.g. washers, inserted and opera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4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65/00Safety or protection arrangements; Arrangements for preventing malfunction
    • F28F2265/16Safety or protection arrangements; Arrangements for preventing malfunction for preventing leak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열교환기 누수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열교환기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어 유동 튜브 관판의 누수를 시험하는 장치에 있어서, 테스트 플랜지 몸체부, 상기 테스트 플랜지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된 체결부재 결합홈, 상기 테스트 플랜지 몸체부로부터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내주면 일측 끝단에 형성된 제 1 밀착부, 상기 테스트 플랜지 몸체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 2 체결공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테스트 플랜지 몸체부는 열교환기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연장부는 제 1 유동 튜브 관판을 감싸는 테스트 플랜지; 글랜드 플랜지 몸체부, 상기 글랜드 플랜지 몸체부로부터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2 밀착부, 상기 글랜드 플랜지 몸체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 1 체결공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 2 밀착부는 상기 테스트 플랜지의 연장부와 일부가 중첩될 수 있도록 상기 테스트 플랜지와 체결부재로 결합되는 글랜드 플랜지; 둘레를 따라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 3 체결공이 형성되고, 열교환기 본체의 타측에 결합되는 본체 덮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열교환기 누수 시험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열교환기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고 제 1 유동 튜브 관판을 감싸는 테스트 플랜지와, 테스트 플랜지에 체결부재로 결합되고 일측에 테스트 플랜지의 제 1 밀착부에 대응한 제 2 밀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글랜드 플랜지 및 열교환기 본체의 타측에 결합되는 본체 덮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열교환기 누수 시 험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유동 튜브 관판과 유동 튜브 사이의 용접 또는 확관 부위에서 누수 현상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간단하게 조사할 수 있다.
열교환기, 누수, 글랜드 패킹, 가스켓, 테스트 플랜지, 글랜드 플랜지, 본체 덮개부

Description

열교환기 누수 시험장치{Test Equipment of Heat Exchanger Water Leakage}
도 1은 일반적인 막대 방해판형 열교환기의 부분단면도;
도 2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플랜지와 글랜드 플랜지의 결합단면도;
도 2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플랜지의 사시도;
도 2c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글랜드 플랜지의 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 덮개부의 단면도; 및
도 3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 덮개부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입수관 115: 출수관
120: 열교환기 본체 130: 후면 경판
140: 유동 튜브 관판 실링부 150: 실링 볼트
160: 제 1 결합부 볼트 170: 제 1 유동 튜브 관판
180: 제 2 유동 튜브 관판 190: 노즐
195: 제 2 결합부 볼트 210: 테스트 플랜지
220: 플랜지 체결 볼트 230: 제 1 리프팅 러그
240: 덮개부 250: 제 1 밀착부
260: 글랜드 패킹 270: 글랜드 플랜지
280: 제 2 밀착부 290: 제 1 체결공
310: 본체 덮개부 320: 제 2 가스켓
330: 제 2 리프팅 러그 340: 가스켓 삽입부
350: 제 3 체결공
본 고안은 열교환기 누수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열교환기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고 제 1 유동 튜브 관판을 감싸는 테스트 플랜지와, 테스트 플랜지에 체결부재로 결합되고 일측에 테스트 플랜지의 제 1 밀착부에 대응한 제 2 밀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글랜드 플랜지 및 열교환기 본체의 타측에 결합되는 본체 덮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열교환기 누수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교환기로는 플레이트 형태의 방해판(Baffle)이 설치된 플레이트 방해판형 열교환기와 막대봉(Rod)을 이용한 막대 방해판형 열교환기가 있는데, 플레이트 방해판형 열교환기의 경우 유체의 흐름에 의한 관의 진동 및 압력강하가 큰 문제로 지적되고 있고, 심지어는 이러한 관의 진동으로 인해 열교환기가 파손될 우려도 있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어 최근에는 관의 진동 및 압력강하를 줄일 수 있는 막대 방해판형 열교환기에 대한 연구,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막대 방해판형 열교환기란 열교환기의 관다발을 둘러쌀 수 있는 원형의 방해판 링에 수십 내지 수백개의 둥글고 가는 봉(이하, '유동 튜브'라 한다.)을 용접하여 이루어진 막대 방해판을 열교환기의 본체의 길이방향에 직각으로 반복, 설치한 열교환기를 말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막대 방해판형 열교환기의 부분단면도로서,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막대 방해판형 열교환기는 크게 열교환기 본체(120), 후면 경판(130), 노즐(190)로 구성된다.
열교환기 본체(120) 내부에는 직경 방향으로 풀 서포트 배플(Full Support Baffle, 121)과 수개의 배플(Baffle, 122)이 형성되어 있고, 수개의 유동 튜브(165)가 풀 서포트 배플(121) 및 수개의 배플(122)로 지지되어 있다.
수개의 유동 튜브(165)는 제 1 유동 튜브 관판(170)과 제 2 유동 튜브 관판(180)에 용접 혹은 확관으로 고정되어 열교환기 본체(120) 양측 끝단까지 연장된다.
후면 경판(130)은 일측은 개방되고 타측은 라운드형으로 폐쇄되어 있으며 외주면을 따라 유동 관판 실링부(140)가 구비되어 있다.
후면 경판 덮개부(131)는 움푹 파인 원통 형상으로서 그 내부에 후면 경판(130)이 위치하게 되며 외주면에는 후면 경판 덮개부쪽 결합부(145)가 형성되어 있어서 열교환부 본체(120)의 일측에 형성된 본체쪽 결합부(125)와 제 1 결합부 볼트(160)에 의해 체결되게 된다.
후면 경판(130)의 외주면을 따라 구비된 유동 튜브 관판 실링부(140)는 두개 로 분리 가능하여 제 1 유동 튜브 관판(170)의 돌출된 부분을 분리된 유동 튜브 관판 실링부(140) 사이에 끼운 후 유동 튜브 관판 실링부(140)를 실링부 볼트(150) 등으로 결합하여 밀봉하게 된다.
열교환기 본체(120)의 타측에는 노즐(190)이 구비되고, 노즐(190)과 열교환기 본체(120)의 타측은 제 2 결합부 볼트(195)에 의해 결합되며 그 사이에는 제 2 유동 튜브 관판(180)이 구비된다.
노즐(190)을 통해 유동 튜브(165)에 냉각수가 공급되는데, 노즐 입구(191)로 유입된 냉각수는 수개의 유동 튜브(165)를 통과하면서 입수관(110)으로 들어와 출수관(115)으로 나가는 고온의 유체로부터 열을 흡수한 후 후면 경판(130)을 기준으로 다시 반대 방향으로 수개의 유동 튜브(165)를 통과하면서 다시 열을 흡수한 후 노즐 출구(192)로 배출되게 된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막대 방해판형 열교환기의 경우 수개의 유동 튜브(165)를 제 1 유동 튜브 관판(170)에 고정시킬 때 제 1 유동 튜브 관판(170)에 수개의 구멍을 뚫은 후 유동 튜브(165)를 상기 구멍에 끼운 후 구멍과 유동 튜브(165) 외주면 사이를 용접 또는 확관하여 밀봉(Sealing)시키는 바, 이와 같은 용접 부위가 제대로 밀봉되지 않으면 고온의 유체가 용접 부위 사이로 유출되어 열교환기의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밀봉 부위에서 누수현상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시험하기 위한 장치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열교환기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고 제 1 유동 튜브 관판을 감싸는 테스트 플랜지와, 테스트 플랜지에 체결부재로 결합되고 일측에 테스트 플랜지의 제 1 밀착부에 대응한 제 2 밀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글랜드 플랜지 및 열교환기 본체의 타측에 결합되는 본체 덮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열교환기 누수 시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열교환기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어 유동 튜브 관판의 누수를 시험하는 장치에 있어서, 테스트 플랜지 몸체부, 상기 테스트 플랜지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된 체결부재 결합홈, 상기 테스트 플랜지 몸체부로부터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내주면 일측 끝단에 형성된 제 1 밀착부, 상기 테스트 플랜지 몸체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 2 체결공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테스트 플랜지 몸체부는 열교환기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연장부는 제 1 유동 튜브 관판을 감싸는 테스트 플랜지; 글랜드 플랜지 몸체부, 상기 글랜드 플랜지 몸체부로부터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2 밀착부, 상기 글랜드 플랜지 몸체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 1 체결공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 2 밀착부는 상기 테스트 플랜지의 연장부와 일부가 중첩될 수 있도록 상기 테스트 플랜지와 체결부재로 결합되는 글랜드 플랜지; 둘레를 따라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 3 체결공이 형성되고, 열교환기 본체의 타측에 결합되는 본체 덮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열교환기 누수 시험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플랜지와 글랜드 플랜지의 결합단면도, 도 2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플랜지의 사시도, 도 2c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글랜드 플랜지의 사시도이다.
도 2a, 도 2b, 도 2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플랜지는 테스트 플랜지 몸체부(211), 상기 테스트 플랜지 몸체부(211)의 일측에 형성된 체결부재 결합홈(215), 상기 테스트 플랜지 몸체부(211)로부터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부(245), 상기 연장부(245)의 내주면 일측 끝단에 형성된 제 1 밀착부(250), 상기 테스트 플랜지 몸체부(21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 2 체결공(225)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글랜드 플랜지는 글랜드 플랜지 몸체부(275), 상기 글랜드 플랜지 몸체부(275)로부터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2 밀착부(280), 상기 글랜드 플랜지 몸체부(275)의 상측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 1 체결공(2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테스트 플랜지 몸체부(211)는 열교환기 본체(120)의 일측에 결합되고 연장부(245)는 제 1 유동 튜브 관판(170)을 감싸는 형태이며, 글랜드 플랜지 몸체부(275)로부터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2 밀착부(280)는 테스트 플랜지(210)의 연장부(245)와 일부가 중첩될 수 있도록 글랜드 플랜지(270)와 테스트 플랜지(210)는 체결부재(295)로 결합된다.
테스트 플랜지(210)에는 큰 직경의 테스트 플랜지 몸체부(211)와 작은 직경의 연장부(24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작은 직경의 연장부(245)는 테스트 플랜지 몸체부(211)로부터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데, 연장부(245)의 내주면 일측에는 제 1 밀착부(250)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밀착부(250)의 직경은 제 1 유동 튜브 관판(170)이 테스트 플랜지(210) 안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제 1 유동 튜브 관판(170)의 직경보다 미세히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밀착부(250) 끝단에서 연장부(245) 끝단까지 부분(이하, '덮개부(240)'라 한다.)의 직경은 글랜드 플랜지(270)의 제 2 밀착부(28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 2 밀착부(280)의 직경보다 적절히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제 2 밀착부(280)가 덮개부(240)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덮개부(240)가 글랜드 플랜지(270) 쪽에 형성되고 제 1 밀착부(250)가 덮개부(240) 안으로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글랜드 플랜지 몸체부(275)로부터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2 밀착부(280)와 테스트 플랜지(210)의 연장부(245)는 일부가 중첩되면서 글랜드 플랜지(270)와 테스트 플랜지(210)가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제 1 밀착부(250) 하단에서 덮개부(240) 하단 까지의 거리(d)는 제 1 유동 튜브 관판(170)의 외주면을 따라 장착되는 글랜드 패킹(260)의 두께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테스트 플랜지 몸체부(211)의 일측에는 체결부재 결합홈(215)이 형성되어 있는데, 체결부재 결합홈(215)은 글랜드 플랜지(270)에 형성된 제 1 체결공(290)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체결부재(295)는 글랜드 플랜지(270)의 제 1 체결공(290)을 관통하여 테스트 플랜지(210)의 체결부재 결합홈(215)에 결합된다.
이 때, 체결부재(295)로는 스테이 볼트/너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글랜드 플랜지(270)와 테스트 플랜지(210)를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이면 그 어떤 것이라도 가능할 것이다.
제 2 체결공(225)은 테스트 플랜지 몸체부(211)의 둘레를 따라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어 제 2 체결공(225)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플랜지 체결 볼트(220)가 열교환기 본체(120, 도 1 참조)의 본체쪽 결합부(125)에 결합됨으로써 테스트 플랜지(210)를 열교환기 본체(120)에 단단히 고정하게 된다.
테스트 플랜지(210)의 상측에는 제 1 리프팅 러그(Lifting Lug, 230)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는데, 리프팅 러그(Lifting Lug)란 장치의 분해/조립시 운반을 용이하게 하도록 만들어진 고리를 의미한다.
테스트 플랜지 몸체부(211)의 타측에는 제 1 가스켓(212)이 구비될 수 있는데, 제 1 가스켓(212)은 테스트 플랜지(210)가 열교환기 본체(120)에 결합될 때 테스트 플랜지(210)와 열교환기 본체(120) 사이를 밀봉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장착되는 제 1 가스켓(212)의 개수는 하나 이상도 가능할 것이다.
글랜드 플랜지(270)는 글랜드 플랜지 몸체부(275), 제 2 밀착부(280), 제 1 체결공(29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글랜드 플랜지 몸체부(275)는 도 2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큰 직경의 중공 원통 형상이고, 제 2 밀착부(280)는 작은 직경의 중공 원통 형상으로서 제 2 밀착부(280)는 글랜드 플랜지 몸체부(275)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글랜드 플랜지 몸체부(275)의 상측에는 하나 이상의 제 1 체결공(290)이 형성되어 있는데, 제 1 체결공(290)를 관통한 체결부재(295)가 체결부재 결합홈(215)에 결합됨으로써 글랜드 플랜지(270)와 테스트 플랜지(210)는 일체로 고정된다.
제 2 밀착부(280)는 글랜드 플랜지 몸체부(275)로부터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데, 제 2 밀착부(280)의 직경은 제 1 밀착부(250)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제 1 밀착부(280)의 길이는 덮개부(24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제 2 밀착부(280)가 테스트 플랜지(210)의 연장부(245) 내부로 삽입되더라도 제 2 밀착부(280)와 제 1 밀착부(250) 사이에는 공간이 생기게 되고, 제 2 밀착부(280)와 제 1 밀착부(250) 사이의 공간에는 글랜드 패킹(260)이 장착되어 제 1 유동 튜브 관판(170)과 테스트 플랜지(210) 및 글랜드 플랜지(270) 사이의 접촉부분을 밀봉하게 된다.
이 때, 장착되는 글랜드 패킹(260)의 개수는 제 1 유동 튜브 관판(170)과 테스트 플랜지(210) 및 글랜드 플랜지(270) 사이에 요구되는 밀봉력에 따라 하나 이 상에서 적절히 결정된다.
도 2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글랜드 플랜지 몸체부(275)의 중앙에는 제 2 밀착부(28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돌출턱(276)이 형성되어 있는데, 돌출턱(276)의 일측면과 제 1 유동 튜브 관판(170)의 일측면 사이에는 제 2 밀착부(280)와 제 1 밀착부(250) 사이에 장착되는 글랜드 패킹(260)의 개수에 따라 넓어지거나 좁아지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제 2 밀착부(280)와 제 1 밀착부(250) 사이에 장착되는 글랜드 패킹(260)의 개수가 많아지면 공간이 넓어지고, 글랜드 패킹(260)의 개수가 줄어들면 공간이 좁아지게 된다.
도 3a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 덮개부의 단면도이고, 도 3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 덮개부의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 덮개부(310)는 열교환기 본체(120)의 타측에 결합되는데, 둘레를 따라 하나 이상의 제 3 체결공(350)이 형성되어 있으며, 추가로 본체 덮개부(310)의 상측에는 제 2 리프팅 러그(330)가 형성될 수 있고, 본체 덮개부(310)의 일측에는 제 2 가스켓(320)이 구비될 수 있다.
본체 덮개부(310)는 원통 형상이고, 제 2 가스켓(320)이 삽입될 수 있도록 가스켓 삽입부(340)가 형성되어 있고, 가스켓 삽입부(340)에는 제 2 가스켓(320)이 삽입된다.
도 3b에서는 가스켓 삽입부(340)가 전체로 움푹 파인 형상을 도시하였으나, 가스켓 삽입부(340)는 장착되는 제 2 가스켓(320)의 폭에 해당되는 부분만 움푹 파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체 덮개부(310)의 상측에는 제 2 리프팅 러그(330)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는데, 제 2 리프팅 러그(330)는 제 1 리프팅 러그(230)의 기능과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누수 시험장치로 누수 시험을 수행하는 과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열교환기 본체(120)의 누수 시험을 위해 열교환기 본체(120)의 양측에 결합되어 있는 후면 경판 덮개부(131) 및 후면 경판(130)과 노즐(190)을 제거하고, 후면 경판 덮개부(131)가 체결되어 있던 자리에 테스트 플랜지(210)를 장착하고, 노즐(190)이 장착되어 있던 자리에 본체 덮개부(310)를 장착한다.
그리고, 제 1 유동 튜브 관판(170)의 외주면에는 하나 이상의 글랜드 패킹(260)이 장착된 상태에서 테스트 플랜지(210)의 연장부(245) 내부로 글랜드 플랜지(270)의 제 2 밀착부(280)를 삽입하게 된다.
제 2 밀착부(280)를 적절히 삽입하여 제 2 밀착부(280)와 제 1 밀착부(250) 사이에 위치하는 글랜드 패킹(260)이 단단히 고정되면 글랜드 플랜지 몸체부(275)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체결공(290)을 관통하여 체결부재(295)를 끼운 후 체결부재(295)의 끝단이 체결부재 결합홈(215)에 결합되도록 한다.
체결부재(295)로는 특히 스테이 볼트/너트가 바람직하므로 스테이 볼트/너트의 경우를 설명하면, 제 1 체결공(290)을 관통한 스테이 볼트를 체결부재 결합 홈(215)에 나사 결합한 후 글랜드 플랜지 몸체부(275)의 경계 바깥으로 돌출되어 있는 스테이 볼트의 끝에 너트를 돌려 끼워서 고정함으로써 테스트 플랜지(210)와 글랜드 플랜지(270)를 일체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열교환기 본체(120)의 양측에 테스트 플랜지(210), 글랜드 플랜지(270), 본체 덮개부(310)를 장착한 후 출수관(115)은 밀봉한 상태에서 입수관(110)을 통해 유체를 열교환기 본체(120) 내부에 주입한다.
이 때, 주입되는 유체는 보통 물이 될 것이다.
열교환기 본체(120) 내부에 물이 적당량 채워지면 입수관(110)에 가압장치를 장착하게 된다.
여기서 가압장치는 에어 컴프레셔 등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입수관(110)에 가압장치를 장착한 후 열교환기 본체(120)에 적절한 압력을 가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지나게 되면 제 1 유동 튜브 관판(170)에 용접 또는 확관으로 고정되어 있는 유동 튜브(165)의 밀봉 부위에 크랙 등이 있는 경우 그 부위에서 물이 누수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누수되는 부분을 육안으로도 관찰할 수 있어 크랙 등이 발생한 부분을 보강할 수 있으므로 열교환기 본체(120)의 누수 시험을 간단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열교환기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고 제 1 유동 튜브 관판을 감싸는 테스트 플랜지와, 테스트 플랜지에 체결부재로 결합되고 일측에 테스트 플랜지의 제 1 밀착부에 대응한 제 2 밀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글랜드 플랜지 및 열교환기 본체의 타측에 결합되는 본체 덮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열교환기 누수 시험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유동 튜브 관판과 유동 튜브 사이의 용접 또는 확관 부위에서 누수 현상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간단하게 조사할 수 있다.

Claims (10)

  1. 열교환기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어 유동 튜브 관판의 누수를 시험하는 장치에 있어서,
    테스트 플랜지 몸체부, 상기 테스트 플랜지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된 체결부재 결합홈, 상기 테스트 플랜지 몸체부로부터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내주면 일측 끝단에 형성된 제 1 밀착부, 상기 테스트 플랜지 몸체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 2 체결공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테스트 플랜지 몸체부는 열교환기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연장부는 제 1 유동 튜브 관판을 감싸는 테스트 플랜지;
    글랜드 플랜지 몸체부, 상기 글랜드 플랜지 몸체부로부터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2 밀착부, 상기 글랜드 플랜지 몸체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 1 체결공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 2 밀착부는 상기 테스트 플랜지의 연장부와 일부가 중첩될 수 있도록 상기 테스트 플랜지와 체결부재로 결합되는 글랜드 플랜지;
    둘레를 따라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 3 체결공이 형성되고, 열교환기 본체의 타측에 결합되는 본체 덮개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열교환기 누수 시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일측 끝단에 덮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누수 시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플랜지의 상측에 제 1 리프팅 러그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누수 시험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 1 체결공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부재 결합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누수 시험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덮개부의 상측에 제 2 리프팅 러그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누수 시험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덮개부의 일측에 가스켓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누수 시험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 삽입부에 가스켓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누수 시험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스테이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누수 시험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플랜지의 테스트 플랜지 몸체부 타측에 가스켓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누수 시험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글랜드 플랜지 몸체부의 중앙에는 상기 제 2 밀착부의 직경보다 작은 돌출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누수 시험장치.
KR2020070006476U 2007-04-19 2007-04-19 열교환기 누수 시험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4399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476U KR200439965Y1 (ko) 2007-04-19 2007-04-19 열교환기 누수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476U KR200439965Y1 (ko) 2007-04-19 2007-04-19 열교환기 누수 시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9965Y1 true KR200439965Y1 (ko) 2008-05-15

Family

ID=41638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6476U Expired - Fee Related KR200439965Y1 (ko) 2007-04-19 2007-04-19 열교환기 누수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996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1558B1 (ko) * 2009-01-28 2012-03-06 현대제철 주식회사 냉각관 검사장치
CN102818681A (zh) * 2012-08-30 2012-12-12 山东华能冷却技术股份有限公司 空冷器管束分检试压装置
KR101351220B1 (ko) 2012-08-30 2014-01-13 임관호 누수감지장치가 구비된 열교환기 및, 이의 누수감지방법
KR20210064970A (ko) * 2019-11-26 2021-06-03 기노식 유지보수가 용이한 열교환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1558B1 (ko) * 2009-01-28 2012-03-06 현대제철 주식회사 냉각관 검사장치
CN102818681A (zh) * 2012-08-30 2012-12-12 山东华能冷却技术股份有限公司 空冷器管束分检试压装置
KR101351220B1 (ko) 2012-08-30 2014-01-13 임관호 누수감지장치가 구비된 열교환기 및, 이의 누수감지방법
KR20210064970A (ko) * 2019-11-26 2021-06-03 기노식 유지보수가 용이한 열교환기
KR102277445B1 (ko) * 2019-11-26 2021-07-13 기노식 유지보수가 용이한 열교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T4887B (lt) Vamzdžio segmento izoliavimo ar patikros įrenginys ir būdas
BR112014006602A2 (pt) aparelho e método para a vedação de um tubo incluindo meios de aperto interno e externo
CN103712752B (zh) 热交换器用管束的气密试验装置
CN101467018B (zh) 接管检验设备及方法
CA2779593C (en) Dual inflatable plug assembly
KR200439965Y1 (ko) 열교환기 누수 시험장치
BRPI0718949A2 (pt) Ferramenta de teste de tubo externo e método de teste usando a mesma
KR20090048595A (ko) 축보강에 의한 파이프 부분 시험 또는 분리 장치 및 방법
KR20010090844A (ko) 열교환기 배플과 이것의 설치 방법
KR101721133B1 (ko) 이탈방지용 삽입형 링조인트 배관 및 그의 결합장치
KR20180022472A (ko) 열교환기 및 이를 구비하는 원전
KR101789912B1 (ko) 열교환기 튜브 단부의 고정 구조 및 이를 적용한 열교환기
KR101976543B1 (ko) 열교환기 및 이를 구비하는 원전
CN115077818A (zh) 一种换热器管束单管检漏装置和换热器管束检漏封堵方法
KR20180015503A (ko) 열교환기 및 이를 구비하는 원전
KR102066995B1 (ko) 쉘앤튜브 열교환기의 튜브 누설검사장치
JPH0878242A (ja) 二重管式冷却器
KR20140004390U (ko) 배관 에어 시험용 밀폐 지그
CN113834841B (zh) 一种金属管道对接焊缝的液氮热冲击测试装置
PT2258972E (pt) Componente com flange e processo para o fabrico do mesmo
CN203422281U (zh) 一种用于带颈法兰和管子焊后水压试验的定位夹具装置
US20150115600A1 (en) Flow passage connecting apparatus for heat exchanger
KR101869338B1 (ko) 증기발생기 및 이를 구비하는 원전
KR100973346B1 (ko) 콘덴서 누수검사용 지그
US4203185A (en) Method of sealing tube plate apertures, and repair set for use there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70419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50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8050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12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304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